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868B1 - 퇴비의 정제장치 - Google Patents
퇴비의 정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00006868B1 KR900006868B1 KR1019830001079A KR830001079A KR900006868B1 KR 900006868 B1 KR900006868 B1 KR 900006868B1 KR 1019830001079 A KR1019830001079 A KR 1019830001079A KR 830001079 A KR830001079 A KR 830001079A KR 900006868 B1 KR900006868 B1 KR 9000068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lets
- compost
- screen
- diameter
- cylindrical scree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05F9/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ertilizer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 내지 제8도는 본 발명을 하기에 이르는 기초가된 실험 결과의 그래프로서, 제1도는 소판의 회전에 의하여 임의의 돌기에 파쇄작용을 미치게 하는 연투영(延投影) 길이와 처리량의 관계를 표시하고 있다.
제2도, 제3도는 소판열의 전개 정면도로서, 제12도의 G,H,I,J의 화살표 방향에서본 정면도이며, 여기서 제2도는 위상차가 없을 경우이고, 제3도는 위상차가 최대의 경우이다.
제4도는 스크린 내경과 주축직경의 차와 퇴비화물 또는 비퇴비화물의 분별율의 관계를 표시하고 있으며
제5도는 원통형 스크린의 공경과 분별율의 관계.
제6도는 조제퇴비의 수분율과 분별율의 관계.
제7도는 돌기와 소판과의 간격과 분변율과의 관계.
제8도는 돌기의 높이와 분별율의 관계를 표시하는 것이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공정도.
제10도 내지 제1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퇴비정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10도는 절단측면도, 제11도는 제10도 D부의 확대도, 제12도는 제10도의 I-I 선상의 절단정면도, 제13도는 절단측면도, 제14도는 제13도 E부의 확대도, 제15도는 제12도 F부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발효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퇴비화 원료(堆肥化原料)에서 비퇴비화물(非堆肥化物)을 제거하여 정재하는 퇴비정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예를들면, 도시쓰레기를 발효시킨후의 조제퇴비(粗製堆肥)를 정제하는 방법으로서는 비퇴비화물인 플래스틱류, 유리, 도자기, 섬유류, 금속류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비중차를 이용한 풍력분별, 탄성률의 차를 이용한 반발식 분별, 물질의 대소를 이용한 스크린 분별등 여러가지의 방식이 시도되어 있으나, 어느것도 단일방식만으로는 효율적으로 비퇴비화물을 제거할 수 없고, 여러가지의 방식을 조합하여 여러번에 걸친 분별공정에 의하여 정제퇴비를 제조하고 있다. 그러므로 정제되비의 수율저하, 장치, 관리유지의 복잡화가 문제로 되었다.
발명자들은 도시쓰레기의 스크린분별, 파쇄공정을 일공정으로 효율이좋게 파쇄분별작용을 하기에 적합한 장치로서, 회전원통 스크린과 회전하는 소판(搔板)을 가지는 파쇄분별장치를 별도로 개발하였으나, 상기 종래의 퇴비정제장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파쇄분별장치에서 얻은 지견에 의거하여 퇴비의 정제를 한층 접합되게 하도록 파쇄분별장치의 개량을 하여 퇴비화 정제장치를 개발하였다.
이 경우 소판에 의한 파쇄작용을 확실하게 할 수 있게 하기위하여, 원통형 스프린의 내부에는 축에 평행하게 여러개의 긴 돌기를 설치하고, 이 돌기와 소판 사이의 전단작용(專斷作用)에 의하여 파쇄를 하게 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의 소판은 축방향에 일직선상으로 배치되어 소판열(搔板列)을 형성하고, 이 소판열이 주축원주에 어느 위상차(位相差)로 다수 열배치되어 있으나, 종래의 것(일본 특허출원소 55-12343)에서는 각소판열의 소판이 축방향의 배치와 동일한 것이며, 따라서 어느 축직각 평면내에는 모든 위상의 소판이 배치되고, 어느 축직각 평면에 있어서는 어느것의 위상에도 소판이 배치되어 있지않은 구성이었다. 그러므로 돌기의 길이방향중, 파쇄에 관여하는 것은 소판과 대향하는 일부뿐이며, 소판에 상대하여 있지않는 돌기에서는 원료퇴비자체의 교반효과에 의한 약간의 파쇄이의 거이 파쇄를 하지 못하여 충분하게 돌기의 역할을 할수 없었다.
파쇄상황에 대해서도 쓰레기의 드럼내 진입에 따라 소판의 설치된 부분에서는 개개의 같은 위상의 소판에 의하여 파쇄가 비교적 활발하게 진행되며, 여기를 통과하면 소판이 없기 때문에 파쇄를 거이 하지 못하는 부분으로 들어간 다음, 다시 소판에 의한 파쇄부분으로 들어가게 된다. 이상과 같이 간헐적으로 파쇄를 진행하였기 때문에 소판에 상대하는 돌기의 손모등을 발생하기 쉬울 뿐만아니라, 스크린 부분중 그 근처에 상대하는 소판이 없는 곳에서는 효율적인 파쇄분별이 진행되지 않는등의 결점이 있었다.
즉, 본 발명은 주축직경(Dl)과 원통형 스크린의 내경(D2)이 스크린의 공경 (d)에 대하여,3dD2-D1 50d로 되도록 퇴비의 정제장치를 구성하여 적어도 일부의 소판열의 상호간에 있어서, 주축에 따른 상방향의 소판 배치를 서로 다르게 하는 것에 의해서, 종래것의 상기 결정을 개량하여 광범위하게 돌기가 파쇄에 관여하여 처리량을 증가시키고 부하변동을 감소시켜서 돌기의 손모도 경감시킬 수 있는 퇴비의 정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급구와 배출구를 가지며 또한 원주 내면에 돌기를 가진 원통형 스크린을 회전가능 또는 고정하게 구성하여 이 원통형 스크린 내부에서 회전하는 소판을 돌기와 간격을 두어서 주축에 설치하고, 상기 주축직경(D1mm)과 원통형 스크린의 내경(D2mm)이 스크린의 공경(dmm)에 대하여,3dD2-D1 50d이며, 상기 소판이 대략 주축에 따라 순차 여러개 배치되어 소판열을 형성하고, 이 소판열이 주축의 원주에 소정의 위상차로 여러열을 설치하여 각 소판열의 소판은 적어도 일부의 소판열 상호간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비정제장치인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은 발명자들의 연구, 실험을 통하여 얻어진 다음과 같은 지견에 의거하여 장착된 것이다.
제1도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파쇄스크린 분별을 하게하는 퇴비정제장치를 사용하여 소판열의 위상차가 처리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이다
제2도 및 제3도는 소판열의 전개정면도이며, 제12도의 G,H,I,J의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여기서 제2도는 소판열에 위상차가 없는경우, 제3도는 소판열에 위상차가 최대의 경우를 도시한다. 단, 실험에서는 소판열은 4계열로 하고 소판수는 공통으로 하였다.
소판의 위상차의 파라메터로서, 소판의 연투영 길이를 정한다. 여기서 소판의 연투영 길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즉, 소판은 돌기와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파쇄정립을 하게되나, 그 임의의 하나의 돌기가 파쇄에 관여하는 돌기의 유효 길이를 소판의 연투영 길이로 한다. 여기서 돌기는 주축에 평행하게 부착되며, 돌기의 길이는 스크린의 길이와 같거나 긴 것으로한다.
이 소판 연투영 길이를 제2도, 제3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소판열에 위상차가 없는 경우 소판의 연투영 길이(L2)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L2=3×l로 되고, 한편 소판열의 위상차가 최대의 경우 소판의 연투영 길이(L2)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L2=12l로 된다. 여기서 L은1개당의 소판의 길이로 한다.
따라서 실험에서는 이 L2를 변화시켰을 경우의 처리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또 제1도에서는 소판의 연투영 길이의 비(比)(L)는 스크린의 길이(L1)에 대하여 소판의 연투영 길이(L2)의 비로 표시한다.
즉, L=L1/L2
또 처리량(Q)은 소판열에 위상차가 없을때(제2도 참조)의 처리량을 기준으로 하여,
로 표시한다
실험결과 다음의 것이 판명되었다. 즉,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소판열에 위상차를 두게하는 것에 의해서 퇴비정제장치의 처리량은 증대된다. 이것은 소판열에 위상차를 두게하는 것에 의해서 돌기가 광범위하게 파쇄, 정립작용에 관여하고, 스크린이 유효하게 이용된 것을 나타대고 있다. 또 퇴비정제장치의 처리량을 제외한 성능에 대한 각 파라메터에 관해서는 위상차의 유무에 관계없이 동일한 성능을 나타내였다.
제4도는 제10도 및 제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파쇄스크린 분별을 하게하는 퇴비정제장치를 사용하여 그 주축직경(D1mm)을 변화시켰을 경우의 실험결과이다. 여기서 원통형 스크린의 내경(D2) 600mm, 스크린의 공경(d) ψ7mm이며, 공시물(供試物)로서 2차 발효후의 조제퇴비를 사용하였다.
이 그래프에서 퇴비정제장치에 투입된 물질군 중에서 전퇴비화물을 100%로하고, 그중분별되어 스크린된 정제물질군 중에 들어간 퇴비화물의 중량비 및 동일하게 전비퇴비화물을 l00%로 하고, 그중 스크린의 구멍을 통하여 스크린된 정제 물질군 중에 혼입한 바람직하지 못한 비퇴비화물의 중량비를 분별율로 하여 증축으로 하고, 횡축에 원통형 스크린의 내경(D2)과 주축직경(D1)의 차로 된 분별율 그래프이다.
즉, D2-D1이 감소하였을때 퇴비의 회수율은 증가하고, 비퇴비화물의 분별도도 증가하나, 퇴비의 회수율의 상승만큼 급격하지는 않다.
이것은 제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주축과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원료의 통로로 되는 통로(4)가 원료의 립경(粒徑()ds)에 대하여 너무 넓었을때, 소판과 스크린의 돌기에 의한 파쇄의 기회가 적어지기 때문에 파쇄되지 않고 혹은 파쇄되어서도 스크린의 공경(d)보다 작게 파쇄되지 않아서 이물측으로 배출되는 퇴비의 비율이 증가하는 것에 있다. 이상의 점 및 제4도에서 원료의 통로로 되는 공간은,3dD2-D1 50d이 바람직하고, 3-40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5도는 제10도의 퇴비정제장치를 사용하여 수축직경(D1), 스크린의 내경(D2)을 일정하게 하고 스크린의 공경(d)를 변화 시켰을 경우의 비퇴비화물인 유리 및 플리스틱류가 스크린된 정제물질군 중에 혼입하는 바람직하지 못한 것의 분별율을 나타낸 것이다.
제5도에 의하여 즉, 스크린의 공경(d)이 8mm 이하의 경우에는 유리, 플래스틱류의 분별율이 낮으나, 8mm를 넘어서면 가늘게 파쇄되기 힘든 유리나 플래스틱류도 스크린의 구멍을 통과하여 그 분별율은 급격하게 증대된다. 또 공경(d)이 너무 작을 경우에는 퇴비화물이 너무 세분화되어 분진상(粉塵狀)으로 되어 취급하기가 곤란할 뿐만아니라 장치가 막키는 문제 또는 동력의 증가를 초래하여 바람직 하지않다.
따라서 스크린의 공경(d)은 d=3-8mm 정도가 바람직하고, d=5-7mm 정도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6도는 상술한 퇴비정제장치를 사용하여 장치에 투입되는 정제퇴비의 수분율과 스크린된 정제물질군 중에 분별되는 정제퇴비의 분별율을 나타낸 것이다.
제6도에 의하여 수분율이 10-40% 정도의 범위에서는 정제퇴비의 분별율은 대략 일정한 것이다. 그러나 작동상태의 관찰에 의하면, 수분율이 50% 이상의 경우에는 스크린 구멍의 부분에서 조제퇴비가 압밀, 고정되어 퇴비화물과 비퇴비화물이 혼합된 상태로 배출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 10% 이하의 범위에서는 스크린 구멍에서 분별된 정제퇴비가 너무 파쇄되어 세립화 하여 분진상으로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퇴비정제장치에 투입하는 조제퇴비의 수분율(W)은, W=10-50%(중량) 정도가 바람직하고, W=20-40%(중량) 정도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7도는 상술한 퇴비정재장치를 사용하여 스크린의 공경(d)를 일정하게 하고, 돌기와 소판의 간격(c)을 변화시켰을 경우의 비퇴비화물이 스크린된 정제물질군 중에 혼입하는 바람직하지 못한 비퇴비화물의 중량비 및 장치에 투입되는 전 퇴비화물을 100%로 하여 이중 분별되어 이 정제물질군 중에 들어간 퇴비화물의 중량비를 나타낸 것이다.
제7도에 의하여 즉, 간격(c)가 5mm 이하의 경우는 유리, 플래스틱류가 파쇄되어 스크린 구멍을 통과하고 그 분별율은 급격하게 증대된다. 또 간격(c)가 너무 컸을 경우는 퇴비화물의 분별율이 저하하여 장치의 처리능력은 대폭적으로 저하된다.
따라서 퇴비정제장치의 돌기와 소판의 간격(c)은 c=5-20mm 정도가 바람직하고, c=5-15mm 정도가 더욱 바람직하다.
제8도는 상술한 퇴비정제장치를 사용하여 스크린의 공경(d)를 일정, 또 돌기와 소판간격(c)를 일정하게하고, 돌기의 높이(h)를 변화 시켰을 경우, 스크린된 정제물질군 중에 분별되는 정제퇴비의 분별율을 나타낸 것이다. 제8도에서 돌기의 높이(h)는 15mm 이하이면 대략 일정한 것이며, h가 20mm 이하로 되면 만족할 수 있는 수치인 것이다. 또 제1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크린 위에 퇴적한 원료입자군은 돌기높이(h)가 소판과의 간격(c)과의 합계 h1이상으로 퇴적하였을 때에 파쇄작용을 받는다.
즉, 파쇄를 효율적으로 하게하기 위하여서는 h1을 작게하는 것이 필요한 것이다. 여기서 원통형 스크린과 소판의 간격(c)은 앞에 설명한 바와같이 비퇴비화물의 혼입율에서 결정하는 것으로 하면, 돌기의 높이(h)를 작게하는 것이 필요하다. 즉, 돌기의 높이(h)는, 5mmh20mm가 바람직하고, 5mmh15mm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9도는 도시쓰레기로부터 정재퇴비를 만드는 도시쓰레기 퇴비의 정제공정을 도시한 공정도이며, 혼합수집 또는 분별수집된 도시쓰레기는 기계적 분별공정(17) 및 차력선별공정(18)을 거쳐서 연질 플래스틱류, 금속, 표 등의 비취성(非脆性) 비퇴비화물 등이 제거된 후 다시 잔존하는 작은 절편이 제거되어 발효공정(19)으로 들어가 발효조에 의해서 발효하여 퇴비화된다. 일반적으로 건조 공정(20)은 발효공정(19)에서 행하여지나, 상기 기계적 분별공정(l7)에서 제거된 비퇴비화물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소각공정(23)으로 인도되어 소각로에서 소각되며, 이때에 발생한 연소열을 이용하여 앞에 설명한 바와같이 퇴비화된 원료가 건조공정(20)에 의하여 건조 조정되는 것도 있다. 이 건조공정(20)후 파쇄스크린 분별공정(21)에 의하여 파쇄, 정립, 스크린 분별되어 이물이 제거되고, 3-10mm 정도로 정립되어 정제퇴비로 수집된다.
한편 기계적 분별공정(17)에 있어서 파쇄가 진행된 후 스크린 분별작업에 의해서 제거된 연질플래스틱, 금속, 포, 피 등의 비퇴비화물은 다시 자선분별공정(22)에 의하여 자선(磁選)되어 철이 제거되고, 가연물을 주체로되는 것이 소각로로 보내져서 소각된다.
발효조에서 발생한 발효가스는 소각로에 인도되어 연소용 공기로 이용되는 동시에 악취성분이 연소되어 탈취된다.
상기 예에 있어서 파쇄스크린 분별공정(21)전에 진행되는 바효공정(19)은 1차 발효뿐인 경우 또는 1차, 2차 발효를 같이하게 하는 경우의 어느 경우에도 좋다.
상기 예에 있어서 기계적 분별공정(7)의 위치에 상당하는 공정으로서, 다음 각 항에서와 같은 공정을 적용할 수 있다.
(a), 기계적 분별공정(M)에 파쇄공정(S로하다)이 따르며 또한 S와 M이 변재의 공정으로 S, M의 순으로 직열로 접속되어 형성한 S+M로 되는 파쇄분별공정.
(b), 기계적 분별공정(M)에 파쇄공정(S)이 따르며 또한 S와 M이 동일 장치 내에서 동시에 진행하는 SM로 되는 파쇄분별일체공정.
상기(b)의 장치로 기계적 분별공정(17)의 장치로는, 예를들면 일본특허 출원 소48-34228, 48-95947, 48-95948등을 들수 있으며, 파쇄스크린 분별공정(21)의 장치로서는 본 발명의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파쇄스크린 분별기를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구동용 모터에 의해서 회전하는 원통형체의 원통형 스크린(8)과 이 중에서 전동기구(11)에 의해서 원통형 스크린(8)과 다른 속도로 회전하는 소판(1)을 구비하여 원료를 축방향으로 보내어 파쇄와 스크린분별을 반복하여 일체적으로 하게 하는 방식이며, 본 파쇄스크린분별기에 의하여 비퇴비화물(A)과 퇴비화물(B)은 용이하게 정제된다. 또한 소판(1)을 구비하지 않는 형식의 파쇄스크린분별기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소판(1)을 가지고 있는 것이 파쇄작용, 스크린분별작용이 신속, 확실하게 하는 것이다.
제10도의 퇴비정제장치를 제11도 내지 제12도를 의하여 설명하면, 일단에 퇴비화 원료의 공급구(12), 타단에 배출구(13)를 가지고 또한 공급구(12)와 배출구(13)의 중간부에 원주면이 공정(d)의 원통형 스크린(8)를 형성하고 이 원통형 스크린(8)의 내주면에 돌기(9)를 가진 원통형 드럼을 회전가능하게 구비하여 이 드럼의 내부에서 회전하는 소판(1)이 돌기(9)에 간격(c)를 두고서 주축(2)에 설치되어 있다.
이 소판(1)은 주축에 평행하게 일직선상에 순차 배설되어 소판열(G),(H),(I),(J)율 형성하고, 이것이 주축(2)의 원주에 90도씩의 위상차로 배설되어 각소판열(G),(H),(I),(J)의 소판(1)의 주축(2)에 따른 방향의 배치는 서로 다르게 하고 있다.
또 원통형 스크린(8)의 임의의 축진각평면내에서 어느 한 위상으로 소판(1)이 배치되게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제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소판(1)과 소판(1)사이에 형성된 통로(4)의 내측열의 외경이 배출구(13)측으로 향해서 점차 크게 되도록 사변을 가진 삼각형의 유도부(5)를 구비하여도 좋다.
구측(2)의 직경(D1)과 원통형 스크린(8)의 내경(D2)이 스크린의 공정(d)에 대하여 MD2-D1 50d가바람직 하고,3dD2-D1 40d가 보다 바람직 하니,3dD2-D1 30d가 더욱 바람직하다.
원통형 스크린(8)의 원주면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작은 구멍의 공정(d)는 3-8mm 정도로 하고, 더욱 바람직하기는 5-7mm 정도로 하는 것이 좋다.
또 돌기(9)와 소판(1)의 간격(c)은 5-20mm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15mm 정도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드럼은 원통형 드럼을 사용하여 수평 홈은 축방향으로 약간 경사지게 설치하거나 혹은 원뿔형드럼을 사용하여 외부모터에 의하여 구동되도록 함과 동시에 베어링(10)(l0)으로 지승되는 주축(2)이 드럼내를 관통하고 있어 이 주축(2)에는 원통형 스크린(8)의 위치에 대응하여 소판(l)이 일체로 되어 회전하도륵 설치하여 있어 풀리 및 벨트의 전동기구(11)를 재재하여 별도의 모터에 의하여 드럼과 다른 속도로 구동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드럼은 회전자재의 구성으보 하고 있으나, 일부 또는 전부를 고정드럼으로 할 수도 있다.
원통형 스크린(8)는 고정되어 있어도 좋으나, 회전시키는 편이 전도효과(轉倒效果)에 의하여 파쇄가 조장되며 또 스크린 분별작용도 활발하게 진행될 뿐만아니라 스크린이 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4는 통로이며, 금속등의 경질강도가 큰 것이 돌기(9)와 소판(1) 사이에 끼워들어서 고장을 이르키지 않게 튕겨지는 금속등의 도피로로 설치한 것임으로 충격방지에 역할을 하고 있다. 6은 고정원통, 7은 원료공급슈우트이다.
주축은 단면이 각형으로도 좋으나, 공간율을 적게 하기 위하여 원형으로 하는 것이 좋다.
또 제1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주축은 투입부에서 배출구로 향하여 점차 증대하게 하면 좋다. 즉, 파쇄스크린 분별장치내의 어느 임의의 단면을 선택하면(제14도 참조) 이 단면에 대한 투입을 W로 하고, 이 단면의 스크린 구멍에서 배출되는 것을 P로 하면, 이 단면에서 다음 단면으로의 투입 R은 R=W-P로 되기 때문에 장치로서는 투입부에서 배출구로 향함에 따라 처리량은 감소하는 것이어서 무리가 없는 공간을 유지할수 있게 하는데 있다.
원통형 스크린(8)의 배출구단에 있어서의 주축(2)의 직경(이것을 본 발명 명세서에서는 최대직경 D1max로 칭한다)과 원통형 스크린(8)의 내경(D2)이 스크린의 공정(d)에 대하여 3dD2-D1max50d가 바람직하고, 3dD2-D1max40d가 보다 바람직 하며, 3dD2-D1max30d가 더욱 바람직 하다.
발효공정에 의하여 제조된 퇴비화 원료로서의 조제퇴비를 공급구(12)에 일정량을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일정시간 체류시키면 퇴비화율(B)은 먼저 파쇄되어 스크린을 통과하여 배출구(14)로 배출되고, 유리, 플라스틱 기타 비퇴비화물(A)은 스크린에 걸려서 배출구(13)로 배출분별된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소판열(G),(H),(I),(J)의 소판(1),(1')의 축방향 배치가 서로 다름으로 모든 돌기(9),(9')에 균일하게 소판(1),(1')에 의한 파쇄력이 가해져서 돌기(9),(9')의 효과를 충분하게 발휘할 수 있으며, 또 도시쓰레기등의 드럼내 통과도 연속적으로 원활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동력의 부하변동도 감소시킬 뿐만아니라 동기(9),(9')의 손모도 대폭적으보 감소된다. 또 돌기(9),(9')가 없는 스크린부분에서도 소판(1),(1')에 의하여 스크린에서의 파쇄도시쓰레기 등의 배출이 강제적으로 진행되어 스크린의 구멍이 막키는 것을 방지하고, 처리량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여 돌기가 광범위하게 파쇄작용에 관여하여 동력의 변동을 완화시킬 뿐만아니라 돌기의 손모를 현저하게 경감시킬 수 있는 파쇄분별장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실용상 매우 큰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 공급구와 배출구를 가지며 또한 원주내면에 돌기를 가진 원통형 스크린을 회전가능 또는 고정하게 구성하여 이 원통형 스크린 내부에서 회전하는 소판을 돌기와 간격을 두어서 주측에 설치하고, 상기 주축직경(D1mm)과 원통형 스크린의 내경(D2mm) 이 스크린의 공경(dmm)에 대하여, 3dD2-D1 50d이며, 상기소판이 대략 주축에 인하여 순차 여러개 배설되어 소판열을 형성하고, 이 소판열이 주축의 원주에 소정의 위상차로서 여러열을 설치하여 각 소판열의 소판은 적어도 일부의 소판열 상호간에 있어서 축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비의 정제장치.
-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서 원통형 스크린의 임의의 축직각 평면내에 있어서, 어느 한 위상으로 소판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비의 정제장치.
-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서 원통형 스크린의 공경(d)이 d=3-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비의 정제장치.
-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서 돌기와 소판의 간격(c)이 c=5-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비의 정제장치.
-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서 돌기의 높이(h)가 5mm≤h≤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퇴비의 정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57-113998 | 1982-07-02 | ||
JP113998 | 1982-07-02 | ||
JP57113998A JPS598686A (ja) | 1982-07-02 | 1982-07-02 | 堆肥の精製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40004047A KR840004047A (ko) | 1984-10-06 |
KR900006868B1 true KR900006868B1 (ko) | 1990-09-24 |
Family
ID=146264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30001079A KR900006868B1 (ko) | 1982-07-02 | 1983-03-17 | 퇴비의 정제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S598686A (ko) |
KR (1) | KR90000686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21980A (ja) * | 1988-07-11 | 1990-01-24 | Satake Eng Co Ltd | 色彩選別機の透明板清掃装置 |
-
1982
- 1982-07-02 JP JP57113998A patent/JPS598686A/ja active Granted
-
1983
- 1983-03-17 KR KR1019830001079A patent/KR900006868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S6144840B2 (ko) | 1986-10-04 |
JPS598686A (ja) | 1984-01-17 |
KR840004047A (ko) | 1984-10-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623515A (en) | Process for producing fibrous and granular materials from waste | |
KR100441917B1 (ko) | 음식물찌꺼기 자동선별 분쇄장치 및 그 이물질 선별방법 | |
US3941689A (en) | Apparatus for sorting waste for disposal | |
US11180391B2 (en) |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solid waste | |
CA1144870A (en) | Equipment for filtering, grading and cleaning of material | |
EP0243819B1 (de) | Verfahren zum Trennen in Fraktionen einer heterogenen Menge aus festem Material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 |
EP3370889B1 (en) |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solid waste | |
US6126096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recovering fractional components of carpet | |
CN113164889A (zh) | 用于从污染的有机物-无机物废物流中分离有机物的设备和方法 | |
DE2849509A1 (de) | Einrichtung zur aufbereitung von muell | |
US6398138B1 (en) | Method of extracting nylon fiber from a comminuter | |
US20190381520A1 (en) | Method and apparatus to remove contaminants from an organics waste stream and filtering light organics from fluids | |
CH650172A5 (de)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aser- sowie eines granulatmaterials aus abfaellen, anlage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und verwendung des faser- und granulatmaterials. | |
KR900006868B1 (ko) | 퇴비의 정제장치 | |
JP3509714B2 (ja) | 生ごみ破砕分別装置および生ごみ処理装置 | |
JP2005199132A (ja) | 可燃ごみ選別システム | |
US6409106B1 (en) | Drum intended for a machine for processing waste and a corresponding machine | |
KR20010016759A (ko) | 쓰레기 선별효율 증진을 위한 칼날이 장착된 회전 드럼형 장치 | |
KR100458935B1 (ko) |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이물질 선별장치 | |
US4345720A (en) | Apparatus for the treatment of solid, granular and/or lumpy materials | |
KR200255183Y1 (ko) | 음식물 쓰레기 자동 선별기 | |
KR200331279Y1 (ko) | 수평 다단식 회전 디스크 선별기 | |
CN206996697U (zh) | 垃圾破碎装置 | |
WO2019245816A1 (en) | Method and apparatus to remove contam-inants from an organic wastestream | |
CN206996744U (zh) | 大件垃圾处理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J2X1 |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60 |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0917 Year of fee payment: 13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