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463B1 - 좌우 핀구션형 왜곡 보정회로 - Google Patents

좌우 핀구션형 왜곡 보정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463B1
KR900006463B1 KR1019860004305A KR860004305A KR900006463B1 KR 900006463 B1 KR900006463 B1 KR 900006463B1 KR 1019860004305 A KR1019860004305 A KR 1019860004305A KR 860004305 A KR860004305 A KR 860004305A KR 900006463 B1 KR900006463 B1 KR 900006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ircuit
vertical deflection
current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4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0821A (ko
Inventor
시게루 가시와기
Original Assignee
니뽕 빅터 가부시끼가이샤
이노우에 도시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뽕 빅터 가부시끼가이샤, 이노우에 도시야 filed Critical 니뽕 빅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70000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0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3/0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 H04N3/10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 H04N3/16Scanning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Combination thereof with generation of supply voltages by means not exclusively optical-mechanical by deflecting electron beam in cathode-ray tube, e.g. scanning corrections
    • H04N3/22Circuits for controlling dimensions, shape or centering of picture on screen
    • H04N3/2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 H04N3/233Distortion correction, e.g. fo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S-correction using acti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좌우 핀쿠션형 왜곡 보정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을 이루는 좌우 핀쿠션형 왜곡 보정회로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럭 계통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 불럭 계통중 요부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체적 회로도.
제3도는 본 발명을 이루는 좌우 핀쿠션형 왜곡 보정회로의 제2실시예에 대한 회로 계통도.
제4도는 제2도에 도시된 회로 계통중 전자 감쇠기의 동작 설명용 특성도.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회로중의 가포화 리액터의 동작 설명도.
제6도는 좌우 핀쿠션형 왜곡을 설명하는 도면.
제7도 및 제8도는 각각 종래의 좌우 핀쿠션형 왜곡 보정회로의 일예를 도시한 회로 계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직 편향 출력단 2 : 수직 편향 코일
3 : 파형 정형 회로 4 : 수평 편향 출력단
5 : 수평 편향 코일 6 : 변조기
7 : 주파수-전압(F-V)변환회로 8 : 전자 감쇠기
9 : 포물선형파입력 단자 10 내지 12 : 연산중폭기
13 : 가포화 리액터 13a : 제어 코일
13b : 피제어 코일 C,C1,C2,C4,C5: 콘덴서
C3,C6,C8,C9: 결합 콘덴서 C7: 평활 콘덴서
C10: S자 보정용 콘덴서 D1내지 D4: 다이오드
Es: 기준 전압원 Q1내지 Q3: 트랜지스터
R1: 베이스 저항 R2내지 R4,R6,R8,R14: 저항
R5,R16: 베이스 바이어스 저항 R7: 콜렉터 부하 저항
R9,R10: 바이어스 저항 R11,R12,R15: 귀환용 저항
R13: 방전 저항 R17: 에미터 부하 저항
본 발명은 좌우 핀쿠신형 왜곡 보정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수직 편향 주파수를 가변한 경우에 있어서도 항상 일정한 좌우 핀쿠신형 왜곡 보정을 행하는 좌우 핀쿠신형 왜곡 보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상의 광각 컬러 수상관을 사용한 경우, 콘버전스 미스가 최소로 되도록 편향 코일을 설계하면, 수상관면의 라스터 형상은 제6도에서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본래의 구형으로는 되지 않고, 특히 좌우변이 활모양으로 내측으로 만곡하는 소위 좌우 핀쿠션형이 발생한다.
제7도는 종래의 좌우 핀쿠신형 왜곡 보정 회로의 일예의 회로 계통도를 도시한다. 동일 도면중, 수직 편향 출력단(1)은 수상관의 경부(도시하지 아니함)에 장착된 수직 편향 코일(2)에 톱니형파 전류 Iv(수직 편향 전류 Iv)를 통해서 수상화면의 수직 방향의 편향을 향함과 동시에, 상기 수직 편향 전류 Iv를 파형 정형회로(3)에 공급하고, 거기에서 수직 편향 주기의 포물선형파 Vp를 생성한다.
한편 수평 편향 출력단(4)은 역시 상기 수상관의 경부에 장착된 수평 편향 코일(5)에 톱니상파 전류 IH(수평 편향 전류 IH)를 통해서, 수상화면의 수평 방향의 편향을 향함과 동시에, 상기 수평 편향 전류 IH를 변조기(6)에 공급한다.
상기 변조기(6)는 일단이 접지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 편향 전류 IH의 톱니상파의 포락선이 상기 수직편향 주기의 포물선형파 Vp로 되도록 수평 편향 전류 IH를 포물선형파 Vp로 진폭 변조한다. 이 결과, 제6도에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 핀쿠션형 왜곡이 보정된다.
그런데, 상기의 종래 좌우 핀쿠션형 왜곡 보정 회로에서는, 기기의 취급하는 수직 편향 주파수가 일종류로 한정되어 있는 경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좌우 핀쿠션형 왜곡이 보정되나, 복수의 수직 방향 주파수에 대응하려면 상기 포물선형파 Vp의 진폭은 그 수직편향 주파수에 반비레하여 변화해버려, 적절한 좌우 핀쿠션형 왜곡 보정이 행해지지 않게 되어버린다.
이런 사실에 대해, 제8도에 도시하는 회로 계통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을 한다. 동일 도면중, 제7도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여기에서, 수직 편향 출력단(1)에 일단이 접속된 수직편향 코일(2)의 타단은 콘덴서(C)를 거쳐서 접지되어 있으며, 이 콘덴서 C의 양단에 발생하는 전압을 상기포물선형으로서 이용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수직 편향 코일(2)에 통하는 수직 편향 전류 Iv의 순시치 i는 수직 편향 주기를 T, 그것의 톱니상파의 진폭을 a, 및 시간을 t라 하면,
i=(a/T)·t (식1)
로 표시된다. 따라서, 콘덴서 C의 양단에 발생하는 전압 Vc는,
Vc={1/(CT)}· idt={a/(2CT)}·t2...................................... (식2)
으로 표시되고, 이 전압 Vc의 제로 피크치 Vp는 t=T/2인때의 전압치로서 부여되기 때문에,
Vp=[Vc]t=T/2=aT/(qc) ............................................................ (식3)
로 표시된다. 이 전압 Vp을 피크치로 하는 상기 포물선형파는 수직 편양주기 T에 비레, 즉 수직 편향 주파수에 반비레해서 변화되어 버린다.
상기 제8도에 도시하는 회로 계통도 이외에도 수직 편향 주기의 포물선형파 전압을 생성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지만, 어느것이나 적분을 사용하는 한 주파수에 의해 그 진폭이 변화해 버리는 것에 변함이 없고, 이것을 그대로 사용해서 핀쿠션형 왜곡의 보정을 할수는 없고, 취급 수직 편향 주파수가 변할때마다 조정을 고쳐 해야 할 필요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컴퓨터 디스플레이 장치로서는 그 수직 편향 주파수는 상대의 컴퓨터에 의해, 예컨대 40Hz 내지 90Hz정도까지 여러 종류의 값이 존재하므로, 이들의 각 수직 편향 주파수에 대응하여 그때마다 조정을 고쳐하는 일이 없이, 자동적으로 대응되는 좌우 핀쿠션형 왜곡 보정 회로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기의 취급하는 수직 편향 주파수에 불구하고 좌우 핀쿠션형 왜곡의 보정량을 항상 일정하게 함으로써, 상기 문제점을 해결한 좌우 핀쿠션형 왜곡 보정 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을 이루는 좌우 핀쿠션형 왜곡 보정 회로는 수직 편향 주기에 비례한 직류 전압을 생성하는 수단과, 수직 편향 주기의 포물선형파가 공급되고, 상기 직류 전압치에 거의 비레하여 상기 포물선형파의 진폭을 감쇠시키는 전자 감쇠기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자 감쇠기에 의해, 수직 편향 주파수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상기 포물선형파의 진폭을 늘 거의 일정하게 한 후, 이 포물선형파로 수평 편향 전류를 진폭 변조한다. 이와같이 하여, 수상 화면의 좌우 핀쿠션형 왜곡의 보정량을 늘 거의 일정하게 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을 이루는 좌우 핀쿠션형 왜곡 보정 회로의 제1실시예의 블럭 계통도를 도시한다. 동일도면중, 제7도 및 제8도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 부분의 설명은 적절하제 생략한다. 여기에서, 도시하지 아니한 전단에서의 수지 동기 신호 P는 수직 편향 출력단(1)에 공급되고, 그것에 동기한 상기 톱니파의 수직 편향 전류 Iv가 생성됨과 함께, 상기 수직 동기 신호 P는 주파수-전압(F-V)변환회로(7)에 공급된다. 상기 F-V변환회로(7)는 들어오는 수직 동기 신호 P의 주파수에 의하여그 전압치가 변화하는 직후 전압 Ef을 생성하고, 이것을 전자 감쇠기(8)에 공급한다. 이 전자 감쇠기(8)는 파형 정형회로(3)에서 단자(9)를 거쳐서 공급되는 상기 포물선형파 Vp를 상기 직류 전압 Ef의 값에 의하여 감쇠시키고, 수직 동기 신호 P의 주파수(수직 편향 주파수)에 불구하고 항상 그 진폭이 일정해지는 포물선형파 Vp를 생성하며 이것을 변조기(6)에 공급한다. 이와같이 구성함으로써, 변조기(6)에 의한 좌우 핀쿠션형 왜곡의 보정량은 수직 편향 주파수에 변화에도 불구하고, 늘 거의 일정해진다.
제2도는 상기 제1실시예중 F-V변환회로(7) 및 전자 감쇠기(8)의 일실시예의 구체적인 회로도를 도시한다. 동일 도면중, 제1도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있다. 여기에서 F-V변환회로(7)는 에미터 접지 NPN형 트랜지스터 Q1과, 그 베이스 저항R1과, 그 콜렉터에 각각 접속된 전류원 I1, 일단이 접지된 콘덴서 C1및 저항 R2와, 일단이 접지되고, 또한 그 타단이 저항 R2을 거쳐서 트랜지스터 Q1의 콜렉터에 접속된 평활콘덴서 C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자 감쇠기(8)는 일본 특허공개 소화 제53-44100호 공보에 의한 것으로, 직렬로 접속된 저항 R3및 일단이 접지된 저항(R4)과, 에미터 접지 NPN형트랜지스터 Q2와, 그 애노드가 Q2의 베이스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저항 R3과 R4과의 접속점에 그 캐소드가 각각 접속된 다이오드 D1와, 트랜지스터 Q2의 베이스 콜렉터간에 접속된 베이스 바이어스 저항 R5과, 트랜지스터 Q2의 콜렉터에 각각 접속된 저항 R6및 일단에 직류 전된 전압 +Vcc이 인가된 콜렉터 부하 저항 R7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회로에 있어서, 저항 R1을 거쳐서 그 베이스에 들어오는 상기 수직동기 신호 P에 의하여, 트랜지스터 Q1은 온 또는 오프 상태를 고대로 되풀이 한다. 상기 수직 동기 신호의 펄스폭 구간에 있어서, 이 트랜지스터 Q1가 온되면, 일단에 직류 전된 전압 +Vcc이 부가되어 있는 전류된 I1의 타단은 트랜지스터 Q1의 콜렉터 에미터 간을 거쳐서 접지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 Q1의 콜렉터 전위는 제로로 된다. 한편, 수직 동기 신호 P의 정극성 펄스 부분이 없어지면, 트랜지스터 Q1이 오프되고, 콘덴서 C1이 전류된 I1에 의해 직류 전압된 +Vcc에서 충전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 Q1의 콜렉터 전압 Ec은 직선적으로 증가하여 간다. 그래서, 수직 동기 신호 P의 다음의 정극성 펄스폭에서 또다시 트랜지스터 Q1가 온되면, 상기 콘덴서 C1에 충전된 전하가 트랜지스터 Q1의 콜렉터 에미터를 거쳐서 방전되므로, 콜렉터 전압 Ec의 전압 파형은 톱니파형으로 되고, 그 파고치는 수직 동기 신호 P의 주기에 비레하여 증가한다. 따라서, 이 콜렉터 전압 Ec을 저항 R2와 콘덴서 C2로 평활하게 하여 얻은 직류 전압 Ef는 수직 동기 신호 P의 주기에 비례, 즉 수직 편향 주파수에 반비례 한다.
한편, 전자 감쇠기(8)의 트랜지스터 Q2는 그 베이스에 들어오는 전압에 의하여 콜렉터·에미터간의 등가저항이 변화하고, 또한, 그 콜렉터 전압대 콜렉터 전류(VC-Ic)특성은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거의 직선상으로 되고, 더우기 상기 직류 선압 Ef에 의하여 그 경사가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즉, 상기 수직 편향 주기 T에 비례하여 직류 전압 Ef가 증가하면, Vc-Ic 특성의 경사가 급하게 된다. 이 일은, 트랜지스터 Q2의 콜렉터·에미터간의 등가 저항에 적어진 것에 해당한다. 이로 인하여 수직 편향 주기 T의 증대에 수반하여, 단자(9)를 거쳐서 들어오는 포물선형파 Vp의 진폭이 커져도, 저항 R6과 상기 트랜지스터 Q2의 콜렉더·에미터간의 등가 저항에 의한 분압비가 커져서, 결국 전자 감쇠기(8)에서 출력되는 포물선형파 Vp1의 진폭은 수직 편향 주기 T에 불구하고 일정하게 된다.
이같은 포물선형파 Vp1는 제1도에 도시하는 변조기(6)에 공급된다. 이 변조기(6)로서는 잘 알려진 단순한 가포화 리액터에 의한 것이나, 혹은 수평 편향 출력단의 전원 전압을 변조하는것 등이 있으나, 실제회로의 일예로서는 다음의 제3도의 일부에 도시하여 둔다.
제3도는 본 발명을 이루는 좌우 핀쿠션형 왜곡 보정 회로의 제2실시예의 회로 계통도를 도시한다. 동일도면중, 제1도 및 제8도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 구성 부분의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에서, R8은 수평 편향 코일(5)에 흐르는 수평 편향 전류 IH를 전압 VH1으로 변환하기 위한 저항, C3은 결합 콘덴서, (10)은 연산중폭기, R9및 R10은 각각 연산 증폭기(10)의 바이어스 저항, R11및 R12는각각 연산 중폭기(10)의 궤환량을 결정하는 저항, C4는 직류 저지용 콘덴서를 각각 도시한다. 이와같이 구성하면, 연산증폭기(10)의 출력단에는 전압 VH1교류분이 중폭된 전압 VH2가 나타난다.
상기 전압 VH2은 다이오드 D2, 방전 저항 R13및 콘덴서 C5에 의해 포락선 검파된다. 이 결과, 콘덴서 C5의 양단에서 수평 편향 코일의 수직 편향 주기 포물선형과 변조 성분에 비레한 포물선형파 Vp2가 얻어진다. 이 포물선형파 VP2는 다음에 결합 콘덴서 C6, 정류용 다이오드 D3, D4및 평활콘덴서 C7로 이루어지는 정류 회로에 의해 포물선형파 Vp2의 피크-피크치에 비레하는 직류 전압 E0으로 변환된다. 연산 증폭기(11)는 들어오는 상기 직류 전압 E0과 기준 전압 E6에 비례하고, 양자의 차에 의한 출력 신호를 전자 감쇠기(혹은 가변 저항 회로)(8)에 공급한다.
상기 전자 감쇠기(8)는 상기한 바와 같이, 들어오는 포물선형파 Vp를 연산 증폭기(11)에서 공급되는 출력 신호의 값에도 불구하고 항상 일정한 진폭을 갖는 포물선형파 Vp1로 변환하여 연산 증폭기(12)의 비반전입력 단자에 공급한다. 다른 한편, 상기 포물선형파 Vp2는 결합 콘덴서 C 및 입력 저항 R14을 거쳐서 포물선형파 VP3로 되고, 연산 중폭기(12)의 반전 입력 단자에 공급된다 또한, R15는 연산 증폭기(12)의 안정도를 증가하기 위한 귀환용 저항이다. 이 연산 증폭기(12)의 출력 신호는 결합 콘덴서 C9를 거쳐서, 에미터 폴로워 형식의 출력 트랜지스터 Q3의 베이스에 공급된다. 여기에서, 저항 R16은 베이스 바이어스저항이며, 한편 트랜지스터 Q3의 에미터 부하로서는 저항 R17과 가포화 리액터(13)의 제어 코일(13a)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어 코일(13a)에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류분 IDC에 수직 편향 주기의 교류분이 가해진 거의 포물선형파에 가까운 전류 I0가 흐른다. 한편, 가포화 리액터(13)의 피제어코일(13b)의 인덕턴스 L는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어 코일(13a)에 흐르는 전류 I0의 값에 의하여 변화한다. 즉, 수직 편향주기의 시점과 종점에서는 인덕턴스치 L을 가지며, 그 중앙부 부근에서는 작어진다. 따라서, 상기 피제어코일(13b)은 수평 편향 코일(5)에 직렬로 접속되어 있으므로, 그 인덕턴스치 L이 커짐에 따라서 수평 편향전류의 피크-피크치가 적어지고, 그 결과 수평화면 진폭이 적어진다.
이와같이 하여, 수상화면의 라스터는 상하 단부에서 수평화면 진폭이 축소되고, 한편 중앙부에서 수평화면 진폭이 확대되므로, 좌우 핀쿠신형 왜곡이 보정된다.
또한, C10는 수평 편향 주기의 톱니파 전류(수평 편향 전류)IH를 S자상으로 약간 보정하여 화면 직선성을개선하는 S자 보정용 콘덴서이다.
상기 제3도에 도시하는 회로에 있어서, 연산 증폭기(12)에 들어오는 2입력 파형 VP1와 VP3과는 반드시 일치하도륵 회로가 동작한다. 이 포물선형파 Vp3는 앞에서 기술한 바아 같이 수평 핀향 코일(5)에 흐르는수평 편향 전류 IH의 수직 편향 주기에 관한 포락선 파형에 비레하므로, 이 수평 편향 전류 IH의 포락선 파형은 반드시 포물선형파 Vp1에 비래한 파형으로 된다.
따라서, 상기 Vp1은 항상 일정한 포물선형파형이면, 상기 IH의 포락선 파형은 반드시 포물선형파형으로되고, 정확한 좌우 핀쿠션형 왜곡 보정이 달성된다. 따라서, 이 일은 트랜지스터 Q3및 가포화 리액터(13)의 특성이 다소의 비직선성이나, 온도 특성 혹은 주파수 특성 등을 가지고 있더라도 회로의 동작은 영향받지 않는다.
또한, 상기 포물선형파 VP2의 피크-피크치에 해망하는 직류 전압 E0의 값은 항상 기준 전압 Es에 일치하도록 회로가 동작한다. 따라서. 수평 편향 전류 IH를 변조하고 있는 포물선형과 성분의 량은 항상 일정해진다. 여기에서, 예컨대 수직 편향 주파수가 보다 낮은 값으로 전환되어서, 상기 포물선형파 Vp가 증가하여도, 수평 편향 전류 IH의 포물선형파 성분 혹은 포물선형파 Vp2, 직류 전압 E0은 증가할수는 없다. 만약, 직류 전압 L이 기준 전압 Es보다 중가하려고 하면, 연산 증폭기(11)의 출력이 급증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전자 감쇠기(8)의 분압비를 크게하는 쪽으로 작용하므로, 결국 포물선형파 Vp1는 일정해져, 수평 편향전류 IH의 포물선형파 성분의 량, 즉 좌우 핀쿠션형 왜곡의 보정량은 역시 같은 값을 유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직 편향 주파수가 여러 종류의 값을 취해도 항상 일정하고 또한, 안정한 좌우 핀쿠션형 왜곡 보정을 행할수가 있는 등의 특징을 갖는다.

Claims (2)

  1. 수직 편향 코일(2)에 흐르는 수직 편향 전류(Iv)를 파형 정형하여 얻은 수직 편향 주기(T)의 제l포물선형파(Vp)에 의해서 수평 편향 전류(IH)를 진폭 변조하여, 수상 화면의 좌우 핀쿠션형 왜곡을 보정하는 좌우 핀쿠션형 왜곡 보정 회로에 있어서, 상기 수직 편향 주기(T)에 비례한 직류 전압(Ef)을 생성하는 주파수-전압 변환회로(7)와, 상기 직류 전압 Ef에 비례해서 상기 제l포물선형파(Vp)를 감쇠시키고, 상기 수평 편향 전류(IH)의 진폭을 변조하기 위해서 상기 수평 편향 주기(T)와 무관하게 항상 일정한 진폭을 갖는 제2포물선형파(Vp1)를 출력하는 전자 감쇠기(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핀쿠션형 왜곡 보정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전압 변환회로(7)는 상기 수평 편향 전류(IH)를 포락선 검파 및 정류평활하여 얻은 직류 전압(E0)과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Es)을 레벨 비교해서 얻은 출력 직류 전압을 출력하는 연산 중폭기(1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우 핀쿠션형 왜곡 보정회로.
KR1019860004305A 1985-06-06 1986-05-31 좌우 핀구션형 왜곡 보정회로 KR9000064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3215 1985-06-06
JP60123215A JPS61281677A (ja) 1985-06-06 1985-06-06 左右糸巻歪補正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0821A KR870000821A (ko) 1987-02-20
KR900006463B1 true KR900006463B1 (ko) 1990-08-31

Family

ID=14855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4305A KR900006463B1 (ko) 1985-06-06 1986-05-31 좌우 핀구션형 왜곡 보정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691147A (ko)
JP (1) JPS61281677A (ko)
KR (1) KR900006463B1 (ko)
DE (1) DE36188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5946A (en) * 1988-01-11 1989-01-03 Fuji Photo Film Co., Ltd. Method of and circuit for correcting linearity of horizontal deflection system
US4887011A (en) * 1989-02-23 1989-12-12 Haynie Carl R Computer monitor vertical sweep generator having frequency independent height control and "S" waveform correction
JPH0425287A (ja) * 1990-05-21 1992-01-29 Mitsubishi Electric Corp 水平出力装置
JPH04117834A (ja) * 1990-09-07 1992-04-17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ジタル伝送回路
US5287041A (en) * 1991-07-15 1994-02-15 Gold Star Co., Ltd. Side pin cushion circuit
GB9405799D0 (en) * 1994-03-24 1994-05-11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Shaped parabolic correction waveform for curved face plate display tub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31567A1 (de) * 1983-09-01 1985-03-21 Loewe Opta Gmbh, 8640 Kronach Schaltung fuer die ost-west-kissenkorrektur in einem farbfernsehempfaenger
US4645985A (en) * 1986-02-26 1987-02-24 Rca Corporation S-correction circuit for a video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374996B2 (ko) 1991-11-28
US4691147A (en) 1987-09-01
DE3618882A1 (de) 1986-12-11
DE3618882C2 (ko) 1992-01-23
JPS61281677A (ja) 1986-12-12
KR870000821A (ko) 1987-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06388A (en) Current control circuit for horizontal deflection coil of television receiver
US5475286A (en) Deflection waveform correction circuit
US4254365A (en) Side pincushion correction modulator circuit
US3668463A (en) Raster correction circuit utilizing vertical deflection signals and high voltage representative signals to modulate the voltage regulator circuit
KR900006463B1 (ko) 좌우 핀구션형 왜곡 보정회로
US3444426A (en) Horizontal sweep system with automatic raster size regulation
EP0240141B1 (en) S-correction circuit for a video display
FI105631B (fi) Tyynyvääristymän korjauspiiri käsittäen lokinsiipivääristymän kompensoinnin
KR950013409B1 (ko) 편향 주파수에 관계되는 주파수에서 패러볼릭 파형을 발생시키는 디스플레이 회로
US4859915A (en) Line deflection circuit with dynamic S correction
US4761586A (en) Linearity correction for multiple frequency video apparatus
US5512964A (en) Dynamic focusing circuit having a pseudo horizontal output circuit to eliminate phase deviation in a focus signal
US4496882A (en) Inductorless pincushion correction circuit
EP0201110B1 (en) Picture display device including a line synchronizing circuit and a line deflection circuit
FI102801B (fi) Parabolisen jännitteen muodostuspiiri
US6025680A (en)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and cathode ray tube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US4187451A (en) Color picture display device with a circuit for generating a screen grid voltage
JPS61117977A (ja) 垂直偏向回路
US5894203A (en) Horizontal retrace time adjustment pulse generating circuit for a display device
US6580232B2 (en) Dynamic focus voltage amplitude controller
US3302055A (en) Dynamic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for television receivers
KR930002674Y1 (ko) 화면 찌그러짐 보정회로
KR910005876Y1 (ko) 자동 수평진폭 조정회로
US3988637A (en) Circuit arrangement for generating in a picture display device a sawtooth current of line frequency having an amplitude varying at field frequency
JPH089971Y2 (ja) 水平偏向振幅変調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0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