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5191B1 - 좌굴강도를 증가시키는 선박내의 횡격벽용파형 철판 - Google Patents

좌굴강도를 증가시키는 선박내의 횡격벽용파형 철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5191B1
KR900005191B1 KR1019850000863A KR850000863A KR900005191B1 KR 900005191 B1 KR900005191 B1 KR 900005191B1 KR 1019850000863 A KR1019850000863 A KR 1019850000863A KR 850000863 A KR850000863 A KR 850000863A KR 900005191 B1 KR900005191 B1 KR 900005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steel
ships
bending
corrugated
stee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0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6300A (ko
Inventor
이동대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정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정몽준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850000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5191B1/ko
Publication of KR860006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6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5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5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3/00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 B21D13/10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into a peculiar profiling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좌굴강도를 증가시키는 선박내의 횡격벽용파형 철판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파형 철판으로 선박에 횡격벽을 설치하는 위치 설명도.
제2도는 종래 파형 철판의 구조 계산도.
제3-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도.
본 발명은 화물선에 있어서 화물의 적재 및 해난사고시 선박과 인명의 안전을 위하여 배의 특성 및 크기에 따라 일정수 이상의 구획 분활용 수밀 횡격벽을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파형 철판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횡격벽의 강도 설계 기준은 적재 화물에 의한 압력, 구획의 침수에 따른 해수의 수압, 수직압력(LATERAL PRESSURE)에 의한 관의 굽힘(PLATE BENDING)에 의한 응력, 방요재(STIFFENER)의 전단, 굽힘, 조합 및 좌굴 응력, 방요재의 변형등이 계산되어야 하며, 현재 횡격벽으로 주종을 이루는 " "형의 파형 격벽은 건화물이 수직 횡격벽에 미치는 압력은 수압에 비해 미약함으로 구획의 침수에 따른 해수의 수압이 하중 조건으로 주어지고 이때 허용 응력은 통상 안전율 1-1.2배 정도로 거의 재질의 탄성한계에 가깝게 설계되고 있다.
또, 굽힘, 전단 및 기타의 강도는 충분하나 좌굴 강도의 부족으로 이를 보상하기 위하여 재질의 두께를 증가 시키는 비경제적인 방법을 도입하고 있다. 예제로서 제2도와 같은 파형 철판의 경우는,
탄성계수 E=2.15×106Kg/㎠
포아선비 γ=0.3
항복점 σy=2500Kg/㎠
안전율 n=1.1
단면계수 Z=400t ㎤
단면적 A=16t ㎠
1) 방요재의 최대 굽힘 응력 σ은
Figure kpo00001
이고, 만약 제2도에서 두께 t=10mm로 생각하고 허용 최대굽힘 모우멘트(M)를 생각하면,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이다.
즉, 제2도의 형상을 갖는 파형 철판이 두께 t=10mm일 경우 최대 허용굽힘 모우멘트는 9,092,000Kg/㎠이고 이때 굽힘 응력은 2273Kg/㎠로 설계 조건인 안전을 1.1을 만족한다.
2) 좌굴 강도는 좌굴 응력 σa≥응력 σ이어야 하고
Ka : 파형 격벽의 좌굴 계수 일때
Figure kpo00004
이므로 σa<σ가 되어 좌굴 강도의 부족으로 이를 보상해야 한다.
3) 현재의 좌굴 강도의 증가 방안은 식 1에서이므로 t를 증가시키든가 a를 감소시켜야 한다.
가. a를 감소시킬 경우
A. 단면적의 감소로 인해 단면계수 Z의 감소를 가져와서 굽힘 응력이 증가되고 이는 필연적으로 철판 두께를 증가 시킨다.
B. 제2도에서 a의 감소는 b의 증가를 가져오고 이는 수직 압력에 의한 b판의 굽힘 응력이 증가되어 철판 두께를 증가 시켜야 될 뿐만 아니라 파형 철판이 굽힘 가공에 의해 제작 되므로 a판과 b판의 두께는 동일하므로 a판에 대해선 상대적으로 과대 설계가 되어 경제성이 떨어진다.
나. t를 증가시킬 경우
A. 단면계수 Z의 증가로 굽힘 응력이 떨어져 경제성이 낮아진다.
다. a와 t를 다같이 조정할 경우 상기(가) 및 (나)항 보다는 경제성이 높아지나 그 계산과정이 복잡하고 그 효과는 크게 증가하지 않는다.
라. (2)에서의 좌굴 강도의 부족을 (3)의 나. 방법으로 보상할 경우 σa≥σ이므로 증가된 파형 철판의 두께는 t'는
Figure kpo00006
이며 t 10일 경우
Figure kpo00007
Figure kpo00008
즉, 파형철판의 두께는 11.152m/m로 증가하고,
Figure kpo00009
Figure kpo00010
단면적 A = 16×11.152 = 178.4㎠이고, σa≥σ인 조건이 성립하나 굽힘 응력에 대한 안전율은
Figure kpo00011
=1.23이 되어 효과적이 못되는 결론에 도달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철판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비경제성과 비효율적인 방법을 배격하고 하중 조건의 면밀한 분석과 이에 대한 대응책을 모색한 결과로서 형성된 새로운 형태의 파형 철판이 창출된 것으로서 발명의 요지를 첨부도면 및 실시예에 연관시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선박의 수직횡격벽(1)(1')으로 사용되는 파형 철판에 있어서, 제3도와 같이 기존의 파형 철판을 개량하여 파형 철판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적절한 량의 곡율(R)을 모서리에 줄 경우, 1) 면재와 웨브(WEB) 폭 a,b는 2δ×f(δ=만곡부), (f=안전계수)만큼 줄어들어
가 : 수직압력에 의한 판의 굽힘강도 및 좌굴강도가 증가한다.
나 : 단면적의 감소로 단면계수 Z의 감소가 일어나 방요재의 굽힘강도가 떨어지나 각도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곡율을 택할 경우 굽힘강도의 감소율 보다 좌굴강도의 증가율이 높아져 전체적인 강도는 높아진다.
[실시예 2]
제4도와 같이 파형철판을 곡율 반경 100mm을 주었을 경우
단면계수 Z=384.5t ㎤
단면적 A=15,644t ㎠
1) 실시예 1의 파형 철판의 최대 허용 굽힘 모우멘트는
M = 9,092,000㎏/㎝이므로
Figure kpo00012
2) 좌굴 강도는
a'=800-2×70×f(안전계수 f=2/3를 택하면)=706.7mm
식 1에서
Figure kpo00013
이므로 설계조건을 만족하고 이때의 효과(단면적의 비)는 실시예 1의 178.4와 비교하면 단면적 차이 △A=178.4-162.7=15.7㎠로 감소율 K는
Figure kpo00014
즉, 실시예의 경우 8.8% 자재비 절감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 실시예 3의 피치형상에 따른 효과적인 곡율 반경은 표 1과 같이 실선에서 설계 조건에 따라 보다 효과적으로 곡율을 도입할 수 있는 것이다.
[표 1]
Figure kpo00015
본 발명으로 개량된 파형 철판을 사용하여 선박의 횡격벽을 설치할 경우 약 8.8%의 자재 절감이 가능하고 실선 적용의 경우 좌굴 강도의 부족현상을 탈피할 수 있어 피치조절(제2도의 a증가)이 용이하여 10-15%의 원가절감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한 개발품의 특징은 파형 철판의 모서리에 피치 형상에 따라 75-200mm의 곡율을 주어 단면계수의 손상비보다 좌굴 강도비 증가비를 높여 전체적인 강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조선용 파형 격벽으로 시공되게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선박의 수밀횡격벽에 사용되는 파형 철판을 제조함에 있어서 파형 철판이 절곡되는 각 모서리에 폭 a와 각도에 따라 75-200㎜의 곡율(R)을 형성한 구조로 된 좌굴 강도를 증가시키는 선박내의 횡격벽용 파형 철판.
KR1019850000863A 1985-02-13 1985-02-13 좌굴강도를 증가시키는 선박내의 횡격벽용파형 철판 KR9000051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0863A KR900005191B1 (ko) 1985-02-13 1985-02-13 좌굴강도를 증가시키는 선박내의 횡격벽용파형 철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50000863A KR900005191B1 (ko) 1985-02-13 1985-02-13 좌굴강도를 증가시키는 선박내의 횡격벽용파형 철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300A KR860006300A (ko) 1986-09-09
KR900005191B1 true KR900005191B1 (ko) 1990-07-21

Family

ID=19239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0863A KR900005191B1 (ko) 1985-02-13 1985-02-13 좌굴강도를 증가시키는 선박내의 횡격벽용파형 철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51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929B1 (ko) * 2010-09-30 2013-04-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용접 파형격벽을 구비한 선박
KR101292599B1 (ko) * 2005-02-25 2013-08-05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반응기 용기의 내부 구성요소를 위한 지지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599B1 (ko) * 2005-02-25 2013-08-05 쉘 인터내셔날 리써취 마트샤피지 비.브이. 반응기 용기의 내부 구성요소를 위한 지지 시스템
KR101258929B1 (ko) * 2010-09-30 2013-04-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용접 파형격벽을 구비한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6300A (ko) 1986-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5834780A (en) Corrugated metal sheet
KR900005191B1 (ko) 좌굴강도를 증가시키는 선박내의 횡격벽용파형 철판
KR100306246B1 (ko) 평판형웨브프레임및그위에용접된프로파일몸체
US4638754A (en) Vessel hull and bulkheads construction employing curved plating
Spencer Structural design of aluminum crewboats
CN216269755U (zh) 垂直槽型舱壁结构
US4907524A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strain and/or deflection in superstructures
CN113942610A (zh) 垂直槽型舱壁结构
JP2015514044A (ja) 船舶船体および船舶
CN209653167U (zh) 一种角钢加劲钢板剪力墙结构
CN220908146U (zh) 一种曲面薄板装饰悬挑桥面结构
SU1100000A1 (ru) Днищевое перекрытие корпуса судна с навесной системой набора
CN209617408U (zh) 一种m型橡胶护舷
JPH0547439B2 (ko)
CN218087016U (zh) 一种浸入式无主梁浮盘结构
US2179820A (en) Metallic structure
CN215563794U (zh) 一种抗变形性能强的彩钢板
CN218705591U (zh) 一种浸入式浮盘结构
SU672307A1 (ru) Криволинейный тонкостенный элемент
GB537108A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he construction of roofings, decks, walls, partitions and like structural surfaces
CN116654164A (zh) 一种槽型舱壁船舶甲板结构及船舶
JPH06510254A (ja) 船舶の船殻装置
SU954305A1 (ru) Полотнище судовой корпус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SU1162667A1 (ru) Палуба судна
US2390330A (en) Construction design and shrink joint for ship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1989201000561;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Free format text: OPPOSITION NUMBER: 001990001679001990002193; OPPOSITION DATE: 25710127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O073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