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7681Y1 - 멜로디 발성 완구의 진동 스위치 - Google Patents

멜로디 발성 완구의 진동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7681Y1
KR900007681Y1 KR2019870014235U KR870014235U KR900007681Y1 KR 900007681 Y1 KR900007681 Y1 KR 900007681Y1 KR 2019870014235 U KR2019870014235 U KR 2019870014235U KR 870014235 U KR870014235 U KR 870014235U KR 900007681 Y1 KR900007681 Y1 KR 9000076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toy
melody
spring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42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4469U (ko
Inventor
김학제
Original Assignee
김학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제 filed Critical 김학제
Priority to KR20198700142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7681Y1/ko
Publication of KR8900044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4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76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76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28Arrangements of sound-producing means in dolls; Means in dolls for producing sou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02Clockwork mechanisms
    • A63H29/04Helical-spring driv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2Electric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4Details or accessories for drive mechanisms, e.g. means for winding-up or starting toy eng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멜로디 발성 완구의 진동 스위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 단면도.
제4도 a, b는 본 고안의 진동조절 볼트로 진동스프링의 진동감소를 조절하는 상태단면도.
제5도 a, b는 본 고안의 접속 날개조절로 진동스프링의 진동접속을 조절하는 상태단면도.
제6도 a, b는 본 고안의 접속링과 접속 날개가 접속되는 상태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진동스위치 2 : 고정판
3, 3', 3'', 3''' : 접속링 고정대 4, 4', 4'', 4''' : 접속링
5 : 고정리벳 6 : 접속날개 몸체
7 : 접속날개 8, 8', 8'' : 고정링
9 : 진동스프링 10 : 조절너트
본 고안은 멜로디 발성완구에 설치하여 완구를 만지거나하여 미세한 진동이 발생하면 이 진동에 의해 진동 스위치가 접속되어 미리 기억설정해 놓은 멜로디 I. C회로 장치로 다양한 멜로디가 발성되게한 멜로디 발성완구의 진동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멜로디 발성완구의 멜로디 I. C회로 장치에 연결하여 접점을 접속시키는 스위치가 다수 있었으나 대부분 스위치가 내설된 완구부위를 가압하여 접촉 스위치의 접속작용으로 접점이 접속되게 하거나 통상의 ON, OFF스위치로 ON, OFF시켜 스위치의 접점을 접속시켜 멜로디 I. C회로에 의해 멜로디가 발성되게 하므로서 스위치가 내설된 완구부위를 정확하게 가압하지 않으면 스위치의 접점이 정확하게 접속되지 않아 멜로디 I. C회로가 작동되지 않는등 스위치 작동이 민감하지 않아 생동감있는 완구가 되지못하며 통상의 ON, OFF스위치도 생동감있는 완구로서의 느낌을 반감시키고 스위치 접점도 1개로 한정되므로 스위치의 통전에 의해 발성되는 멜로디도 한정되므로 다양한 멜로디를 얻을수 없어 어린이들이 호기심을 느끼지못하므로 완구로서의 기능이 반감되는 등에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적은 진동에도 민감하게 진동되는 진동스프링과 진동 스프링 외부에 접속링 고정대로 고정시킨 접속링으로 다수의 스위치 접점을 형성하여 완구 내부에 설치된 멜로디 I. C회로 장치에 연결하므로서 완구를 만지거나 하여 발생하는 미세한 진동에도 진동스프링이 진동되어 접속링과 접속되므로 진동 스프링과 접속링에 연결된 각각의 접점이 접속될때마다 멜로디 I. C회로에 미리설정 기억된 여러 가지 멜로디가 다양하게 일정시간만큼 발성되게 하므로서 완구에 설치된 스위치가 민감하게 작동되어 실재 동물등과 같이 만지는 등의 동작에 의해서도 동물 소리등의 멜로디가 발성되므로 동물완구의 생동감을 더욱 높일수 있도록 하며 완구 종류에 따라 진동스프링의 진동감도를 조절할수 있게하여 완구마다 완구의 특성을 살릴수 있도록 한것으로서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 정판(2)에 고정된 접속링 고정대(3), (3'), (3''), (3''') 상부에 접속링(4), (4'), (4''), (4''')을 고착시키고 진동스프링(9)이 접속링(4) 중앙에 위치하도록 끝단을 조절너트(10)와 고정링(8'')으로 고정판(2)에 고정시켜 조절너트(10)에 진동조절볼트(11)를 나사식으로 끼워 진동조절볼트(11)가 진동스프링(9)에 끼워지도록 하여 진동스프링(9) 상부끝단에 접속날개(7)가 다수 형성된 접속날개몸체(6)를 고정링(8), (8')과 고정리벳(5)으로 끼워 고정시켜 접속링 고정대(3), (3'), (3''), (3''')와 진동스프링(9)에 통상의 멜로디 I. C회로 (13)를 연결시켜서 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 14는 스피커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은 동물완구(12)를 쓰다듬거나 만지게되면 동물완구(12)의 흔들림이 동물완구(12) 내부의 고정판(2)에 설치된 진동에 민감한 진동스프링(9)에 전달되어 진동스프링(9) 끝단이 제3도에 표현된 바와같이 진동하게되고 진동스프링(9)이 진동하면 진동스프링(9) 끝단에 고정리벳(5)과 고정링(8), (8')으로 고정된 접속 날개몸체(6)의 접속날개(7)가 진동되어 고정판(2)에 고정된 접속링 고정대(3), (3'), (3''), (3''') 끝단에 고착된 접속링(4), (4'), (4''), (4''')과 접속되게되며 접속링(4), (4'), (4''), (4''')에 접속날개(7)의 접속은 접속링(4), (4'), (4''), (4''')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진동스프링(9)이 진동에 의해 어느 방향으로 진동되도 360°어느 방향에서나 접속링(4), (4'), (4''), (4''')에 접속날개(7)가 접속되는 것이다. 그런데 각 접속링(4), (4'), (4''), (4''')이 고착된 접속링 고정대(3), (3'), (3''), (3''')와 진동스프링(9)은 멜로디 I. C회로(13)와 연결되어 있어 각 접속링(4), (4'), (4''), (4''')과 접속날개(7)가 접속되면 멜로디 I. C회로(13)에 전원공급이 되므로 멜로디 I. C회로(13)와 타이머에 기억설정된 멜로디가 일정시간 흘러나오게 되는데 동물완구(12)를 만지거나하여 진동스프링(9)이 진동되어 접속날개(7)와 접속링(4)이 접속되면 까치울음소리가 나게되고 접속날개(7)와 접속링(4), (4')가 동시에 접속되면 앵무새 소리가 나게하는 등 각 접속링(4), (4'), (4''), (4''')이 접속될때마다 멜로디 I. C에 기억시킨 각기 다른 소리가 일정시간 흘러나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진동 스프링(9)의 진동감도의 조절은 완구의 종류등에 따라 조절하게되는데 진동 스프링(9)을 고정판(2)에 고정시킨 조절너트(10)에 나사식으로 끼워진 진동조절 볼트(11)를 조절너트(10)에 많이 끼워지게하면 진동 조절 볼트(11)가 진동스프링(9)의 내부에 많이 삽입되므로 진동스프링(9)의 진동감도를 둔화시켜 진동스프링(9)의 진동을 억제시킬수 있으며 조절너트(10)에서 진동 조절볼트(11)를 많이 빼내게 되면 진동스프링(9)에 진동조절볼트(11)가 많이 삽입되지 않으므로 진동스프링(9)의 진동감도가 증대되어 민감하게 진동되므로 완구의 작은 흔들림에도 접점을 접속시켜 멜로디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또한 접속날개 몸체(6)의 접속날개(7)를 제5도에 표현된 바와같이 벌리거나 오므리면 접속날개(7)와 접속링(4), (4'), (4''), (4''')의 접속 범위가 좁아지거나 넓어지므로 접속날개(7)의 조절로도 진동스프링(9)의 진동접속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동물완구(12)를 쓰다듬거나 미세한 흔들림에도 진동스위치(1)의 접점이 접속되게하여 미리 설정 기억된 동물 소리가 발성되므로 동물완구(12)의 생동감을 더욱 증대시키고 어린이들이 호기심을 갖고 즐겁게 즐길수 있도록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고정판에 고정된 접속링 고정대(3), (3'), (3''), (3''') 상부에 접속링(4), (4'), (4''), (4''')을 고착시키고 진동스프링(9) 상부 끝단이 접속링(4), (4'), (4''), (4''') 중앙에 위치하도록 조절너트(10)와 고정링(8')으로 고정판(2)에 고정시켜 조절너트(10)에 진동조절 볼트(11)를 나사식으로 끼워 진동조절 볼트(11)가 진동스프링(9)에 끼워지도록 하여 진동스프링(9) 상부 끝단에 접속날개(7)가 다수 형성된 접속날개 몸체(6)를 고정링(8), (8')과 고정리벳(5)으로 끼워고정시켜 접속링 고정대(3), (3'), (3''), (3''')와 진동스프링(9)에 통상의 멜로디 I. C회로(13)를 연결시켜서된 멜로디발성 완구의 진동스위치.
KR2019870014235U 1987-08-26 1987-08-26 멜로디 발성 완구의 진동 스위치 KR9000076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4235U KR900007681Y1 (ko) 1987-08-26 1987-08-26 멜로디 발성 완구의 진동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4235U KR900007681Y1 (ko) 1987-08-26 1987-08-26 멜로디 발성 완구의 진동 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469U KR890004469U (ko) 1989-04-17
KR900007681Y1 true KR900007681Y1 (ko) 1990-08-23

Family

ID=19266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4235U KR900007681Y1 (ko) 1987-08-26 1987-08-26 멜로디 발성 완구의 진동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768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4669A (ko) * 2001-03-21 2002-10-04 김일수 알에스485 시스템을 이용한 철조망 구조물의 보안 경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469U (ko) 1989-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3395B1 (en) Electronic activity center
US5993286A (en) Walking insect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20090280717A1 (en) Toy with sound-activated motion
US5356326A (en) Shaking toy
WO2002043644A1 (en) Audio interactive sexual vibrator
US2959892A (en) Child's flashing toy
US6200193B1 (en) Stimulus-responsive novelty device
US6416381B1 (en) Motion induced sound and light generating system
US5446236A (en) Musical toy
KR900007681Y1 (ko) 멜로디 발성 완구의 진동 스위치
US7325872B2 (en) Rocker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6780076B2 (en) Talking stick horse
US20030171065A1 (en) Infant mobile having multiple activation modes, including a kick-bar activation mode and a remote activation mode
US6547629B1 (en) Electronic to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4731024A (en) Children's amusement center
US3040476A (en) Toys
KR900007704Y1 (ko) 모빌완구의 멜로디 발생장치
CN219251638U (zh) 一种儿童玩具
KR910004089Y1 (ko) 동물완구의 발성기
KR910008378Y1 (ko) 발성 및 바이브레이션 완구
KR900007680Y1 (ko) 동물완구의 발성장치
GB9814371D0 (en) Toilet apparatus
KR910004088Y1 (ko) 동물완구의 발성기
JPH0450077Y2 (ko)
KR970001086Y1 (ko) 소리발생장치가 부설된 다용도 벽걸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