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868Y1 - 비닐 하우스용 온풍장치 - Google Patents

비닐 하우스용 온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868Y1
KR900007868Y1 KR2019880000284U KR880000284U KR900007868Y1 KR 900007868 Y1 KR900007868 Y1 KR 900007868Y1 KR 2019880000284 U KR2019880000284 U KR 2019880000284U KR 880000284 U KR880000284 U KR 880000284U KR 900007868 Y1 KR900007868 Y1 KR 9000078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inyl house
heat
combustion chamber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02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5789U (ko
Inventor
신정무
Original Assignee
신정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정무 filed Critical 신정무
Priority to KR20198800002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7868Y1/ko
Publication of KR8900157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57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8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86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6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 F24H3/06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e.g. using forced circulation of air over radiators using fluid fue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6Air-condition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73Arrangement or mounting of means for forcing the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7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8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닐 하우스용 온풍장치
제1도는 이고안 열교환기의 사시도.
제2도는 일부분을 절개하여 보인 평단면도.
제3도는 이고안 온풍장치의 측단면도.
제4도는 이고안 전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열교환통 2 : 연소실
3 : 부로아 4 : 버어너
5 : 온풍배출구 8 : 저항판
9 : 연통 10 : 가공관
11 : 공급관 12 : 배열구
이 고안은 비닐하우스의 난방에 이용되는 온풍장지에 관한 것이다.
농입기술의 발달로 동절기 농가의 주요사업이 되고 있는 비닐하우스 재배작목의 생산비는 연로비의 구성비가 큰 몫을 차지하고 있다.
예컨데 비닐하우스의 난방은 긴 겨울철에 소채의 동사를 방지함은 물론 적극적으로 활발한 생육환경을 유지하는데에 불가결한 것이다.
이와같은 온풍장치는 위와 같은 비닐하우스용 난방기구로서 진보적인 장치인 것은 사실이나 비닐하우스의 환경에 적함한 온풍장치의 개발 보급은 부진하여 일반적으로 주거의 실내난방용 온풍장치를 그대로 전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온풍장치의 가격이 고가하여 농가의 부담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그 운전 비용도 비싸기 때문에 소채의 생산비를 높이게 되어 작물재배용 난방장치로서는 적합치 못한 것이었다.
이 고안은 연료비의 지출을 최소화 함은 물론 온풍장치의 가격도 저렴하게 되고 또한 지온을 높여주어 동결기 소채의 발육을 활성화 할 수 있게 되어 있는 비닐하우스용 온풍장치이며 그 주요구성은 열교환기의 부분이 오일버어너의 화염을 받는 열소실과 공기를 가열하는 열교환실로 되어 있고, 연교환기에 접속시킨 연통은 비닐하우스의 실내 공간에 열풍을 확산하는 공급관은 비닐 하우스의 지표(또는 낮게 묻어, 이하 같다)에 배설하였고, 연통에서 배기되는 냉각된 연소개스는 공기중에 폐기하며, 공급관에는 복수의 배연구를 부착하여 온풍이 지온을 높여준 다음 실내에 확산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이다.
이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연교환기의 구성을 보면 제1도 및 제2도에서 보인바와 같이 지지다리(7)를 보유하는 열교환통(1)의 한끝에 실내 공기를 압입하는 부로아(3)를 주벽에는 열교환된 공기를 베츨하기 위한 온풍 배출구(5)를 설치하였다.
부로아(3)를 설치한 반대쪽의 열교한통에는 오일버너(4)를 설치하되 그 화구(6)는 내부의 연소실에 삽입되도록 하며, 연소실(2)의 외면에는 열교환 호율을 높이면서 공기의 과속 흐름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저항만(8)을 착설하고, 상부에는 열교환통 밖으로 돌출되도록 연통(9)을 입실하였다.
또한 방연용 배관 장치들을 보면 연통(9)은 제4도에서와 같이 더욱 연장되고 적절한 높이에서, 비닐하우스의 길이방향으로 좌우 양측에 길게 배관하여 폐열을 회수하기 위한 가공관(10)에 연결하며 그 끝부분은 합관 한후 비닐하우스 외부로 돌출시킨다.
그리고 온풍배출구(5)에는 비닐하우스이 좌우측 바닥의 지표 가까히 길게 묻는 공급관(11)을 연결하며, 이공급관(11)상에는 적당한 간격을 두고 지표위로 돌출시킨 배열구(12)를 부착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이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에서와 같이 부로아(3)는 실내의 공기를 열교환통(1)안으로 압입하고 한편 반대쪽의 오입버너(4)는 화구(6)를 통해 연소실(2)내로 화염을 뿜어 연소실(2)은 고열로 가열된다.
따라서 부로아(3)에 의해 연교환통(1)으로 압입된 공기는 가연된 연소실(2)의 외주면 및 저항판(8)과의 접촉으로 뜨거워지면서 반대쪽의 온풍배출구(5)쪽으로 흐르게 된다.
이렇게 가열되면서 온풍배출구(5)를 흘러나온 공기는 비닐하우스의 좌우측 바닥에 길게 묻힌 공급관(11)을 따라 흐르면서 우선 뜨거운 열로 지표면을 데우고 따뜻한 잔열을 보유한 공기는 지표위로 돌출된 배열구(12)를 통해 실내에 균일하게 확산된다. 그러므로 이는 실내의 공기 온도를 높여 주는 것은 물론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겨울철 비닐하우스 내부의 지표가 크게 냉각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또 화구(6)에서 나온 화력이 연소실(2)을 가열할때 생긴 연소개스는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상부의 연통(9)및 비닐하우스의 좌우 양측 공간에 길게 배관한 가공관(10)을 지난후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 과정에서 비닐하우스내의 공기와 열교환되어 폐열의 배출을 최소화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이 고안은 열교환실(1)에서 토출되는 뜨거운 공기로 지표면을 데우고, 그 나머지의 열을 직접실내공간에 확산시켜 온풍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연소실내에서 발생한 연소개스는 실내 공간의 좌우 양측에 길게 배관한 가공관(10)속을 지나면서 실내공기를 가열하도록 하는 폐열 회수라인을 구비하게 된 관계로 종래 주거용 실내난방 온풍기를 그대로 전용하여 사용하던 것에 비해 온풍 효율이 배가되어 적은 연로비로 비닐하우스내부의 온도를 소체의 생육 환경에 적절하도록 조성하여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한 가격면에 있어서도 종래의 공기필터라든가 습도 조절장치, 온도조절 장치등이 부가된 일반적인 실내 난방용 온풍장치에 비하여 저렴하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온풍 장치의 가격과 연로비가 감소되므로 소채비의 생산가를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원통형으로된 열교환통(1)의 일측편에는 공기 압입용 부로아(3)를 착설하고, 그 타측편에는 속에 내장된 연소실(2)을 가열하기 위한 오일버어너(4)를 착설한후, 상기의 부로아(3)가 착설된 반대쪽에서 앞, 뒤로 온풍배출구(5)를 인출하며. 오일버어너(4)가 있는 반대쪽의 연소실(2)로 부터는 연통(9)을 입설하여서된 비닐하우스용 온풍장치.
KR2019880000284U 1988-01-16 1988-01-16 비닐 하우스용 온풍장치 KR9000078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0284U KR900007868Y1 (ko) 1988-01-16 1988-01-16 비닐 하우스용 온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0284U KR900007868Y1 (ko) 1988-01-16 1988-01-16 비닐 하우스용 온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789U KR890015789U (ko) 1989-08-18
KR900007868Y1 true KR900007868Y1 (ko) 1990-08-25

Family

ID=19271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0284U KR900007868Y1 (ko) 1988-01-16 1988-01-16 비닐 하우스용 온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786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5789U (ko) 1989-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00007868Y1 (ko) 비닐 하우스용 온풍장치
KR200394920Y1 (ko) 고체연료용 온풍기
CN2282150Y (zh) 家庭热风供暖器
KR0129823Y1 (ko) 온풍난방기
KR200412493Y1 (ko) 농업용 열풍기
KR20090004960U (ko) 온풍기
JPH0453246Y2 (ko)
KR930000888Y1 (ko) 온실용 난방기
KR200457591Y1 (ko) 전기히터를 이용한 가습식 온풍장치
KR900007869Y1 (ko) 농업용 열풍기
KR20030081606A (ko) 온풍기의 폐열 회수장치 및 방법
JPS5939656B2 (ja) 熱風発生機
IT1183301B (it) Essiccatoio agricolo a fuoco diretto
JPS6235319Y2 (ko)
KR100257341B1 (ko) 지중난방수단을 구비한 난방기
JPS6238086Y2 (ko)
KR200390607Y1 (ko) 에너지 절약기가 장착된 온풍기
KR200233769Y1 (ko) 농업용 온풍난방기의 가열실 구조
KR960010457Y1 (ko) 농업용 난방기의 폐열을 이용한 농업용 온실의 난방장치
KR200290956Y1 (ko) 하우스용 온풍기
KR960008402Y1 (ko) 유류보일러용 유류예열장치
RU93013968A (ru) Отоп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197403Y1 (ko) 온상용 난방장치
KR900009532Y1 (ko) 온풍난방기의 열교환 장치
SU1483196A2 (ru) Воздухонагреват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