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072Y1 - 온수보일러의 간헐 압력강하장치 - Google Patents

온수보일러의 간헐 압력강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072Y1
KR900008072Y1 KR2019870013836U KR870013836U KR900008072Y1 KR 900008072 Y1 KR900008072 Y1 KR 900008072Y1 KR 2019870013836 U KR2019870013836 U KR 2019870013836U KR 870013836 U KR870013836 U KR 870013836U KR 900008072 Y1 KR900008072 Y1 KR 9000080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oiler
water supply
pip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38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5234U (ko
Inventor
박슬갑
Original Assignee
박슬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슬갑 filed Critical 박슬갑
Priority to KR20198700138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8072Y1/ko
Publication of KR89000523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23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0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0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0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 F24D19/101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central heating using a valve or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8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 F24D19/082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083Ven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83Filling valves or arrangements for f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온수보일러의 간헐 압력강하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한 측면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결한 요부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온수보일러 1' : 기체실
4 : 팽창수조 7 : 배기관
8 : 배기밸브 9 : 변간
9' : 변판 9" : 변공
10 : 플롯트 10' : 레버
11 : 코일스프링
본 고안은 보일러의 급수조의 일측에 플롯트가 상승되면 개방되는 배기밸브를 보일러의 상부기체실과 배기관으로 연관되게 형성하여 보일러에서 송수된 온수가 방열관을 거쳐 보일러에 환수될때 보일러의 내부압력이 높아 온수가 보일러에 유입되지 못하고 급수조로 유입되어 수위가 상승되면 수위와 함께 상승된 플롯트에 의하여 배기밸브가 개방되면서 보일러의 기체실에 압축된 증기와 공기등을 신속하게 배기시키어 보일러의 압력 강하로 온수가 용이하게 보일러에 유입순환할 수 있게한 온수보일러의 간헐압력 강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온수 보일러는 가열에 따라 내부압력이 상승되면 그 압력으로 가열된 온수가 송수관을 통하여 방열관으로 송수되어 방열난방하고 방열관에서 방열된 저온수는 환수관을 통하여 보일러로 순환하게 되어 있으나 이때 보일러의 내부압력이 여전히 높은 상태에서는 환수관의 유입구의 압력이 높아 환수된 온수가 보일러에 유입되지 못하고 급수조로 유입된 다음 보일러의 내부압력이 낮게 되었을때 급수조에 유입된 온수가 보일러에 환수되는바 보일러의 압력의 높고낮은 시간적 주기가 길어 온수의 순환작용이 느리게되어 난방효과가 미흡하게 될뿐 아니라 급수조로 유입된 온수로 인하여 수조의 물이 넘치어 물의 낭비가 심하고 낭비된 물은 다시 냉수로 급수하게 됨으로 열손실이 커서 보일러의 난방효율이 높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보일러의 환수관에 급수조를 도관으로 관접하여 급수조에 설치된 플롯트 급수밸브에 의하여 자동으로 보일러에 급수하게된 것에 있어서, 플롯트가 상승되면 개방되는 배기밸브를 상기 급수조의 일측에 보일러의 상부 기체실과 배기관으로 관접되게 설치하여 정상적인 급수조의 수위에서는 배기밸브의 플롯트가 하강하여 배기밸브를 닫은 상태로 유지하고 보일러의 내부압력이 상승하여 방열관에서 순환된 온수가 보일러에 유입되지 못하고 급수조로 유입되면 급수조의 수위 상승으로 함께 상승된 플롯트에 의하여 배기밸브가 개방되어 보일러의 상부 기체실에 압축된 공기나 수증기등이 배기밸브로 배기되면서 내부압력이 강하되어 급수조에 임시적으로 체류된 물이 용이하게 보일러에 유입되어 가열되고 물의 유입으로 급수조의 수위가 하강되면 플롯트의 하강으로 배기밸브가 닫히면서 보일러의 내부 압력은 신속하게 상승하여 가열된 온수를 방열관으로 송수시키어 보일러의 압력상승과 하강주기를 보다 단축되게 하여서 물의 낭비와 에너지손실을 방지하여서 보일러의 난방효율을 보다 높힐 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온수보일러(1)의 송수관(2)과 환수관(2') 사이에 방열관(3)를 관접하고 환수관(2')의 중간부에 급수조(4)의 도관(4')을 관접하여 급수조(4)에 설치된 급수밸브(6)에 의하여 플롯트(5)의 작동으로 자동으로 보일러에 급수하게된 것에 이어서, 제 2 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배기밸브(8)의 경사진 배기공(9'')에 변간(9)이 형성된 변판(9')을 설치하고 변간(9)의 하단부를 플롯트(10)의 레버(10')에 코일스프링(11)으로 연결하여 플롯트(10)가 하강할 때는 변판(9'')이 배기공(9'')을 차단하여 플롯트가 상승하면 변판(9')이 배기공(9'')을 개방할 수 있게 구성하여 배기밸브(8)를 급수조(4)의 일측에 설치하고 배기밸브(8)에 관접된 배기관(7)을 온수보일러(1)의 상부 기체실(1')을 관접하여 배기밸브의 개방시에 보일러의 아부에 접속된 기체가 배기되어 보일러의 내부압력을 강하시킬 수 있게 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2, 12'는 역지변이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보일러의 가열에 따라 온수가 가열되면서 온수보일러(1)의 기체실(1')의 기체가 물보다 신속하게 팽창되면서 내부압력이 상승되면 가열된 온수는 송수관(2)를 통하여 방열관(3)으로 송수되어 방열하고 냉각된 저온수는 송수관측의 수압으로 밀려서 환수관(2')을 통하여 보일러(1) 내부로 환수되는바 이때 보일러의 내부압력이 높게되면 환수되는 저온수는 보일러에 유입되지 못하고 도관(4')을 통하여 일시 급수조(4)에 유입되어 급수조(4)의 수위는 정상 상태보다 높은 수위(WH)가 된다.
급수조(4)의 수위가 높게되면 수위와 함께 상승된 플롯트(10)에 의하여 레버(10')에 연결된 변판(9')을 위로 작동시키어 배기공(9'')을 개방시키어 보일러(1)의 기체실(1')에 압축된 공기나 수증기등의 기체는 배기관(7)과 배기밸브(8)를 통하여 배기공(9'')으로 배기되면서 보일러의 내부압력이 강하된다. 따라서 급수조(4)의 물은 보일러에 환수되어 수조의 수위는 낮은 수위(W1)로 되어 배기밸브의 플롯트(10)의 하강으로 배기밸브(8)의 변판(9')이 배기공(9'')을 차단하여 보일러의 압력이 상승되게 하고 이같은 동작의 반복으로 온수는 원활하게 순환되어 난방하고 급수조(4)의 물이 소모되어 그 수위가 정상보다 낮은 수위(WL)로 되면 급수밸브(6)의 플롯트(5)가 하강작동되면서 급수밸브(6)를 개방하여 수조에 물을 급수하여 소모된 물을 채우는 것으로 그 수조의 일측에 플롯트가 상승할때 개방되는 배기밸브를 보일러의 상부기체실과 배기관으로 연관되게 설치하여 보일러의 내부압력의 상승으로 인하여 환수된 저온수가 급수조로 유입되면 플롯트의 작동으로 배기밸브를 개방시키어 보일러의 기체실의 기체를 배기시키어서 보일러의 내부압력을 강하시킬 수 있게 구성하였기 때문에 보일러의 압력상승과 강하주기를 시간적으로 단축하여 환수된 온수가 보일러에 용이하게 환수 및 가열공급할 수 있고 급수조의 물이 넘치지 않고 온수의 순환속도를 증대할 수 있어, 물의 낭비와 열에너지 손실을 절감하고 보일러의 난방효율을 보다 높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온수보일러(1)의 송수관(2)가 환수관(2') 사이에 방열관(3)을 관접하고 송수관(2)의 중간에 급수조(4)를 도관(4')으로 관접하여 급수조(4)에 설치된 급수밸브(6)에 의하여 급수하게된 공지한 것에 있어서, 플롯트(10)의 레버(11)가 위로 작동하면 변공(9'')을 벽판(9')이 개방하게 구성된 배기밸브(8)를 수조(4)의 일측에 설치하여 배기밸브(8)에 관접된 배기관(7)을 보일러(1)의 상부 기체실(1')을 연관하여서된 온수보일러의 압력 간헐강하장치.
KR2019870013836U 1987-08-18 1987-08-18 온수보일러의 간헐 압력강하장치 KR9000080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3836U KR900008072Y1 (ko) 1987-08-18 1987-08-18 온수보일러의 간헐 압력강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3836U KR900008072Y1 (ko) 1987-08-18 1987-08-18 온수보일러의 간헐 압력강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234U KR890005234U (ko) 1989-04-18
KR900008072Y1 true KR900008072Y1 (ko) 1990-09-03

Family

ID=19266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3836U KR900008072Y1 (ko) 1987-08-18 1987-08-18 온수보일러의 간헐 압력강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807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234U (ko) 1989-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09198B1 (en) Hot water boiling apparatus
KR900008072Y1 (ko) 온수보일러의 간헐 압력강하장치
KR100246731B1 (ko) 액체가열장치
KR100627720B1 (ko) 전기보일러의 구조
JP3732885B2 (ja) ドレン中和容器の保温装置
KR200176948Y1 (ko) 가스보일러용 응축수받이의 배기가스 차단장치
JPS6113081B2 (ko)
JPH085146A (ja) 節電型即熱式電気温水器
CN2376560Y (zh) 燃气蒸汽-热水器用双功能隔膜阀
JP2002364924A (ja) 節電型即熱式電気温水器
KR930007293Y1 (ko) 온수 보일러
KR880003406Y1 (ko) 관류형 무압 온수 보일러
KR200210684Y1 (ko) 열매체유 온도조절 탱크
JPS6022139B2 (ja) 凍結防止装置
KR900006506Y1 (ko) 증기 보일러
KR900008870Y1 (ko) 전열 온수 보일러
KR810000930Y1 (ko) 온수보일러의 배기구
KR200330705Y1 (ko) 온수보일러
KR100198351B1 (ko) 대기 반차단식 보일러
KR790001764B1 (ko) 태양열 난방장치의 급탕수 조절장치
KR800001198Y1 (ko) 온수보일러용 중계관
KR930007294Y1 (ko) 온수 보일러의 내압자동조절장치
SU851015A1 (ru) Солнечный водонагреватель
KR100201317B1 (ko) 대기개방식 가스보일러
KR19990008523U (ko) 자동방열 구조를 갖는 태양열시스템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