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483B1 - 뇨중성분 검출변기 - Google Patents

뇨중성분 검출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483B1
KR900005483B1 KR1019880006004A KR880006004A KR900005483B1 KR 900005483 B1 KR900005483 B1 KR 900005483B1 KR 1019880006004 A KR1019880006004 A KR 1019880006004A KR 880006004 A KR880006004 A KR 880006004A KR 900005483 B1 KR900005483 B1 KR 900005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reagent
water
enzyme
bo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6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4372A (ko
Inventor
시로오 사이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이낙스
이나 테루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이낙스, 이나 테루조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이낙스
Publication of KR880014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4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뇨중성분 검출변기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도는 본 실시예 변기의 분해사시도.
제2a도는 제1도의 변기본체의 측단면도.
제2b도는 제2a도에 로우탱크를 장착한 변기본체의 측단면도.
제3도는 제2b도의 평면도.
제4도는 채뇨기의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요부측면도.
제6도는 제4도의 채뇨실린더 및 펌프실린더를 표시하며,
제6a도는 측단면도.
제6b도는 제6a도의 평면도.
제6c도는 제6a도의 전면도.
제7도는 채뇨기의 채뇨실린더와 펌프실린더에 있어서의 배관구성도.
제8도는 제4도의 채뇨실린더내에 나사식 장착된 노즐꼭지쇠를 표시한 것으로서,
제8a도는 그 단면도.
제8b도는 그 평면도.
제8c도는 그 저면도.
제9도는 카아트리지탱크를 표시한 것으로서,
제9a도는 그 단면도.
제9b도는 그 평면도.
제9c도는 그 측면도.
제10도는 카아트리지탱크를 본체커버에 장착한 상태를 표시한 요부단면도.
제11도는 조작반의 정면도.
제12a도는 광전스위치와 로우터리 솔레노이드의 배선구성도.
제12b도는 로우터리 솔레노이드의 개략구성도.
제13도는 시약혼합시에 있어서의 시간과 산소전극의 전류변화를 표시한 설명도.
제14도는 단위시간당의 전류의 변화치와 포도당 농도의 관계를 표시한 관계선도.
제15a,b,c도는 제어반의 ROM내에 기억되어 있는 채뇨기의 제어프로그램을 표시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변기 2 : 변기본체
2a : 변혈 3 : 본체좌측 커버
4 : 본체우측 커버 5 : 본체상부 커버
6 : 로우탱크 7 : 채뇨기
8 : 사발부 8c : 제3사발면
10a,10b : 세정수구멍 14 : 로우터리 솔레노이드
15 : 광전스위치의 검지부 20 : 카아트리지 케이스
22 : 소켓 27 : 핀금구
30 : 채뇨실린더 31 : 펌프실린더
32 : 피스톤 34 : 산소전극
35 : 노즐꼭지쇠 36 : 세정스프레이
37 : 더어미스터 39 : 공기구멍
50 : 스테핑모우터 51 : 조작반
C : 채뇨실 P : 펌프실
D1~D15: 첵밸브부착 전자밸브 E1~E4: 스위치
L1~L6: 표시램프 Y1~Y7: 배관
M : 간격
본 발명은, 변기의 사용중에 방뇨되는 뇨로부터, 뇨중의 당분, 빌리루빈 등의 농도를 판정해서 건강상태를 판정가능한 변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뇨중의 당분을 검사하므로서 당뇨병등의 판정이 행하여지고 있으며, 또 뇨중의 빌리루빈의 농도를 검사하므로서 신장기능의 양부의 판정이 행하여지고 있으나 그와 같은 검사는 전문의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며, 변원등의 특별한 기관에서 행하여지고 있고, 가정에서 뇨중의 당분 또는 빌리루빈등의 농도 판정을 행하는 것은 곤란한 것이였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 변기내에 시약을 혼입시킨 판정부를 착설하고, 이 판정부에 방뇨되는 뇨와 판정부의 시약을 반응시켜서, 판정부의 색변화에 의해 뇨중의 당분의 유무등을 판정할 수 있는 변기가 출현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변기에 있어서는, 단순히 뇨중의 당분등을 색변화에 의해 판정하는 것으로서, 당분량등의 농도를 정확하게 알 수는 없고, 또, 시약과 뇨와의 반응이 부정확하거나, 판정부에 대한 시약의 공급이 불완전하거나 해서, 충분히 그 판정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것이였다. 또, 방뇨된 대량의 뇨를 직접 시약과 혼합해서 반응시키기 위하여, 시약의 산화작용이 불완전하여 잘못된 색반응을 나타내는 경우도 있으며, 또 반응후에 시약 및 뇨를 완전히 세정하는 기능이 불충분하여, 정확하게 기능을 발휘하는 것이라고 할 수 없어, 신뢰도가 부족하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에 비추어 안출한 것으로서, 변기의 사용중에 방뇨되는 뇨를 정확하게 채취해서 변기에 비치된 시약과 확실하게 반응시켜, 그 반응 상태에 의해 뇨중의 당분등의 농도를 전기신호로서 뽑아내어, 수치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뇨중 성분검출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그 요지는, 변기의 사발면에 방뇨되는 뇨중의 성분과 반응할 수 있는 효소시약과, 이 효소시약과 뇨중성분과의 반응상태를 전기신호로서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전극을 구비한 것이다.
변기에는 효소시약과 전극이 갖추어져 있으며, 변기의 사발면내에 사용자가 방뇨하였을때에, 그 뇨중의 성분과 효소시약이 뇨중성분의 농도에 따라서 반응하고, 그 반응상태를 전극이 외부로 전기신호로서 출력할 수 있고, 뇨중의 당분등의 농도를 전기적으로 외부로 뽑아내어 정확한 수치로서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실시예의 변기(1)의 전체 분해 사시도를 표시하며, 제2a,b도에는 변기본체(2)의 측면 단면도를, 제3도에는 변기본체의 평면도를 표시한다.
도면에 있어서, 변기본체(2)의 상면에는 변혈(便穴)(2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상면쪽에 본체상부 커버(5)가 설치되고,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변기본체(2)의 하부부위가 오목형상으로 형성되어서, 그 바깥쪽에 본체좌측커버(3) 및 본체우측커버(4)가 설치되어, 종래와 마찬가지의 서양식 변기형상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종래와 마찬가지로 변기본체(2)의 후방상면에는 세정수를 저장할 수 있는 로우탱크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변기본체(2)의 앞끝부위의 아래쪽에 채뇨기(7)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변기본체의 변혈(2a) 하부의 사발부(鉢部)(8)는 3단계의 면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아래쪽의 수봉(水封)을 형성하는 트랩부(9)로부터 만곡형상으로 경사해서 위로 경사진 제1사발면(8a)와, 이 제1사발면(8a)에서부터 더욱 위쪽으로 만곡형상으로 위로 경사한 제2사발면(8b)와, 이 제2사발면(8b)에서부터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3사발면(8c)을 가지며, 제3사발면(8c)의 상부는 변기본체(2)의 변혈(2a) 주연을 형성하는 림(10)으로 되어 있고, 림(10)의 내부중공부에는 수로(S)가 형성되어 있고, 이 수로(S)는 상기 로우탱크(6)와 연통되어, 로우탱크내의 세정수가 이 수로(S)내에 유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림(10)의 하면쪽에 형성되어 있는 세정수구멍(10a), (10b)으로부터 사발부(8)에 세정수가 유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트랩(9)은 배수로(R)과 연통되어 있으며, 트랩부(9)내의 오물이 배수로(R)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채뇨기(7)이 수평형상의 제3사발면(8c)에 위쪽을 개구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채뇨기(7)의 상세한 것은 뒤에 설명한다. 또, 제2b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로우탱크(6)내에는 오우버플로우관(11)이 세워 설치되어 있으며, 이 오우버플로우관(11)의 하단부에 상기 수로(S)와 연통하는 통수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수로를 차폐할 수 있도록 구형상의 밸브구(12)가 착설되어 있다. 이 밸브구(12)에는 체인(13)이 연결되어 있으며, 체인(13)의 상단부에는 로우탱크(6)내의 상부 부위에 설치된 로우터리솔레노이드(14)(제12b도 참조)의 회동축(14d)가 연결되어 있다.
또, 로우터리솔레노이드(14) 근처의 로우탱크(6)의 측면에는 광전스위치의 감지부(15)가 끼워넣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광전스위치의 검지부(15)에는 2개의 관형상의 광파이버(15a), (15b)가 연결되고, 각 광파이버(15a), (15b)는 로우탱크(6)내를 통과해서, 그 하단부는 변기본체(2)의 아래쪽 부위의 본체우측커버(4)쪽에 설치되어 있는 광전스위치(29)(제10도 참조)의 발광기(29a) 및 수광기(19b)에 각각 접속되어 있고, 광전스위치(29)의 발광기(29a)로부터 광파이버(15a)를 통하여 로우탱크(6)의 측벽으로부터 외부로 본 실시예에서는 적색광이 투사되어 있다.
이 광전스위치(29)의 개요는 제12a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발광쪽의 광파이버(15a)의 선단으로부터 렌즈등을 개재해서 외부로 투사된 적색광내에 사용자의 손이 들어가면, 그 반사광이 검지부(15)에 렌즈등을 개재해서 개구하고 있는 수광쪽 파이버(15b)에 도입되고, 반사광은 수광쪽 파이버(15b)를 통과해서 변기본체(2)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광전스위치(29)의 포로다이오우드등으로 구성되는 수광기(29b)에 도입되어서 사용자의 손의 존재가 검지되고, 이 검지신호가 광전스위치(29)에 접속되어 있는 마이크로콤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제어반(19)으로 출력되고, 제어반(19)로부터의 지령신호에 의거해서 솔레노이드구동회로(14a)를 개재해서 상기 로우터리솔레노이드(14)가 작동되고, 로우터리솔레노이드(14)의 회전축(14d)가 약 90° 회전해서 상기 체인(13)을 위쪽으로 감아올려, 밸브구(12)를 개방하고, 로우탱크(6)내의 저수가 상기 수로(S)로부터 사발부(8)에 유입되어서, 사발부(8)내의 오물이 배수로(R)에 배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로우터리솔레노이드(14)의 개략구조는 제12b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로우터리솔레노이드(14)는, 테두리형상으로 형성된 전자부(14a)와, 이 전자부(14a)를 여자하는 코일(14b)와, 전자부(14a)내에 회동가능하게 배설된 자석으로 이루어진 회전자(14c)와, 이 회전자(14c)의 중심부에 돌설된 회동축(14d)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코일(14b)에 전류가 공급되면 전자부(14a)가 여자되어서 회전자(14c)를 약 90° 회전시키고 이 회전자(14c)의 회전에 따라서 회동축(14d)가 회동하여, 체인(13)을 끌어 올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상기 로우탱크(6)에는 외부의 수도관(16)으로부터 수도물을 유입하기 위한 보올탭(17)이 착설되어 있으며, 이 보올탭(17)은 로우탱크(6)내에 부동가능하게 설치된 플로우트(18)에 의해 개폐되어서 적당히 로우탱크(6)내의 수위를 유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광전스위치(29)의 검지신호에 따라서 로우터리솔레노이드(14)가 작동되고, 사발부(8)내에 세정수가 공급될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사발부(8)이 3단계의 사발면(8a), (8b), (8c)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변기본체(2)의 변혈(2a) 주연의 림부(10)의 세정구멍(10a)로부터 흘러내리게 되는 세정수는, 제3도의 (W1)에 표시한 바와 같이 와류를 형성하고, 사발부(8)의 제1사발면(8a) 및 제2사발면(8b)를 세정하면서 트랩부(9)에 오물과 함께 와류로서 흡수된다. 또, 전방쪽의 세정구멍(10b)로부터 소량 흘러내리게 되는 세정수(W2)는, 사발부(8)의 수평형상의 제3사발면(8c)을 흘러내려서 상기 대류량의 와류(W1)에 흡수된다. 오물을 포함한 와류인(W1)의 전방쪽의 일부가 제3사발면(8c)으로 부상하는 일은 있어도, 와류(W1)의 전방쪽의 끝은 오물을 포함하지 않는 세정수이기 때문에, 와류(W1)의 소용돌이 끝이 제3사발면(8c)으로 부상하므로서 제3사발면(8c)이 오염되는 일은 없고, 제3사발면은 청결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이 제3사발면(8c)에 설치되는 채뇨기(7)의 상면쪽에는 오물이 유입하는 일은 없으며, 뒤에 설명하는 채뇨기(7)내에는 뇨 및 세정수만이 유입가능하다.
다음에 재차 제1도로 되돌아가서, 제1도의 본체우측커버(4)의 후방 부위에는 카아트리지케이스(20)가 본체우측커버(4)의 벽면에 대하여 개폐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제10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카아트리지케이스(20)은 그 열가장자리 하부가 본체우측커버(4)에 설치되어 있는 핀(24)을 개재해서 화살표 A방향으로 회동가능하며, 본체우측커버(4)에 대하여 상단부를 바깥쪽으로 개방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시약카아트리지탱크(21)을, 이 카아트리지케이스(20)내에 고착시킬 수 있다.
즉, 시약카아트리지탱크(21)은 제9a,b,c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수지제의 밀봉된 4각형 탱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부에 효소 시약이 봉입되고, 사용전에 있어서는 위쪽으로 돌출한 상면볼록부(21a)의 공기구멍(K1)은 알루미늄박(A1)에 의해 봉지되어 있으며, 한편,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있는 연결볼록부(21b)의 하연부에도 알루미늄박(A2)이 봉착되어서 내부는 밀폐되어 있다. 이 연결볼록부(21b)에는 플랜지부(21c)가 형성되고, 또 연결볼록부(21b)의 주연에는 홈형상의 감합홈(21d)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카아트리지케이스(20)에는 호오스(23)이 접속되어 있으며, 호오스(23)의 선단부에는 소켓(22)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소켓(22)의 내부에는 또 핀금구(27)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시약카아트리지탱크(21)이 카아트리지케이스(20)내에 감착되었을 때에는, 제9a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카아트리지케이스(20)에 고정 설치된 소켓(22)의 감합구멍(22b)내에 시약카아트리지탱크(21)의 연결볼록부(21b)가 감입하고, 계합홈(21d)가 소켓(22)의 계지링(22c)에 개지되어서 고정되고, 그때에 소켓(22)의 내부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핀금구(27)의 중심부의 핀(27a)가 시약카아트리지탱크(21)의 알루미늄박(A2)를 찢고, 시약카아트리지탱크(21)내에 봉입되어 있는 시약을 소켓(22)의 도약(導藥)구멍(22a)를 개재해서 상기 호오스(23)에 흘러내리게 할 수 있다. 이 호오스(23)에는 뒤에 설명하는 채뇨기(7)의 시약관(Y6)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카아트리지케이스(20)내에 시약카아트리지탱크(21)이 감착되고, 그 상태에서 카아트리지케이스(20)이 폐쇄되면, 시약카아트리지탱크(21)은 본체우측커버(4)내에 음폐되게 되어, 변기본체(2)의 측면쪽으로 밀어붙여지나, 변기본체(2)의 측면쪽에는 L자형상으로 형성된 회동바아(25)가 설치되어 있어, 시약카아트리지탱크(21)이 변기본체(2)의 측면쪽으로 밀어붙여지므로서, 이 회동바아(25)가 아래쪽으로 회동해서, 회동바아(25)의 선단부에 돌출되어 있는 핀(26)이 시약카아트리지탱크(21)의 상면볼록부(21a)에 접착되어 있는 알루미늄박(A1)을 위쪽으로부터 찢고, 시약카아트리지탱크(21)내에 공기가 도입되어, 시약카아트리지탱크(21)내의 시약은 양호하게 소켓(22)의 도약구멍(22a)으로부터 흘러내릴수 있다.
또, 제10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카아트리지케이스(20)의 아래쪽 부위에 있어서 본체우측커버(4)의 안쪽에는 근접스위치(28)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근접스위치(28)에 의해 시약카아트리지탱크(21)내의 시약의 유무가 항상 검출된다. 즉, 근접스위치(28)은 시약카아트리지탱크(21)내의 시약의 잔량이 없어졌을 때에는, 시약품절신호를 제어반(19)에 출력할 수 있다.
또, 이 근접스위치(28)의 근처에는 상기한 광전스위치(29)의 발광기와 수광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다같이 본체우측커버(4)내에 음폐상태로 되어 있다.
또, 제어반(19)은 본체좌커버내의 변기본체(2)의 옆가장자리부에 고정 설치되어서 본체좌커버에 의해 음폐되어 있다.
다음에, 채뇨기(7)의 구조에 대해서 제4도, 제5도, 제6도, 제7도, 제8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채뇨기(7)은, 채뇨실린더(30)과, 이 채뇨실린더(30)과 동축상태로 아래쪽으로 연결되어 있는 펌프실린더(31)과, 이 채뇨실린더(30) 및 펌프실린더(31)내를 상하 접동가능한 피스톤(32)을 가지고 있으며, 채뇨실린더(30)의 상단부에 돌출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상단플랜지부(30a)가 상기 제2도 및 제3도의 제3사발면(8c)의 상면과 거의 한면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단플랜지부(30a)의 아래쪽의 채뇨실린더(30)의 주연부는 나사부(30f)로 되어 있으며, 이 나사부(30f)에 고착판(33)이 아래쪽으로부터 나입되어서 상단플랜지부(30a)의 고착판(33)이 제3사발면(8c)의 벽면을 죄어붙여서 채뇨기(7)이 변기본체(2)에 고정되어 있다.
채뇨실린더(30)의 내부는 원통형상의 채뇨실(C)로 되어 있으며, 채뇨실린더(30)의 벽면에는, 채뇨실(C)와 연통하는 전극접속구(30b)와, 대향위치에 천설한 노즐구멍(30c)와, 전극접속구(30b), 노즐구멍(30c)와 90° 변위한 벽면에 형성된 세정스프레이구멍(30d)와, 더어미스터구멍(30e)가 존재하고, 각각 전극접속구(30b)에는 외부로부터 산소전극(34)가 나입되고, 노즐구멍(30c)는 노즐꼭지쇠(35)가 나착되고, 세정스프레이구멍(30d)에는 외부로부터 세정스프레이(36)이 나입되고, 또 더어미스터구멍(30e)에는 외부로부터 바아형상의 더어미스터(37)이 감입되어 있다.
산소전극(34)는, 효소시약과 뇨중의 포도당이 산화반응을 일으킬때에, 효소가 산소를 소비하므로 말미암은 전극간의 저항치의 변화에 의거하여, 산소 소비량을 전류치로서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노즐꼭지쇠(35)는 제8a,b,c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부에 나사부(35b)가 형성되고, 본체부(35a)의 상면쪽 중앙에는 하부가 원추면을 가진 원추구멍(35c)가 천설되어 있으며, 이 원추구멍(35c)의 하면쪽에서부터 아래쪽으로 확대한 4개의 확산구멍(35d), (35d), (35d), (35d)가 천설되어 있다.
외부로부터 원추구멍(35c)내에 액체가 유입되면 액체를 4개의 확산구멍(35d)를 개재해서 확산하여, 채뇨실(C)내에 분사시킬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뒤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 노즐꼭지쇠에 시약 또는 희석수가 유입되기 때문에, 시약과 희석수를 확산구멍(35d)을 개재해서 채뇨실(C)내에 확산상태로 분사시킬 수 있다.
채뇨실린더(30)의 내주부에는 2단형상으로 O링홈(30g) 및 (30h)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O링홈(30g) 및 (30h)내에는 O링(O1) 및 (O2)를 감입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피스톤(32)과 채뇨실린더(30)의 내주벽과의 액밀성이 확보되어 있다.
또한, 채뇨실린더(30)의 상기 O링홈(30h)의 아래쪽 부위에는 공기구멍(39)이 천설되어 있으며, 이 공기구멍(39)을 개재해서, 채뇨실린더(30)내를 피스톤(32)이 상하동할때에, 피스톤(32)의 외주에 감착된 O링(O3)과 채뇨실린더(30)내에 감착된 O링(O2) 사이에서 압축되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고, 피스톤(32)의 상하동이 원활화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채뇨실린더(30)의 위쪽부위의 내경이 하부부위의 내경보다도 넓게 형성되어 있으며, 피스톤(32)가 채뇨실린더(30)의 상부에 접동 이동했을 때에는, 피스톤의 외주벽과 채뇨실린더(30)의 상부 내주벽간에 간격(M)이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채뇨실린더(30)의 하단부에 동축형상으로 연결되는 펌프실린더(31)은, 그 내부가 원통형상의 펌프실(P)로 되어 있으며, 상단부가 채뇨실린더(30)의 하단부의 내벽쪽에 감입해서, 채뇨실린더(30)의 하단부에 천설되어 있는 나사구멍(30i)내에 외부로부터 고정나사(38)를 나사박음하므로서, 채뇨실린더(30)과 일체화되는 것이다.
펌프실린더(31)의 하단부의 기부(31a)에는 중심부에 피스톤(32)의 피스톤로드(32b)를 삽통가능한 로드구멍(31e)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로드구멍(31e)에는 2개의 O링(O4)가 감착되어 있는 동시에, 그 측방에는 수평방향으로 희석수도입구멍(31c) 및 이것과 대향형태로 시약도입구멍(31d)가 형성되어 있다. 또 기부(31a)의 주연부에는 4개의 비스구멍(31b)이 천설되어 있으며, 이 내부에 비스(40)을 나사박음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비스(40)을 개재해서 펌프실린더(31)이 채뇨기(7)의 베이스프레임(41)에 고정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프레임(41)내에는 2개의 가이드바아(42), (42)가 고정상태로 세로 착설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바아(42), (42)에 상하방향으로 접동이동 가능하게 슬라이드 테이블(43)이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테이블(43)과 가이드바아(42)의 접동부에는 선형베어링(44)가 감입되어서, 슬라이드 테이블의 상하동의 원활화를 도모하고 있다. 또 베이스프레임(41)의 왼쪽 부위에는 보올나사를 형성한 보올나사축(45)가 회전가능하게 세로 착설되어 있으며, 그 하부 및 상부는 보올베어링(46)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 보올나사축(45)의 상단부는 베이스프레임(41)의 상면쪽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모우터프레임(49)의 내부에 돌출하고 있으며, 모우터프레임(49)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 스테핑모우터(50)의 모우터축(50a)이 보올나사축(45)의 상단부에 대향되어서 양자는 조인트부(48)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스테핑모우터(50)이 회전되므로서 조인트부(48)를 개재해서 보올나사축(45)가 회전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 테이블(43)의 좌단부에는 너트(43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너트부(43a)와 보올나사축(45)이 나합되어 있기 때문에, 보올나사축(45)의 회전에 따라서, 너트부(43a)를 개재해서 슬라이드 테이블(43)이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바아(42)를 따라서 접동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테이블(43)이 상하동하게 되므로서 상기 피스톤로드(32b)를 개재해서 피스톤(32)가 채뇨실린더(30) 및 펌프실린더(31)내를 상하동 가능하다.
또, 베이스프레임(41)의 상부쪽에는 리밋스위치(47)이 설치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테이블(43)의 상승단을 검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리밋스위치(47)은 제어반(1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채뇨기(7)에 있어서의 배관구조를 제7도에 표시한다. 상기 펌프실린더(31)의 내부의 펌프실(P)와 연통하는 상기 희석수도입구멍(31c)에는 도수관(Y1)이 접속되고, 이 도수관(Y1)에는 분기형상으로 수관(Y2)와 혼합관(Y3)이 접속되어 있으며, 수관(Y2)쪽에는 첵밸브부착 전자밸브(D1)이 착설되어 있으며, 수관(Y2)는 앞에 설명한 로우탱크(6)에 연통되어서, 세정수를 로우탱크(6)으로부터 도입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혼합관(Y3)에는 첵밸브부착 전자밸브(D3)이 착설되고, 혼합관(Y3)의 상단부는 채뇨실린더(30)의 노즐구멍(30c)에 연통되어 있으며, 노즐구멍(30c)에 나착된 노즐꼭지쇠(35)를 개재해서 채뇨실(C)내에 시약과 희석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 펌프실린더(31)의 시약도입구멍(31d)에는 도수관(Y4)가 접속되어 있으며, 도수관(Y4)는 다시 분기해서 배수관(Y5)와 시약관(Y6)으로 되어 있으며, 배수관(Y5)에는 첵밸브부착 전자밸브(D2)가 착설되고, 배수관(Y5)는 상기 변기의 사발부(8)내와 연통해 있으며, 사발부(8)내에 배수가능한 수로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시약관(Y6)에는 첵밸브부착 전자밸브(D4)가 착설되어 있으며, 시약관(Y6)은 상기 시약카아트리지탱크(21)과 호오스(23)을 개재해서 연통되어 있으며, 시약카아트리지탱크(21)로부터 시약을 도입가능한 통로를 형성하고 있다. 또, 채뇨실린더(30)의 세정스프레이구멍(30d)에는 수로(Y7)이 접속되어 있으며, 수관(Y7)에는 첵밸브부착 전자밸브(D5)가 착설되어 있는 동시에, 수관(Y7)은 외부의 수도관과 접속되어 외부로부터 수도물을 도입가능한 수로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세정스프레이구멍(30d)내에 감장되어 세정스프레이(36)은 채뇨실(C)내에 확산상태로 물을 분출가능하다.
또, 채뇨실린더(30)의 더어미스터구멍(30e)에 감입되어 있는 더어미스터(37)는, 더어미스터 코오드(37a)를 개재해서 상기 제어반(19)에 접속되어 있으며, 채뇨실(C)내의 온도를 감지해서 적당히 전기신호를 제어반(19)에 출력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제11도에는 변기(1)의 근처의 화장실의 벽면등에 설치되는 조작반(51)을 표시하였으며, 이 조작반(51)을 사용자가 조작하므로서, 상기 채뇨기(7)이 제어반(19)내의 제어프로그램에 따라서 작동되는 것이다.
즉, 조작반(51)의 상부 부위에는, 뇨중의 당분등의 농도를 숫자로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51a)가 형성되어 있으며 LED 등에 의해 구성된 것이다. 그 아래쪽에는 측정준비 스위치(E1)과 측정 스위치(E2)과 병설되어 있으며, 또 그 아래쪽에는 희석수 보급용의 스위치(E3)과 시약 보급용의 스위치(E4)가 병설되고, 각 스위치간에는 LED 등에 의해 구성되는 표시램프(L1), (L2), (L3), (L4), (L5), (L6)이 배설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앞에서 설명한 시약카아트리지탱크(21)내에 효소시약으로서의 글루코오스 산화효소가 봉입되어 있으며, 이 글루코오스 산화효소는 뇨중의 포도당을 산화하는 효소이다.
다음에, 상기 제어반(19)의 제어내용을 제15a,b,c도에 표시한 순서도에 의거해서 제11도 및 제7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즉, 제어반(19)는 마이크로콤퓨터에 의해 구성되고 있으며, 그 내부의 ROM내에 제15도에 표시한 제어프로그램이 기억되어 있다.
제15a,b,c도에 있어서, 먼저 전원프로그램이 온되면(S1), 상기 근접스위치(28)이 시약카아트리지탱크(21)내의 시약의 잔량을 검출하며(S3), 잔량이 없을 경우에는, 제11도의 조작반(51)의 시약품질 표시램프(L6)을 점등시킨다(S4). 시약잔량이 충분할 경우에는 전원램프(L5)가 점등된다(S2).
계속해서, 조작반(51)의 준비스위치(E1)이 사용자에 의해서 눌러졌을때 (S5)에는, 이하의 순서에 따라서 채뇨기(7)이 작동되나, 사용자에 의해 희석수 보급용의 스위치(E3)이 눌러졌을 때에는 D의 순서도에 따른 제어가 행하여지며, 또, 시약보급용의 스위치(E4)가 눌러졌을 때에는 E의 프로그램에 따라서 제어가 행하여진다.
여기에서는 준비스위치(E1)이 눌러졌을 경우의 흐름을 먼저 설명하면, 준비스위치(E1)이 눌러진 후에, 로우탱크(6)의 측방에 착설된 광전스위치 감지부(15)에 손을 접근시켰을 때에는 광전스위치(29)가 작동해서(S6), 로우터리솔레노이드(14)가 온되어 변기내의 사발부(8)내에 세정수가 공급된다(S7). 또, 동시에 스테핑모우터(50)이 온되어서(S8), 슬라이드 테이블(43)이 상승하여 리밋스위치(47)의 접점에 당접할때까지 피스톤(32)를 상승시킨다(S10). 이때에는 제7도에 표시한 전자밸브(D1)이 스테핑모우터(50)의 회전과 함께 개방되어, 로우탱크로부터 희석수가 수관(Y1), 도수관(P)을 통과하여 펌프실(9)내에 유입된다(S9). 리밋스위치(47)가 온되면 동시에 스테핑모우터(50)은 역회전을 개시하여, 피스톤(32)를 하강시킨다(S11). 그때에는 전자밸브(D1)은 폐색되어 있으며, 반대로 전자밸브(D3)이 개방되어서 펌프실(P)내에 도입된 희석수가 도수관(Y1), 혼합관(Y3)을 통과하여 채뇨실(C)에 도입된다(S12). 전자밸브(D3)이 폐색된 후에 스테핑모우터(50)이 더욱 역전하여, 피스톤(32)이 상승을 개시한다(S13). 그때에는 전자밸브(D1)이 개방되어서(S14) 재차 펌프실(P)내에 수관(Y2)를 개재해서 희석수를 도입한다. 전자밸브(D1)이 폐색되면 스테핑모우터(50)이 재차 역전하여, 피스톤(32)가 하강을 개시한다(S15). 동시에 전자밸브(D2)가 개방되어서(S16), 펌프실(P)내의 세정수가 도수관(Y4)를 통과하여 배수관(Y5)를 통해서 변기의 사발부(8)내에 배수된다. 전자밸브(D2)가 폐색되면 스테핑모우터(50)이 재차 상승을 개시하고(S17), 동시에 전자밸브(D1)이 개방되어서(S18) 재차 로우탱크(6)으로부터 세정수가 수관(Y2)을 개재해서 펌프실(P)내에 도입된다. 전자밸브(D1)이 폐색되면, 채뇨실린더(30)에 설치되어 있는 산소전극(34)로부터의 검지신호를 입력하여, 채뇨실(C)내의 산소농도가 초기상태로 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S19). 즉, 충분히 채뇨실(C), 펌프실(P), 혼합관(Y3), 수관(Y2), 도수관(Y1), 도수관(Y4), 배수관(Y5)가 세정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되어, YES의 경우에는 이미 (S44)에서 개방되어 있던 전자밸브(D5)가 오프되어서, 채뇨실(C)에의 수관(Y7)을 통한 수도물의 공급이 차단되어(S20) 세정이 완료된다. 즉, (S5)에 있어서 준비스위치(E1)이 눌러졌을 때에는, 항상 채뇨실(C) 및 펌프실(P) 및 그 주변의 배관내의 세정이 충분히 행하여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S6)에서부터 (S20)에 있어서 확인되는 것이다.
충분히 세정이 행하여지고 있는 것이 확인된 상태에 있어서는, (S21)로부터의 본래의 작동이 개시된다.
즉, 스테핑모우터(50)이 정회전되어서 피스톤(32)가 상승하고(S21), 그때에는 제7도에 표시한 전자밸브(D1)이 스테핑모우터(50)의 회전과 더불어 개방되고, 로우탱크(6)으로부터 희석수가 수관(Y2), 도수관(Y1)을 통과하여 펌프실(P)내에 유입된다(S22). 슬라이드 테이블(43)이 리밋스위치(47)에 당접하면(S23), 스테핑모우터(50)이 역전되어서 피스톤(32)가 하상을 개시한다(S24). 동시에 전자밸브(D2)가 온되어서 개방되어(S25), 펌프실(P)내의 물이 배수관(Y5)를 개재해서 변기의 사발부(8)내에 배출된다. 전자밸브(D2)가 오프된 후, 변기본체(2)에 걸터앉아 있는 사용자가 방뇨하면(S26), 방뇨된 뇨는 변기본체(2)의 사발부(8)의 제3사발면(8C) 방향으로 튀어서, 제3사발면(8C)에 위쪽을 개구하고 있는 채뇨실린더(30)의 채뇨실(C)내에 뇨가 유입된다. 즉, 피스톤(32)가 하강하고 있기 때문에 채뇨실(C)는 비어 있으며, 방뇨된 뇨가 채뇨실(C)내에 고이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조작반(51)의 측정스위치(E2)가 온되면(S27), 스테핑모우터(50)이 회전하여 피스톤(32)가 상승을 개시한다(S31). 그러나, 상기 스위치(E1)이 눌러진 후, 10분 경과하여도 스위치(E2)가 눌러지지 않았을 때에는(S28), ⓒ의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S8)로 되돌아가, 스테핑모우터(50)이 반복 작동되어서 채뇨기(7)의 세정이 행하여진 후 정지된다(S8~S20). 또, 준비스위치(E1)이 눌러졌을 때에는, 램프(L1)이 0.5초 간격으로 점멸하고(S28), 그 뒤에 점등된다(S29).
재차(S27)로 되돌아가서 정규의 시간(10분이내)에 측정스위치(E2)가 눌러졌을 때에는, 스테핑모우터(50)이 회전되어서 피스톤(32)가 상승하고(S31), 그때에 전자밸브(D1)이 열려서 로우탱크(6)로부터 희석수가 펌프실(P)내에 수관(Y2), 도수관(Y1)을 개재해서 도입된다. 전자밸브(D1)이 폐색된 후에 스테핑모우터(50)은 역전해서 피스톤(32)가 하강을 시작하면(S33), 동시에 전자밸브(D3)이 개방되어(S34), 펌프실(P)내의 희석수가 도수관(Y1) 및 혼합관(Y3)을 개재해서 채뇨실(C)내에 도입된다. 여기서 채뇨실(C)내에 존재하는 뇨가 희석수에 의해서 희석된다.
전자밸브(D3)이 폐색된 후에 재차 스테핑모우터(50)이 정회전되어서 피스톤(32)가 상승을 개시하여(S35), 채뇨실(C)내에 존재하는 뇨와 희석수와의 혼합수를 상단부로부터 외부의 사발부(8)에 배출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채뇨실(C)의 간격(M)내에만 뇨와 희석수의 혼합액이 잔존하게 된다.
피스톤(32)의 상승시에(C35) 전자밸브(D4)가 개방되어서 카아트리지탱크(21)로부터 시약관(Y6) 및 도수관(Y4)를 개재해서 펌프실(P)내에 시약이 흡입된다(S35N). 전자밸브(D4)가 폐색된 후에 전자밸브(D3)이 개방되어(S37), 스테핑모우터(50)이 역전되어서 피스톤(32)가 하강을 개시한다(S36). 즉, 펌프실(P)내의 시약이 펌프실(P)로부터 채뇨실(C)로 보내져서, 채뇨실(C)에서는 뇨와 희석수와 시약이 혼합한 상태가 된다. 또한, 노즐꼭지쇠(35)를 개재해서 채뇨실(C)내에 확산상태로 시약이 분사되기 때문에, 채뇨실(C)내에서의 시약과 뇨와 희석수와의 혼합은 매우 원활하게 행하여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S31)~(S37)에 있어서, 일단 채뇨실(C)에 채뇨된 뇨의 대부분을 희석하고 배출한 후, 시약과 혼합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으며, 이것은 소량의 뇨를 다량의 시약과 반응시킨편(희석배율을 높이게 하는 것)이, 뇨중의 포도당의 산화가 효소시약에 의해 양호하게 행하여지기 때문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희석률은 뇨 1에 대하여 시약 30~50정도로 설정하고 있다. 즉, 종래에 있어서는 변기내에서 소량의 뇨를 채취하는 것은 곤란하였던 것을,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해 미량의 뇨만을 채취한 것과 동등한 효과를 얻고 있는 것이다.
(S36), (S37)에 의해 채뇨실(C)내에서 시약과 뇨와 희석수가 혼합할 때가, 제13도에 표시한 a점이 되며, 이 상태에서 본 실시예에서는 20초간 측정대기를 행하고, 뇨중의 포도당이 효소시약에 의해 산화되어서, 산소의 감소에 따라 산소전극(34)의 전극간의 저항치가 증대하여 전류치가 낮아지는 현상을, 그후에, 산소전극(34)로부터 약 10초간 입력한다(S39).
즉, 제1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뇨중에 포도당의 함유량이 많을 경우에는 극히 고속으로 산소의 효소시약에 의한 소비가 행하여지기 때문에, 산소전극(34)의 전류치가 급격히 감소하고, 포도당의 함유량이 적을 경우에는 그다지 전류치의 변화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S39)에서는 10초간, 산소전극(34)에 의한 전류의 변환치를 측정하고 있다. 이 측정치는 제어반(19)내의 CPU에 입력된다. 또, 동시에(S38)에서 더어미스터(37)을 개재해서 채뇨실(C)내의 온도측정이 행하여지고, 이 측정치도 CPU내에 입력된다. 즉, 온도가 낮을 때에는 뇨중의 포도당과 효소시약과의 반응이 활발하지 않으며, 온도에 의해 제1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반응속도와 농도와의 대비선으로 되기 때문이다.
제14도에 표시한 대비선을 제13도의 b점에서부터 c점, 즉 (S39)에서의 10초간의 전류변화의 측정치를 과거의 데이터에 의거해서 ROM내에 미리 기억시켜 놓은 것이며, 제13도에서의 b점에서부터 c점에서의 속도(10초간 당의 전류의 변화치 △A/△T)를 횡축으로한 경우, 종축에는 뇨내의 포도당의 농도가 표시되며, (S39)에서 입력된 속도에 의거하여 포도당의 농도를 순식간에 알 수 있다. 그때에 (S38)의 더어미스터(37)로부터 입력된 온도치에 대응한 농도치가 제14도의 선도로부터 CPU내에 산출된다(S42). 이 농도치는 숫자로서 조작반(51)의 표시부(51a)에 표시된다(S48).
또, 측정 종료시에는 전자버저(buzzer)에 의해 신호가 이루어지며(S47), 표시가 소정시간 행하여진 후에는 측정램프(L2)가 소등되고, 또 램프(L1)이 소등된다(S49,S50).
포도당의 농도가 표시부(51a)에 소정 초동안 표시되면, 스테핑모우터(50)이 회전되어서 피스톤(32)가 상승하여(S40), 채뇨실(C)내의 시약과 뇨와 희석수와의 혼합액을 사발부(8)내에 배출한다. 그때에 전자밸브(D1)이 개방되어서 로우탱크(6)으로부터 희석수가 펌프실(P)내에 수관(Y2), 도수관(Y1)을 개재해서 도입된다(S41).
다음에, 전자밸브(D5)가 온되어서 외부의 수도물이 수관(Y7)을 개재해서 채뇨실(C)내에 도입되고, 채뇨실(C)내가 수모둘에 의해 세정된다(S44). 이때에 스테핑모우터(50)이 회전되어서 피스톤(32)가 하강하고(S45), 동시에 전자밸브(D3)이 개방되어서(S46), 펌프실(P)내의 희석수가 채뇨실(C)내에 도입된다. 그때문에 도수관(Y1) 및 혼합관(Y3)내가 세정되게 된다.
전자밸브(D3)이 폐색된 후, 상기한 ⓑ의 순서도에 따라서, 재차 스테핑모우터(50)이 역회전하여 피스톤(32)이 상승되면(S13), 동시에 전자밸브(D1)이 개방되어서(S14) 펌프실(P)에 로우탱크(6)으로부터 세정수가 흡입된다. 이때에도 도수관(Y1)의 세정이 행하여지게 된다. 재차 스테핑모우터(50)의 역회전에 의해 피스톤(32)이 하강하여(S15), 전자밸브(D2)가 개방되면(S16), 펌프실(C)로부터 세정수가 도수관(Y4) 및 배수관(Y5)를 개재해서 배수되어, 도수관(Y4) 및 도수관(Y) 세정수에 의해 세정된다. 이후, 또 (S17), (S18), (S19), (S20)을 거쳐서 관로내의 세정이 양호하게 행하여져서 채뇨기(7)의 스스로의 세정 작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피스톤(32)의 상하동에 따라서, 펌프실(P)내에 희석수를 도입하고, 그 희석수를 채뇨실(C)내에 채취된 뇨에 혼입하여 뇨를 희석하고, 또 희석된 뇨를 피스톤(32)의 상승과 동시에 외부로 배출하고, 간격(M)내에 약간 잔류한 희석된 뇨에 대하여 펌프실(P)내에 흡인된 시약을 채뇨실(C)에 피스톤(32)의 하동에 따라서 분출시키고, 소량의 뇨에 대하여 대량의 시약을 혼입시켜서, 양호하게 시약에 의한 산화반응에 따른 뇨중의 포도당의 농도를 측정하여, 수치표시 시킬 수 있고, 또 그후에 피스톤(32)의 상하동에 따라서 채뇨실(C) 및 펌프실(P) 및 주변의 배관에 세정수를 통하게 하여, 양호하게 세정해서 스스로 세정작용을 행하게 하여 새로운 측정에 대처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희석보급용 단추(E3)을 눌렀을 때에는(S51), 램프(L3)이 점멸되어(S52), ⓓ의 프로그램에 있어서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즉, 스테핑모우터(50)이 온되어서(S53), 리밋스위치(47)에 슬라이드 테이블(43)이 당접할때까지(S55) 피스톤(32)가 상승되고, 그때에 전자밸브(D1)이 개방되어서(S54), 로우탱크(6)내로부터 펌프실(P)로 세정수가 흡입된다. 재차 스테핑모우터(50)이 역회전하므로서 피스톤(32)가 하강하고(S56), 동시에 전자밸브(D3)이 개방되므로서(S57) 펌프실(P)내의 세정수가 채뇨실(C)로 보내어진다. 재차 스테핑모우터(50)이 역회전하므로서 피스톤(32)가 상승하고(S58), 동시에 전자밸브(D1)이 개방되므로서 재차 펌프실(P)내에 세정수가 유입된다(S58). 또 스테핑모우터(50)이 역회전하므로서 피스톤(32)가 하강하고(S60), 동시에 전자밸브(D3)이 개방되어서 펌프실(P)로부터 세정수가 채뇨실(C)로 보내어진다(S61). 이 (S58)~(S61)까지를 5회정도 반복(S62)하므로서, 각 배관속에 포함되는 기포가 제거된다.
이 조작은, 예를 들면 채뇨기(7)의 설치직후 등에 행하여지는 것으로서, 배관속의 기포를 제거해서 뇨의 희석률과 시약의 혼합률이 기포에 의해 변화하는 것을 방지하여, 정확한 측정치를 얻기 위해서 행하여지는 것이며, 배관 전체를 몇번이라도 반복 세정하여 내부의 기포를 배출시키는 것이다. 최후에는 전자밸브(D5)가 개방되어서 수도물에 의해 세정되어(S64), 또 ⓑ의 프로그램에 의해 (S13)~(S20)까지의 공정이 행하여진다.
또, 사용자가 시약보급의 스위치(E4)를 눌렀을 때에는, ⓔ의 프로그램에 있어서의 처리가 행하여진다. 즉, 시약카아트리지탱크(21)을 교환했을 때에 행하게 되는 조작이다. 그때에는 스위치(E4)가 온되면(S65), 램프(L4)가 점멸하여(S66), 스테핑모우터(50)이 회전해서 피스톤(32)가 상승하고(S67), 그때에 전자밸브(D4)가 온되어서(S68), 펌프실(P)내에 시약이 흡수된다. 리밋스위치(47)이 온되면(S69), 스테핑모우터(50)은 역회전하여 피스톤(32)는 하강을 개시하고(S70), 그때에 전자밸브(D3)이 개방되어서(S71), 시약이 펌프실(P)로부터 채뇨실(C)로 도입된다. 재차 스테핑모우터(50)이 역회전하여(S72), 피스톤(32)가 상승하면 동시에 전자밸브(D4)가 개방되어서(S73), 재차 시약이 펌프실(P)내로 도입된다. 재차 스테핑모우터(50)이 역전하므로서 피스톤(32)가 하강하면(S74), 펌프실(P)내의 시약이 채뇨실(C)내로 도입된다. 그때에는 전자밸브(D3)이 개방된다(S75). 이 (S72)~(S75)까지의 사이클을 5회 반복하여(S76), 시약관로, 즉 시약관(Y6)과 도수관(Y4)내의 기포 제거가 행하여진다. 최후에는 전자밸브(D5)가 온되어서(S77) 채뇨실(C)내의 시약이 세정되어 시약관로의 기포 제거가 완료된다. 완료후에는 램프(L4)가 소등된다(S78).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시약카아트리지탱크(21)내에 글루코오스 산화효소를 봉입해서 뇨중의 포도당의 농도를 측정하는 예를 표시하였으나, 시약카아트리지탱크(21)내에 빌리루빈 산화효소를 봉입해두면 뇨중의 빌리루빈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어, 간장병의 건강진단에 유효하게 된다. 또, 시약카아트리지탱크(21)내에 락트산염 수소이탈효소(Lactate Dehydrogenase)를 주성분으로 하는 시약을 봉입해두면, 뇨중의 유산(流酸)의 농도를 양호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 시약카아트리지탱크(21)내에 콜레스테롤 산화효소를 봉입해두면, 뇨중의 유지(油脂)의 온도를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시약은 단독으로 시약카아트리지탱크(21)에 봉입한 것이라도 되며, 또, 각 시약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뇨중의 포도당외에, 빌리루빈, 락트산염 유지도 동시에 측정하는 기능을 갖춘 변기로 할때에는, 각각 독립의 배관에 의해 독립의 채뇨기(7)을 변기에 복수개 설치해서, 각 채뇨기(7)로부터 각각 포도당 농도, 빌리루빈 농도, 락트산염 농도, 유지 농도를 동시에 측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채뇨기(7)을 피스톤 구조로 하고, 피스톤의 상하동에 의해 아래쪽의 펌프실과 위쪽의 채뇨실을 교호로 용적변화시켜서, 희석수 및 시약등을 양호하게 각 실내로 압입시킬 수 있으며, 압입시에는 노즐금구(35)의 혼합작용에 의해 양호하게 채뇨실내에서 뇨와 시약이 혼합되게 되므로서, 반응을 극히 양호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간격(M)에 잔존한 근소한 뇨만을 채취해서 대략의 시약에 의해 반응을 시키지 때문에, 극히 정확하게 뇨중의 포도당등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로우탱크(6)내에 로우터리솔레노이드(14)를 설치하고, 종래의 상하동을 수반하는 슬라이드식의 솔레노이드에 비하여 가동범위가 좁기 때문에, 콤팩트하게 로우탱크(6)내에 설치해서 로우탱크(6)의 저수용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동시에, 로우터리솔레노이드(14)의 정숙성에 의해 배수시등에 있어서의 소음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또, 이 로우터리솔레노이드(14)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광파이버를 사용한 광전스위치(29)를 채용하였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로우탱크내에 광전스위치가 돌출하는 일이 없어, 콤팩트하게 로우탱크에 감지부(15)를 고정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파이버는 전기배선을 수반하지 않기 때문에 로우탱크내의 물속을 배관시킬 수도 있어, 종래와 같이 광전스위치가 로우탱크내의 수분에 의해 전기적인 고장을 발생하는 일이 없고, 양호한 작동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변기는, 변기의 사발면에 방뇨되는 뇨중의 성분과 반응할 수 있는 효소시약과, 이 효소시약과 뇨중성분과의 반응상태를 전기신호로서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전극을 구비하므로서, 방뇨된 뇨를 시약과 반응시켜서, 그 반응상태를 전극을 개재해서 전기신호로서 외부로 뽑아내고, 종래와 같이 색판정에 의하지 않고 수치적으로 뇨중의 당분량등을 판정할 수 있어, 건강상태의 판정을 극히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변기의 사발면에 방뇨되는 뇨중의 성분과 반응할 수 있는 효소시약과, 이 효소시약과 뇨중성분과의 반응상태를 전기신호로서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전극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뇨중성분 검출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효소시약이 뇨중의 당분을 산화하는 효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시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뇨중성분 검출변기.
  3. 제1항에 있어서, 효소시약이 뇨중의 단백질을 산화하는 효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시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뇨중성분 검출변기.
  4.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전극이 효소시약과 뇨중성분과의 산화반응에 의해 소비되는 산소소비량을 전류치로서 외부로 출력하는 산소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뇨중성분 검출변기.
KR1019880006004A 1987-05-22 1988-05-21 뇨중성분 검출변기 KR9000054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26447A JPS63290961A (ja) 1987-05-22 1987-05-22 尿中成分検出便器
JP62-126447 1987-05-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4372A KR880014372A (ko) 1988-12-23
KR900005483B1 true KR900005483B1 (ko) 1990-07-30

Family

ID=14935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6004A KR900005483B1 (ko) 1987-05-22 1988-05-21 뇨중성분 검출변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3290961A (ko)
KR (1) KR9000054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635819T2 (de) * 1995-10-18 2006-12-21 Arkray, Inc. Vorrichtung zur Harnuntersuchung
CN204023746U (zh) * 2014-06-16 2014-12-17 孟州贝氏医疗器械有限公司 自动集尿及检测的座便器
CN108082751A (zh) * 2018-01-26 2018-05-29 北京秒康智能科技有限公司 智能尿检马桶的试纸自动出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0713A (ja) * 1982-03-02 1983-09-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燃料遮断制御装置
JPH0432612Y2 (ko) * 1985-08-10 1992-08-0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29266B2 (ko) 1993-04-28
KR880014372A (ko) 1988-12-23
JPS63290961A (ja) 1988-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0149A (en) Toilet-bowl-mounted urinalysis unit
EP0687909B1 (en) Urine sampl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CA2160664A1 (en) Urine sampl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KR900005483B1 (ko) 뇨중성분 검출변기
KR900004141B1 (ko) 건강정보수집 시스템
KR910004247B1 (ko) 뇨중성분 검출장치와 검뇨장치부 변기 및 검뇨설비실
JP3304587B2 (ja) トイレット設置型尿分析ユニット
JPH0517655Y2 (ko)
JPH0515098Y2 (ko)
JPH05859Y2 (ko)
JPH0517656Y2 (ko)
JPH05860Y2 (ko)
JPH0439325Y2 (ko)
JP5003552B2 (ja) 尿成分濃度測定装置、尿成分濃度測定装置を備えた便器装置、及び、溶液成分濃度測定方法
CN210571937U (zh) 直排式便器尿检装置和直排式尿检便器
JP3557710B2 (ja) 尿サンプリング装置
CN108571048B (zh) 多功能座便器
JPH08319647A (ja) 尿サンプリング装置の洗浄機構
JPS63241463A (ja) 尿自動検査装置
CN114533133B (zh) 一种尿液检验用取样装置
JPH0539494Y2 (ko)
JPH0517662Y2 (ko)
JPH0517660Y2 (ko)
CN216133073U (zh) 一种防回流的尿检座便器
JPH051765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6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