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913B1 - 고정구를 구비한 너트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고정구를 구비한 너트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913B1
KR900008913B1 KR1019870009536A KR870009536A KR900008913B1 KR 900008913 B1 KR900008913 B1 KR 900008913B1 KR 1019870009536 A KR1019870009536 A KR 1019870009536A KR 870009536 A KR870009536 A KR 870009536A KR 900008913 B1 KR900008913 B1 KR 900008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fastener
plate
piece
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9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4092A (ko
Inventor
오정호
Original Assignee
진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인주 filed Critical 진인주
Priority to KR1019870009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8913B1/ko
Publication of KR890004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0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 F16B39/284Locking by means of elastic deform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3/00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Bolts, Nuts, And Wash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정구를 구비한 너트 부착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단면도로써, 제2a도는 조립상태단면도, 제2b도는 제2a도의 A-A선 단면도, 제2c도는 제2a도의 B-B선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로써, 제3a도는 조립상태단면도, 제3b도는 제3a도의 A-A선 단면도, 제3c도는 제3a도의 B-B선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로써, 제4a도는 조립상태 단면도, 제4b도는 제4a도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로써, 제5a도는 조립상태 단면도, 제5b도는 제5a도의 A-A선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부착부의 실시도로써, 제6a도는 고정구의 사시도, 제6b도는 고정구가 너트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제6c도는 고정구가 너트와 결합된 상태의 측면도.
제7도는 본 발명 부착부의 다른 실시예의 실시도로써, 제7a도는 고정구의 사시도, 제7b도는 고정구가 너트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제7c도는 제7b도의 A-A선 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 부착장치의 실시예시도로써, 제8a도는 조립상태 단면도, 제8b도는 제8a도의 A-A선 단면도, 제8c도는 제8a도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보울트 20 : 너트
22' : 보조판 25' : 구멍
26, 27 : 원주홈 29 : 돌부
60 : 구멍 61 : 판체
70 : 고정구 71 : 몸체
72 : 고정편 73 : 절곡부
80 : 브라인드 리벳트 90 : 스프링 링
본 발명은 판체구멍 양측 또는 일측에서 보울트와 너트로 체결할 때 너트에 부착부위를 갖게하여 보울트의 체결없이 판체에 너트를 부착할 수 있게하는 고정구를 구비한 너트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울트 너트의 체결구성은 각종 기계 기구장치나, 건축, 가구류등 산업분야에 널리 이용되고 있음은 주지하는 사실이다.
그러나 종래의 공지된 보울트 너트의 체결구성은 부착 구조물과 함께 판체구멍을 관통한 보울트에 너트를 체결함으로 이루어지는 것인데, 보울트를 돌려서 빼면 너트가 해체되면서 판체면에서 분리되어 분실하거나 또는 체결하려면 다시 양측에서 조작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는 것이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판체구멍에 미리 암 나사산을 형성하거나 태핑나사를 사용하여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너트를 판체에 용접하여야 하는 것이나, 실제 이와같은 조작을 모든 경우에 다할 수는 없는 것이며, 특히 양측에서 체결하였다가 일측이 은폐되는 경우에는 은폐부위를 다시 원상으로 하여 양측에서 조작하여야 체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처음부터 은폐된 판체에 너트를 부착하는 경우에 판체구멍에 미리 암 나사산을 형성하거나 태핑 나사를 사용해야하고 또는 너트를 용접하여 놓지않는 한 체결도 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일측면에서 체결하는 브라인드 리벳트(Blind Rivet) 경우에는 판체가 강하지 않으면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울트를 다시 풀더라도 너트는 해체되지 않을뿐만 아니라 일측면에서 너트를 보울트없이 체결할 수 있는 너트 부착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또는 본 발명의 일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제2a도는 제1도의 조립상태 단면도이며 제3또는 다른 실시예의 예시도로써, 판체(61)의 구멍(60) 일측에서 보울트(10)와 너트(20) 또는 와셔(30)와 브라인드 리벳트(80)로 체결하는 것에 있어서, 몸체(71)와 고정편(72)으로 구분된 고정구(70)의 몸체(71)를 너트(20), 또는 와샤(30)에 부착하고 고정편(72)를 판체구멍(60)과 너트(20)와 체결되는 보울트 나선부(13) 외측면이나 또는 브라인드 리벳트(80)의 확개면(83) 사이에 있도록 구멍(60)에 삽입하고 외측으로 나온 고정편(72)을 판체(61)면에 절곡 부착하여 절곡부(73)를 형성한 부착부위를 갖게하여 너트(20) 또는 와셔(30)를 부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으로 도면중 부호 100은 체결된 구조물을 나타낸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판체구멍(60)에 고정편(72)을 삽입하고 판체(61) 외측에 나온 일단을 판체구멍(60) 주연부 외측방에 절곡 부착하여 너트(20) 또는 와셔(30)를 부착하는 것이며, 필요시 부착 구조물(100)과 함께 보울트(10) 또는 브라인드 리벳트(80)로 체결하는 것인 바, 이때 너트(20) 또는 와샤(30)에 부착되는 고정구(70)는 몸체(71)의 수개로 부착된 고정편(72)이 판체(61)에 절곡부(73)로 부착되므로 보울트(10)를 풀더라도 너트(20)는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너트(20) 또는 와셔(30)에 부착되는 고정구(70)는 상술한 바와같이 몸체(71) 고정편(72) 절곡부(73)로 구분되며, 몸체(71)는 너트(20)에 절곡부(73)는 판체(61)에 부착되는 것으로 부착방법과 형태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고정구(70)의 절곡부(73)는 부착부위인 것으로, 판체(61)면에 절곡하여 부착되는 절곡부위와 접착하여 부착하는 접착부위로 구분된다.
하부(73)가 절곡부위인 경우에는 판체(61)면에 거의 직각이 되게 절곡하여 부착하는 것인데 이는 절곡상태가 계속 유지되어야만 부착부위로서의 의미가 있는 것이며 절곡조작의 용이성과 부착성의 견고성을 동시에 필요로 하는 것이다.
절곡상태를 지탱할 수 없어 변형될 경우에는 해체되기 마련이며 이를 방지하려면 절곡부(73)를 보다 강한 재질로 하거나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있으나 이는 정도에 따라 절곡조작이 용이치 못하게 되고 부착구조물(100)을 솟아오르게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이와같은 경우에 접착부위를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절곡부위는 오히려 얇게 하고 재질은 보다 유연하게 하되, 부착력의 약화를 보완하는 수단으로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위로 하여 부착하면 조작도 용이하고 부착력도 강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고정편(12)은 가능한한 얇고 장소를 작게 차지하는 것이 좋으며 따라서 줄(선)로 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며, 특히 절곡부(73)가 접착부위인 경우에는 더욱 유연하고 얇은 재질이어서 판체(61)면에 부착하기 용이해야 한다. 고정구(70)의 재질은 활동 판, 인청동 판, 스텐레스 판, 알미늄 판, 합성수지 판등과 줄(선)을 용도에 따라 이러한 것도 사용할 수 있으며, 형태는 몸체(71) 고정편(72) 절곡부(73)를 서로 다르게 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재질 또한 다르게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들면, 몸체(71)는 스텐레스판 또는 줄, 고정편(72)은 강선, 절곡부(73)은 인청동 판으로 된 고정구(70)로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고정구(70)의 몸체(71)는 너트(20) 또는 와셔에 용접이나 접착으로 부착할 수 있으며, 그 이외의 부착방법을 실시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 및 제5도에서와 같이, 너트하면(22) 크기정도의 보조판(22')을 구비하고 이에 너트하면(22)에 돌설된 돌부(29)에 삽입된 구멍(25')을 천공하여, 너트하면(22)과 보조판(22') 사이에 몸체(71)를 넣고 돌부(29)를 구멍(25')에 삽입한 다음 압착하여 몸체(71)를 부착하며 압착부위가 들어가게 구멍(25')에 단턱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3도는 너트하면(22)에 돌부(29)를 돌설하고 몸체(71)를 너트하면(22)에 밀착하고 돌부(29)를 내측으로 휘어지게 몸체(71)를 감싸는 형태로 절곡하여 부착하는 것이며, 이때 몸체(71)와 밀착되는 면에 홈을 형성하면 압축된 면과 너트하면(22)이 평면이 되게되는 것이다. 돌부(29)의 형태는 원통관 또는 몇 개로 된 기둥 형태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제4도는 고정구몸체(71)를 내측으로 절곡되게 하고 돌부(29)를 내측에서 외측으로 몸체(71) 위를 감싸게 압착하여 부착한 것이다.
고정구몸체(71)로 너트(20) 또는 와셔(30)를 감싸게하여 부착하는 방법과 캐슬너트처럼 너트하면(22) 또는 와셔하면에 홈톰을 형성하고 이에 몸체(71)를 부착하는 방법도 있는 것이며, 돌부(29)의 측면에 구멍을 천공하고 이에 고정구(70)의 몸체(71)를 부착하는 방법도 있는 것이다.
또한 너트(20) 또는 와셔(30)를 상하면에 구멍을 천공하여 이에 고정구(70)의 몸체(71)를 부착하는 방법도 있는 것이다.
제6도는 플랜지 너트(20)를 구멍(60)에 들어갈 수 있도록 양측면이 절취된 조각너트(21)로하고 나사부(23) 하측방에 원주홈(26)을 형성하여 이에 고정구(70)를 부착한 것이며, 원주홈(26)에 고정구몸체(71)가 부착된 스프링 링(90)을 삽입하여 몸체(71)를 부착하는 방법도 있는 것이다. 이때 원주홈(26) 일부를 절단하여 홈(28)을 형성하고 이에 중앙부(72)를 삽입케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제7b도와 같이, 너트하면(22)의 돌부(29) 측면에 원주홈(27)을 형성하고, 스프링 링(90)을 삽입하여 부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관과같이 내면이 곡면인 경우에는 너트하면(22)을 곡면으로 하고 고정구(70)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내면이 은폐된 판체(61)에 플랜지 너트와 같이 판체구멍(60)보다 큰 너트(20)를 부착할 경우에는 구멍(60)에 들어갈 수 있게 절단하여 조각 너트(21)로 하고 이에 몸체(71)를 부착하여 고정편(72)에 필요에 따라 유인선(50)을 부착하며 구멍(60)에 삽통한 후, 고정편(72) 또는 유인선(50)을 활용하여 조각너트(21)를 판체(61) 내측면에 밀착케하고, 판체(61) 외측으로 나온 고정편(72)을 판체(61)면에 부착하게 하는 것이다.
고정구(70)는 너트(20)에 각각 별개로하여 부착할 수 있고, 몸체(71)를 하나로 연결하여 부착할 수도 있는 것이다.
고정편(72)은 상하로 2개 이상 절개한 것, 1개소만 절개한 것, 원통으로 된 것이 있으며, 원통 또는 상하로 1개소만 절개된 경우에는 이를 확개키위해 기구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너트(20)에서 나사부(23)를 없애고 직경을 크게하면, 와셔(30)와 같은 형태로 생각할 수 있으며 너트(20)에 부착하는 고정구(70)를 와셔(30)에 같은 방법으로 부착할 수 있는 것이고, 이를 이용한 부착장치도 동일한 발명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고정구(70)의 고정편(72) 길이는 판체(61) 또는 부착구조물(100)의 두께에 따라 달라지며, 특히 절곡부(73)를 접착부위로 할 경우에는 이로 인하여 몸체(71)가 부착된 너트(20) 또는 와셔(30)를 다양하게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판체 또는 부착 구조물의 두께에 상관없이 교체할 수 있는 고정구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를 실시예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6도와 제7도에서와 같이, 너트의 나선부(23) 하측에 형성된 원주홈(26)이나 또는 너트하면(22)의 돌부(29)에 형성된 원주홈(27)에 들어갈 수 잇는 스프링 링(90)에 몸체(71) 고정편(72) 절곡부(73)로 구분된 고정구(70)의 몸체(71)를 부착하고 고정편(72)를 판체구멍(60)에서 너트(20)와 체결되는 보울트 나선부(13) 측면에 있게하며 절곡부(73)는 판체(61)면에 부착되는 부착부위를 형성하여, 몸체(71)로 형성된 스프링 링(90)을 원주홈(26) 또는 돌부(29)의 원주홈(27)에 삽입하여 부착할 수 있게 구성한 고정구인 것이다.
스프링 링(90)을 원주홈(26)에 수축되게 삽입하면 원주홈(26)내에서 다시 확개되어 이탈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며, 돌부(29)의 원주홈(27)이 스프링 링(90) 내측에 있을 경우에는 스프링 링(90)을 확개하여 삽입하는 것이다.
물론, 스프링 링(90)을 너트(20) 또는 와셔(30)에 형성된 홈통에 삽이하고 압축하여 부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스프링 링(90)에 부착되는 고정구(70)에 관하여는 상술한 너트(20)에 부착되는 고정구(70)의 부착방법과 형태의 설명과 동일하다.
제8도는 부착부위를 갖는 너트를 이용한 부착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단면도로, 내면이 은폐된 판체(61)의 구멍(60)에 너트(21)을 부착하는 것에 있어서, 판체구멍(60)보다 큰 너트(20)와 와셔(30)를 들어갈수 있게 절단한 조각 너트(21)와 조각와셔(31)로 하고, 몸체(71) 고정편(72) 절곡부(73)로 구분된 고정구(70)의 몸체(71)를 조각 너트(21)에 부착하고 고정편(72)을 조각 와셔의 내측공(39)에 삽입하며 절곡된 절곡부(73)는 부착부위를 갖게하고 또한 유인선 (50)의 일단(51)을 부착하고, 조각너트(21)와 조각와셔(31)를 구멍(60)에 삽통한 후, 판체(61) 외측에서 유인선의 다른 일단(52)을 활용하여 고정편(72)을 조각 와셔(31)의 내측공(39)과 구멍(60)을 관통케하고 외측으로 나온 일단을 절곡하여 판체(61)면에 부착할 수 있는 절곡부(73)를 구성한 것인데 도면중 부호 100은 부착되는 구조물을 표시한다.
고정편(72)만으로 판체(61) 내측의 조각너트(21)를 조작할 수 있으면 별도의 유인선(50)은 필요치 않으며, 하부(73)와 유인선(50)을 일체로 한 것으로 한다.
조각 와셔(31)의 부착방향을 정할 필요가 없으면 조각 와셔(31)에는 유인선이 필요치 않다.
원통관과 같이 내면이 곡면이면, 조각 너트하면(22)과 조각 와셔하면(32)을 곡면으로 하여 사용할 수 있고, 부착부(70)의 부착방법과 형태 등은 전술한 바와같으며, 부착부위를 절곡부위 또는 접착부위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너트에 의존하는 부착장치로 설명하고 있으나 와셔에 너트의 기능을 갖도록하고 고정구를 부착할 수 있는 등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자진자가 필요에 따라 적절히 변경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밀폐된 패널이나 벽체에 너트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과 또는 밀폐되지 않은 판체가 벽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구(70)를 너트에 부착시키고 고정구와 일체로된 1개 이상의 고정편(72)을 벽체구멍에 관통하여 나오게 하고 이를 외향 절곡시키어 벽체에 밀착되게 부착할 수 있어 너트에 체착된 보울트를 돌려 빼돌리더라도 너트가 이탈하지 않는 이점이 있고, 또한 고정구 원주상에 1개 이상의 고정편(72)를 부착시키어서 너트의 내외측 홈통내에 스프링식으로 끼웠다 뺐다, 함으로 판체의 두께나 구조물의 두께에 따라 임의선정하여 체착시킬 수 있어 다양한 너트를 구비할 필요가 없이 고정구의 고정편(72) 길이를 다르게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판체 일측에서 너트를 부착할 수 있어 판체에 미리 암나사산을 형성하거나 너트를 용접할 필요가 없이 사용할 수가 있으므로 유용한 너트 부착장치이다.

Claims (16)

  1. 판체(61)의 구멍(60) 양측 또는 일측에서 보울트(10)와 너트(20)로 또는 와샤(30)와 브라인드 리벳트(80)로 체결하는 것에 있어서, 몸체(71) 고정편(72) 절곡부(73)로 구분된 고정구(70)의 몸체(71)를 너트(20)에 부착하고 고정편(72)를 판체구멍(60)과 너트(20)와 체결되는 보울트 나선부(13) 외측면 사이에 있도록 고정편(72)을 구멍(60)에 삽입하고 외부로 나온 고정편(72)에는 판체(61)면에 절곡부착되는 부착부를 형성하면서 너트(20)를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부위를 갖는 고정구를 구비한 너트 부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절곡부(73)에 접착제가 도포된 접착부위로 형성한 고정구를 구비한 너트 부착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너트하면(22)을 곡면으로 형성한 고정구를 구비한 너트 부착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너트(20)를 분할된 조각너트(21)로 형성한 고정구를 구비한 너트 부착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너트(20) 상하면에 구멍을 천공하여 이에 고정구몸체(71)를 부착케한 고정구를 구비한 너트 부착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너트하면(22)에 돌부(29)를 돌설하고 고정구몸체(71) 위를 돌부(29)로 압축하여 부착케한 고정구를 구비한 너트 부착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너트하면(22)과 보조판(22') 사이에 고정구몸체(71)를 밀착케한 고정구를 구비한 너트 부착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돌부(29)측면에 원주홈(27)을 형성하고 이에 고정구몸체(71)를 끼워넣어 부착한 고정구를 구비한 너트 부착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돌부(29)의 원주홈(27)에 고정구몸체(71)가 부착된 스프링 링(90)을 끼워 설치하여 부착케한 고정구를 구비한 너트 부착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너트 나선부(23) 내측 하측에 원주홈(26)을 형성하고 이에 고정구몸체(71)가 부착된 스프링 링(90)를 끼워 설치하여 부착케한 고정구를 구비한 너트 부착장치.
  11. 너트의 나선부(23) 내측원 하측에 형성된 원주홈에 들어갈 수 있는 스프링 링(90)과 일체인 고정구의 몸체(71) 외주면에 고정편(72)을 일정간격으로 부착하고, 이의 고정편(2)을 판체 외측면에서 부착부를 형성하여 판체에 밀착시키어 부착하는 고정구.
  12. 제11항에 있어서, 고정구의 부착부가 절곡할 수 있는 절곡부(73)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구.
  13. 내면이 은폐된 판체(61)의 구멍(60)에 너트(20)를 부착하는 것에 있어서, 판체구멍(60)보다 큰 너트(20)와 와셔(30)를 들어갈 수 있게 절단한 조각너트(21)와 조각 와셔(31)로 형성하고, 고정구몸체(71) 고정편(72) 절곡부(73)로 구분된 고정구(70)의 몸체(71)를 조각 너트(21)에 부착하고 고정편(72)을 조각 와셔의 내측공(39)에 삽입하며 절곡부(73)에 부착부위를 구비하고 이에 유인선(50)의 일단(51)을 부착하여, 조각너트(21)와 조각 와셔(31)를 판체 구멍(60)에 각각 끼워넣은 후, 판체(61) 외측에서 유인선의 다른 일단(52)을 잡아당겨 절곡부(73)를 조각와셔의 내측공(39)과 판체구멍(60)을 관통케하고 외측으로 나온 절곡부(73)를 판체(61)면에 부착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너트 부착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절곡부(73)와 유인선(50)을 일체로 형성한 너트 부착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와셔(30)를 분할된 조각와셔(31)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착부위를 갖는 너트 부착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너트(20)가 와셔(30) 형태로 형성된 고정구를 구비한 너트 부착장치.
KR1019870009536A 1987-08-31 1987-08-31 고정구를 구비한 너트 부착장치 KR900008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9536A KR900008913B1 (ko) 1987-08-31 1987-08-31 고정구를 구비한 너트 부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9536A KR900008913B1 (ko) 1987-08-31 1987-08-31 고정구를 구비한 너트 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092A KR890004092A (ko) 1989-04-19
KR900008913B1 true KR900008913B1 (ko) 1990-12-11

Family

ID=19264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9536A KR900008913B1 (ko) 1987-08-31 1987-08-31 고정구를 구비한 너트 부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89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698B1 (ko) * 2023-02-16 2023-09-06 주식회사 우리도어 방화문 설치용 열변형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092A (ko) 1989-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09699B1 (en) Bolt
US3003149A (en) Replacement antenna
KR0141375B1 (ko) 푸쉬-온 식 패스너
US7114901B2 (en) Fastener for use with sheet-shaped member and assembly using the fastener
KR930007570A (ko) 판넬에의 체결 엘레멘트(Fastening Element)의 부착방법
EP0905390A2 (en) Lock nut device
GB2331863A (en) Device for fastening a cable to a board
US5765812A (en) Modular support rail assembly
CA2233965A1 (en) Corrugated tubing fitting
US4647264A (en) Sealing cap tubular rivet head and assembly
US5667328A (en) Attachment member
KR960038153A (ko) 체결 구조체
WO1987005672A1 (en) Fastener for securing panels of composite materials
KR900008913B1 (ko) 고정구를 구비한 너트 부착장치
JPH05346108A (ja) ブラインドピン固定具
JPS6372990A (ja) パイプの横方向接続装置とその方法
CA1298364C (en) Conduit body assembly cover
CA2135727A1 (en) Bland rivet with sheath
GB2363007A (en) Board-mounted cable clamp
JPH0861348A (ja) 締結具及び締結具用キャップ
KR840002609Y1 (ko) 보울트 부착장치
JP2532270Y2 (ja) 配管固定具
EP0700748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nchor member
KR100303854B1 (ko) 파이프 클램프의 베이스 플레이트
JPH09229034A (ja) 固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21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