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921B1 - 걸쇠형 절환기(A Latchable Switch) - Google Patents
걸쇠형 절환기(A Latchable Switc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00008921B1 KR900008921B1 KR1019870011209A KR870011209A KR900008921B1 KR 900008921 B1 KR900008921 B1 KR 900008921B1 KR 1019870011209 A KR1019870011209 A KR 1019870011209A KR 870011209 A KR870011209 A KR 870011209A KR 900008921 B1 KR900008921 B1 KR 9000089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sher
- finger
- support surface
- spring
- chang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 H01H13/56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making use of a heart shaped cam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걸쇠형 절환기의 주축방향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절환기의 뒷부분을 나타내는 우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절환기의 좌측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절환기의 우측단면도.
제5도는 제1도의 절환기의 접촉평판의 정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접촉평판의 단면도.
제7도는 제1도의 절환기의 걸쇠수단의 확대상면도.
제8도는 제7도의 걸쇠 수단의 작동순서의 도해도.
제9도는 그 작동순서를 도시하는 제7의 걸쇠수단의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몸체 2 : 축
9 : 푸셔 12 : 포올
13, 14, 15 : 블레이드 16 : 접촉평판
17, 18 : 스프링 19, 20 : 안내장치
21, 23, 57, 58, 59 : 경사면
27, 28, 29, 31, 32, 33, 63 : 지지면
24, 25, 26, 22 : 모서리 34 : 스프링
43 : 핑거 46 : 임프린트
48, 48a, 49, 49a : 볼록부 47 : 선회축
53, 54 : 오목부 44 : 슬릿
41, 42 : 하우징
본 발명은 전기 및 전자장치 또는 기기제어시스템에 많이 응용되는 걸쇠형 절환기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장치에 있어서, 단순히 손으로 눌러 작동될 수 있고 흔히 공간이 제한되는 장소에 쉽게 설치 및 연결될 수 있는 절환기를 종종 요구한다.
본 발명의 절환기는 이러한 요구에 적합하며 또한 그것을 형성하는 소수 부분품을 가지고 간단히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비용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요구에 따라 사용자 자신에 의해 걸쇠기능을 쉽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절환기를 사용하는데 대단히 편리하다.
대기 편리하게 블레이드를 조합하거나 접촉수단을 섭동하는 걸쇠형 절환기 및 다수의 가동부로 형성된 복잡한 걸쇠수단에 대한 많은 해결책이 이미 개시되어 있다.
본 장치는 부분품을 생산할 경우 허용오차가 적어야 하고 조립이 복잡하기 때문에 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복잡하게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수명이 매우 짧다.
본 발명은 절환체에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셔타입의 걸쇠형 절환기를 제공한다 : - 접촉평판이 선회축의 각 측면에 위치한 두 개의 스토퍼중 한 스토퍼에 교대로 정지하며, 도전체로 되어 있으며, 절환기의 연결다자중 한 단자에 연결되는 한 개 이상의 피보트와, 도전체로 되어 있으며, 절환기의 다른 연결단자에 연결되는 한 개이상의 다른 피보트등의 주위를 선회할 수 있는 접촉평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탄성도와 길이가 다른 2개이상의 스프링압력이 서로 다르게 선회하는 위치에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이 절환기의 푸셔에 의해 압축하면서 선회하는 접촉수단과, - 포올은 조립시에 절환기내에서 푸셔를 잠그는 역할을 하며, 상기 포올과 스토퍼는 몸체내에 형성된 구경내에서 움직이며, 상기 포올은 상기 구경의 한쪽단부에 대향인접하여 한 방향으로 행정은 제한하여 형성하며, 몸체와 스토퍼를 조립하는 동안 푸셔를 일정한 위치까지 삽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포올을 배향된 경사면으로 형성한 치와 행정을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로 구성되어 있고 푸셔와 함께 조립되어 있는 포에 연결한 스토퍼로 구성하여 푸셔의 행정을 제한하는 수단과, - 철사를 알맞은 형태로 가공하여 스프링을 구성하고, 절환기의 몸체에 고정되는 한족단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스프링이 푸셔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스프링의 다른쪽 단부는 벤딩되어 서로 작동하는 지지면과 경사판이 형성된 위치에 있는 푸셔의 일부분에 지지되어 핑거를 형성하며, 푸셔를 작동시킴에 따라서 상기 핑거를 작동시키는 볼록부를 5개의 지지면에 의해서 형성하며, 상기 볼록부는 푸셔의 운동 방향에 평행인 두 개의 제1지지면에 의하여 두축위에 형성되고, 제3지지면은 상기 두 개의 제1지지면에 연결되어 두지지면중에서 한지지면과 예각을 이루며, 푸셔가 정지시 핑거와 대면하는 볼록부의 제3측면을 형성하고, 두 개의 다른 지지면은 선단이 볼록부의 내부로 돌아서 U자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볼록부에는 제4측면을 형성하고, 제6지지면은 V자형상 지지면중 한 지지면과 함께 두 개의 제1지지면의 가장 짧은 접합점 C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V형상의 지지면에 수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면보다 낮으며 V자형상을 가지는 일종의 중공을 형성하고, 제7지지면은 제6지지면에 수직이며 제2평행지지면과 V자형상을 가지는 제2지지면의 접합점으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보다 낮은 영역을 형성하는 걸쇠수단.
한 실시예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하 설명될 것이다.
제1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걸쇠형 절환기는 : - 어깨(5)를 중간에 두고 앞면(4)에 대향하여 위치하고 있는 일부분(3)과, 접촉수단 및 걸쇠수단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대향부(8)와, 중공체(1)의 외부에 있는 나사산나사(7)에 조립되는 너트로 상기 앞면(4)을 고정하기 위한 구성수단 또는 기타수단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축(2)의 주위를 회전하는 중공체(1)와, - 한쪽에서는 절환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지지면으로서 역할을 하는 칼라(10)에 의해 상기 몸체(1)의 지지면(65)내에서 병진으로 안내되는 동안 몸체(1) 안쪽에서 섭동하면서 축(2)의 둘레를 회전하고, 칼라(10)에 대향한 다른쪽에서는 푸셔의 일부분(11)에 의하여 동일 몸체의 지지면(64)내에서 상기 푸셔의 회전을 방지하며 그 행정을 제한하기 위하여 특히 내부에는 두 개의 안내장치(19), (20)가 있으며 접촉수단들이 기능을 발휘하도록 제공되며, 외부에는 몸체(1)내에서 푸셔(9)를 잠그기위한 포올(12)과 걸쇠수단들이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중공구를 가진 푸셔(9)와, - 단부의 한쪽에는 블레이드를 고정 및 절연시키기 위하여 몸체(1)에 형성된 하우징내에 위치하며 외부회로에 연결하기 위한 수단을 가진 도체로 되어 있으며, 단부의 반대쪽에는 절환기능을 응용한 형태를 가지는 세 개의 블레이드(13), (14) 및 (15)와, - 선회 및 안내수단을 가지는 완전원형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도체로 만든 접촉평판(16)과, - 안내장치(19), (20)에 의하여 푸셔내부로 안내되고, 접촉평판(16)을 누르며 상기 평판을 선회하도록 하는 탄성과 길이가 다른 두용수철(17), (18)과, - 정지위치에서 상기 푸셔를 유지시키기 위한 푸셔(9)의 칼라(10)와 몸체(1)사이에 위치한 스프링(60)과, - 몸체(1)에 형성된 하우징에 알맞게 구부러져 고정된 철사형태로서 걸쇠수단의 제2부분을 형성하는 스프링(34)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도는 120의 간격으로 외부연결을 하도록 역할을 하는 단부들이 몸체(1)의 부분(8)에 형성된 간막이(35), (36) 및 (37)내에 위치된 세 개의 블레이드(13), (14) 및 (15)의 배치를 나타낸 우측면도이다.
스프링(34)은 (35) 및 (36)과 같은 두 간만이들의 영역을 구분하는 몸체(1)의 부분(8)내에 형성된 구멍(38)에 맞추어진다.
푸셔(9)와 접촉 평판(16)을 제거한 절환기의 단면도인 제3도는 접촉수단을 형성하는 몸체(1)의 부분(8)의 안쪽의 배치를 나타낸다. 이들은 : - 푸셔(9)용 안내장치로서 역할을 하는 원통형 지지면(64)과, - 접촉평판(16)을 위한 피보드로서 역할을 하도록 블레이드(13)의 단부를 알맞게 뾰족하게 하며, 정지 및 작동위치에서 각각 접촉평판용 지지체로서 교대로 역할을 하도록 나머지 두 개의 블레이드(14), (15)를 알맞게 둥글게하여 단부를 콘택트로 역할을 하는 세 개의 블레이드(13), (14) 및 (15)의 안쪽부분과, - 축이 몸체(1)의 축(2)에 수직이 되며, 대향부(8)의 저면과 함께 조립된 핀(39)과, - 입구가 넓어지며 안내장치가 섭동하는 동안 푸셔(9)의 안내장치(19) 및 (20)을 유지하도록 내경을 알맞게 응용하고, 축(2)에 평행한 원통형인 두 하우징(41) 및 (42) 등으로 구성된다.
제3도는 또한 푸셔(9)의 걸쇄 수단들과 상호협동시키기 위한 슬릿(44)을 통하여 내부몸체(1)을 관통하는 스프링(34)의 핑거(43)를 또한 나타낸다.
제4도는 완성한 푸셔의 우측단면도이다. 그것은 : - 한편에 슬릿(44)과, 다른 편에 포올(12)을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축(2)에 평행한 개구부(45)를 가지는 몸체(1)와, - 가이드(19)와 (20)의 고정되는 저면을 가지며 걸쇠기능을 구비한 스프링(34)과 함께 작동하는 임프린트(46)를 가지고, 상기 임프린트는 캐비티내부에 있는 섹터(50)를 구성한 푸셔의 한부분(11)에 패턴이 형성되어 있는 푸셔(9)와, - 몸체(1)의 개구부(45)의 것보다 폭이 약간 작고 최소한 하나의 경사판(61)과 지지면(62)으로 구성한 푸셔(9)와 함께 형성되어 있는 포올(12)과, - 안내장치의 면이 축(2)에 평행하도록 원통형 구조로 되어 있으며, 핀(39)과 블레이드(13)의 상면을 잇는 선(47)에 수직이고 이들 두 상면으로부터 각각 동일한 거리에 있는 안내장치(19) 및 (20)와, - 안내장치(19)와 (20) 각각에 대하여 고정되는 스프링(17) 및 (18)과 - 두 안내장치(19)와 (20)이 통과하는 단일개구부(52)로 형성되고, 한편의 지지면(48)과, (48a), 다른 한편의 지지면(49) 및 (49a) 각각을 통하여 스프링(17) 및 (18)을 부세하고, 블레이드(13)와 핀(39)의 상면을 위한 오목부 또는 하우징(54) 및 (53)을 구비하는 접촉평판(16)으로 구성된다.
제4도와 관계된, 좌측단면도의 접촉평판을 나타내는 제5도 및 제6도는 접촉평판을 구성하는 다른 볼록부와 오목부의 역할을 알기 쉽게 나타나 있다.
이들 제4도, 제5도 및 제6도에서, 지지면(48), (48a), (49) 및 (49a)는 접촉평판(16)을 프레스가공하여 형성되는 볼록부들이다. 그들은 한편에 볼록부(48) 및 (48a), 다른편에 (49) 및 (49a)의 상면들을 잇는 두 직선들이 개구부(52)의 가장 큰 방향에 수직이며, 접촉평판의 다른면에 형성된 두 오목부에 의해 선회방향에 수직이 되도록 형성된다. 이들 오목부들(53)중 하나는 알맞는 원추형이다.
V자형상의 다른 오목부(54)는 다른 오목부 원불의 꼭지점을 통과하는 방향으로 안쪽모서리를 갖는다.
이들 두 오목부(53)과 (54)는 블레이드(13) 및 핀(39)의 상면을 부세하게되며 접촉평판(16)을 위한 선회축을 형성하게 된다. 그들은 상기 평판의 위치를 형성하고 그 위에 위치하므로 푸셔(9)내에서 자유롭게 선회할 수 있게 된다.
제7도는 보다 쉽게 이해를 하기 위해 확대된 임프린트(46)를 나타내기 위하여 몸체(1)가 절단한 절환기의 측면도이다.
제7도에 있어서, 용수철(34)은 축(2)에 평행한 홈(55)을 통과하며 슬릿(44)쪽에서 넓혀진 부분(56)안으로 넓어진다. 따라서 상기 용수철은 그 지지체에서 견고히 지지되나, 그 핑거(43)쪽에 탄성적으로 움직이고 그의 정지점은 홈(55)에 의해 형성된다. 임프린트(46)는 지지면(31), (32), (33), (27), (28), (29) 및 (63)과 모서리 (24), (25), (26) 및 (22)에 의해 분리되는 경사판(23), (57), (58), (59) 및 (21)을 포함하며, 그 세부사항은 제7도 및 제9도의 개략도에서 자세하게 나타나며 스프링(34)의 핑거(43)는 걸쇠 기능을 형성하기 위하여 부세되며 그 작동의 순서에 따른 각각의 역할을 보다 잘 설명하고 있다.
지지면들 (31), (32), (27), (63) 및 (29)는 핑거(43)가 푸셔의 움직임의 영향하에 회전할 돌출부(65)를 형성한다. 지지면(32) 및 (29) 서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며 푸셔의 움직임 방향에 평행이다. 푸셔가 정지하고 지지면(29)과 예각을 이룰 때 돌출부(65)를 형성하는 지지면(31)은 핑거(43)와 대면한다. 베어링면(27)과 (63)은 돌출부(65) 안쪽으로 들어간 V자를 형성하며, 돌출부의 제4측면을 정의한다.
지지면(33)은 지지면(32) 및 (27)의 접합점에서 펼쳐지며, 상기 지지면(27)에 수직이며 그 상면모서리(25)는 돌출부(65)보다 낮다.
지지면(28)은 지지면(29)의 접합점에서부터 지지면(63)의 접합점까지 연장되며, 지지면(28)은 상기 지지면(63)에 수직이며, 지지면(28)은 지지면들(33), (37) 및 (63)에 의해 형성된 경사면(58)을 가진 모서리(26)를 형성한다.
따라서 설명된 절환기는 다음 방법으로 접촉 기능을 수행한다.
제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정지시, 푸셔(9)는 용수철(60)과 개구부(45)의 포올(12)에 의해 적소에 지지된다. 블레이드(13) 및 핀(39)을 지지하는 접촉면(16)은, 푸셔(9)의 이 지점에 이미 압착되어, 볼록부(48) 및 (48a)를 통하여 스프링(18)에 의해 작용하는 힘보다 더 크지만 탄력이 없어서 거의 압착되지 않고 볼록부(49) 및 (49A)에 대해 지지되는 선회축(47)에 대한 상기 평판에 토오크를 소비한다.
접촉평판(16)은 블레이드(13)과 (14)를 접촉하게 한다.
푸셔가 안으로 삽입될 때, 접촉평판에 접속되어 있는 용수철(18)에 의해 소비되는 토오크는 용수철(17)에 의해 소비되는 토오크보다 더 빠르게 증가하여 그것을 초과하며, 블레이드(15)에 정지하게되는 상기 평판으로 하여금 선회하게 하며, 블레이드(13)과 (14)사이의 접촉을 차단한 후 블레이드(13)과 (15)를 접촉하게 한다.
푸셔의 행정은 몸체(1)의 개구부(45)의 저면에 포올(12)의 지지면(62)이 접촉되므로서 제한된다.
푸셔가 놓을 때 절환기가 걸쇠시스템으로 형성되지 않을 경우, 모든 것은 초기위치로 되돌아간다.
다음 사항들을 유의하여야 한다.
- 스프링(17)과 (18)용으로 볼록부(48)과 (48a), (49)와 (49a)가 형성되며 마찰을 감소시키는 경첩의 일종으로서 힘의 지지점으로 형성되며 선회 토오크의 값에 대한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 숙련된 기술자가 용이하게 이해하듯이, 상기 볼록부들의 높이는 원하는 선회속도의 함수로서 조절될 수 있다.
걸쇠시스템은 다음 방법으로 작동한다.
제8도는 용수철(34)의 핑거(43)와 임프린트(46)에 의해 각각 예정되는 상대위치를 예시하고 있다.
제9도는 핑거(43)가 임프린트(46)을 지나가는 개략적 경로(51)를 나타내고 있다.
제8도의 연속지점에 있어서, 그의 견고한 결합효과와, 임프린트(46)의 지지면 그리고 상기 임프린트의 경사면에 대한 상기 핑거의 마찰력하에서 핑거(43)는 오른쪽에서 왼쪽 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만 움직이며, 한편 이 임프린트는 푸셔(9)와 함께, 위에서 아래로 그리고 아래에서 위로만 움직인다.
또한 용수철(34)의 초기응력은 핑거(43)가 몸체 (1)안으로 움직이게하여 임프린트의 경사판에 대한 압력하에 그것을 지지하도록 하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정지시, 위치 a에서, 핑거(43)은 경사면(23)을 누르고 중심에 놓인다.
푸셔를 누를 때, 지지면(31)은 핑거(43)와 만나고 핑거를 왼편으로 이동시킨다.
핑거(43)는 경사판(23)위로 섭동되고, 그다음 지지면(32)에 의해 왼쪽에서 유지되어 위치 b가 되며, 모서리(24)를 가로질러 경사면(57)위로 떨어져, 위치 c가 되고, 거기서 핑거는 푸셔(9)의 이동이 끝날때까지 남는다.
푸셔(9)를 놓을 때, 핑거(43)은 핑거를 오른편으로 이동하게 하는 경사면(27)과 만나며, 모서리(25)를 지나서 경사면(58)위로 도달하여 정지되고 지지면(27) 및 (63)에 의해 형성된 V자형상내에 위치 d가 있으므로 작동위치 d에서 푸셔(9)의 움직임을 차단한다.
새로운 압력이 푸셔(9)에 소비될 때, 왼편으로 움직이고 모서리(26)를 가로질러 경사면(59)에 떨어져 위치 e가 되는 핑거(43)를 지지면(23)에서 만난다.
푸셔(9)를 다시 누르면, 지지면(28)은 핑거(43)를 오른쪽으로 밀은 다음, 경사면(21)위로 지지면(29)을 따라서 섭동하여, 위치 f가 되고, 그다음 경사면(23)에 후퇴하여 모서리(22)를 지나서 위치 g가 되어, 푸셔(9)가 그 정지위치에 도달하기 약간전의 상태가 된다.
새로운 작동시, 지지면(31)은 경사면(23)위의 그 위치에 관계없이, 핑거(43)을 왼편으로 이동시킬 것이다.
Claims (4)
- 접촉평판이 선회축의 각측면에 위치한 두 개의 스터퍼중 한스토퍼에 교대로 정지하며, 도전체로 되어 있으며, 절환기의 연결단자중 한 단자에 연결되는 한 개 이상의 피보트와 도전체로 되어 있으며, 절환기의 다른 연결단자에 연결되는 한 개 이상의 다른 피보트등의 주위를 선회할 수 있는 접촉평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탄성도과 길이가 다른 2개이상의 스프링압력이 서로 다르게 선회하는 위치에서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이 절환기의 푸셔에 의해서 압축하면서 선회하는 접촉수단과, 포올은 조립시에 절환기내에서 푸셔를 잡그는 역할을 하며, 상기 포올과 스토퍼는 몸체내에 형성된 구경내에서 움직이며, 상기 포올은 상기 구경의 한쪽단부에 대향인접하여 한방향으로 행정을 제한하도록 형성하며, 몸체와 스토퍼를 조립하는 동안 푸셔를 일정한 위치까지 삽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포올은 배향된 경사면으로 형성한 치와 행정을 제한하기위한 스토퍼로 구성되어 있고 푸셔와 함께 조립되어 있는 포올에 연결한 스토퍼로 구성하여 푸셔의 행정을 제한하는 수단과, 철사를 알맞은 형태로 가공하여 스프링을 구성하고, 절환기의 몸체에 고정되는 한쪽 단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스프링이 푸셔의 이동방향과 평행하고, 상기 스프링의 다른쪽 단부는 벤딩되어 서로 작동하는 지지면과 경사면이 형성된 위치에 있는 푸셔의 일부분에 지지되어 핑거를 형성하며, 푸셔를 작동시킴에 따라서 상기 핑거를 작동시키는 볼록부를 5개의 지지면에 의해서 형성하며, 상기 볼록부는 푸셔의 운동 방향에 평행인 두 개의 제1지지면에 의하여 두축위에 형성되고, 제3지지면은 상기 두 개의 제1지지면에 연결되어 두지지면중에서 한지지면과 예각을 이루며, 푸셔가 정지시 핑거와 대면하는 볼록부의 제3측면을 형성하고, 두 개의 다른 지지면은 선단이 볼록부의 내부로 돌아서 V자형상을 형성하며, 상기 볼록부에는 제4측면을 형성하고, 제6지지면은 V자형상 지지면중 한 지지면과 함께 두 개의 제1지지면의 가장 짧은 접합점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V자형상의 지지면에 수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면보다 낮으며 V자형상을 가지는 일종의 중공을 형성하고, 제7지지면은 제6지지면에 수직이며 제2평행지지면과 V자형상을 가지는 제2지지면의 접합점으로부터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보다 낮은 영역을 형성하는 걸쇠수단등을 절환기 몸체내에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셔타입의 걸쇠형절환기.
- 제1항에 있어서, 두 개의 섭동면(64), (65)과 개구부(45)를 가지는 원통형으로된 중공체(1)와, 지지면(65)내에서 섭동하는 칼라(10)와 지지면(64)내에서 섭동하는 원통형부와 1개이상의 경사면(61)과 1개이상의 지지면을 가지는 포올(12)과 개구부(45)내에 조립한 후에 푸셔(9)의 행정을 제한하며 안내하면서 섭동하는 포올(12)의 조립뭉치등을 가지는 푸셔(9)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쇠형절환기.
- 제1항 또는 제2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접촉수단이 블레이드(13)의 내측단부는 뾰족하게 되어 있으며, 다른 블레이드의 내측단부는 둥글게 되어 있으며, 푸셔가 위치한 몸체(1)의 일부에 대향하는 몸체(1)의 대향부(8)내에 절환기의 축(2)에 평행하게 세 개의 블레이드를 고정시키며, 원주내에서 서로 120。 간격으로 위치하여 몸체(1)의 외측단부에 연결수단을 구비한 두 개이상의 도전성 블레이드(13), (14), (15)와, 몸체(1)의 대향부(8)의 내측바닥에 조립되어 있으며 원추형으로된 윗면이 블레이드(13)의 윗면과 상기 바닥에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여, 축(2)에 평행한 핀(39)과, 두 개의 오목부중, 한 오목부(53)는 원주형으로 되어 있으며, 다른 오목부(54)는 V자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V자형상은 원추형 오목부(53)의 방향으로 향하는 오목부의 모서리는 두쌍의 볼록부(48), (48a), (49), (49a)를 가지는 접촉평판(16)의 중앙에 위치하며 선회하는 선(47)을 형성하며, 각 쌍은 선회하는 축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축(47)의 한편과 다른 편에 각각 하나씩 놓이며, 각쌍의 요소들은 축(47)에 수직으로 형성하는 접촉평판(16)과, 푸셔(9)의 축에 평행하며, 푸셔와 함께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1)의 대향부(8)와 함께 형성한 입구가 넓은 하우징(41), (52)내에서 섭동하는 두 개의 원통형 안내장치(19), (20)와, 안내장치(19), (20)내에 조립되고, 접촉평판(16)을 선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길이와 탄성도가 다른 두 개의 스프링(17), (18)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쇠형절환기.
- 제1항 또는 제2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걸쇠수단이, 핑거(43)를 가지며, 몸체(1)의 대향부(8)내에 형성된 구멍(38)에 끼워 맞춰지며, 상기 몸체(1)의 넓혀진 부분(56)에서 끝나는 축에 평행한 홈에 의해서 적소에 위치하며, 몸체(1)의 슬릿에 삽입하여 조립된 상기 핑거(43)를 임프린트(46)에 부세되는 스프링(34)과, 푸셔(9)의 한부분(11)에 패턴이 형성되어 있으며, 핑거(43)를 편향시키거나 밀어서 원위치하도록 핑거(43)에 연속적으로 작용하는 지지면과 경사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임프린트(46)에 있어서 상기 임프린트가 전면으로부터 보이도록 한상태에서 푸셔가 아래로 작동될 때 지지면(31)에 의해서 왼쪽으로 핑거(43)를 편향시킨후 지지면(32)를 따라 왼쪽에서 핑거(43)를 유지하게 하면서 경사면(23)을 지나게 되고, 푸셔의 행정거리의 끝까지 푸셔를 다눌렀을 때 핑거(43)는 모서리(24)를 지나 경사면(57)까지 도달하게 되고, 푸셔를 놓아서 푸셔가 다시 올라가기 시작할 때 다시 모서리(24)에서 멈추게되어 핑거는 지지면(27)에서 섭동하게 되며, 핑거가 모서리(25)를 지나서 상기 지지면(27)과 지지면(63)이 형성하는 V자형상의 바닥면에 도달하게 되고, 푸셔가 다시 아래로 작동될 때 지지면(33)을 따라서 핑거는 오른쪽으로 편향되는 동안 핑거는 모서리(26)을 지나 지지면(28)의 오른쪽 끝부분보다 더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푸셔를 놓아서 푸셔가 다시 올라가기 시작할 때 핑거는 지지면(29)에서 떨어진 상태로 경사면(21)의 아랫방향으로 내려가서 모서리(22)를 지나 경사면(23)에 도달하므로서 한 주기를 다시 시작할 수 있는 임프린트(46)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쇠형절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FR8707884A FR2616265B1 (fr) | 1987-06-05 | 1987-06-05 | Interrupteur a accrochage |
FR8707884 | 1987-06-0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90007333A KR890007333A (ko) | 1989-06-19 |
KR900008921B1 true KR900008921B1 (ko) | 1990-12-11 |
Family
ID=9351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70011209A KR900008921B1 (ko) | 1987-06-05 | 1987-10-06 | 걸쇠형 절환기(A Latchable Switch)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KR (1) | KR900008921B1 (ko) |
FR (1) | FR2616265B1 (ko) |
GB (1) | GB2206237B (ko) |
HK (1) | HK43093A (ko) |
SG (1) | SG1593G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S2116151B1 (es) * | 1994-05-05 | 1999-03-01 | Fagor S Coop | Mando retraible para un frigorifico. |
CN100549482C (zh) * | 2007-07-26 | 2009-10-14 | 宁波搏盛阀门管件有限公司 | 厨卫设施的开关 |
CN100570189C (zh) * | 2007-07-26 | 2009-12-16 | 宁波搏盛阀门管件有限公司 | 一种分水装置 |
CN104696896B (zh) * | 2013-12-04 | 2019-11-12 | 海洋王(东莞)照明科技有限公司 | 锁扣连接结构及灯具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BE558739A (ko) * | 1956-06-28 | |||
DE1765562B1 (de) * | 1968-02-21 | 1972-01-20 | Rudolf Schadow | Tastschalter |
GB1599179A (en) * | 1977-08-05 | 1981-09-30 | Arrow Hart Europe Ltd | Electric switch |
DE2933983C2 (de) * | 1979-08-22 | 1984-03-22 |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 Taste mit Leuchtanzeige für Tastaturen in Büro- und Fernschreibmaschinen |
FR2478366A1 (fr) * | 1980-03-11 | 1981-09-18 | Telemecanique Electrique | Interrupteur electrique inverseur a bouton-poussoir |
DE8602340U1 (de) * | 1986-01-30 | 1986-04-17 | Standard Elektrik Lorenz Ag, 7000 Stuttgart | Tastenschalter |
-
1987
- 1987-06-05 FR FR8707884A patent/FR2616265B1/fr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7-07-09 GB GB8716187A patent/GB2206237B/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7-10-06 KR KR1019870011209A patent/KR90000892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3
- 1993-01-05 SG SG15/93A patent/SG1593G/en unknown
- 1993-05-06 HK HK430/93A patent/HK43093A/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FR2616265B1 (fr) | 1993-05-14 |
FR2616265A1 (fr) | 1988-12-09 |
HK43093A (en) | 1993-05-14 |
KR890007333A (ko) | 1989-06-19 |
GB2206237A (en) | 1988-12-29 |
GB2206237B (en) | 1991-11-27 |
GB8716187D0 (en) | 1987-08-12 |
SG1593G (en) | 1993-03-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17768B1 (ko) | 분기소켓 리셉터클 차폐용 안전장치 | |
KR970031105A (ko) | 플렉시블 기판용 전기 커넥터 | |
GB2055514A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4816626A (en) | Slide switch | |
KR900008921B1 (ko) | 걸쇠형 절환기(A Latchable Switch) | |
US3604868A (en) | Locking toggle switch | |
US3934104A (en) | Push-button switch | |
US3996433A (en) | Lever switch structure | |
US4087668A (en) | Electrical contact | |
US2946994A (en) | Signal lamp and holder therefor | |
US3435163A (en) | Phone jack having a hollow housing with contact elements interfittingly secured therein | |
US4767896A (en) | Stamped circuitry assembly | |
JPS6032298B2 (ja) | 温度スイツチ | |
US4623763A (en) | Rotary multi-contact switch | |
US2962571A (en) | Electric switch | |
US4659157A (en) | Stamped circuitry assembly | |
US4129764A (en) | Push switch | |
US3487184A (en) | Overtravel mechanism for snap-action switch | |
US4788388A (en) | Snap acting switches | |
KR100549028B1 (ko) | 스위치 장치 | |
US3189719A (en) | Flat contacting piece for switching | |
KR880002309A (ko) | 모터 | |
CA1266873A (en) | Cammed wire snap switch | |
JPH0313988Y2 (ko) | ||
JP3543398B2 (ja) | スイッ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81124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