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287Y1 - 씽크대의 낙수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씽크대의 낙수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287Y1
KR900005287Y1 KR2019860021554U KR860021554U KR900005287Y1 KR 900005287 Y1 KR900005287 Y1 KR 900005287Y1 KR 2019860021554 U KR2019860021554 U KR 2019860021554U KR 860021554 U KR860021554 U KR 860021554U KR 900005287 Y1 KR900005287 Y1 KR 9000052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w
wedge
sink
melamine
thi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215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1471U (ko
Inventor
조창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한샘
조창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한샘, 조창걸 filed Critical 주식회사한샘
Priority to KR20198600215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287Y1/ko
Publication of KR8800114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14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2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28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씽크대의 낙수 방지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사용되는 쐐기의 일부분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판 2 : 전면부
3 : 멜라민박판 5 : 절개부
6 : 받침편 7 : 쐐기
8 : 받침턱
본 고안은 씽크대를 사용시 전면으로 물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본원 출원인의 선출원 고안인 낙수방지장치(실용신안등록출원 제86-8530호)의 개량고안에 대한 것이다.
즉, 선출원고안은 씽크대의 전면으로 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판의 전면 상하모서리 부분을 만곡되게 가공한 다음 전면과 상면에 멜라민박판을 피복되게 접착하고 이후 전면부가 완전히 분리되기 않게 저면에는 절개가공하여 이 절개부가 적절하게 벌어지도록 쐐기를 끼워 넣어 전면부가 앞쪽으로 벌어지게 하므로 전면부의 상측 모서리부분이 상향되게 하여 상판의 상면보다 약간 높아지도록 하였기 때문에 낙수가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 고안은 비록 상면에서 물이 흘러 내리지 않게 방지하여 줄 수는 있지만 사용시 부주의로 전면부 표면으로 물이 튀게 되거나 또는 물을 흘릴 경우에는 하측모서리 부분을 따라 흘러내려 씽크대 내부로 흘러 들어가게 됨은 물론 전면부의 하부끝과 멜라민 막판의 접착부분 사이로 흘러 들어가게 되어 멜라민 박판이 박리될 염려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쐐기의 전면 하부끝에 받침턱을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하여 이 받침턱에 의해 전면부의 하부끝과 멜라민 박판의 접착부분이 둘려 싸여지게 하므로 접착부분이 보강됨은 물론 물이 흘러들어가는 것도 방지되게 고안한 것으로 첨부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내면부보다 두께(L)을 두껍게한 상판(1)의 전면부(2) 상하 모서리부분은 만곡되게 가공한 다음 표면에 고압 압력멜라민박판(3)을 피복되게 접착하고 이후 전면부(2)와 내면부의 경계지점을 그 상측부에 약간의 연결부(4)가 남도록 적정폭(H)으로 저면에서 절개하고 이 절개부(5)가 적절하게 벌어지도록 내측면에는 받침편(6)을 돌출연결하고 외측면은 적정각도의 경사면으로 되게 하며, 그 하부끝에는 받침턱(8)을 상향 경사지게 길이방향으로 돌출시킨 쐐기(7)의 상측부분을 끼워 넣어 고정 부착시켜서 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 "9"는 쐐기를 부착하기 위한 고정면이고, "10"은 보강목재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전면후(2)의 두께(L)를 상판(1)의 내면부보다 두껍게 가공하여 이들의 경계지점을 저면에서 적정폭(H)으로 절개하되, 상측에는 약간의 연결부(4)가 남도록 하여 전면부(2)가 상판(1)에서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이후 표면에 고압 압력멜라민박판(3)을 전부분이 골고루 밀착되게 피복접착한다음 절개부(5)를 적절하계 벌리면서 쐐기(7)의 상단부를 끼워 넣으면 경사면으로 된 외측면에 의해 전면부(2)가 앞쪽으로 벌어지게 되어 제2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그 상측모서리부분(R)이 상판(1)의 상면보다 벌어지는만큼 높아지게 되므로 결국 상판(1)의 전면부에 낙수 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같이하여 낙수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본고안은 쐐기(7)의 표면을 거칠게 성형하면 마찰력이 증가되어 부착상태가 더욱 안정되는 것으로서 전면부(2)를 앞쪽으로 벌려줄때, 상측에 약간 남아있는 연결부(4)에 균열이 발생되어도 상판(1)과 전면부(2)의 표면에는 이미 고압 압력멜라민 박판(3)을 밀착되게 접착시켜 놓았기 때문에 멜라민 박판(3)에 의해 완전히 전달되지 않게 됨은 물론, 전면부(2)가 벌어지는 간격이 비교적 크지않기 때문에 상판(1)과 전면부(2) 사이, 즉 연결부(4) 상면이 구부러지는 정도 역시 크지 않게되어 이 부분의 멜라민박판(3)에 균열이 발생되거나 또는 박리되는 현상이 전혀 없게 되는 것이다.
한편 쐐기(7)를 완전히 결착시켜주면 외측면의 하부끝에 상향경사지게 돌출시킨 받침턱(8)이 하향벌어지면서 전면부(2)와 멜라민박판(3)의 하부끝 접착부위를 둘러싸주게 되며, 이때 받침턱(8)은 벌어지는 만큼 자체탄성이 증가되어 접착부위를 더욱 단단히 받쳐주게 되어 이 부분이 박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주게됨은 물론, 전면부(2)에 떨어지는 물이 있을 경우 그 하측모서리 부분을 따라 하부로 흘러내리게 되면 받침턱(8)에 의해 씽크대 내부로 흘러들어가지 못하고 주방바닥으로 떨어지게 되어 제2의 낙수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외관이 미려하게 되고, 균열 및 박리현상이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되며 낙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씽크대의 수명이 길게되는 등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표면에 고압압력 멜라민박판(3)을 피복 짐착시킨 상판(1)의 전면부(2)와 내면부사이의 절개부(5)에 쐐기(7)의 상측부를 끼워넣어 결착시켜 전면부(2)가 낙수방지턱이 되게 함에 있어서, 쐐기(7)의 외측면 하부끝에 받침턱(8)을 상향 경사지게 길이 방향으로 돌출하여 이 받침턱(8)에 의해 전면부(2)와 멜라민 박판(3)의 하부끝 접착부분이 보호됨과 동시에 제2의 나낙수방지턱이 형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한 씽크대의 낙수 방지장치.
KR2019860021554U 1986-12-29 1986-12-29 씽크대의 낙수 방지장치 KR9000052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21554U KR900005287Y1 (ko) 1986-12-29 1986-12-29 씽크대의 낙수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21554U KR900005287Y1 (ko) 1986-12-29 1986-12-29 씽크대의 낙수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471U KR880011471U (ko) 1988-08-25
KR900005287Y1 true KR900005287Y1 (ko) 1990-06-15

Family

ID=19258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21554U KR900005287Y1 (ko) 1986-12-29 1986-12-29 씽크대의 낙수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28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471U (ko) 1988-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27050S (en) Deck connector
CA2333387A1 (en) Device for the coupling of excavator teeth
BG104109A (en) Stopper with an extended sealing component
KR900005287Y1 (ko) 씽크대의 낙수 방지장치
USD269244S (en) Knife
ES2155865T3 (es) Estructura de gancho para un dispositivo de fijacion superficial moldeado.
BE902127A (fr) Couverture a elements pats notamment pour bardage et toiture.
MXPA04000831A (es) Inserto cortante con limpiador.
CA2301488A1 (en) Sheet coated with silicone compounds highly effective in preventing adhesion of stain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USD413142S (en) Printer
KR890008797Y1 (ko) 씽크대의 낙수 방지장치
USD336348S (en) Athletic court grid surface tile
CA99240S (en) Lavatory
KR880001359A (ko) 슬로아웨이 립
JPH07234301A (ja) ディップコート用レンズ保持装置
KR200284179Y1 (ko) 싱크대 상판의 전면 모서리용 엣지
USD430598S (en) Printer
USD281878S (en) Acoustically coupled modem
USD437887S1 (en) Writing utensil
USD392838S (en) Surface pattern for use on a shoe upper
CN213899502U (zh) 型材平整组角片
JPS6222209Y2 (ko)
JPH052112Y2 (ko)
KR970009674A (ko) 판금덮개층을 갖는 조리대
JP2506573Y2 (ja) デッキ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