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981B1 - 활공기 - Google Patents

활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981B1
KR900004981B1 KR1019870005532A KR870005532A KR900004981B1 KR 900004981 B1 KR900004981 B1 KR 900004981B1 KR 1019870005532 A KR1019870005532 A KR 1019870005532A KR 870005532 A KR870005532 A KR 870005532A KR 900004981 B1 KR900004981 B1 KR 900004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auxiliary
angle
glider
aircr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5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3772A (ko
Inventor
김택진
Original Assignee
김택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택진 filed Critical 김택진
Priority to KR1019870005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4981B1/ko
Publication of KR880013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3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1/00Aircraft intended to be sustained without power plant; Powered hang-glider-type aircraft; Microlight-type aircraft
    • B64C31/02Gliders, e.g. sailpl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활공기
제1도는 본 발명 활공기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시도로서, (a)는 등속으로 비행할 때의 작용표시도, (b)는 가속으로 비행할 때의 작용표시도, (c)는 착륙할 때의 작용표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날개 1' : 보조날개
2 : 주간 3 : 승강타
4, 4' : 보조승강타 5 : 손잡이간
6 : 핸들 7 : 체결밴드
7' : 로우프 8, 8' : 바퀴
9 : 끝 10 : 안내로울러
11 : 탑승부
본 발명은 활공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활공기는 일반적으로 탑승자가 날개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는 탑승대에 앉은 자세로 탑승한 후 수평타 및 방향타와 보조날개를 원격조정하면서 비행 및 착륙하도록 되어 있으나 이는 기체 자체의 무게중심을 크게 가변할 수 없었기 때문에 비행도중 날개의 적은 영각변화에는 적응할 수 있으나 큰 영각변화에 따른 양력중심 이동에는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없었던 관계로 실속비행에서 탈출이 거의 불가능하였을 뿐만 아니라 착륙 시에는 날개의 대범위 영각변화를 할 수 없어서 착륙거리를 비교적 길게 차지하는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한 것으로 이의 발명요지는 탑승자(조정자)의 신체적 무게중심의 전후이동으로 기체의 무게중심 이동 및 보조승강타의 영각변화로 날개의 영각을 최대한 가변할 수 있게 하므로서 비행속도 변환시나 실속시에는 능동적으로 이에 적응할 수 있고 또한 착륙시에는 비교적 단거리내에서 기체의 착륙이 가능케 한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조를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조날개(1')를 좌우에 유착한 날개(1)의 중심 하방에는 주간(2)이 부착되고 주간(2)의 후단 및 중앙부에는 바퀴(8)(8')가 달려있고 주간(2)의 선단부에는 보조승강타(4)(4')를 유착한 방향타를 겸한 승강타(3)가 부착되며 날개의 상면에는 탑승부(11)가 형성되고 그 전방에 설치된 핸들(6)에는 끈(9)이 체결되어 있으되, 이 끈(9)은 안내로울러(10)에 권회된 상태에서 이상의 보조날개(1') 및 보조승강타(4)(4')를 조정할 수 있게 하였으며 날개(1)의 상면 탑승부(11)의 좌우측에는 조정자가 업드린 자세로 탑승하여 잡을 수 있는 손잡이간(5) 및 조정자의 동체를 체결하는 체결밴드(7)가 로우프(7')에 의해 여유 있게 부착되어진 구조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대기속에서 비행하는 활공기는 비행도중에 있어서는 그 진행방향으로 작용하는 저항력(抵抗力)과 진행방향에 직각하여 상향으로 작용하는 양력(LIFT) 및 비행몸체를 전방으로 항진되게 하는 추진력(THRUST)과 비행몸체 자체의 중력(GRAVITY)의 네 가지 힘이 평형을 이루고 있을 때, 비로소 직선 등속비행이 가능한 것이다.
즉 동력에 의해 추진되는 일반 항공기는 엔진의 동력에 의하여 그 힘으로 기체를 전방으로 항진시키는 작용을 하고 있으나 무동력인 활공기는 수평방향에 대하여 하향부각(下向負角)방향으로 비행할 때 기체 중력의 비행방향 분력이 추진력으로 작용하므로서 이것이 활공기를 전방으로의 비행을 가능케 하고 있다.
이러하기 때문에 활공기는 그 진행방향이 수평방향에 대하여 하향부각으로 비행할 때에 한하여 비행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날개의 형(AERO-FOIL)과 추진방향에 대한 각도를 영각(迎角)이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 날개형의 진행방향에 대한 영각(ATTACT-ANGLE)이 크면 커질수록 비행 중에 생기는 양력(揚力)과 항력(抗力)이 커짐과 동시에 양력 중심은 날개의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비행속도는 줄어지게 되고 반대로 영각이 작아지면 작을수록 양력과 항력이 작아짐과 동시에 양력 중심은 날개의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비행속도는 빨라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일반 항공기는 이의 영각을 조정하기 위하여 주로 큰 날개(MAIN WING)의 후방에 작은 날개(TAIL WING)가 있거나 본 발명과 같이 전방(CANADE TYPE)에 작은 날개가 있는데 이것을 승강타(ELEVATOR)라고 한다. 그러므로 항공기는 이 승강타의 영각변화로서 날개의 영각을 변화시키면 양력과 항력이 변화되므로 비행체의 비행속도변화가 가능한 것이다.
이와 같이 날개(1)의 영각이 변화되면 항력의 변화에 의한 속도변화는 꾀할 수 있으나 일반 항공기 및 종래의 활공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적은 범위의 양력중심 이동은 가능하지만 큰 범위의 양력중심 이동에는 대처할 수 없었던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비행도중 비행속도변화를 꾀하고자 할시는 제2(b)도표시와 같이 핸들(6)을 앞으로 밀면 이때에는 보조승강타(4)(4')의 선단이 상향 이동되면서 하향부력이 생겨 날개(1)의 영각이 감소됨에 따라 양력중심은 뒤로 이동한다.
즉 양력과 항력이 줄어지고 대신 속력이 빨라진다. 그리고 탑승자가 제2도(a)화살표시와 같이 핸들(6)을 뒤로 당기면서 탑승자의 신체중력 중심을 화살표시와 같이 날개(1)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이때에는 날개(1)의 양력 중심과 기체의 중력 중심이 일치하게 되므로 기체는 정상 등속비행을 가능하게 해준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승강타(3)는 방향타(RUDDER)의 역할을 겸하고 있기 때문에 기체의 진행방향을 변화시키고자 할시는 보조날개(1') 및 보조승강타(4)(4')를 작동시켜 기체를 좌 또는 우로 경시시키면서 탑승자의 무게중심을 날개(1)의 전방으로 이동시켜 날개(1)의 영각변화를 막으면 비행방향이 변화된다.
그리고 일반 항공기나 종래의 활공기는 실속하였을때에는 기체의 무게중심이 양력중심보다 후측에 있음으로 실속의 위험 상태에서 정상 비행으로의 탈출이 어렵기 때문에 기체는 수평으로 빙빙 돌면서(SPIRALSPIN)낙하하게 되나 본 발명은 탑승자의 신체적 중력중심을 날개의 양력중심보다 앞으로 이동시키면 기체의 머리는 하향하면서 가속력이 생기게 되므로 실속의 위험상태에서 쉽게 탈출할 수가 있다.
그리고 착륙시에 있어 장애물등으로 인하여 단거리내에서 착륙이 요구될시는 정상착륙시와는 달리 보조승강타(4)(4')를 이용하여 날개(1)의 영각을 증가시킴과 동시 탑승자의 무게중심을 뒤로 이동시키면 날개(1)의 양력중심은 기체 앞쪽에서 위로(上向) 향하여 작용하고 기체의 중력중심은 양력중심보다 후방에서 아래로(下向)향하게 되므로 이것이 우력(偶力)으로 작용하여 날개의 영각을 더 크게 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작용이 날개의 영각은 최대한으로 하여 제2도(c)와 같은 상태가 되어 기체에 작용하는 항력은 최대치에 달하므로서 기체는 비교적 단거리내에서 착륙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보조날개(1') 및 승강타(4)(4')의 조작과 함께 탑승자의 신체의 무게중심을 날개(1)의 전후방으로 이동시키므로서 정상 등속 비행과 변속비행 및 실속에서 탈출을 가능케 함과 동시 날개(1)의 영각을 최대한 크게 하면 단거리 내에서 착륙도 가능케 하였기 때문에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좌우에 보조날개(1')를 유착한 날개(1)의 하부에 주간(2)이 부착되고 주간(2)의 선단부에는 보조승강타(4)(4')를 유착한 승강타(3)가 형성되어 핸들(6)의 조정으로 보조날개(1') 및 보조승강타(4)(4')를 가변되게 한 것에 있어서 날개(1)의 상면에 탑승부(11)를 형성하고 탑승부(11)에는 좌우 손잡이간(5) 및 로우프(7)에 의해 체결밴드(7)가 여유 있게 부착되어 날개(1)상면에서 탑승자 체중의 전후 이동운동 및 보조승강타(4)(4')의 영각변화로 기체의 중력중심 이동과 날개(1)의 영각을 크게 가변할 수 있게한 활공기.
KR1019870005532A 1987-05-30 1987-05-30 활공기 KR900004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5532A KR900004981B1 (ko) 1987-05-30 1987-05-30 활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5532A KR900004981B1 (ko) 1987-05-30 1987-05-30 활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772A KR880013772A (ko) 1988-12-21
KR900004981B1 true KR900004981B1 (ko) 1990-07-16

Family

ID=19261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5532A KR900004981B1 (ko) 1987-05-30 1987-05-30 활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49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689A (ko) * 2001-10-26 2003-05-09 김영식 비상탈출용 비행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772A (ko) 1988-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6015A (en) Aerial transport method and apparatus
US3985317A (en) Short coupled airplane with variable wing lift
US3438597A (en) Aircraft
US4712630A (en) Ground effect vehicle
JP5160098B2 (ja) 飛行艇
WO2013037379A1 (ru) Фюзеляж и способ уменьшения сопротивления
US5026002A (en) Helihover amphibious aircraft
KR900004981B1 (ko) 활공기
JP4085716B2 (ja) 垂直離着陸機
JP2021530404A (ja) 変角型揚力調節方式の翼を装着した第3世代航空機、船舶、列車及び自動車
US4781341A (en) Flying wing aircraft
US3522785A (en) Semiairborne vehicle
US2469619A (en) Aircraft whose lift is increased by power means
US4607811A (en) Propulsion unit for hang glider type aircraft, and aircraft fitted with the propulsion unit
RU2028965C1 (ru) Самолет-амфибия
CN106081127A (zh) 空难逃生飞机
JP7418175B2 (ja) 飛行体
US3294345A (en) Towed soaring craft
KR950009338B1 (ko) 동력행글라이더
US20080223981A1 (en) Ground effect glider
JP2540067B2 (ja) 迎角コントロ―ル付きパラプレ―ン
RU2140370C1 (ru) Экраноплан "ruswind" (варианты)
US3493195A (en) Propulsion unit for aircraft and other vehicles
USRE25418E (en) Airplane with stabilizing fins
KR100242158B1 (ko) 경비행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7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