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542B1 - 절연핀 파이프 시스템의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절연핀 파이프 시스템의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542B1
KR900003542B1 KR1019840003690A KR840003690A KR900003542B1 KR 900003542 B1 KR900003542 B1 KR 900003542B1 KR 1019840003690 A KR1019840003690 A KR 1019840003690A KR 840003690 A KR840003690 A KR 840003690A KR 900003542 B1 KR900003542 B1 KR 900003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alarm
pipe
chang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3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5118A (ko
Inventor
알란 라이네 에이취.
Original Assignee
루네 헬메르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SE8306789A external-priority patent/SE456376B/sv
Application filed by 루네 헬메르손 filed Critical 루네 헬메르손
Publication of KR850005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5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절연핀 파이프 시스템의 경보장치
본 발명 장치의 개략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발진기 2 : 결합장치
3 : 레벨센서(level sensor 4 : 비교기
7 : 접속점 8 : 경보선(경보도선)
9 : 파이프 10 : 절연체부
TR1 : 트랜스
본 발명은 파이프용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파이프 라인과 같은 파이프 시스템에서 원격한 경보를 제공하는 데에 특별나다.
스위스 특허출원 제405,286호에서와 같은 파이프용의 다양한 경보장치 및 시스템이 이미 알려진 바 있다. 그러나 이들은 기술적으로 복잡하며 값이 비싸다. 본 발명은 보다 간단하고 가격이 싼 경보장치의 생산을 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1트랜스(transformer), 제1트랜스의 일차권선에 연결된 신호발생기, 그리고 제1트랜스의 이차권선에 연결된 경보도선(alarm wire), 이때 경보도선이 파이프에 인접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절연체부에 의해 파이프로부터 격리되고, 제1트랜스 이차권선의 한 선단이 또한 파이프에 연결되어 전술한 절연체부의 절연크기 변화가 결국 트랜스에서의 부하의 변화가 되도록 하며, 트랜스 부하에서의 변화를 검파하도록 하기 위해 제1트랜스의 일차권선에 연결된 수단, 정해진 부하크기를 초과하면 경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 제2트랜스, 제1트랜스가 제2트랜스 경보도선을 경유하여 제2트랜스로 한 신호를 전송하도록하여 제2트랜스 경보선 저항크기 변화가 결국 제2트랜스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서의 변화를 초래케하도록 제2트랜스의 일차권선에 또한 연결된 경보도선, 제 2 트랜스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서의 변화를 검파하기 위해 제2트랜스의 이차권선에 연결된 수단 그리고 정해진 크기를 초과하는데 경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경보도선과 파이프가 두개의 검파수단 그리고 두개의 경보발생수단으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되는 파이프용 경보장치가 제공된다.
경보도선이 전술한 절연부내에 끼워 넣어진 코일이며, 전술한 절연부가 파이프를 둘러싼다. 코일은 파이프의 세로로 뻗어 있다.
하기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주 주파수와는 다른 주파수 f0에서 동작하는 발진기(1)가 트랜스 TR1의 일차권선으로 주파수 f0의 신호를 전달하는 결합장치(2)로 한 신호를 공급하며, 트랜스 TR1의 제2권선이 유체물질을 운반하는 파이프(9)용의 경보도선(8)에 연결된다. 경보도선(8)은 절연부(10)에 의해 파이프(9)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된다. 트랜스는 또한 접속점(7)을 경유하여 파이프(9)에 연결된다. 만약 단락회로가 있다거나 파이프가 새어 유체가 파이프로부터 흘러나와 절연체부에서 단락회로가 발생되는 경우 절연부(10)에서의 절연크기에 변화가 있다면, 트랜스 TR에서의 부하는 변하게 될 것이다. 이같은 변화는 결합장치(2)에서의 신호 레벨에 영향을미치며 레벨센서(3)에 의해 감지된다. 레벨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가 비교기(4)에서의 기준 레벨과 비교되며, 예정된 레벨을 초과하는 때(예를들어 기준레벨을 초과하거나 기준레밸과 레벨센서(3) 출력 사이의 정해진 허용된 진동이 초과되는 때) 경보가 발생된다. 따라서 이같은 경보는 절연(10) 저항에서의 변화에 응답하여 발생된다.
제2트랜스 TR2의 권선은 경보도선(8)을 경유하여 제1트랜스 TR1의 이차권선과 직렬로 연결되어 발진기(1)로부터의 신호 일부가 두 트랜스 TR1, TR2를 통과하고 제2트랜스 TR2의 또다른 권선에 연결된 신호레벨센서(5)에 도달되도록 한다. 이같은 신호레벨센서(5)는 예정된 크기가 초과되었다면 경보를 발생시킬 또다른 비교기(6)로 신호를 공급한다. 이같은 제2경보장치(TR2)(5)(6)는 발진기(1)로부더의 신호가 제2트랜스 TR2에 도달하기 위해 경보도선(8)을 통과해야만 하기 때문에 경보도선(8) 저항의 변화와는 함수관계를 갖게 된다.
경보도선(8)과 파이프(9)는 상기 인급된 측정장치(1,2,3,4,5,6)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되며 따라서 어떠한 접지전류도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이는 여러개의 유닛이 신호전송 및 원격한 전원을 갖는 큰 회로망에서 상호 연결되는 때 특히 중요하다.
경보도선은 코일의 형태를 하여 파이프(9)를 둘러싸는 절연부(10)내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3)

  1. 제1트랜스(transformer) (TR1), 제1트랜스의 일차권선에 연결된 신호발생기(1), 그리고 제1트랜스의 이차권선에 연결된 경보도선(alarm wire)(8), 이때 경보도선(8)이 파이프(9)에 인접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절연체부(10)에 의해 파이프(9)로부터 격리되고, 제1트랜스 이차권선의 한 선단(7)이 또한 파이프에 연결되어 전술한 절연체부(10)의 절연크기 변화가 결국 트랜스(TR1)에서의 부하의 변화가 되도록 하며,트랜스 부하에서의 변화를 검파하도록 하기 위해 제1트랜스의 일차권선에 연결된 수단(3), 정해진 부하크기를 초과하면 경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 제2트랜스(TR2), 제1트랜스(TR1)가 경보도선(8)을 경유하여 제2트랜스로 한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여 경보도선(8) 저항크기 변화가 결국 제2트랜스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서의 변화를 초래케하도록 제2트랜스의 일차권선에 또한 연결된 경보도선(8), 제2트랜스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서의 변화를 검파하기 위해 제2트랜스의 이차권선에 연결된 수단(5), 그리고 정해진 크기를 초과하는 때 경보를 발생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경보도선과 파이프가 신호발생기(1), 두개의 검파수단(3,5), 그리고 두개의 경보발생 수단으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된 파이프 시스템의 경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경보도선이 절연체부내애 삽입된 코일이며, 절연체부가 파이프를 둘러싸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된 파이프 시스템의 경보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코일이 파이프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된 파이프 시스템의경보장치.
KR1019840003690A 1983-12-08 1984-06-28 절연핀 파이프 시스템의 경보장치 KR9000035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8306789-2 1983-12-08
SE8306789A SE456376B (sv) 1983-12-08 1983-12-08 Larmanordning vid isolerat rorsystem
SE???8306789-2 1983-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118A KR850005118A (ko) 1985-08-21
KR900003542B1 true KR900003542B1 (ko) 1990-05-21

Family

ID=20353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3690A KR900003542B1 (ko) 1983-12-08 1984-06-28 절연핀 파이프 시스템의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354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5118A (ko) 1985-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27351A (en) Insulated pipe systems with moisture detecting means
US5471144A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insulation quality of step graded insulated high voltage apparatus
US4420752A (en) Real-time parameter sensor-transmitter
US4075675A (en) Ground conductor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4268818A (en) Real-time parameter sensor-transmitter
US4480251A (en) Apparatus to monitor electrical cables, including splice joints and the like, for the ingress of moisture
US4013924A (en) Methods and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f moisture adjacent insulated pipes
US5250894A (en) Current sensing system having electronic compensation circuits for conditioning the outputs of current sensors
KR910003393A (ko) 전기설비의 절연 열화감시 장치
KR100306084B1 (ko) 대형전기기기에서고주파전자기장으로부터고주파에러신호의분리
US4972179A (en) Liquid leakage detection apparatus including wheatstone bridge
KR900003542B1 (ko) 절연핀 파이프 시스템의 경보장치
KR940002187B1 (ko) 전자 유량계
US3518544A (en) Fault detection circuit for shielded cable terminations
US3571561A (en) Circuit for detecting abnormality in electric heating apparatus of pipe lines
CA1219312A (en) Alarm device for isolated pipe systems
SE508154C2 (sv) Anordning för övervakning av partiella urladdningar i en elektrisk högspänningsapparat eller högspänningsutrustning
GB2062250A (en) Detecting fault in insulated electric cable
US3163817A (en) Method for detecting short circuits between insulated pipe sections utilizing radio frequency skin effect currents
KR100209181B1 (ko) 파이프의 결함 장소를 검출하는 방법
RU201111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наружения места течи в трубопроводе
GB2082406A (en) Monitoring electrical cables and joints for the ingress of moisture
JPS56153262A (en) Detecting method for short circuited point of wiring pattern
JPH0436329B2 (ko)
SU1688021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обнаружени повреждений трубопровод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5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