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3495Y1 - 버클 - Google Patents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3495Y1
KR860003495Y1 KR2019850006024U KR850006024U KR860003495Y1 KR 860003495 Y1 KR860003495 Y1 KR 860003495Y1 KR 2019850006024 U KR2019850006024 U KR 2019850006024U KR 850006024 U KR850006024 U KR 850006024U KR 860003495 Y1 KR860003495 Y1 KR 8600034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ement
buckle
central base
pair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060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1140U (ko
Inventor
가즈미 가사이
Original Assignee
닛봉 노-손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오치아이 고오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봉 노-손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오치아이 고오이치 filed Critical 닛봉 노-손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11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1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34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34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 A44B11/26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with push-button fastenings with at least one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perpendicularly to the direction of the fastening a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47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 Y10T24/45524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 Y10T24/45529Requiring manual force applied against bias to interlock or diseng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4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 Y10T24/45225Separable-fastener or required component thereof [e.g., projection and cavity to complete interlock] including member having distinct formations and mating member selectively interlocking therewith
    • Y10T24/45471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 Y10T24/45524Projection having movable connection between components thereof or variable configuration including resiliently biased projection component or surface segment
    • Y10T24/45529Requiring manual force applied against bias to interlock or disengage
    • Y10T24/45534Requiring manual force applied against bias to interlock or disengage having connected leading edge and separated trailing arm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버클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버클의 숫부재의 정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숫부재의 저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숫부재의 측면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선 Ⅳ-Ⅳ를 따라 취한 횡단면도.
제 5 도는 숫부재의 부분확대정면도.
제 6 도는 버클의 암부재의 정면도.
제 7 도는 제 6 도의 선 Ⅶ-Ⅶ을 따라 취한 횡단면도.
제 8 도는 제 6 도의 암부재의 측면도.
제 9 도는 부분적으로 단면이 보여지는, 암부재와 숫부재가 서로 결합된 버클의 정면도.
제10도는 결합된 버클의 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숫부재(male member) 12 : 암부재(female member)
13 : 벨트보유바아 20 : 중앙부재
26 : 접속기부 27 : 설편(tongue)
28 : 구부러진 아암 29 : 계합부
31 : 그립(grip) 32 : 결합다리
37 : 계합치(tooth) 42 : 정지포올(stop pawl)
50 : 중공부 51 : 융기
53 : 돌기 56 : 손잡이
A : 슬로트형 부착부 B : 접속부
C : 벨트 D : 슬로트형 부착부
E : 관형부재
본 고안은 의복, 가방 등에 부착되거나 혹은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혁대, 벨트 바지 멜빵 및 유사한 죄는 물건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버클에 관한 것이며, 특히 숫부재와 암부재로 구성된 버클에 관한 것인데, 숫부재는 암부재로부터 숫부재를 방출하기 위한 그립(grip)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버클은 각각 일체로 합성수지로 성형된 별개의 수 및 암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한 버클의 일례가 1980년 2월 9일에 공지된 일본 실용신안 공보 제55-20939호에 나와 있다. 상기 공지돈 버클의 숫부재는 벨트와 같은 것에 부착시키기 위한 슬로트형 부착부와 일체로 되어 있는 중앙기부, 그 중앙기부의 하단부로 부터 슬로트형 부착부까지 뻗어있는 2개의 구부러진 아암 및 그 구부러진 아암으로 부터 슬로트형 부착부까지 비스듬히 뻗어있는 외측면을 가지고 있는 2개의 계합부로 구성되어 있는 접속부를 가지고 있다. 암부재는 숫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관형부를 가지고 있다. 숫부재를 암부재로 부터 분리하려고 할 때, 손으로 계합부를 서로를 향하여 안쪽으로 기울여 관형부의 내측벽 표면과의 계합을 푼다. 숫부재의 계합부는 그 계합부를 기울이기 위한 그립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공지의 버클에서, 계합부는 아암으로 부터 슬로트형 부착부까지 뻗어 있어, 그것들과 중앙기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는데, 의복의 풀어진 실, 장식끈, 혹은 다른 이물질이 그 공간속에 끼워지기가 쉽다. 만일 숫부재가 계합부의 적어도 하나와 중앙기부 사이에 끼워진 이물질로 당겨진다면, 계하부가 끼워진 이물질에 의하여 바깥쪽으로 당겨지고, 결국 부러진다.
외향력이 가해지더라도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계합부를 가진 합성수지의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 본 고안의 목적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분리된 숫부재와 암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합성수지의 버클이 제공된다. 숫부재는 벨트와 같은 것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 및 그립이 바깥쪽으로 뻗어 있는 경사진 외측 표면을 가지고 있는 한쌍의 탄력성있는 계합부를 포함하고 있는 중앙기부로 구성된 접속부를 가지고 있다. 암부재는 중앙기부가 삽입되어질 수 있는 관형부재와 부착부를 포함하고 있다. 관형부재는 계합부의 단부표면과의 계합을 제동하기 위한 손잡이를 가지고 있다. 계합부는 그것의 단부표면에 배치되어 있는 계합치(teeth)를 가지고 있다. 중앙기부는 계합치의 바깥족으로 배치되어 단부표면을 향하여 견부의 단부너머까지 뻗어있는 정지 포올(stop pawl)을 가지고 있다. 숫부재의 계합부들이 서로에 대해 멀어지도록 바깥쪽으로 당겨질때, 계합치가 정지포올과 계합되어 더이상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지함으로써, 파손이나 원하지 않은 손상으로 부터 보호한다.
본 고안의 다른 많은 장점 및 특성들이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들에서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고안의 원리는 제 9 도 및 제10도에서 보여진 버클(10)에서 실시되어질 때 특히 유리한다.
버클(10)은 합성수지로 일체로 성형된 숫부재(11) 및 또한 합성수지로 일체로 성형된 암부재(12)를 가지고 있다. 제 1 도-제 5 도에서 알 수 있듯이, 일반적으로 숫부재(11)는 벨트, 혁대, 바지 멜빵과 같은 것이 부착되는 벨트 보유 바아(13)를 가지고 있는 슬로트형 부착부(A), 및 그 슬로트형 부착부(A)와 일체로 되어 있느 접속부(B)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슬로트형 부착부(A)는 기다란 벨트 압착기(14)와 그 기다란 벨트 압착기(14)의 종방향 단부로부터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뻗어있는 한쌍의 다리(15),(15)로 구성되어 있는 실제로 C-형상의 구조를 하고 있다. 벨트 압착기(14)는 다리(15),(15) 보다 더 얇은 실제로 정사각형 횡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벨트 보유 바아(13)와 대면하고 있는 벨트 베어링 표면(16)을 가지고 있다. 벨트압착기(14)는 또한 양면에 각기 다수의 융기(17)를 가지고 있는데, 그 융기(17)는 벨트 베어링표면(16)의 종방향 연부로부터 벨트 압착기(14)의 실제로 가로의 중앙부를 향하여 다리(15),(15)와 평행하게 뻗어 있다. 융기(17)는 벤트 압착기(14)로 부터 가로로 돌출하여 있는 벨트 압착기(14)의 종방향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 3 도에서 더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다리(15)는 그안에서 종적으로 형성된 슬로트(18)를 가지고 있으며, 슬로트(18)는 서로 정합되도록 위치하고 있다. 벨트 보유 바아(13)는 구멍(18)내에 배치된 종방향 단부(19)를 가지고 있다.
벨트 보유 바아(13)는 벨트 보유 바아(13)의 단부(19)들 사이에서 뻥어있는 중앙부재(20)로 구성되어 있으며, 벨트 보유 바아(13)는 합성수지로 일체로 성형된다. 단부(19)는 슬로트 (18)보다 더 좁고 짧다. 중앙부재(20)는 다리(15)의 내측 표면들 사이의 거리보다 더 작은 길이를 가지고 있어서, 중앙부재(20)의 단부와 다리(15)의 내측표면 사이에 빈틈을 형성한다. 중앙부재(20)는 벨트 압착기(14)에 더 가까운 부분(21)을 포함하고 있으며, 벨트 압착기(14)의 두께와 실제적으로 같은 크기이나 접속부(B)에 더 가까운 중앙부재(20)의 부분(22)의 두께보다 더 큰 두께를 가지고 있는 실제적으로 T-형상의 횡단면을 가지고 있다. 부분(21)의 두께는 슬로트(18)의 폭보다 더 크다. 중앙부재(20)는 부분(22)의 일연부에서 타연부까지 다리(15)와 평행하게 횡적으로 뻗어있는 다수의 리브(23)를 그것의 정면과 배면에 가지고 있는데, 각각의 리브(23)는 실제적으로 삼각형의 횡단면을 가지고 있다. 리브(23)는 중앙부재(20)의 대향의 종방향 단부에 및 중앙부재(20)의 종방향 단부들 사이의 서로 떨어진 장소에 위치하고 있다.
제 4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C)와 단부(C')를 벨트 보유 바아(13)의 주위에 배치하고 벨트 압착기(14)에 의하여 보지되도록 함으로써 벨트(C)가 숫부재에 부착되어 있는데, 제 4 도에서 이점쇄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렇게 부착된 벨트(C)가 숫부재(11)에 대해 당겨지면, 벨트 보유 바아(13)가 벨트 압착기(14)를 향하여 배치되어 벨트단부(C')를 벨트 베어링 표면(16)에 대해 압착시킨다.
접속부(B)는 벨트 압착기(14)로부터 멀리 떨어져 다리(15)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접속기부(26) 및 접속기부(26)의 종방향 중앙부로 부터 슬로트형 부착부(A)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뻗어있는 설편(tongue)(27)을 포함하고 있는 실제적으로 T-형상의 중앙기부(25)를 가지고 있다. 접속부(B)는 또한 중앙기부(25)의 측면으로 부터 반대방향으로 측면에서 뻗어있는 한쌍의 구부러진 아암(28),(28) 및 구부러진 아암(28),(28)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구부러진 아암(28),(28)으로 부터 다리(15),(15)를 향하여 비스듬히 뻗어있는 외측표면(30),(30)을 가지고 있는 한쌍의 계합부(29),(29)를 포함하고 있다. 한쌍의 그립(31),(31)이 각각, 더 얇은 연결다리(32),(32)를 통해서 계합부(29),(29)의 외측표면에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중앙기부(25)는 그것의 하단부(제 1 도)에 형성되어 있고 숫부재(11)의 중심축(34)에 대해 대칭적으로 위치한 한쌍의 요홈(33),(33)을 가지고 있다. 중앙기부(25)는 또한 그것의 정면과 배면에 형성되고 요홈(33)에 접근하여 있는 홈(35)을 가지고 있는데, 홈(35)은 중심축(34)과 평행하게 뻗어있다. 설편(27)은 중심기부(25)의 상단부로 부터 하단부까지(제 1 도에 나타나 있음) 중심축(34)과 평행하게 즉, 숫부재(11)가 암부재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뻗어 있다. 설편(27)은 접속기부(26)를 따라 슬로트형 부착부(A)의 다리(15),(15)를 향하여 뻗어 있다. 중앙기부(25)는 요홈(33), 홈(35) 및 설편(27)을 형성하는 돌출된 가장자리 연부(36)를 가지고 있다.
계합부(29)는 그것의 상단부에(제 1 도에 나타나 있음) 계합부(29)의 상부표면(38)으로 부터 슬로트형 부착부(A)를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계합치(37)를 가지고 있는데, 각 계합치(37)는 상부 표면(38)에 직각으로 뻗어있는 외측표면(39)을 가지고 있다. 상부표면(38)은 각각 결합다리(32),(32)의 상부표면(40)과 동일높이에 놓여 있다.
결합기부(26)는 계합치(37)의 바깥쪽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계합치(37)를 마주보게끔 계합부(29)를 향하여 벨어있는 한쌍의 정지 포올(42),(42)을 하부표면에 가지고 있다(제 1 도에 나타나 있음). 각 정지 포올(42)은 해당 계합치(37)의 외측표면(39)에 실제적으로 평행한 내측표면(43)을 가지고 있다.
제 5 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중앙기부(25)는 계합치(37)의 상단부(45)로 부터 거리(L8)만큼 떨어져 있는 하부표면(44)을 가지고 있는데, 그 거리(L8)는 중앙기부(25)의 하부표면(44)과 정지 포올(42)의 하부표면(46) 사이의 거리(L9)보다 더 작다. 계합부(29)가 바깥쪽으로 회전할 때, 계합치(37)는 정지 포올(42)과 접촉함으로써 계합부(29)의 더 이상의 호전운동을 방지한다. 따라서, 정지 포올(42)은 계합치(37)의 상부표면(42) 너머로 아랫쪽으로 뻗어 있다(제 1 도 및 제 5 도에 나타나 있음).
구부러진 아암(28), 계합부(29), 그립(31), 돌출연부(36) 및 계합치(37)는 벨트 보유 바아(13)의 부분(21)의 두께와 똑같은 두께를 가지고 있다. 결합다리(32), 홈부(35), 설편(27) 및 정지 포올(42)은 벨트 보유 바아(13)의 부분(22)의 두께와 똑같은 두께를 가지고 있다.
제 6 도-제 8 도는 암부재(12)를 보여주는데, 암부재(12)는 벨트와 같은 것이 부착되는 슬로트형 부착부(D) 및 그것과 일체로 되어 있는 관형부재(E)로 구성되어 있다. 관형부재(E)는 중앙기부(25), 구부러진 아암(28) 및 계합부(29)가 취부되어질 중공부(50)로 구성되어 있다. 숫부재(11)의 접속부(13)가 중공부(50)로 삽입될 때 숫부재(11)의 중심축(34)과 평행한 설편(11)과의 계합을 위한 두쌍의 융기(51)가 중공부(50)의 대면에 내측표면에 놓여져 있다. 또한 중공부(50)는 숫부재(11)의 중앙기부(25)의 요홈(33) 속으로의 삽입을 위해 중공부(50)의 내측표면과 일체로 되어 있는 서로 떨어져 있는 두개의 벽(52) 및 중앙기부(25)의 홈(35)에로의 계합을 위해 중공부(50)의 내측표면과 일체로 되어있는 2쌍의 돌기(53)를 가지고 있다.
관형부재(E)는 측벽(55)에 의해 형성되고 위로 개방되어 있는 요홈(54)을 가지고 있다(제 7 도에 나타나 있음). 측벽(55)은 그것의 상부에 요홈(54)속으로 돌출한 대향의 손잡이(56)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요홈(54)은 손잡이(56)에 의해 형성된 개구(57)를 가진다. 손잡이(56)는 숫부재(11)의 계합부(29)의 상부표면(38)과의 계합을 위한 하부표면(58) 및 숫부재(11)의 계합치(37)의 외측표면(39)과의 계합을 위한 내측표면(59)을 가지고 있다.
손잡이(56)의 대면의 표면들은 개구(57)의 폭과 같고, 숫부재(11)의 계합부(29)의 두께(L1) 보다 더 적으며, 결합다리(32)와 정지포올(42)의 두께(L2)보다 더 큰 거리(D1) 만큼 서로로 부터 떨어져 있다. 중공부(50)의 측벽(55)은 중공부(50)의 폭과 같고, 숫부재(11)의 계합부(29)의 상부외측 단부들 사이의 거리(L3) 보다 더 작으며, 계합부(29)의 하부외측 단부들 사이의 거리(L4)보다 더 큰 거리(D2)만큼 서로로부터 떨어져 있다. 융기(51)의 외측표면들은 설편(27)을 형성하는 돌출연부(36)의 내측표면들 사이의 거리(L6)와 실제적으로 같거나 약간 더 작은 거리(D4)만큼 서로로 부터 떨어져 있다. 벽(52)과 융기(53)의 외측 표면들은 요홈(33)을 형성하는 외측 돌출연부(36)의 내측표면들 사이의 거리(L7)와 실제적으로 같거나 약간 더 작은 거의(D5) 만큼 서로로 부터 떨어져 있다.
숫부재(11)가 암부재(12)속으로 삽입될 때, 거리(D2)가 거리(L3) 보다 더 작기 때문에 손잡이(56)의 내측표면(59)은 먼저 계합부(29)의 경사진 외측표면(30)과 접촉하게 된다. 다음에, 계합부(29)가 구부러진 아암(28) 부근에서 중앙기부(25)로 향하여 탄력성 있게 압축되며, 한편 결합다리(32)는 손잡이(56)의 사이나 요홈(54)의 개구(57)를 통하여 통과한다. 손잡이(56)의 하부표면이 계합부(29)의 상부표면(30)의 윗쪽으로 위치할 때, 제 9 도 및 제10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손잡이(56)의 내부표면(59)은 계합부(29)의 외측경사표면(30)과의 계합이 풀려지는데, 이때 계합부(29)는 구부러진 아암(28)의 탄성력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온다.
폭(D2)이 거리(L3) 보다 더 작기 때문에, 계합부(29)의 상부표면(38)은 손잡이(56)의 하부표면(58)과 잠금 계합된 상태로 보지된다. 따라서, 숫부재(11) 및 암부재(12)는 제 9 도 및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잠궈진다.
계합부(29)의 외측표면(38)은 구부러진 아암(29)의 바깥쪽으로 위치한다. 숫부재(11) 및 암부재(12)가 계합부(29)를 바깥쪽으로 기울게하는 미는 힘을 받을 때, 계합치(37)의 외측표면(39)이 손잡이(46)의 내측표면(59)에 보지되어 계합부(29)의 더 이상의 외향운동을 방지한다. 계합치(37)가 없다면, 계합부(29)는 그것의 상단부가 요홈(54)으로 부터 돌출할 때까지 바깥쪽으로 기울어져, 결국은 구부러진 아암(28)의 부근에서 파손된다.
숫부재(11) 및 암부재(12)가 서로 잠금 계합된 상태로 보지되어 있는 동안, 설편(27)을 따라놓여 있는 돌출연부(36)의 내측표면은 융기(51)의 외측표면에 보지되며, 요홈(33)의 바깥쪽으로 있는 돌출연부(36)의 내측표면은 벽(52)과 돌기(53)의 외측표면에 보지된다. 따라서, 숫부재(11) 및 암부재(12)는 서로에 대한 요동 운동없이 견고히 결합된다.
암부재(12)로 부터 숫부재(11)를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계합부(29)가 중앙기부(25)로 압축될 때까지 암부재(12)의 측벽(55)으로 부터 돌출하여 있는 그립(31)을 탄력성 있게 누른다. 다음, 계합부(29)의 상부표면(38)이 손잡이(56)의 하부표면(58)과의 계합이 풀어지게 측면으로 이동한다. 결합다리(32)가 개구(57)와 정렬된 위치에 있으므로, 숫부재(11)를 암부재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밀음으로써 숫부재(11)는 암부재(12)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숫부재(11)가 암부재(12)로 부터 분리되는 동안 가해진 부당한 힘에 의하여 계합부(29)가 바깥쪽으로 이동할 때, 계합치(37)가 정지포올(42)과 계합하여 계합부(29)가 더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Claims (10)

  1. (a) 죄는 기구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A) 및 상기부착부(A)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접속부(B)로 구성되어 있는 합성수지의 숫부재(11)로서, 상기 접속부는 (i) 상기 접속부(A)와 인접하여 있는 중앙기부(25); (ii) 상기 중앙기부(25)의 일단부로 부터 상기 부착부(A)를 향하여 뻗어있는 한쌍의 구부러진 아암(28),(28); (iii) 상기 구부러진 아암(28),(28)과 일체로 되어 있으며, 계합부(29),(29)를 향하여 뻗어있는 외측 경사표면(30),(30)을 가지고 있는 한쌍의 탄력성 있는 계합부(29),(29); 및 ,(iv) 상기 계합부(29),(29)와 결합되어 있으며, 서로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뻗어있는 한쌍의 그립(31),(31)으로 구성되어 있는 합성수지의 숫부재(11); (b) 죄는 기구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D), 및 상기 부착부(D)와 일체로 되어 있는 관형부재(E)로 구성되어 있는 합성수지의 암부재(12)로서, 상기 관형부재(E)는 상기 접속부(B)의 삽입을 위한 중공부(50)와 상기 계합부(29),(29)의 각각의 단부표면(38),(38)과의 잠금 계합을 하기 위한 손잡이(56)를 가지고 있는 합성수지의 함부재(12) ; 및 (C) 상기 단부표면(38),(38)에 각각 배치된 계합치(37),(37)를 가지고 있는 상기 계합부(29),(29), 상기 계합치(37),(37)의 바깥쪽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계합치(37),(37) 너머로 상기 단부표면(38),(38)을 향하여 뻗어 있는 정지포올(42),(42)을 가지고 있는 상기 중앙기부(25)로 구성되어 있는 버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기부(25)가 상기 부착부(A)와 결합되어 있는 기다란 접속기부(26) 및 상기 접속기부(26)의 중앙부로 부터 뻗어 있는 설편(27)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정지포올(42),(42)이 상기 접속기부(26)에 장착되어 있는 버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치(37),(37)가 상기 정지포올(42),(42)과 대면의 관계에 놓여있는 계합을 위한 외측표면(39),(39)을 각각 가지고 있는 버클.
  4. 제 3 장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56),(56)가, 상기 중앙기부(25)가 상기 중공부(50)속으로 삽입되어 있을때 상기계합치(37),(37)의 상기 외측표면(39),(39)과의 잠금 계합을 하기 위한 내측내면(59),(59)을 각각 가지고 있는 버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50)가 한쌍의 대면의 측벽(55),(55)속에 각각 형성된 요홈(54),(54)을 가지고 있는 상기 한쌍의 대면의 측벽(55),(55)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손잡이(56),(56)가 각각의 상기 요홈(54),(54) 속으로 서로를 향하여 돌출해 있으면서 그것들 사이에서 개구(57),(57)를 형성하는 버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기부(25)가 그립(31),(31)을 상기 계합부(29),(29)에 각각 결합시키는 결합다리(32),(32)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중앙기부(25)가 상기 중공부(50)속으로 삽입될 때 상기 결합다리(32),(32)가 상기 개구(57),(57)를 통하여 움직일 수 있는 버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부(50)가, 상기 중앙기부(25)가 상기 중공부(50)속으로 삽입될 때 상기 설편(27)과 계합을 위한 제 1 융기(51),(51)를 포함하고 있는 버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기부(25)가 돌출연부(36)들 사이에서 상기 설편(27)을 한정하는 상기 돌출연부(36)들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 1 융기(51),(51)가 상기 돌출연부(36)들과 견고하게 계합할 수 있는 버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기부(25)가 서로 떨어져 있는 한쌍의 요홈(33),(33)과 상기 요홈(33),(33)에 인접하여 있는 홈(35),(35)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중공부(50)가 한쌍의 서로 떨어져 있는 벽(52),(52)과 제 2 융기(53)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중앙기부(25)가 상기 중공부(50)속으로 삽입될 때, 상기 벽(52),(52)과 상기 제 2 융기(53)가 각각 상기 요홈(33),(33)과 상기 홈(53),(53)내에 위치할 수 있는 버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기부(25)가 상기 요홈(33),(33)과 상기 홈(35),(35)을 한정하는 돌출연부(36)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중공부(50)의 상기 벽(52),(52)과 상기 제 2 융기(53)가 상기 돌출연부(36)와 견고하게 계합할 수 있는 버클.
KR2019850006024U 1984-07-27 1985-05-22 버클 KR86000349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4676 1984-07-27
JP1984114676U JPS6129604U (ja) 1984-07-27 1984-07-27 バツク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140U KR860001140U (ko) 1986-02-26
KR860003495Y1 true KR860003495Y1 (ko) 1986-12-11

Family

ID=14643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06024U KR860003495Y1 (ko) 1984-07-27 1985-05-22 버클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4631787A (ko)
EP (1) EP0169342B1 (ko)
JP (1) JPS6129604U (ko)
KR (1) KR860003495Y1 (ko)
AU (1) AU559291B2 (ko)
BR (1) BR8503402A (ko)
CA (1) CA1277481C (ko)
DE (1) DE3573061D1 (ko)
ES (1) ES287972Y (ko)
GB (1) GB2162238B (ko)
HK (1) HK41389A (ko)
SG (1) SG17989G (ko)
ZA (1) ZA8534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2280A (en) * 1985-04-26 1987-12-15 Gerhard Fildan Strap fastener
AU558589B2 (en) * 1985-06-06 1987-02-05 Ykk Corporation Buckle
JPH046569Y2 (ko) * 1986-05-15 1992-02-24
JPH0540733Y2 (ko) * 1987-09-30 1993-10-15
US4912950A (en) * 1988-10-03 1990-04-03 Illinois Tool Works, Inc. Lockable buckle
US4900070A (en) * 1989-02-21 1990-02-13 Stanley Aviation Corporation Conduit coupling device with redundancy features
US4881760A (en) * 1988-11-07 1989-11-21 Stanley Aviation Corporation Conduit coupling device with redundancy features
US5620210A (en) * 1995-10-24 1997-04-15 Stanley Aviation Corporation Fluid conduit coupling
US6698966B2 (en) 1996-10-18 2004-03-02 Ninaclip, Plc Fastenings
CA2267087A1 (en) * 1996-10-18 1998-04-30 Caldwell Investments Plc Improvements in fastenings
US5791026A (en) * 1997-05-30 1998-08-11 National Molding Corporation Side-release buckle having retaining straps
US6189348B1 (en) * 2000-02-04 2001-02-20 Chien-Yung Huang Retightenable and resettable strap lock
JP4148836B2 (ja) * 2002-09-20 2008-09-10 Ykk株式会社 バックル
US6883836B2 (en) 2003-01-17 2005-04-26 Stanley Aviation Corporation Positive locking fitting assembly
DE102019207743A1 (de) * 2019-05-27 2020-12-03 B-S-A Gesellschaft für Kunststoffverarbeitung und -handel mbH Verschlusssystem
CN112401414B (zh) * 2019-08-20 2022-11-11 Ykk株式会社 具有线调整部的带扣
US11533969B2 (en) * 2020-06-18 2022-12-27 Illinois Tool Works Inc. Side release buckle
USD1002432S1 (en) 2021-05-26 2023-10-24 Illinois Tool Works Inc. Buckle
US11786015B2 (en) 2021-09-28 2023-10-17 Illinois Tool Works Inc. Safety release buckl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26055A (en) * 1919-12-23 Samuel hiksch
GB145340A (en) * 1919-11-14 1920-07-02 George William Harrison Improvements in bracelet fastenings
US1477597A (en) * 1923-01-30 1923-12-18 George H Schneider Universal clasp
US1737246A (en) * 1928-08-25 1929-11-26 Rosenheim Co Inc Clasp
FR860867A (fr) * 1938-10-17 1941-01-25 Fermoir de sûreté pour colliers, bracelets ou analogues
FR2226129A1 (en) * 1973-04-19 1974-11-15 Beyl Jean Joseph Alfred Fastener for ends of straps, belts etc. - has spring locking arms in form of V controlled by external finger press
US4150464A (en) * 1977-08-10 1979-04-24 Illinois Tool Works Inc. Buckle
JPS5520939A (en) * 1978-07-31 1980-02-14 Hiroshi Morita Automatic pressure regulating valve
FR2451175A1 (fr) * 1979-03-13 1980-10-10 Sappey Dauphinoise Boucle pour l'assemblage de deux extremites de sangles
US4398324A (en) * 1981-03-16 1983-08-16 Illinois Tool Works Inc. Center release buckle
GB2117038B (en) * 1982-03-23 1985-09-04 Nippon Notion Kogyo Buckle
EP0172585A3 (en) * 1982-05-28 1987-04-01 American Cord & Webbing Co., Inc. Buckle
JPS5931908U (ja) * 1982-08-24 1984-02-28 モリト株式会社 バツクル
JPS59177312U (ja) * 1983-05-13 1984-11-27 日本ノ−シヨン工業株式会社 バツク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8513597D0 (en) 1985-07-03
GB2162238A (en) 1986-01-29
ES287972Y (es) 1986-07-16
EP0169342A2 (en) 1986-01-29
GB2162238B (en) 1987-10-28
ZA853433B (en) 1985-12-24
SG17989G (en) 1989-07-07
EP0169342A3 (en) 1986-12-03
DE3573061D1 (en) 1989-10-26
BR8503402A (pt) 1986-04-08
US4631787A (en) 1986-12-30
AU4470085A (en) 1986-01-30
KR860001140U (ko) 1986-02-26
JPS6129604U (ja) 1986-02-22
HK41389A (en) 1989-05-26
AU559291B2 (en) 1987-03-05
ES287972U (es) 1985-12-16
JPH0126251Y2 (ko) 1989-08-07
EP0169342B1 (en) 1989-09-20
CA1277481C (en) 1990-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3495Y1 (ko) 버클
US4672725A (en) Snap buckle
KR950003345Y1 (ko) 버클 조립체
US4577377A (en) Buckle for straps
US6000109A (en) Buckle assembly
US5465472A (en) Buckle
US4639982A (en) Releasable buckle
CA2099804C (en) Buckle having increased holding power when under load
US5440792A (en) Buckle having resilient locking arm with coacting retaining lug
KR890002060Y1 (ko) 버클 조립체
KR920008735Y1 (ko) 버 클
JPS6324361B2 (ko)
KR920002008Y1 (ko) 버 클
KR890000077Y1 (ko) 버 클
GB2263136A (en) Buckle assembly
KR920003985Y1 (ko) 플라스틱제 버클
US4888858A (en) Buckle assembly
KR950003346Y1 (ko) 버클 조립체
JPH0731702Y2 (ja) カバン類の中枠
CA1316331C (en) Buckle
JPH0731703Y2 (ja) カバン類の中枠
GB2332703A (en) Plug and socket buckle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1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