KR900009212B1 - 분리식 버클 - Google Patents

분리식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9212B1
KR900009212B1 KR1019840001134A KR840001134A KR900009212B1 KR 900009212 B1 KR900009212 B1 KR 900009212B1 KR 1019840001134 A KR1019840001134 A KR 1019840001134A KR 840001134 A KR840001134 A KR 840001134A KR 900009212 B1 KR900009212 B1 KR 900009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plug member
buckle
hol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1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6669A (ko
Inventor
아르프 하이노
Original Assignee
이테베-아테코 게엠베하
프리쯔 하인리취 골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테베-아테코 게엠베하, 프리쯔 하인리취 골링 filed Critical 이테베-아테코 게엠베하
Priority to KR1019840001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9212B1/ko
Publication of KR8500066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66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9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9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분리식 버클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버클이 서로 채원진 상태를 도시한 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버클의 플러그 부재를 도시한 투시도.
제3도는 제2도에 따른 플러그 부재의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에 따른 버클의 소케트의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에 따른 소케트의 하우징부의 상면도.
제6도는 제4도에 따른 소케트의 하우징부의 단면도.
제7도는 고정판의 단면도.
제8도는 제7도에 따른 고정판을 축소한 하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소케트 11 : 플러그 부재
12 : 삽입부 12A : 하우징부
13 : 조종부 15, 16 : 핀
14, 17, 18, 23, 33 : 홈 21 : 작동부
22 : 상호 결합부 24 : 견각부
26 : 도입 통로 27 : 수용홈
28 : 언더커트 31 : 작동홈
34 : 고정핀 35 : 고정판
36 : 구멍 41 : 플랜지
42 : 웨브 44 : 회전 멈추개
본 발명은 수용홈을 갖춘 소케트를 구성부품으로 하는 분리가능한 버클에 관한 것인데, 상기 소케트는 수용홈에 인접한 서로 채워지는 모서리 뿐만 아니라 수용홈으로 연결된 도입 통로를 한쪽 단부에 갖추고 있으며, 역시 구성부품인 플러그 부재는 플러그 부재가 상호 결합부를 개방할 목적으로 상호 결합부에 연결된 작동부와 수용홈으로 진입함에 따라 서로 채워지는 모서리 뒤에서 체결되는 탄성체인 상호 결합부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류의 버클은 분리용, 연결대용, 벨트용, 핸드백용, 외투용등 다방면으로 사용되고 있다. 소케트의 한쪽면에는 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로의 한쪽 모서리는 플러그 부재에 탄력있게 결합된 텅부(tongue)의 서로 채워지는 접합점과 함께 작동하는 서로 채워지는 접합점과 함께 작동하는 서로 채워지는 모서리로서 작용하는 플러그 부재의 삽입방향에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텅부가 이완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기울어지면 소케트의 통로내에서 찰깍하고 채워지는 위치에 이를때까지 플러그 부재가 소케트에 삽입됨에 따라 일시적으로 플러그 부재의 평면 내에서 변형된다.
손으로 개방하기 위해서는 서로 채워지는 텅부에 접촉하도록 통로를 경유하여 통로하게 함으로써, 텅부를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면 된다. 텅부가 개방위치내에서 변형되면 플러그 부재가 동시에 빠져 버클부는 최종적으로 분리된다. 플러그 부재가 빠지는 중에 서로 채워지는 텅부는 풀어지게 되는데, 이 이유는 텅부가 소케트위 웨이브밑을 슬라이드하며 또한 손에 잡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공지된 버클을 분리시키는데에는 두 개의 손이 필요하게 되는데, 한손은 텅부를 작동시키는데 사용하며 다른 손은 플러그 부재를 잡아당기는데 사용한다. 물론 서로 채워지는 텅부는 소케트 하우징내의 통로에 꽉차는 위치가 정상적이 아니므로 그 위치에서 하우징은 용도상 외관으로 불만족스러운 결과인 기능의 약화 내지는 함몰된 형상이 나타나는 불편함이 따른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손만 사용하여 소케트 삽입부재를 분리시킬수 있는 분리식 버클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호 결합부는 플러그 부재의 삽입방향으로 작동부의 앞에 배치하고 작동부는 작동상 아무런 방해 없이 소케트를 상대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공지된 버클의 경우에서는 작동부가 플러그 부재의 삽입방향으로 서로 채워지는 모서리의 앞에 배치되나, 본 발명에 다른 버클의 경우에서는 작동부 및 상호 결합부가 마주보는 위치로 되어있다. 또한 공지된 버클의 작동부는 소케트의 웨브밑을 미끄럼 운동하나, 본 발명에 따른 버클의 작동부는 소케트에 대하여 자유운동하여 분리시키는 중에 풀어줄 필요가 없다. 오히려 작동부는 잔존하는 플러그 부재와 함께 분리시키는 작동중에 손으로 잡을 수 있다. 이것은 한손으로도 가능하여 작동부와 플러그 부재의 다른 부를 순간적으로 분리시키는 작업이 필요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버클은, 분리시키는 작동에 있어셔 종래의 버클에 비해 훨씬 간단하며 조작이 간편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설비로서 버클은 수용홈을 향해 있는 또한 도입 통로가 작동부와 함께 작동하는 동안 연장되어 있는 작동홈 통로를 포함한다. 버클부가 서로 채워지는 동안 작동부는 작동홈내로 돌출된다. 그럼으로써 상호 결합부의 길이는 짧아지며, 작동부의 평향도는 상호 결합부로부터 소케트의 서로채워지는 모서리를 개장하는 정도가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비로서 탄성체 텅부는 플러그 부재의 한 부품으로 구성되고 삽입방향으로 전단부에 선회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버클에도 텅부가 갖춰져 있지만 서로 채워지는 모서리는 서로 채워지는 텅부의 자유단부에 위치하는데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클의 텅부는 선회 접속부와 자유단부 사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는 작동부가 삽입부재가 상호 결합부의 위치에 놓일 때 소케트의 상부면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로 인하여 작동부는 버클의 외측 윤곽부에 위치하게 되며, 또한 이로 인하여 외형상도 양호해진다. 그밖에도 상술한 바와같은 배치는 카운터 성크(counter sunk) 배치보다, 손으로 작동하기가 훨씬 용이하다.
본 발명의 그밖에 실시예의 설비로서, 상호 결합부는 결합부의 전면에 배치된 경사로의 형태인 삽입부의 삽입방향에 대하여 횡단으로 연장되어 있는 서로 채워지는 견각부를 포함하고 있다. 경사체의 상호 결합부로 구성되어 상호 결합부의 변형이 가능하므로 견각부는 삽입부재가 완전히 삽입된 다음에 서로 채워지는, 모서리뒤에서 찰깍하며 채워진다.
소케트의 서로 채워지는 모서리는 일례로, 소케트의 횡단웨브에 의하여 수용홈내의 언더커트에서 형성된다. 상기에 대해 다른 설비로서 본 발명이 채택하고 있는 것은 소케트를 하우징의 형태로 하는 것이며, 언더커트는 경사로의 형태인 도입부와 적절하게 작동하는 수용홈의 내부벽에 형성된 홈으로 만드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호 결합부의 작동방법에 따라 소케트의 내측에 대응 통로를 설치해야 할 필요성이 없다. 오히려 소케트는 밀폐된 하우징의 형태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버클의 용도로는 밴드나 혁대등에 사용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삽입부재를 후단부에 홈으로 형성하여 혁대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의 단부에 유용하게 하고 또한 잠금용 핀, 리베트등을 위한 홈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삽입부재의 구성부품으로 하고 있다. 버클부를 합성물질로 제작함에 따라 핀을 한 덩어리로 제조하지만 플러그 부재가 변형될 수 있도록 형성시킨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결합함에 있어서, 두개의 부분으로 형성된 소케트를, 소케트에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잠금용 핀과 수용홈을 포함하는 하우징부를 구성부품으로 하고 고정판에 잠금용 핀을위한 구멍을 하나 냈다.
잠금용 핀은 고정판에 리베트로 고정되어 있다. 다른 적절한 방법으로서는 잠금용 핀을 뒷판의 주위에 전체 또는 일부분이 맞물리게 하는 방법이 있으며, 상술한 바와같이 맞물려 있으므로 고정판의 구멍에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고정판의 구멍 근처에 스프링 부재를 배치하여 하우징부와 고정판 사이에서 대응한 편향력을 주었다. 이러한 편향력으로 인하여 측면 변형력은 유용하게 되고 잠금용 핀으로부터 격리된다. 부언하면, 잠금용 핀이 결합되면 고정판과 하우징부가 서로 분리하게 되며 따라서, 일례로 새로운 소케트를 끼울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여러가지 실시예를 설명하기 이전에 명세서와 특허청구의 범위에 관련하여 발명의 요지에 있어서의 중요한 점을 각각 설명한다.
제1도에서는 서로 채워진 형태의 소케트(10)와 플러그 부재(11)가 도시되어 있다. 제2도 및 3도에 단독으로 도시되어 있는 플러그 부재를 삽입부(12)와 조종부(13)를 구성부품으로 하고 있다. 장방형인 조종부(13)에는 후단부를 향해 열려 있는 홈(14)이 형성되어 있으며, 홈(14)은 혁대, 호주머니의 뚜껑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의 단부에 삽입 된다. 혁대는 변형되도록 되어있으며 일체로 형성된 두 개의 보조물인 핀(15, 16)을 구비한 플러그 부재(11)에 연결되어 있다. 핀은 홈(14)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대응한 구멍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작동중에는 선회한다.
평평한 플러그부인 삽입부(12)는 장방형이 형태이나, 조종부인 플러그 부재(11)보다 약간 좁고 두께는 더 두껍다. 플러그 부재(11)는 연장되어 있으나 서로 거리를 두고 격리되어 있으며 조종부(13)로 향해 있는 두 개의 홈(17, 18)을 포함하는데, 상기 두 개의 홈은 서로 가로홈(19)에 연결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텅부(20)는 형성되어 플러그 부재(11)에 대해 자유 전단부 근처에 접속되므로 삽입부(12)의 평면에 배치된 축을 중심으로 선회가능하게 되어 있다. 텅부의 단부부분에는 상승된 작동부(21)가 설치되어 있는데, 작동부의 상부면의 높이는 조종부(13)의 상부면 높이와 비슷하다. 작동부(21)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주름져 있다. 삽입방향을 살펴보면, 계단형태인 상호 결합부(22)가 작동부(21)의 전면인 텅부(2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호 결합부(22)는 작동부(21)를 향하여 윗쪽으로 경사져 있다. 상호 결합부(22)와 작동부(21) 사이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된 홈(23)이 형성되어 있다. 주위에 연장되어 있는 접합점인 견각부(24)는 삽입부(12)와 조종부(13)사이의 통로에 형성되어 있다.
제3도를 참조하면 별개의 반사체(25)가 작동부(21)의 통로에 삽입되어 있다.
비교적 평평한 하우징부(12A)의 후단부에는 도입 통로(26)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로를 통하여 수용홈(27)이 하우징부(12A)내의 통로로 되어 있다. 수용홈(27)의 상부 내면에 형성된 홈인 언더커트(28)는 단면이 쐐기형태로서 하향인 돌출부(29)의 밑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부(12A)의 상부벽(30)내에 형성된 작동홈(31)은 도입 통로(26)를 향하여 열려 있다. 하우징부(12A)의 하부벽(32)내에는 홈(33)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부(12A)의 하부면에 일체로 형성된 4개의 핀(34)은 소케트(10)에 배치된 혁대를 죄기 위하여 프레임의 형태인 고정판(제1도 참조, 35) 에 엇갈리게 형성된 구멍(36)에 삽입되어 있다.
플러그 부재(11)의 삽입부(12)는 넓이 및 높이가 수용홈(27)에 단단히 고정될 정도로 한다. 삽입부(12)가 수용홈(27)내로 삽입됨에 따라 언더커트(22)는 하향으로 선회하는 탄성체 텅부(20)와 함께 돌출부(29)의 하향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미끄럼 운동한다. 두께는 인접부(제3도 참조)보다 두껍지 않기 때문에 텅부(20)는 그러한 선회운동을 할수 있는 위치에 놓인다. 삽입부(12)가 계속 삽입됨에 따라 종국에는 상호 결합부(22)의 후방 모서리는 쐐기형태인 돌출부(29) 뒤에서 치워지면 상호 결합부(22) 언더커트(28)내에 채워진다. 따라서 삽입부재(12)는 소케트(10)에 채워진다. 작동부(21)는 작동홈(제1도 참조, 31)과 결합한다.
버클을 풀고자 할때는 한손으로 조종부(13)를 잡고 엄지손가락으로 작동부(21)를 누르면 된다. 텅부(20)는 선회운동을 하게 되고 상호 결합부(22)가 언더커트(28)와 돌출부(29)로부터 해체되어 플러그 부재(11)는 소케트(10)로부터 탈착된다.
소케트(10)와 삽입부재인 플러그 부재(11)는 합성물질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7도에는 고정판(35')이 도시되어 있고, 제8도에는 그의 하부가 도시되어 있다. 슬리브형 돌출부(40)는 고정판(35')에 일체로 구성되며, 고정핀(34')이 상기 돌출부에 삽입되어 있다. 슬리브형 돌출부(40)의 구멍을 거의 반원형인 플랜지(41)에 의해 상단부가 한정된다. 웨브(42)는 플랜지(41)의 반대편에 연장되어 있으며 고정판(35′)과 슬리브형 돌출부(40)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어 있으며, 웨브(42)의 후단부 사이로 홈(43)이 연장되어 있다. 제7도에서도 알수 있듯이 웨브(42)의 전면에는 고정핀(34')이 톱니(45)와 작용하는 돌출된 회전 멈추개(44)가 설치되어 있다. 첨단부로 형성된 고정핀(34')은 플랜지(41)에 의해 한정되는 구멍의 상부를 관통하여 삽입되어 있으며, 구멍과 핀은 단면형상을 원형으로 하여 위치 결정의 기준점으로 한다. 그러나 각각의 핀은 마찬가지로 원형인 것을 사용한다.
돌출부(40)와 고정판(35')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부수적으로 상향 연장되어 있는 플랜지(43)는 원추형이다. 고정판(35)과 결합됨에 따라 하우징부의 하부면에 대해 위치하도록 한다. 이러한 작동중에 플랜지(45)는 변형력으로 고정핀(34')으로부터 격리된다.
도시된 바와같이 하우징부와 고정판(35')의 결합은 조립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상기 두 개의 부재는 용이하게 분리할 수도 있다.

Claims (13)

  1. 하나의 수용홈을 가지며, 수용홈과 이에 인접한 서로 채워지는 모서리에 연결된 도입 통로가 단부에 형성된 소케트와, 상호 결합부를 개방하기 위하여 수용홈과 상호 결합부에 연결된 작동부로 진입함에 따라 서로 채워지는 모서리의 후면에서 접속되는 탄성체인 상호 결합부를 갖는 플러그 부재로 구성되는 분리식 버클에 있어서, 상호 결합부(22)는 플러그 부재(11)의 삽입방향에서의 작동부(21)의 전면에 배치되고, 작동부(21)는 작동이 방해되지 않도록 소케트(10)에 대응한 상태에서 자유롭게 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소케트(10)는 수용홈(27)의 방향으로 열려 있으며 도입 통로(26)로 연장되어 작동부(21)를 부분적으로 협력하는 작동홈(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버클.
  3. 제2항에 있어서, 플러그 부재(11)는 삽입방향으로 전단부에 선회식으로 연결되는 탄성체 텅부(tongue)(20)가 일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버클.
  4. 제3항에 있어서, 작동부(21)와 플러그 부재(11)는 결합상 소케트(10)의 상부면과 비슷한 높이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버클.
  5. 제4항에 있어서, 상호 결합부(22)는 삽입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서로 채워지는 견각부(24)를 포함하며, 도입부는 상기 서로 채워지는 견각부(24)의 정면에서 경사지게 상승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실 버클.
  6. 제5항에 있어서, 수용홈(27)의 언더커트(28)에 의해 형성된 서로 채워지는 모서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버클.
  7. 제6항에 있어서, 소케트(10)는 하우징의 형태이고, 언더커트(28)는 수용홈(27)의 내벽에서 홈형태로 되어있으며, 상기 언더커트(28)는 계단형인 상호 결합부(22)와 알맞게 조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버클.
  8. 제7항에 있어서, 플러그 부재(11)는 도입통로(26)로 한정되는 소케트(10)의 단부면에 밀착되는 접합점인 견각부(24)를 포함하며, 작동부(21)는 상기 견각부(24)를 넘어 삽입방향에 반대방향인 후단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버클.
  9. 제8항에 있어서, 플러그 부재(11)는 고정용 핀(15, 16)이나 리베트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을 위하여 홈(14)에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포함하며, 플러그 부재(11)의 뒷면에는 벨트의 단부나 호주머니의 덮개 또는그와 유사한 것을 위하여 상기 홈(1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버클.
  10. 제9항에 있어서, 두 개의 부품으로 구성된 소케트(10)는 수용홈(27)과 수용홈(27)에 일체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 핀(34)을 갖는 하우징부(12A)와, 상기 고정용 핀(34)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멍(36)을 갖는 고정판(35)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버클.
  11. 제10항에 있어서 고정용 핀(34')은 고정판(35')의 구멍에 형성된 톱니의 형태인 탄성체 회전 멈추개(44)와 상호 작용하는 축방향으로 연장된 톱니(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버클.
  12. 제11항에 있어서, 구멍은 구멍에 일체로 형성된 톱니형태인 회전 멈추개(44)를 가지고 어느 하나의 단부가 구멍의 벽에 연결된 웨브(42)를 포함하며, 웨브(42)는 홈(43)을 통하여 구멍의 벽으로부터 격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버클.
  13. 제11항 또는 12항에 있어서, 고정판(35')은 하우징부(12A)에 밀착된 상태로서 구멍(36)에 인접한 탄성체인 스프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식 버클.
KR1019840001134A 1984-03-07 1984-03-07 분리식 버클 KR900009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1134A KR900009212B1 (ko) 1984-03-07 1984-03-07 분리식 버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40001134A KR900009212B1 (ko) 1984-03-07 1984-03-07 분리식 버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6669A KR850006669A (ko) 1985-10-16
KR900009212B1 true KR900009212B1 (ko) 1990-12-24

Family

ID=19233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1134A KR900009212B1 (ko) 1984-03-07 1984-03-07 분리식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92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885B1 (ko) * 2006-11-17 2009-09-09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시트 장착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5501B1 (ko) * 2002-11-21 2005-06-14 강판규 장신구줄에 장착되는 연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885B1 (ko) * 2006-11-17 2009-09-09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시트 장착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6669A (ko) 1985-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7149B1 (ko) 버클
US4672725A (en) Snap buckle
US2880264A (en) Fixture assembly
US4398324A (en) Center release buckle
US6052875A (en) Buckle assembly
JP3733311B2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用スライダーの引手
US3120971A (en) Locking device
JPH0112481B2 (ko)
US5928011A (en) Slide lock position assurance and release lever
KR19990063522A (ko) 버클 조립체
US6088888A (en) Separable bottom stop assembly of slide fastener
JPH0591905A (ja) バツクル
EP1179303B1 (en) Push release buckle
GB2067240A (en) Binding strap
US4633549A (en) Releasable buckle particularly for bags, satchels and similar articles
EP1052735B1 (en) Side release buckle
KR900009212B1 (ko) 분리식 버클
US5586370A (en) Separable bottom stop assembly for slide fastener
JP3463850B2 (ja) バックル
KR890000077Y1 (ko) 버 클
JP3056347B2 (ja) バックル
GB2263136A (en) Buckle assembly
US8523438B2 (en) Device intended for the closure of bags which includes resources that resist the pulling-off of a slider, and bag that is so equipped
US3928896A (en) Fastener
JPH034952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