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549Y1 - 커터 (Cutter) - Google Patents

커터 (Cut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549Y1
KR900008549Y1 KR2019860019703U KR860019703U KR900008549Y1 KR 900008549 Y1 KR900008549 Y1 KR 900008549Y1 KR 2019860019703 U KR2019860019703 U KR 2019860019703U KR 860019703 U KR860019703 U KR 860019703U KR 900008549 Y1 KR900008549 Y1 KR 9000085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blades
casing
blade
cu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97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1818U (ko
Inventor
노리오 사사게
Original Assignee
노리오 사사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리오 사사게 filed Critical 노리오 사사게
Priority to KR20198600197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8549Y1/ko
Publication of KR8800118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18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5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5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 B28D1/2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with cutting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커터(Cutter)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커터의 정면도.
제 2 도는 제 1 도에서 좌측 블레이드(blade)가 제거된 좌측면도.
제 3 도는 제 1 도의 커터의 커터 본체 정면 확대도.
제 4 도는 제 1 도의 커터에 사용되는 다른 커터 본체 정면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블레이드 2 : 전기 모우터(ecectric motor)
3 : 회전축 4 : 커터 본체(cutter body)
6 : 출력축 8 : 아암부재 또는 케이싱
9 : 전달장치(transmission mechanism) 10 : 리프트(lift)
11 : 베이스(base) 12 : 레일
13 : 베어링 14 : 정방형 필터(square pillar)
15 : 래크(rack) 16 : 지지부재 또는 프레임
18 : 항진동 부재(antivibration member) 19 : 감속장치
20 : 상-하 핸들(up-down handle)
본 고안은 토목 및 건축 공사에서 사용되는 커터, 특히 토목 및 건축공사에서 콘크리트, 벽돌, 타일 등을 절단하는 원판형 블레이드를 갖는 커터에 관한 것이다.
토목 및 건축공사에서 흄(Hume)콘크리트 파이프, 콘크리트 2차 신품, 벽돌, 타일, 아스팔트 등을 절단하는 종래의 커터에 있어서, 원주상에 다이아몬드 팁을 갖는 원판형 블레이드는 전기 모우터에 의해 회전된다.
절단 작업의 안전을 제고하기 위해, 원판형 블레이드는 안전 카바로 일부 덮여지고 블레이드는 전기 모우터의 회전축에 직접 고정되거나 전기 모우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감속기구의 횡회전축에 직접 고정된다.
따라서 실제 절단 작업에 있어서, 블레이드용 안전 카바나 블레이드가 고정된 회전축 또는 횡회전축은 블레이드가 콘크리트등을 일정한 깊이까지 절단하는 것을 제한하여 절단 블레이드는 절단히 콘크리트 내로 완전히 들어갈 수 없다.
예컨대 블레이드가 콘크리트 내로 그 직경의 1/3까지만 파묻힐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콘크리트판을 절단할 때 콘크리트판 두께의 3배되는 길이인 직경을 갖는 블레이드를 사용해야 한다.
결국, 블레이드나 커터가 그 직경에 비례하여 파묻힐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커터에 있어서 불필요한 재료비(따라서 제작비를 증가시킴)가 많이 든다. 아울러, 종래의 커터를 사용함으로써 콘크리트의 과도한 절단이 초래되고, 또한 종래의 커터는 운반하기가 불편하다.
이외에도 좁은 작업공간에서 절단 작업이 수행될때 작업 효율을 저하되고 절단작업의 위험도 증가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목적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결점을 해소한 커터 블레이드 직경의 최소한 전장의 깊이로써 절단할수 있는 커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안전하고 경제적인 절단 작업을 보장할 수 있는 커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간단한 커터를 제공함에 있고, 끝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경제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커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에 따라, 프레임, 이 프레임에 장착되고 출력축을 갖는 구동장치,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일단에서 상기 출력축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축, 상기 케이싱내에 장착되어 상기 출력축의 구동력을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기구, 그리고 상기 회전축의 양쪽 최외측 축선단부에 고정 장착된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커터가 제공되고, 이 커터에서 상기 케이싱이 상기 절단장치 사이에 놓여진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한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더 자세히 나타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할 것인바, 유사하거나 일치되는 성분은 각 도면을 통하여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러한 성분들에 대해서는 간결성을 위해 그 구조 및 기능 설명을 생략하기도 했따. 제 1 내지 3 도에서, 토목 및 건축공사에서 사용되는 플로오(floors), 벽, 관 및 도료, 벽돌, 타일등의 콘크리트 2차 산품을 절단하는 원판형(disc-type)블레이드(1)를 갖는 커터가 도시되어 있다.
커터는 전기 모우터(2), 커터 본체(5), 전기 모우터(2)의 구동력을 커터 본체(5)에 전달하는 전단장치(9), 전기 모우터(2)와, 전달장치(9)와 커터 본체(5)의 결합체를 상, 하 왕복 이동시키는 리프트(10), 리프트(10)를 지지하는 슬라이드 가능한 베이스(11), 그리고 이 베이스(11)가 슬라이드하는 레일(12)을 포함한다.
제 1 도 내지 3 도에서 종단면도 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커터본체(5)는 짧은 회전축(3), 직각을 이루는 축(3)에 동축선상으로 고정되고, 그리고 축(3)의 최외단 양측에서 육각 볼트(3)에 의해 서로가 평행하게 고정되어 그 양측외측면과 축(3)의 양끝면(opposite end surfaces)이 각기 실질상 동일 평면에 있게되는, 직경이 동일한 한쌍의 원판형 블레이드(1), 블레이드(1) 직경보다는 훨씬 더 작은 직경을 가지며, 축(3)의 중간부에 동축선상으로 고정되는 스프로켓트(4), 및 이 스프로켓트(4)와 인접한 양쪽에서 아암 부재 또는 케이싱(8)에 장착되어, 두 블레이드(1)사이에서 축(3)을 수용하는 한쌍의 베어링(13)을 포함한다. 동일직경, 두께 등을 갖는 블레이드(1)는 그 원주상에 다이아몬드 팁(1a)이 마련되고, 간격 d를 가지고, 양 블레이드 내부면이 실질상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리프트(10)는 베이스(11)에 입설되어 있는 정방형 필터(14), 이 필터의 종방향 외부면을 따라 필터(14)에 고정된 래크(15), 필터(14)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모우터(2), 전달장치(9) 및 커터 본체(5)의 결합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또는 프레임(16), 그리고 브라켓트(17)를 통해 지지부재(16)에 연결되는 항진동 부재(18)를 포함한다.
실제로, 전기 모우터(2), 전달장치(9), 감속장치(19) 그리고 커터본체(5)는 지지부재 또는 프레임(16)에 의재 지지된다. 정방형 실린더 형태인 지지부재(16)에는 필터(14)의 래크(15)와 맞물리는 피니언(도시않음)이 마련됨으로써 지지부재(16)는 래크와 피티언의 상호 맞물림을 통해 필터(14)에 동축선상으로 그리고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지지부재(16)에 마련된 피니언에 동축선상으로 설치된 핸들(20)에 의해 지지부재(16)의 상, 하 이동이 조작된다. 정방형 원통 형태인 항진동 부재(18)도 지지부재(16)와 함께 필터(14)를 따라 평활하게 슬라이드 하게끔 필터(14)상에 동축선상으로 장착된다.
항진동부재(18)는 프레임 또는 지지부재(16)에 고정연결되는 아암부재에 가까운 말단에서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된 충격 흡수부재를 갖는다.
전달장치(9)는 모우터(2)의 구동력을 커터 본체(5)에 전달하는 감속장치(19), 이 감속장치(19)의 출력축(6), 이 출력축(6)에 고정된 스프로켓트(7), 그리고 이 스프로켓트(7)와 커터 본체(5)의 스프로켓트(4)간을 연결하여 아암부재(8)내부에 배치되는 체인(21)을 포함한다.
한쌍의 베어링(도시않음)이 스프로켓트(7)와 인접한 양쪽에서 아암부재(8)에 장착되어 축(6)을 수용하므로 축(6)은 베어링을 통해 아암부재(8)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아암부재(8)는 지지부재 또는 프레임(16)상에 고정 설치되고, 스프로켓트(4 및 7)와 이 스프로켓트 사이에 걸림 체인(21)을 에워싸서 안전 카바 역활을 한다.
아암 부재(8)의 말단에서, 축(3)은 두 블레이드(1)사이에 있는 베어링을 통해 아암 부재(8)에 의해 지지된다.
아암 부재(8)두께 T는 (제 3 도) 두 블레이드(1)간의 간격 d보다 작고, 아암 부재(8)의 폭 w는 (제 2 도)블레이드(1) 직경보다 훨씬 작다.
레일(12)은 볼트등에 의해 커터 설치면에 고정될 수 있다. 슬라이드 가능한 베이스(11)는 잠금 핸들(도시않음)을 해제한 후 필터(14)를 밀면 레일(12)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적당한 위치에서 잠금 핸들을 조임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적당한 높이에서 지지부재(16)를 필터(14)에 고정하기 위해 지지부재(16)에 클램프(도시않음)가 추가된다.
이 실시예에서, 예컨대, 블레이드의 직경은 300mmm이고, 두 블레이드간의 간격 d는 14mm이다.
아암부재(8)의 전장 및 전폭은 각각 650mm 및 80mm이다. 필터(14)와 레일(12)의 총 길이는 1060mm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값은 피절단물의 두께에 따라 당연히 수정될 수 있다. 두 블레이드(1)간의 간격 d는 이후, 상세히 설명하겠지만, 대략 10~30mm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커터의 조작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커터를 건축 현장의 바닥에 설치하여 커터 본체를 소정 위치로 이동시킨후, 제 1 도에 도시한 대로 잠금핸들을 조작하여 필터(14)를 레일에 결속시킨다.
다음에, 전기 모우터(2)를 켜고, 상, 하 핸들(20)과 잠금핸들을 조작하여 커터 본체(5)와 함께 지지부재(16)를 하향으로 천천히 이동시킨다. 이어 전기 모우터(2)의 회전력이 감속장치(19), 출력축(6), 스프로켓트(7), 체인(21) 및 스프로켓트(4)를 통해 커터 본체(5)의 회전축(3)에 전달되어 블레이드(1)가 회전하게 된다.
이어 블레이드(1)의 다이아몬드 팁이 콘크리트 등의 대상물에 접촉하여 절단작업이 시작된다.
블레이드(1)의 회전중에 진동이 전기 모우터(2)에서 블레이드(1)로 전달되므로, 블레이드(1)의 다이아몬드팁에는 블레이드(1)표면과 수직 및 평행한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진동이나 충격이 불가피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절단 작업에 있어서, 두 블레이드의 팁과 일치하는 서로 평행한 두개의 절단 홈이 애초에 형성되지만, 커터 본체(5)가 콘크리트 내로 파묻힐 때, 두 절단홈 사이의 절단된 콘크리트 판은 블레이드 팁의 진동 또는 충격에 의해 파쇄된다.
이어 파쇄된 콘크리트 조각은 블레이드의 회전하는 팁에 의해 자동적으로 미끄러져 나온다.
실시예에서, 두 블레이드(1)의 양 최외측면과 축(3)의 양단면이 실질상 동일평면에 놓여 있으므로, 커터본체(5)에서 두 블레이드(1)팁의 최외측면에 의해 정외된 간격 D를 초과하여 외측으로 돌출하는 것은 없다.
그리하여, 커터 본체(5)가 적어도 절단할 콘크리트 표면하부에 파묻혀질 때까지 절단작업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아암 부재(8)는 두 블레이드 간의 간격보다 상당히 더 작은 두께로 되어서 두 블레이드(1)사이에서 커터 본체(5)에 삽입되며, 블레이드(1)직경의 대략 2배 길이로 신장되므로, 커터 본체(5)는 항진동부재(18)의 바닥이 절단할 콘크리트 표면에 닿을 때까지 콘크리트 내로 들어갈 수 있다.
즉, 커터 본체(5)는 항진동부재(18)의 바닥에서 블레이드(1)의 하단까지의 거리와 동일한 깊이로 콘크리트를 절단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커터는 고작해야 블레이드 직경의 1/3인 두께를 갖는 콘크리트를 절단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커트는 블레이드 직경의 약 2배인 두께를 갖는 콘크리트도 절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커터를 사용해서 얻어지는 절단 깊이는 아암 부재(8) 길이를 신장하거나 항진동부재 치수를 줄임으로써 용이하게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절단된 콘크리트의 파쇄 및 파쇄된 콘크리트 조각의 배출과 아울러 콘크리트 절단을 효과적으로 행하기 위해, 콘크리트 재료의 구성이 다를지라도 두 블레이드(1)간의 간격 d를 대략 10~30mm로 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간격 D와 대략 동일한 폭을 갖는 홈 또는 구멍을 용이하게 절삭할 수 있고, 따라서 장방형 개구가 콘크리트 벽이나 바닥에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간격 d가 30mm보다 클때, 축(3), 베어링(13) 및 아암 부재(8)의 제작은 용이하나, 콘크리트판 절단 두께가 비교적 커지므로 절단된 콘크리트의 파쇄 및 파쇄된 콘크리트의 배출이 충분치 못하게 된다.
반면, 간격 d가 10mm 보다 작을때 상기 경우와 반대로 결과가 나타나다.
그렇지만, 콘크리트판 절편이 구멍에 잔존할 경우라도, 절편이 용이하게 파쇄되고 파쇄된 콘크리트 조각이 적당한 수단에 의해 용이하게 미끄러져 나와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다.
간격 D보다 넓은 폭을 갖는 홈 또는 구멍을 절삭하기 위해, 상술한 커터 본체(5)와 유사한 방식으로 회전축에 동축선상으로 고정된 원판형 블레이드(1)를 다수개 포함하는 커터 본체가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제 4 도에서, 본 고안에 따른 커터에 사용되는 다른 커터 본체(35)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4개의 원판형 블레이드(1)는 실질상 서로 평행한 두개의 인접한 블레이드 간의 동일 간격 d'로 축에 동축선상으로 배치된다.
외측 블레이드(1)의 팁(1a)의 최외측 표면간의 간격 D'와 일치하는 폭을 갖는 홈 또는 구멍이 한번의 절삭작업으로써 형성된다.
이 경우, 커터본체(35)의 두 개의 내측 블레이드(1)는 제 1 도에 도시한 커터 본체(5)와 동일한 방식으로 구조되고 두개의 외측 블레이드(1)는 축(3)과 직경이 동일한 보완축부재(41)를 통해 육각볼트(32 및 33)로써 축(3)의 양단에 고정된다.
4개의 블레이드(1)가 본 고안에 따라 상이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 1 도에 도시한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와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4개의 블레이드(1)중 두개의 인접한 블레이드간의 동일 간격 d'가 대략 20mm로 되면, 60mm이상의 폭을 갖는 홈 또는 구멍이 일 작업으로써 간편히 절삭되어지고, 콘크리트판 절편은 파쇄되어 상술한 제 1실시예와 동일 방식으로 콘크리트 절단중에 자동적으로 배출되어 나온다.
다른 예로, 4개의 블레이드(1)중 인접한 두개의 블레이드 간의 동일간격 d'가 대략 45~50mm이면, 4개의 평행한 홈 또는 구멍이 일 절삭작업으로 대략 150mm의 거리로 절삭되어 3개의 콘크리트판이 용이하게 절단될 수 있음으로써, 대략 150mm의 폭인 장방형 홈 또는 구멍을 형성하게 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술한 설명으로 부터, 콘크리트 등을 간단한 작업으로써, 효과적으로 절단할 수 있고, 특히, 블레이드 직경과 적어도 동일한 깊이로 절단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라 간단하 구조를 갖는 커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안전하고 경제적인 절단작업을 보장할 수 있다.
비록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지만, 다앙한 변경과 변형예가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마련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예컨대, 아암 부재(8)를 보강하기 위해, 아암부재(8)폭을 블레이드 직경과 대략 동일하게 할 수 있따.
본 고안에 따른 커터에서, 항진동부재가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블레이드가 심하게 진동될대 블레이드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는데는 매우 효과적이다.
아울러, 아암 부재(8)의 양쪽이 항진동부재에 의해 접촉된 상태로 효과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쌍의 스프로켓트(4 및 7) 및 체인(21)을 포함하는 구동력 전달기구 대신에, 몇개 또는 두개의 기어 휘일의 결합체와 이들 사이에 연결막대를 배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커터는 필터(14), 정방형 실린더 형태인 지지부재(16), 항진동부재(18) 및 상, 하 핸들(20)을 생략함으로써 간소화될 수 있고, 커터를 고정시키고 이동시키는 다른 핸들이 프레임에 부착될 수 있다.
블레이드의 다이아몬드 팁을 종래의 날(edge)재료로써 만들 수도 있다.

Claims (10)

  1. 프레임, 이 프레임에 장착되고, 출력축을 갖는 구동장치, 상기 프레임에 장착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축, 상기 케이싱 내에 장착되어 상기 출력축의 구동력을 상기 회전축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기구, 및 상기 회전축의 양쪽 최외축 축선 단부에 고정장착된 절단장치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케이싱의 상기 일단이 상기 절단장치 사이에 놓여지는 커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장치는 직경이 동일한 원판형 블레이드를 2개 이상 가지며, 이 블레이드는 실질상 서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블레이드와 직각을 이루는 축에 고정됨으로써 블레이드의 양 최외측면과 축의 양끝면이 실질상 동일 평면내에 있게 되는 커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폭이 블레이드 직경보다 작은 커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절단장치가 2개의 원판형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커터.
  5. 제 4 항에 있어서, 2개의 원판형 블레이드가 그 원주부에서의 간격이 대략 10~30mm로 배열되는 커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절단 장치가 4개의 원판형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커터.
  7. 제 6 항에 있어서, 4개의 원판형 블레이드가 그 원주부에서의 간격이 대략 20mm의 동일 간격을 가지고 서로 떨어져 배열되는 커터.
  8. 제 6 항에 있어서, 4개의 원판형 블레이드가 그 원주부에서의 간격이 대략 45~50mm의 동일 간격을 가지고 서로 떨어져 배열되는 커터.
  9. 제 1 항에 있어서, 구동력 전달 기구는 상기 출력축에 고정 장착된 제 1 스프로켓트와 상기 회전축에 고정 장착된 제 2 스프로켓트와 체인을 포함하며, 이 체인은 제 1 및 제 2 스프로켓트 사이에 걸려 있는 커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을 상기 절단장치와 함께 왕복 이동시키는 왕복 장치를 아울러 포함하는 커터로서, 상기 왕복 장치는 지지부재 및 이 지지부재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안내 부재를 포함하는 커터.
KR2019860019703U 1986-12-10 1986-12-10 커터 (Cutter) KR9000085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9703U KR900008549Y1 (ko) 1986-12-10 1986-12-10 커터 (Cut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9703U KR900008549Y1 (ko) 1986-12-10 1986-12-10 커터 (Cut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818U KR880011818U (ko) 1988-08-26
KR900008549Y1 true KR900008549Y1 (ko) 1990-09-22

Family

ID=19257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9703U KR900008549Y1 (ko) 1986-12-10 1986-12-10 커터 (Cut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854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818U (ko) 1988-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18514A1 (en) Boom mounted saw
US4717205A (en) Cutter
KR20130031959A (ko) 파일 절단기
US7574807B1 (en) Internal pipe cutter
KR900008549Y1 (ko) 커터 (Cutter)
KR20060040419A (ko) 콘크리트 포장 도로용 커팅기
CN206747687U (zh) 一种环切式cfg桩头切割设备
CN213740887U (zh) 一种观测廊道渗漏治理工具
US4357120A (en) Concrete curb cutter
CN112502098A (zh) 一种观测廊道渗漏治理工具及治理工艺
CN2578080Y (zh) 石材翻转装置
KR200364313Y1 (ko) 콘크리트 홈 파기용 소형 건식 그루빙 절단기
CN2272805Y (zh) 一种石材用圆盘锯水平切割机
KR101230206B1 (ko) 두 줄 홈파기용 전동 공구
JPH0414167Y2 (ko)
JPH0583706B2 (ko)
CN216465420U (zh) 混凝土切割设备
KR100597069B1 (ko) 콘크리트말뚝 자동 절단장치
CN212688651U (zh) 一种公路施工用路面切割设备
CN210850861U (zh) 一种泡沫砖切砖机
CN216780159U (zh) 一种建筑工地用的钢筋切割设备
JPH02225006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表層剥離工法
CN214000028U (zh) 一种便携式的耐火砖切割装置
CN217033084U (zh) 一种沥青混凝土路面面层研究用采样装置
JP2000096839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等の切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8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