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4602Y1 - 식기 세척기의 급수량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의 급수량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4602Y1
KR900004602Y1 KR2019880006339U KR880006339U KR900004602Y1 KR 900004602 Y1 KR900004602 Y1 KR 900004602Y1 KR 2019880006339 U KR2019880006339 U KR 2019880006339U KR 880006339 U KR880006339 U KR 880006339U KR 900004602 Y1 KR900004602 Y1 KR 9000046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emperature
microprocessor
water supply
dis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63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20700U (ko
Inventor
김지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800063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4602Y1/ko
Publication of KR8900207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207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46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46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6Devices for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different phases of cleaning ; Contro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4Water-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04Crockery or tableware details, e.g. material, quantity, cond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09Water level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식기 세척기의 급수량 조절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보인 플로우 챠트.
본 고안은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식기의 종류에 따라 급수통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면서 적절한 양의 물을 알맞게 가열시켜 세척하도록한 식기 세척기의 급수량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내장되어 이에 의해 콘트롤되도록한 식기 세척기의 급수통에 따라 부유구동의 승, 하강작동에 의하여 온/오프되는 압력스위치나 리드스위치등을 설치하여, 급수통을 공급되는 물의 양이 일정한 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스위치의 접속에 따른 신호가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입력단으로 인가되고, 이에 따라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급수 밸브를 차단시키면서 물을 가열시켜 적정 온도에서 식기를 세척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급수량 제어 방식에 의하여서는 세척하여야 하는 식기가 컵인지 또는 기름기가 묻어 있는 그릇인가의 여부와 세척할 식기의 수량에 관계없이 스위치가 동일한 수위 상태만 감지하게 되므로, 항상 똑같은 물량을 급수통에 급수한후 이를 일정 온도까지 가열시키고 세척을 하는 상태에서 식기의 세척 성능이 저하됨은 물론, 필요없이 많은 물이 급수통으로 공급되면서 이를 가열시켜야 하는 등 이중으로 낭비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식기의 종류와 수량에 따라 적절한 양의 물이 급수통으로 공급되도록하고 그 물을 알맞은 온도로 가열시키면서 세척하도록한 식기 세척기의 급수량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내장하여 이에 의해 콘트롤 되도록 한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식기의 종류와 수량을 키 입력부를 통하여 입력시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미리 입력된 프로그램밍에 따라 적절한 물의 양과 온도를 결정하도록한 것으로, 급수통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검출하는 물량 감지부와, 급수통에 공급된 물의 온도를 측정하는 수온 감지부의 입력에 따라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출력 조절부를 통하여 각 기능에 따른 부품을 작동시키도록 함으로써, 적절한 양의 물을 알맞은 온도로 가열시켜 식기를 세척하도록 세척 효율이 상승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식기의 종류와 수량에 따라 물량과 물 온도를 설정하여 이에 의하여 적절한 양의 물이 공급되도록 하면서 적정 온도로 가열시켜 식기를 세척하도록한 것임을 할 수 있다.
본 고안을 첨부 도면에 의거 상세히 기술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급수통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에 따른 수위를 감지하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급수통(1)의 일측 내벽에 플로트실(2)을 설치하여 필터(2-1)를 통하여 유입되는 물에 의해 플로트(3)가 승하강하도록 하고, 플로트(3)의 상단에 설치한 코어(4)는 차동 트렌스(5)의 내부에 취부하도록 한다.
그리고 밑면에 더미스터(6)가 장착된 급수통(1)에서는 세척펌프(7)와 노즐(8)로 식기를 세척하도록 한 것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도로써 물량 감지부(10)와 수온 감지부(20)의 입력으로 물의 양과 수온을 감지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0)에서는 키 입력부(40)의 입력에 의해 결정되는 수량과 수온의 상태를 판단하여 출력조절부(50)를 통하여 각 기능의 부품들을 제어 하도록 한 것으로, 전원이 1차 코일로 인가되고 내부의 코어(4)가 승하강하는 차동 트랜스(5)의 2차 코일(t1)에서는 브릿지 다이오드(BD1)와 저항(R1) 및 콘덴서(C1)를 거쳐 연산 증폭기(OP1)의 반전입력단(-)과 연결하면서 2차 코일(t2)에서는 브릿지 다이오드(BD2)와 콘덴서(C2) 및 저항(R2), (R3)을 거쳐 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 입력단(+)과 연결한다. 저항(R4)을 통하여 반전 입력단(-)으로 궤환되는 연산증폭기(OP1)의 출력단에서 다이오드(D1)를 통하여 인가되는 전압(Vref)과 함께 다이오드(D2)를 거쳐 접지하는 동시에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의 입력단(S1)으로 인가되도록 하여 물량 감지부(10)에서 수유에 따른 신호가 마이크로 프로세서(30)로 입력 되도록 한다.
그리고 전압(Vref)이 저항(R5)(R6)과 더미스터(6)를 거쳐 연산증폭기(OP2)의 비반전 입력단(+)으로 인가되고, 반전 입력단(-)으로 궤환되는 연산증폭기(OP2)의 출력단에서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의 입력단(S2)으로 연결하여 수온 감지부(20)에서 물의 온도에 따른 신호가 마이크로 프로세서(10)로 인가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키 입력부(40)에서 식기의 종류 및 수량에 따른 신호가 입력단(IN)으로 인가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0)에서는 물량감지부(10)와 수온 감지부(20)의 신호로 급수통(1)의 물이 적절한 물량과 수온으로 되도록 하면서 출력단(O1)과 연결된 출력 조절부(50)를 통하여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제3도에 의거 기술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급수통에 식기를 넣고 전원을 인가하면서 세척을 준비하고 (단계60) 이 상태에서 키 입력부(40)의 키 스위치로 식기의 종류 및 그에 따른 세척 방식을 입력시키면 (단계61) 마이크로 프로세서(30)에서 물량과 물의 온도를 설정하게 된다(단계62).
물량 감지부(1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로 물량이 적당한 가를 판단하여 (단계63) 물량이 모자르면 급수 밸브를 동작시키고(단계64) 물량이 적당하면 급수 밸브를 차단시킨다.(단계65)
급수통으로 공급된 물의 온도가 적당한가를 수온 감지부(20)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로 판단하여 (단계66) 수온이 낮으면 히터를 가동시켜 물을 데워주고 (단계67) 수온이 알맞게 되면 히터의 가동을 중단시킨다.(단계68)
적당한 양의 물이 온도로 데워지도록한 상태에서 세척펌프를 가동시키면서 (단계69) 식기를 효율적으로 세척하도록 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식기 세척기의 급수통에 세척하고자 하는 식기를 넣고 전원을 인가하여 식기 세척을 수행하기 시작하면서 키 입력부(40)의 키 스위치를 누르면서 식기의 종류와 수량 및 세척 방식을 입력시킨다.
키 입력부(40)의 입력에 따라 마이크로 프로세서(30)는 세척에 필요한 물의 양과 온도를 설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우선 급수통(1)의 물이 적당한 양인가를 판단하여 물이 없거나 적은 양이면 급수 밸브를 동작시켜 급수통(1)으로 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급수통(1)으로 물이 공급됨에 따라 필터(2-1)를 통해 급수통과 같은 높이로 플로트실(2)로 유입되는 물에 의해 플로트(3)가 부상하게 되면서 이의 상단에 설치한 코어(4)는 차동 트랜스(5)의 내부에서 부상하여 2차 코일(t1)(t2)에서 유기되어 브릿지 다이오드(BD1), (BD2)를 통하여 비교기(OP1)의 두입력단으로 각각 인가되는 전압의 값이 변화되도록 한다.
연산증폭기(OP1)의 출력단과 입력단(S1)이 연결된 마이크로 프로세서(30)에서 현재의 수량에 따른 신호가 입력되므로 이의 신호로 미리 결정된 물의 양과 비교하여 적절한 양이 급수통(1)으로 공급되면 출력단(O)과 연결된 출력조절부(50)를 통하여 급수밸브를 차단시킨다.
식기의 종류 및 수량에 따른 적당한 물의 급수통(1)에 공급되면 마이크로 프로세서(30)에서는 급수통(1)의 밑면에 장착된 더미스터(6)로 물의 온도가 적당한가를 판단하여 온도가 낮으면 출력조절부(50)를 통하여 히터를 가동시킨다.
히터가 가동됨에 따라 물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서 전압(Vref)이 저항(R5) 더미스터(6)의 내부 저항에 의해 분할된 전압이 저항(R6)을 거쳐 비반전 입력단(+)으로 인가되는 연산증폭기(OP2)의 출력이 변화되어 마이크로 프로세서(30)의 입력단(S2)으로 인가된다.
그러므로 마이크로 프로세서(30)에서는 급수통(1)에 공급되어 가열되는 물의 온도가 상승됨에 따라 내부 저항의 값이 작아지는 더미스터(6)를 통한 전압(Vref)이 연산증폭기(OP2)에 의해 증폭된후 입력단(S2)으로 인가되면서 이 입력신호와 결정된 적정 온도와를 비교하여 적정 온도에 도달하게 되면 출력단(O)과 연결된 출력조절부(50)를 통하여 히터의 가동을 중단시킨다.
그리고 마이크로 프로세서(30)는 급수통(1)에 물이 적당하게 공급되고 알맞은 온도로 가열되었음이 확인되면 출력조절부(50)를 통하여 세척펌프(7)를 가동시키면서 급수톤(1)에 넣어진 식기들을 세척하므로 식기의 세척 효율이 상승됨은 물론, 식기의 종류나 수량에 따라 물의 양과 수온을 적절히 조절하면서 세척하므로 불필요한 낭비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식기 세척기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키 입력부(40)를 통하여 식기의 종류와 갯수를 입력시키면 프로그램밍에 따라 적절한 물의 양과 수온을 결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물량 감지부(10)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급수밸브를 조절하면서 적절한 물이 급수통(1)에 공급되도록 하고, 수온 감지부(20)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히터를 온/오프시키면서 알맞은 온도로 가열시킨후 식기를 세척하도록 하여 식기의 종류와 수량에 따라 물의 양과 수온을 적당히 조절하면서 세척 효과를 양상시키도록한 것임을 알 수 있다.

Claims (1)

  1.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되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급수통(1)의 수위에 따라 플로트실(2)에서 승하강하는 플로트(3)의 상단에 코어(4)를 설치하여 차동 트랜스(5)의 내부에 취부되도록 하고, 차동 트랜스(5)의 2차 코일에 유기되는 전압이 브릿지 다이오드(BD1), (BD2)와 저항(R1)-(R4)과 콘덴서(C1), (C2)와 연산증폭기(OP1) 및 다이오드(D1), (D2)를 거치도록한물량 감지부(10)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30)로 현재의 물량에 따라 신호를 입력시키도록 하여 식기의 종류 및 수량에 따라 적절한 물량을 조절하도록한 식기 세척기의 급수량의 조절 장치.
KR2019880006339U 1988-04-30 1988-04-30 식기 세척기의 급수량 조절 장치 KR9000046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6339U KR900004602Y1 (ko) 1988-04-30 1988-04-30 식기 세척기의 급수량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80006339U KR900004602Y1 (ko) 1988-04-30 1988-04-30 식기 세척기의 급수량 조절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0700U KR890020700U (ko) 1989-11-01
KR900004602Y1 true KR900004602Y1 (ko) 1990-05-25

Family

ID=19274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6339U KR900004602Y1 (ko) 1988-04-30 1988-04-30 식기 세척기의 급수량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460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20700U (ko) 198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36734C (zh) 咖啡煮具
US3846615A (en) Liquid temperature control and low liquid level detector
CA1092949A (en) Fill control for an automatic dishwasher
US3809116A (en) Fluid flow control systems
WO1990008494A1 (en) Coffee-making machine
JPS62168210A (ja) 自動洗濯機用水温感知および制御装置
US6423213B1 (en) Continuous level measurement for grease separator
US4841122A (en) Humidifier having a heating chamber with a continuously open drain and flushing outlet
KR900004602Y1 (ko) 식기 세척기의 급수량 조절 장치
GB2201235A (en) Indicating the presence of scale or the like in water heaters
US4110588A (en) Indirect induction apparatus for heating fluids
KR900004287Y1 (ko) 액체세제 자동 투입장치
US6998990B2 (en) Auto shutoff overflow controller
JP2563560B2 (ja) 洗濯機の制御装置
JPH08326129A (ja) 温水洗浄器付便座用の洗浄水貯溜タンク
CN212349716U (zh) 一种超声波清洗机及控制电路
JP2666999B2 (ja) 電気湯沸器
JP2523812B2 (ja) 食器洗い機の水位検知装置
JP2667000B2 (ja) 電気湯沸器
JP2605509B2 (ja) 温水ボイラ装置
JPH0337552Y2 (ko)
JP2923396B2 (ja) 洗濯機
JP2924413B2 (ja) 電気湯沸かし器
JPS63187051A (ja) 速熱形電気温水器
KR19990034400A (ko) 세탁기의 세탁물 오염도판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2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