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564Y1 - 이온 수기의 전해조 - Google Patents

이온 수기의 전해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564Y1
KR900006564Y1 KR2019880004455U KR880004455U KR900006564Y1 KR 900006564 Y1 KR900006564 Y1 KR 900006564Y1 KR 2019880004455 U KR2019880004455 U KR 2019880004455U KR 880004455 U KR880004455 U KR 880004455U KR 900006564 Y1 KR900006564 Y1 KR 9000065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lectrolytic cell
ferrite
diaphragm
ion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44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9258U (ko
Inventor
이정재
Original Assignee
이정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재 filed Critical 이정재
Priority to KR20198800044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6564Y1/ko
Publication of KR8900192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92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5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564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5Electrolytic cell with membranes or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45Fluid flow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이온 수기의 전해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전해조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뚜껑과 유도대를 제외한 전해조의 평면 상태도.
제3도는 뚜껑과 유도대를 결합한 전해조의 평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전해조중 유입구 부분의 종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전해조의 격막을 따라 이동하는 물의 흐름 상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전해조를 통과하여 이온화된 물의 배출상태도로서, (a)는 산성수의 배출 상태를 보인 단면도, (b)는 알칼리수의 배출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해조 2 : 전해대
3 : 전해조케이스 4 : 유입구
4 : 전 5,5' : 유출구
10,10'10" : 스텐판 13,13' : 훼라이트판
15 : 유도대 18 : 격막지지대
19 : 격막 20,21 : 유로
18a,18b,18c,18d,18e,18f : 개구
본 고안은 전기적인 분해 작용으로 물을 알칼리수와 산성수로 분리 생성시키는 이온 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물이 수평 방향으로 흐르면서 음료용인 알칼리수와 미용용인 산성수로 분리 배출되게 하는 이온수기의 전해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온수기 전해조에는 스텐레스 음전극과 훼라이트 양전극을 대부분 수직 상태로 설치하여 물의 이동방향이 전해조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이동하는 이온 과정을 거치거나 또는 전해조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이동하는 이동 과정을 거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물의 수직 이동 경로는 물의 이동 거리가 짧기 때문에 수압이 증가할 경우 완전 이온화 되지 않은 상태로 배출되는 경향이 있어 성능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해조의 이동 경로를 종래의 수직 방향으로 바꾸면서 물의 이동 경로를 증가시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이 증가하여도 물의 이온화가 확실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과 함게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대한 전해조의 사시도인 것으로 전해조(1)는 물의 유입과 배출을 유도하기 위한 기능과 스텐 음전극과 훼라이트 양전극에 의한 전기 분해 기능을 갖는 전해조(2)로 구성된다. 전해대 상부에는 제2도의 전해조 평면상태와 일측의 상면에 물의 유입구(4)를 설치하여 물이 전해조로 공급되게 하고, 타측의 상면에는 알칼리수용과 산성수용, 유출구(5)(5')를 별개로 설치하여 전해조를 통과할 때 생성되는 산성수 5'의 유출구로 알칼리수는 5의 유출구로 빠져나오게 된다.
따라서 유입구(4)와 유출구(5)(5')사이에는 유도를 형성하기 위한 스텐판(10)(10')(10")과 훼라이트판(13)(13')를 설치하는데 그 구성은 제1도에 표현된 상태와 같이 판상의 형상을 갖추고 있는 상면에 양전극과 음전극 연결용 나사축(11)(11')(11")(14)(14')이 설치되어 있고 이는 전해대에 사출 성형시 설치하거나 산성수에 의한 녹물의 생성을 방지하기 의해 훼라이트를 고정용 인서트를 별도로 만들어 인서트 위에 전해조를 사출 성형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스텐판과 훼라이트판 사이에 수평 이동용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서 형성하는 유도대(15)는 격막(19)과 격막을 지지하는 격막 지지대(18)으로 구성된다.
상기의 격막(19)은 격막 지지대(18)에 고정되게 하며 격막지지대(18)의 일측 상측에서부터 타측에 이르기까지 턱이 낮아 물이 쉽게 이동할수 있는 개구(18a)(18b)(18c)(18d)(18e)(18f)를 형성하되, 격막(19)의 양쪽을 지지하는 격막(18)의 모두에 상기의 개구를 형성하면서 유도대(15)는 훼라이트판(13)을 감쌓을 수 있는 ""형으로 형성함이 조립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스텐판(10)(10')(10")의 나사축(11)(11')(11")을 전해대(2)에 끼워 통상의 너트를 조여 고정한 다음 훼라이트판(13)(13')의 나사축(14)(14')로 스텐판사이의 전해대(2)에 끼워 통상의 너트를 조여 고정하여서 스텐판의 나사축(11)(11')(11")을 도체선으로 접속 시키며, 훼라이트판의 나사축(14)(14')도 도체선으로 접속시킨다.
상기와 같이 조립하며 전해대(2)에 스텐레스 음전극과 훼라이트 양전극이 형성한다.
이상태에서 ""형의 유도대(15)가 훼라이트판(13)(13')을 감쌓을수 있게 삽입하면 유도대(15)의 격막 지지대(18)에 형성된 수개의 개구(18a)------(18f)에 의해 훼라이트판(13)(13')양측면으로 산성수용유로(20)가 형성되고 스텐판(10)(10')(10")과 유도대(15)사이에는 알칼리수용 유로(21)가 형성된다.
따라서 유도대(15)삽입으로 산성수 유로(20)는 전해대(2)의 타측에서 배출공(8)(8')이 뚫린 가이드구(7)가 끼워진 유출구(5)와 연결되고 알칼리수의 유로(21)는 전해대(2)의 타측 유출구(5')에 연결되고 이때 유출구(5')에는 유로(21)로부터 원활한 알칼리수 배출을 가이드홈(6)(6')이 격판에 절개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도대(15)가 조립된 전해대(2)의 상부 전해조 케이스(3)을 설치하여 훼라이트판(13)(13')과 스텐판(10)(10')(10")사이를 밀폐시킴과 동시에 전해대(2)와도 밀폐시키면 전해조(1)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전해대(2)의 나사축(11)(11')(11")(14)(14')에 각각의 양전극과 음전극에 전원을 인가하고, 전해조(1)의 유입구(4)에 용수공급용 호스를 연결하면 전원은 훼라이트 양전극과 스텐레스 음전극에 공급되고 물은 유도대(15)의 개구(18a)까지 차올라, 알칼리수용 유로(20)와 산성수용 유로(21)로 유입되면, 유입된 물은 격막 지지대(19)의 개구(18a)(18b)(18c)(18d)(18e)(18f)를 지그재르로 유로(20)(21)를 통과하게 될 때 물은 훼라이트양 전극에 의해서 미용용으로 사용되는 산성수로 이온화 되고, 스텐레스 음전극에 의해 음료용으로 사용되는 알칼리수로 이온화되어 산성수는 유도대(15)를 내부에서 연결되는 가이드구(7)의 배출공(8)(8')으로 유출구(5')를 빠져나가 공급되고 알칼리수는 유도대(15)를 빠져나와 격판의 절개홈(6)(6')을 통해 유출구(5)로 배출되어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이온화 과정에서 본 고안은 격막 지지대에 개구가 지그재그식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온화 되는 물도 그 이동이 지그재그식으로 되어 단위 면적당 접촉면적이 종래의 것보다 현저하게 커서 이온화의 효과가 높은 이점이 있고, 특히 유로가 지그재그 형태인 관계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이 증가하여도 유로의 형태에 의해 물의 이동 속도가 급격히 증가하지 않게 되므로서 이온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별도의 전해조를 구성하기 때문에 그 설치 상태가 수직수평에 관계 없이 이온수기의 설치 위치가 자유로워지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양극(+)에 연결하는 훼라이트와 음극(-)에 연결하는 스텐봉 사이로 격막(19)을 설치하여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물을 유입구(4)로 주입되는 물을 전해대(2)에서 알칼리수와 산성수로 이온화시키는 이온 수기의 전해조에 있어서, 전해대(2)일측에 형성한 유입구(4)와 타측에 형성하는 산성수 전용 및 알칼리수 전용 유출구(5)(5') 사이에 수개의 스텐판(10)(10')(10")과 훼라이트판(13)(13')을 교호적으로 설치 고정하면서 스텐판(10)(10')(10")과 훼라이트판(13)(13')사이로 격막(19)이 설치된 ""형상의 유도대(15)를 끼워 전해대의 유입구(4)와 유출구(5)(5')가 연결되는 유로(20)(21)를 형성하고, 상기 유로(20)(21)는 유도대(15)의 격막 지지대(18)에 형성하는 개구(18a)(18b)(18c)(18d)(18e)(18f)와 뚜껑(3)의 결합에 의해 설치 각도에 제한없이 물이 지그재그식으로 이동하면서 이온화 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 수기의 전해조.
KR2019880004455U 1988-03-31 1988-03-31 이온 수기의 전해조 KR9000065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4455U KR900006564Y1 (ko) 1988-03-31 1988-03-31 이온 수기의 전해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4455U KR900006564Y1 (ko) 1988-03-31 1988-03-31 이온 수기의 전해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9258U KR890019258U (ko) 1989-10-05
KR900006564Y1 true KR900006564Y1 (ko) 1990-07-26

Family

ID=19273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4455U KR900006564Y1 (ko) 1988-03-31 1988-03-31 이온 수기의 전해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65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663A (ko) * 2002-01-18 2003-07-28 방준호 고효율 전해수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663A (ko) * 2002-01-18 2003-07-28 방준호 고효율 전해수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9258U (ko) 198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4120A (en) Membraneless water electrolyzer
MY118404A (en) Liquid purification apparatus.
JP2794036B2 (ja) 連続式電解水生成装置
US455266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ions from a liquid
US5460706A (en) Electrolytic cell for the generation of hypo halogenites for water treatment
US5985109A (en) Electrolytic cell
KR900006564Y1 (ko) 이온 수기의 전해조
JP3885027B2 (ja) 電解槽
US5637204A (en) End casing for an electrodialyzer electrodialyzer equipped with such a casing and use of the said electrodialyzer
KR101226029B1 (ko) 이온 분리 하우징
US3255048A (en) Sea water battery
US20030145893A1 (en) Switching valve for ion water generator
KR102228562B1 (ko) 수소 발생 장치
JP3597619B2 (ja) 次亜液生成用の塩水電解装置
CN213309297U (zh) 一种方便装配的电解净化装置
KR102616454B1 (ko) 수전해 방식의 수소발생장치
KR100523284B1 (ko) 은이온수 제조장치
US4761215A (en) Device for silverizing water
KR102188770B1 (ko) 브라운 가스 발생 장치
JPH0529118Y2 (ko)
US6967009B2 (en) Ozone generator
JPS5847985Y2 (ja) 連続式イオン整水器の乱流防止装置
EP0538474A4 (en) Electrolytic vessel for producing hypochlorite
KR102228568B1 (ko) 브라운 가스 발생 장치
US4769120A (en) Device for silverizing water, and electrode for th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