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880Y1 - 어초(漁礁) 를 겸한 어류 포획 장치 - Google Patents

어초(漁礁) 를 겸한 어류 포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880Y1
KR900004880Y1 KR2019870024728U KR870024728U KR900004880Y1 KR 900004880 Y1 KR900004880 Y1 KR 900004880Y1 KR 2019870024728 U KR2019870024728 U KR 2019870024728U KR 870024728 U KR870024728 U KR 870024728U KR 900004880 Y1 KR900004880 Y1 KR 9000048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
catching
breeding ground
fishes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247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2311U (ko
Inventor
정국성
Original Assignee
정국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국성 filed Critical 정국성
Priority to KR20198700247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4880Y1/ko
Publication of KR8900123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23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8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8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9/00Stationary catching devices
    • A01K69/06Traps
    • A01K69/08Rigid traps, e.g. lobster pot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어초(漁礁)를 겸한 어류 포획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 설명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도로써 어류의 포획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기둥 2, 2' : 상하지지판
3, 3' : 통공 4, 4' : 블럭
5, 5' : 견치돌 6 : 견인고리
7, 7' : 통로 8, 8' : 걸고리
9 : 그물
본 고안은 연근해 어업의 지속적인 생산 증대를 위해 연근해에 회유하는 어류에 대하여 안주 할 수 있는 공간 즉 어초(漁礁)를 제공하여 어린 어족을 보호하는 동시에 어류의 군집을 형성되게 한후 이를 정기적으로 포획할 수 있게한 어초를 겸한 어류 포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연근해 어업활동에 있어서는 어족을 보호하기 위한 대책도 없이 어린 어족이나 대소의 종류도 가리지 않고 무작정 잡아 들이기만 하므로서 어류의 고갈 상태를 가져와 결국은 어획량이 절대적으로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을 낳게 하였다.
또한 근자들어 이를 시정코져 인공어초를 바닷속에 형성하여 어류의 휴식 및 은식처를 제공하므로써 어류의 군집이 형성되게 한 후 그 어족을 그물 등으로 포획하던 것이었으나, 이는 어초를 해저에 형성하는 작업과 어류를 포획하는 작업이 별도록 행하여지는 까다로울뿐 아니라 포획하는 어족의 종류를 선별할 수 없고 어초를 보존키 위한 여러 장비가 필요한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코져 인공어초를 겸하면서도 그 자체로서 어류를 포획할 수 있게 한것으로서, 그 요지를 첨부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둥(1)(1')으로 연결된 상하지지판(2)(2')의 중간에 통공(3)(3')이 형성된 블럭(4)(4')을 적층하고 그 중앙에 전기한 블러(4)(4') 또는 견치돌(5)(5')을 내입하여 미로가 형성되게 하되, 상부지지판(2)에는 견인고리(6)를 형성하고, 하부지지판(2')은 통로(7)(7')를 형성하고 걸고리(8)(8')를 형성하여 그 저면에 그물(9)이 재치되게 한 것이다.
미설명 부호 10은 견인끈, 11은 그물 견인끈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어초를 겸한 어류포획 장치를 연근해의 해저에 다수개 설치하여 두면 해류의 흐름에 의해 어족의 영양분인 플랑크톤이 달라붙게 되면서 어류가 모이게 되고 블럭(4)(4')의 통공(3)(3')을 통하여 그 내측의 미로에서 어류가 휴식 및 은신하게 되므로써 먹이사슬이 형성되어 여러 종류의 어족이 군집을 형성하게 되는 것인데 블럭(4)(4')이나 견치돌(5)(5')을 내입하는 형태나 형성하는 미로의 크기에 따라 이에 모여드는 어족의 종류가 달라지므로 적당한 형태를 형성하여 모이는 어족의 종류를 선별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장기간 해저면에 침강 시켜 놓았다가 여러개의 어초중 하나씩을 건져 내므로서 그 안에 잠입 되어 있는 어류를 포획하게 되는 것인데 이를 건져 낼시는 제3도의 도시와 같이 먼저 그물 견인끈(11)을 끌어올려 그물(9)로써 어초를 감싼 후 그 견인끈(10)을 들어 올리게 되면 통공(3)(3')이나 미로등의 내부에 잠입되어 있던 어류는 그물(9)로 인하여 밖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는 상태에서 올려지므로 어류를 손쉽게 포획할 수 있는 것인데 별도의 어획장비나 어류 유인용 미끼등이 필요치 않아 경제적 부담이 없이 어로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어류에 대해 휴식 및 은식처를 제공하여 어족이 군집을 이루게 하므로써 어족 번실을 유도하는 동시에 정기적으로 이를 포획 하므로써 저렴한 비용으로 손쉬운 어로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어서, 연근해 해양자원을 풍부히 하면서 지속적인 생산 증대를 가져올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라 하겠다.

Claims (1)

  1. 기둥(1)(1')으로 연결된 상하지지판(2)(2')의 중간에 통공(3)(3')이 형성된 블럭(4)(4')을 적층하고 그 중앙에 전기 블럭(4)(4')이나 견치돌(5)(5')을 적층 또는 내입하여 미로를 형성하되, 상부지지판(2)에 견인고리(6)를 형성하며, 하부지지판(2')은 통로(7)(7')를 형성하고 걸고리(8)(8')를 형성하여 그 저면에 그물(9)이 재치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초(漁礁)를 겸한 어류포획 장치.
KR2019870024728U 1987-12-31 1987-12-31 어초(漁礁) 를 겸한 어류 포획 장치 KR9000048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4728U KR900004880Y1 (ko) 1987-12-31 1987-12-31 어초(漁礁) 를 겸한 어류 포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24728U KR900004880Y1 (ko) 1987-12-31 1987-12-31 어초(漁礁) 를 겸한 어류 포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311U KR890012311U (ko) 1989-08-07
KR900004880Y1 true KR900004880Y1 (ko) 1990-05-31

Family

ID=19271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24728U KR900004880Y1 (ko) 1987-12-31 1987-12-31 어초(漁礁) 를 겸한 어류 포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488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5094A (ko) * 2021-07-22 2023-01-31 주식회사 에코리서치 포획장치를 포함하는 가두리 양식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5094A (ko) * 2021-07-22 2023-01-31 주식회사 에코리서치 포획장치를 포함하는 가두리 양식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2311U (ko) 198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uer et al. World octopus fisheries
Ghulam Kibria et al. Diversity of selective and non-selective fishing gear and their impact on inland fisheries in Bangladesh
Bjordal The use of technical measures in responsible fisheries: regulation of fishing gear
Solomon et al. Fishing with light: ecological consequences for coastal habitats
Kosaka Scallop fisheries and aquaculture in Japan
Raju et al. Fishing methods, use of indigenous knowledge and traditional practices in fisheries management of Lake Kolleru
Bajkov Fishing industry and fisheries investigations in the prairie provinces
US2853049A (en)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collection, and protection of oyster set
Bauer Shrimp fisheries
KR900004880Y1 (ko) 어초(漁礁) 를 겸한 어류 포획 장치
JPH08131022A (ja) ボックス型漁具
Brown et al.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umbrella’and ‘Spanish’system of longline fishing for the Patagonian toothfish (Dissostichus eleginoides) in the Falkland Islands: Implications for stock assessment and seabird by-catch
Dammannagoda Sustainable Fishing Methods in Asia Pacific Region
Okeyo Artisanal and commercial fishing gear and practices in the L ake V ictoria basin drainage systems of K enya: A photodiagrammatic verification
Frolkina et al.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ichthyofauna in pelagic waters of South Georgia (Subarea 48.3)
Ganias et al. Cuttlefish and squid egg deposition patterns on artificial devices and trap-like gears: implications for offspring survival and population management
Kawamura et al. Fishing methods and gears in Panay Island, Philippines
NO770213L (no) Anordning for oppdrett av skalldyr.
Jayakody Traditional lagoon fisheries in Negombo
Prajith et al. Traditional wisdom of fishing techniques and rituals of Kuruman tribe of Wayanad, Western Ghats
Kihia et al. Diet and trophic status of fish landed by tropical artisanal bait fishermen, Mida Creek Kenya
KR102474916B1 (ko) 섬유돌망태 기반 해상 양식용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해상 양식방법
Leclerc et al. Selectivity of fly-fishing, spinning and gillnet for brook charr and ouananiche in a large northern Quebec river
KR200408885Y1 (ko) 낚시채비
Johnston et al. Patterns of fishing gear in areas of the Bay of Fundy and southwest Scotian Shelf frequented by North Atlantic right wha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