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727Y1 - 양수기에 부착되는 여과기 - Google Patents

양수기에 부착되는 여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727Y1
KR900004727Y1 KR2019880004183U KR880004183U KR900004727Y1 KR 900004727 Y1 KR900004727 Y1 KR 900004727Y1 KR 2019880004183 U KR2019880004183 U KR 2019880004183U KR 880004183 U KR880004183 U KR 880004183U KR 900004727 Y1 KR900004727 Y1 KR 9000047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over
inlet
supply pip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41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8907U (ko
Inventor
이명석
Original Assignee
이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석 filed Critical 이명석
Priority to KR20198800041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4727Y1/ko
Publication of KR8900189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89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7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7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15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01D29/6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by pressure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29/94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discharging the filter cake, e.g.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양수기에 부착되는 여과기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덮개 내부를 나타낸 확대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일부단면도.
제5도는 종래품에 대한 일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여과기 2 : 공급관
3 : 몸체 4 : 흡입구
5 : 배출구 6 : 삽입구
7,7',7" : 나선조 8 : 덮개
9,9' : 환형돌조 10 : 구멍
11 : 외부원통 12 : 여과망
13 : 압력조절밸브 14 : 공간
15 : 스프링 16 : 입구
17 : 볼 18 : 밸브구멍
19 : 응출부
본 고안은 지하수 또는 저수지의 물을 양수기로 끌어 올려서 분수호스를 통하여 농작물에 골고루 뿌려줄 때에 공급되는 물속에 포함되어 있는 이물질(모래, 작은티)을 걸러 주는 여과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여과기는 내부 압력이 수동식 밸브에 의해 조절되고 공구가 없으면 분해조립이 곤란하며 특히 여과망에 누적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과기 내부를 청소하거나 여과망을 교환하고자 할 경우, 양측 연결부와 여과망을 고정 결합시키고 있는 다수개의 결합 보울트를 풀고 여과기를 완전 분해 하는 등 일반 농민들이 사용하기에는 매우 불편하고 필요 이상의 시간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물 공급관과 여과기를 프라스틱재로 일체로 사출성형하여 압력조절밸브가 형성되어 있는 덮개를 여과기의 몸체에 나합시켜 하나의 여과기를 형성하므로써 여과기 내부를 청소하거나 여과망을 교환하고자 할 경우 공구 없이도 분해, 조립이 가능하여 간단하게 청소나 교환을 할 수 있으며, 압력조절 밸브에 의해 여과기 내부의 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여과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여과기(1)는 일체로 물 공급관(2)과 여과기(1)의 몸체(3)를 합성수지 프라스틱재로 사출 성형함에 있어서, 흡입구(4)와 배출구(5)의 외주면과 몸체(3)의 삽입구(6) 외주면에 각각의 나선조(7)(7')(7")를 형성하고, 공급관(2)과 일체로 형성된 몸체(3)의 내면과 삽입구(6) 외주면의 나선조(7")와 나합되는 덮개(8)의 내부에 각각의 환형돌조(9)(9')를 형성하여 삽입구(6)를 통해 외주면에 다수개의 구멍(10)이 천공된 금속재의 외부원통(11)과 망사로 이루어진 여과망(12)을 삽입시켜 압력조절밸브(13)가 형성되어 있는 덮개(8)의 환형돌조(9')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미설명부호 14는 몸체(3) 내부의 공간, 15는 스프링, 16은 압력조절밸브(13)의 입구, 17은 볼, 18은 밸브 구멍, 19는 덮개(8)의 융출부, 20,20'는 공지의 여과기 양측판, 21과 22는 공지의 여과기에 사용되는 결합 볼트, 23은 공지의 외통, 24는 공지의 여과망이다.
본 고안은 첨부된 예시도면 제2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구멍(10)이 천공된 금속재의 외부 원통(11)과 망사로 형성된 내부여과망(12)의 일측 입구는 공급관(2)과 일체로 형성된 여과기(1) 몸체(3)의 내면에 돌설되어 있는 환형돌조(9)에 끼워져 고정되고, 여과망(12)의 다른 일측 입구는 덮개(8) 내부의 환형돌조(9')에 삽입되어 삽입구(6)의 나선조(7")와 덮개(8)를 나합시킴으로써 여과망(12)은 여과기(1) 몸체(3)내부에서 공간(14)을 유지하며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여과기(1)의 공급관(2)과 흡입구(4)를 통하여 물속에 작은 알갱이의 이물질(모래, 나무잎 조각과 같은 작은티)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지하수나 저수지의 물이 흡입되어 예시도면 제4도에서 표현된 화살표와 같이 여과망(12) 내부로 자연스럽게 유입되어 작은 알갱이의 이물질은 여과망(12)에 걸리고 물만 통과하여 배출구(5)를 통해 분사노즐(도시되지 않았음)로 보내져 농작물에 물이 골고루 뿌려지게 되는데, 이때 여과망(12)에서 걸러진 이물질은 하측부에 누적되어 여과기(1)의 내부압력을 상승시켜 압력조절밸브(13)의 스프링(15) 장력에 의해 입구(16)를 밀폐시키고 있던 볼(17)이 입구(16)를 개방함과 동시에 누적되어 있던 이물질은 물과 함께 밸브구멍(18)을 통하여 유출되어 정상적인 내부압력을 유지하게 되면 볼(16)은 스프링(15)의 장력으로 다시 입구(16)를 밀폐시키게 되는 것이며, 계속적으로 밸브구멍(18)으로 물이 나오면 내부압력이 지나치게 커진 것을 알 수 있어서 여과망(12)을 청소하여 줄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물 공급관(2)과 여과기(1) 몸체(3)를 일체로 사출 성형하여 삽입구(6)를 통해 여과망(12)을 삽입시켜 몸체(3) 내면의 환형돌조(9)와 덮개(8)의 환형돌조(9')로 고정 결합시키고 덮개(8)의 중앙 융출부(19)에 볼(17)과 스프링(15)에 의한 압력 조절밸브(13)을 형성함으로 해서 여과망(12)을 청소하거나 교환하고자 할 경우 공구없이도 분해·조립이 가능하며, 또한 압력조절밸브(13)에 의해 여과기(1)의 내부압력이 일정 압력이상으로 되었음을 외부에서 쉽게 알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물 공급관(2)과 여과기(1)의 몸체(3)를 일체로 형성하고 공급관(2)의 흡입구(4)와 배출구(5)의 외주면과 몸체(3)의 삽입구(6) 외주면에 나선조(7)(7')(7")가 형성되어 있으며, 공급관(2)과 일체로 형성된 몸체(3)의 내면과 덮개(8)의 내부에 각각 환형돌조(9)(9')를 형성하여 삽입구(6)를 통해 외부원통(11)과 여과망(12)을 삽입시켜 압력조절밸브(13)가 형성되어 있는 덮개(8)에 의해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
  2. 제1항에 있어서, 압력조절밸브(13)는 덮개(8)의 융출부(19) 내측에 입구(16)가 형성되고, 스프링(15)의 장력에 의해 입구(16)를 밀폐시키는 볼(17)이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기.
KR2019880004183U 1988-03-29 1988-03-29 양수기에 부착되는 여과기 KR9000047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4183U KR900004727Y1 (ko) 1988-03-29 1988-03-29 양수기에 부착되는 여과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4183U KR900004727Y1 (ko) 1988-03-29 1988-03-29 양수기에 부착되는 여과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8907U KR890018907U (ko) 1989-10-05
KR900004727Y1 true KR900004727Y1 (ko) 1990-05-31

Family

ID=19273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4183U KR900004727Y1 (ko) 1988-03-29 1988-03-29 양수기에 부착되는 여과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472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8907U (ko) 198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2464A (en) Shower filter assembly
US5133858A (en) Reverse osmosis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KR101200688B1 (ko) 인라인 스트레이너
US4210538A (en) Filter back-washing
KR100950830B1 (ko)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
KR100890547B1 (ko) 비닐하우스용 분사노즐
US6585888B2 (en) Aquarium filter system with interchangeable filter cartridges
US11911718B2 (en) Self cleaning filter system and method
KR970701579A (ko) 혼합식 액체 필터(composite liquid filter)
US5084175A (en) Pool filter
KR900004727Y1 (ko) 양수기에 부착되는 여과기
KR970003567Y1 (ko) 농업용수 공급 여과기
US5151181A (en) Filter system for wet vacuum cleaning apparatus
KR200401299Y1 (ko) 세척 기능을 지니는 농약분무용 여과기
EP1766245A2 (en) A pump unit
US5833852A (en) Supplementary filter apparatus for a water purifier
KR102114545B1 (ko) 필터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농업용 여과기
US20040060853A1 (en) Pond fountain cartridge filter
US20040238428A1 (en) Wet sump filter adapter
KR101087806B1 (ko) 슬러지제거기능이 겸비된 농업용수 여과기
CN214801885U (zh) 涡旋式喷雾装置
KR102419863B1 (ko) 샤워기용 기능성 성분 공급모듈
KR200154742Y1 (ko) 농업용수 공급용 여과기
KR102625168B1 (ko) 원뿔대 형태의 여과망 탑재로 압력손실 없이 필터 세척과 유량조절이 가능한 밀폐형 여과 볼밸브
KR920008014Y1 (ko) 펌프 유입수의 여과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5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