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703Y1 - 비누방울 놀이완구 - Google Patents

비누방울 놀이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703Y1
KR900007703Y1 KR2019870013730U KR870013730U KR900007703Y1 KR 900007703 Y1 KR900007703 Y1 KR 900007703Y1 KR 2019870013730 U KR2019870013730 U KR 2019870013730U KR 870013730 U KR870013730 U KR 870013730U KR 900007703 Y1 KR900007703 Y1 KR 9000077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ap
soap bubble
hinge
generating ring
bubb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37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4477U (ko
Inventor
이용성
Original Assignee
이용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성 filed Critical 이용성
Priority to KR20198700137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7703Y1/ko
Publication of KR8900044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4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7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7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8Soap-bubble toys; Smoke toy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비누방울 놀이완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구성요부인 비누방울 발생링의 일부 절개사시도.
본 고안은 어린이들이 즐겨 사용하는 비누방울을 입의 근접거리에 따라 또는 작게하여 여러개씩을 발생하도록 하므로서 놀이를 즐길수 있게한 비누방울 놀이완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어린이들이 비누방울을 만들면서 놀이를 즐길수 있게한 비누방울 발생기가 실용공고 제81-1175호와 실용공고 제86-2954 호에서와 같이 여러 가지 제안사용되었으나 실용공고 제81-1175호와 같은 비누방울 현출기는 단순히 원형의 현출대에 비누물을 찍어준다음 입으로 불지않고 약간흔들어 주므로서 공기에 의해 비누방울이 고무풍선과 같이 확대되게 한 것이다.
이는 원형의 현출대가 단순히 원형의 단면으로 되어 있고 표면이 매끄러워 하나정도의 비누방울은 만들수는 있으나 여러개의 비누방울이나 변화있는 크기의 비누방울은 만들기가 곤란했던 것이다.
또한 실용공고 제86-2954호와 같은 비누방울 발생기는 비누방울의 크기를 임의로 조절할 수는 있으나 비누방울의 크기를 설정하는 별도의 몸체를 일일이 끼워서 사용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공기주입관을 통해 공기를 주입시키도록 되어 있어 타인이 사용하게 되면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야기 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시정하고져 제안된 것으로서 비누방울 발생링의 표면에 방사상으로 요입홈을 형성하여 주어 비누물이 연속적으로 흐르게 하므로서 비누방울이 효과적으로 발생되게 하고 임의근접 거리에 따라 비누방울의 크기를 임의로 설정 발생케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내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손잡이(1)의 상부에 임의의 동물 또는 식물이나 곤충모양을 가진 비눗물 수장통(2)을 설하고 그 상단 일측에 힌지(3)에 의해 유착된 비누방울 발생링(4)의 표면에는 방사상으로 비누물 유도홈(5)을 일정한 간격으로 삭설하여 주고 힌지(3)를 중심으로 타측에 가압편(6)을 연설시켜 주어 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방울 놀이완구인 것이다.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비누방울 발생링(4)이 자체중량에 의해 먼저 비눗물수장통(2)내에 수납된후 그 수장통(2)내에 소정량의 비누물을 넣은후 가압편(6)을 가압시키면 발생링(4)이 힌지(3)를 기점으로 하여 수장통(2)내에서 토출되면서 발생링(4)의 중앙 공간부로 비누물막이 형성되고 비누물 유도홈(5)에는 소정의 비누물이 묻어 있게 되므로 비누물막이 계속적으로 생기게되므로 적당한 거리에서 입으로 바람을 불게되면 비누방울 발생링(4)에서 비누방울이 연속적으로 발생되게 되는것으로 비누방울 발생링(4)과 입의 접근거리에 따라 발생되는 비누방울의 크기를 임의로 조절할수 있으며 비누방울 발생링(4)이 힌지(3)를 기점으로 가압편(6)에 의해 간편히 토출 또는 수납케하여 비눗물을 찍어낼수 있어 위생적이고 효율적인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손잡이(1)의 상부에 임의의 동물 또는 식물이나 곤충모양을 가진 비눗물 수장통(2)을 설하고 그 상단 일측에 힌지(3)에 의해 유착된 비누방울 발생링(4)의 표면에는 방사상으로 비누물 유도홈(5)을 일정한 간격으로 삭설하여 주고 힌지(3)를 중심으로 타측에 가압편(6)을 연설시켜 주어 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방울 놀이완구.
KR2019870013730U 1987-08-18 1987-08-18 비누방울 놀이완구 KR9000077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3730U KR900007703Y1 (ko) 1987-08-18 1987-08-18 비누방울 놀이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3730U KR900007703Y1 (ko) 1987-08-18 1987-08-18 비누방울 놀이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477U KR890004477U (ko) 1989-04-17
KR900007703Y1 true KR900007703Y1 (ko) 1990-08-23

Family

ID=19266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3730U KR900007703Y1 (ko) 1987-08-18 1987-08-18 비누방울 놀이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770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477U (ko) 1989-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2276A (en) Early childhood learning toy
US5591062A (en) Spinning toy
US6692330B1 (en) Infant toy
US3378948A (en) Pillow with sound producing elements
US20050227581A1 (en) Child's infant-care play center
US6544099B2 (en) Suspendable talking apparatus
KR900007703Y1 (ko) 비누방울 놀이완구
US3015907A (en) Hoop toys
US2811809A (en) Sound actuated dancing doll
US2959889A (en) Toy embodying whistle operated by gravitational outflow of water while the toy is in the air
US2723853A (en) Tumble toy
CN213760489U (zh) 一种可移动的捉迷藏屋
Castle The infant & toddler handbook: invitations for optimum early development
KR910004087Y1 (ko) 동물완구의 발성기
JPH0112859Y2 (ko)
CN213724821U (zh) 鼓偶组合玩具
Greenaway Kate Greenaway's book of games
KR950002475Y1 (ko) 비눗방울 놀이구
US4047718A (en) Toy gaming device
KR910004090Y1 (ko) 동물완구의 발성기
JPH02149285A (ja) 遊戯具
KR910004089Y1 (ko) 동물완구의 발성기
Head et al. Using Toys and Play Remedially
CN112402991A (zh) 鼓偶组合玩具及其使用方法
Pickett et al. Early childhood edu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