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854Y1 - 유리제품의 열처리로 - Google Patents

유리제품의 열처리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854Y1
KR900002854Y1 KR2019870008879U KR870008879U KR900002854Y1 KR 900002854 Y1 KR900002854 Y1 KR 900002854Y1 KR 2019870008879 U KR2019870008879 U KR 2019870008879U KR 870008879 U KR870008879 U KR 870008879U KR 900002854 Y1 KR900002854 Y1 KR 9000028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ace
processing
plate
air
furnace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88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0795U (ko
Inventor
히데유끼 호리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야마비시
센다 히로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야마비시, 센다 히로시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야마비시
Publication of KR8800007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7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8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8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7/00Tempering or quenching glass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5/00Annealing glass products
    • C03B25/04Annealing glass products in a continuous way
    • C03B25/06Annealing glass products in a continuous way with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glass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5/00Annealing glass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7/00Tempering or quenching glass products
    • C03B27/04Tempering or quenching glass products using gas
    • C03B27/06Tempering or quenching glass products using gas for glass products other than flat or bent glass plates, e.g. hollow glassware, len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29/00Reheating glass products for softening or fusing their surfaces; Fire-polishing; Fusing of margins
    • C03B29/04Reheating glass products for softening or fusing their surfaces; Fire-polishing; Fusing of margins in a continuous way
    • C03B29/06Reheating glass products for softening or fusing their surfaces; Fire-polishing; Fusing of margins in a continuous way with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produ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e-Forming, After-Treatment, Cutting And Transporting Of Glass Products (AREA)
  • Furnace Detai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리제품의 열처리로
제1도는 로의 개량 종단면도.
제2도는 그 주요부분의 확대도.
제3도는 열처리로의 전체도를 표시.
제4도는 종래구조의 로와 본원구조의 로의 냉각성능을 비교하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 : 로실 17 : 펀칭플레이트
19 : 배폴 플레이트 20 : 유리제품
본 고안은 예컨대 브라운관등의 납작한 유리제품을 열처리하는 로(爐)에 관한 것이다.
유리제품의 열처리로에서는 처리재(유리제품)을 열풍으로 예열한후, 고온상태로 일정시간 유지하고 그후, 냉각풍으로 서서히 냉각하는 것인바, 종래의 열처리로에서는 로실(爐室)의 상벽을 펀칭플레이트(punching plate)로 구성하고 펀칭플레이트의 윗쪽에 배치한 대류팬으로 열풍이나 냉각풍을 로실내의 윗쪽에서 아래쪽으로 향해서 균일한 흐름의 상태로 유통시키고, 이 균일흐름의 처리풍으로 처리재를 가열 혹은 냉각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브라운관의 전면판(前面板)등과 같이 편평한 유리제품을 열처리하는 경우, 처리재를 다수의 단으로 배치하는 경우에 종래의 열처리로에서는 로실의 상부에 위치하는 처리재와 로실의 하부에 위치하는 처리재와는 처리풍의 처리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처리재의 가열정도 및 냉각정도에 큰차가 생긴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로실내에 있는 처리재에 대해서 처리풍을 균등하게 작용시키고 처리재의 가열 및 냉각정도에 차이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것으로서, 그 때문에 평평한 유리제품을 다수단으로 배치하고, 처리풍을 위에서 아래로 향해서 유통하도록한 열처리로에 있어서 로실의 상벽을 구성하고 있는 펀칭플레이트와 맨위에 위치하는 처리재의 윗면과의 사이에 처리재의 위면을 덮은 배폴플레이트(baffle plate)를 펀칭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적은 간극을 갖는 상태로 배치하고, 로실 상벽에서 불어들어온 처리풍이 맨위쪽위의 처리재윗면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지 아니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로실의 상벽을 구성하고 있는 펀칭플레이트와 맨위쪽위에 위치하는 처리재의 윗면과의 사이에 처리재의 위면을 감싸는 배폴플레이트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펀칭플레이트에서 로실내로 불어 들어온 열풍이나 냉각풍은 배폴플레이트에 따라서 분류하고, 열풍이나 냉각풍이 맨위쪽의 처리재 윗면에 직접적으로 불어치지 않게된다.
또 배폴플레이트는 펀칭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적은 간극을 갖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로실내에 불어들어온 처리풍은 배폴플레이트에서 흐름의 방향을 바꾸어, 배폴플레이트에 따라서 흐르고, 배폴플레이트의 단부에서 하향의 흐름으로 처리재 수용부의 측부를 흐르게 된다.
그 결과 유하풍(流下風)에 의한 이젝터(EJECTOR) 작용등으로 각처리재사이에 공기의 흐름이 생겨 각처리재를 균등하게 가열 혹은 냉각할 수가 있게 된다.
제1도는 로의 개략종단면도, 제2도는 그 주요부분 확대도, 제3도는 열처리로의 측면도를 표시한다.
이 열처리로(F)는 제3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장입구(1)에서 추출구(2)로 향해서 예컨대, 상온에서 약450℃까지 상승하는 온도 구배로 처리재를 가열하는 가열구역(3), 약450℃의 온도분위기를 유지하는 균열구역(4), 약450℃에서 약120℃까지 하강하는 온도구배로 처리재를 냉각하는 냉각구역(5)가 순서대로 설치되어 있다.
가열구역(3)과 균열구역(4)에서는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로체(6)의 천장부에 송풍팬(7)을 배치함과 아울러, 로본체(6)의 측벽에 통풍로(9)를 형성하고, 이 통풍로(9)내에 래디안트 튜브등의 열원(10)이 배치되어 있다.
또 로본체(6)의 천정부(11)에는 흡풍관(12)와 배풍관(13)이 배치되어있고, 이 흡풍관(12)와 배풍관(13)에는 각각 조온콘드로울댄버(1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송풍팬(7)에서 로실(15)내의 공기를 순환시켜 그 순환풍을 래디안트튜브(10)에서 가열하므로서 열풍으로 형성된다.
또 조온콘트로올댄버(14)에서 흡풍량과 배풍량과를 조절하므로서, 전기한 순환열풍과의 혼합율을 조정하고 균열구역(4)에서의 온도분위기가 소정의 온도커브로 되도록 제어하고 있다.
로실(15)와 송풍팬(7)의 배설부(16)와는 로실(15)의 상벽으로 되는 펀칭플레이트(17)에서 구획되어 있으며, 송풍팬(7)에서 송출된 열풍은 펀칭플레이트(17)의 연통공(18)을 통해서 로실(15)로 거의 균일한 풍압으로 불어넣도록 구성하고 있다.
로실(15)내에는 펀칭플레이트(17)의 아래쪽에 적은간극(a)을 거리를 두고 배폴플레이트(19)가 배치되어 있다.
이 배폴플레이트(19)는 평면에서 보아 로실(15)내를 다수의 단으로 쌓아올린 상태로 이동하는 처리재(20)의 윗면을 감싸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냉각구역(5)의 로체(6)은 래디안트 튜브를 제거한점이 가열구역(3) 및 균열구역(4)의 로체(6)과 다른것뿐이며, 다른구성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고 송풍팬(7)에서 순환시키는 순환풍과 외기와의 혼합율을 조정하므로서 냉각구역(5)에서의 온도분위기가 소정의 온도커브로 되도록 제어하고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로체(6)에서는 펀칭플레이트(17)의 아래쪽에 처리재(20)의 윗면을 덮는 상태로 배폴플레이트(19)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펀칭플레이트(17)을 통해서 로실(15)내로 불러들어온 열풍 혹은 냉각풍중, 처리재(20)의 상측부분에 불어들어온 것은 배폴플레이트(19)에서 그 흐름방향이 변경되어서 처리재(20)의 윗면에 직접 불어오지 않게된다.
더욱이 펀칭플레이트(17)와 배폴플레이트(19)와의 적은간극 사이를 흐르는 열풍 혹은 냉각풍은 인접하는 펀칭플레이트(17)에서 아래쪽으로 불어들어오는 배폴플레이트(19)에 영향되지 않는 하강류와 서로 간섭하면서 아래쪽으로 흘러, 처리재(20)의 측부에 처리풍의 주류가 에어커트 상태로 형성되게 된다.
이결과 컨베어(22)위에 납작한 처리재(20)을 다단으로 쌓아올린 상태에서 로실(15)내를 이송 하더라도 처리재(20)의 측부에서 에어커트 상태로 되어서 흘러내려오는 처리풍주류의 이젝터(배풍)작용에 의해서 상하처리재(20) 사이에 처리풍의 와류가 생겨 이 상하처리재(20) 사이를 흐르는 처리풍으로 모든 처리재(20)가 거의 균등하게 가열 혹은 냉각 되게된다.
이와 관련해서 배폴플레이트(19)를 설치하지 않은 종래품과, 배폴플레이트(19)를 설치한 본원 열처리와의 처리재의 온도변화의 비교를 제4도에 표시한다.
제4도에 의하면, 배폴플레이트(19)를 설치하지 않는 종래의 것에서는 가열구역(3)에 있어서의 맨위에 위치하는 처리재와 맨아래에 위치하는 처리재와의 품온차(△t1)가 80℃도 있는것에 대해서 배폴플레이트(19)를 설치하고 있는 본원의 것에서는 맨위에 위치하는 처리재와 맨아래에 위치하는 처리재와의 품은차(△t1)은 20℃이며, 거의 균등하게 가열되고 있는 것을 알수가 있다.
또 냉각구역(15)에 있어서, 종래의 것에서는 맨위에 위치하는 처리재와 맨아래에 위치하는 처리재와의 품온차(△t2)가 30℃인데 대해서 본원의 것은 맨위에 위치하는 처리재와 맨아래에 위치하는 처리재와의 품온차(△T2)는 20℃이며 균등하게 냉각되고 있는 것을 알수가 있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납작한 유리제품을 상하 다수단으로 배치하고, 열풍이나 냉각풍(처리풍)을 위에서 아래로 향해서 유통시키도록한 열처리로에 있어서, 로실의 상벽을 구성하고 있는 펀칭플레이트와 맨위에 위치하는 처리재의 윗면과의 사이에 처리재의 윗면을 덮는 배폴플레이트를 펀칭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적은 간극을 갖는 상태로 배치하고 있으므로 로실상벽에서 불어넣어진 열풍이나 냉각풍이 맨위에 처리재 윗면에 직접 불어닿지 않을 뿐아니라, 다수의 단으로 쌓아올린 처리재의 측부에 열풍이나 냉각풍의 주류가 에어커트상태로 형성되어서 이 에어커트상태의 처리풍주류의 작용으로 상하열처리재 사이에 처리풍의 흐름이 생겨서, 각처리재를 균등하게 가열, 혹은 냉각할 수가 있다.
이에 의해서 열처리로의 로실내에 있어서의 상하에서 열처리 정도에 차이가 생기는 일이없다.

Claims (1)

  1. 로실(15)의 상벽을 펀칭플레이트(17)로 형성하고, 로실(15)내에서 다단으로 납작한 유리제품(20)에 대해서 처리풍을 로실(15)의 위에서 아래로 유통시키도록 구성한 유리제품의 서냉로에 있어서, 펀칭플레이트(17)와 맨위의 위치에 위치하는 유리제품(20)과의 사이에 배폴플레이트(19)를 펀칭플레이트(17)과의 사이에 적은 간극을 갖는 상태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제품의 처리로.
KR2019870008879U 1986-06-05 1987-06-02 유리제품의 열처리로 KR90000285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3-85519 1986-06-05
JP1986085519U JPH0421802Y2 (ko) 1986-06-05 1986-06-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0795U KR880000795U (ko) 1988-02-20
KR900002854Y1 true KR900002854Y1 (ko) 1990-04-06

Family

ID=13861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8879U KR900002854Y1 (ko) 1986-06-05 1987-06-02 유리제품의 열처리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421802Y2 (ko)
KR (1) KR90000285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85034B2 (ja) * 2009-09-18 2014-09-10 旭硝子株式会社 光学素子の製造方法及びアニール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0795U (ko) 1988-02-20
JPH0421802Y2 (ko) 1992-05-19
JPS62198234U (ko) 1987-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0672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ing thermoplastic bottle preforms
US7963048B2 (en) Dual path kiln
US2391195A (en) Drier
KR910001867B1 (ko) 음극선관용 배기오븐
US4972606A (en) Control damper for radiant oven
US4481025A (en) Glass annealing lehr
US2669068A (en) Furnace for annealing glass
WO2005118124A1 (en) Autoclaves with combined air flow
US7216511B2 (en) Furnace apparatus and method for tempering low emissivity glass
KR900002854Y1 (ko) 유리제품의 열처리로
GB1104449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tempering of glass articles
US3463465A (en) Glassware annealing lehr having individual modules with self-contained air recirculating means
CA1070951A (en) Method and tunnel furnace for the thermal treatment of glass products, in particular envelopes for display tubes
KR20160007235A (ko) 카본 발열체를 이용한 열풍기
EP0152163B1 (en) Zoned lehr
US3844757A (en) Glass sheet heating method
KR20030016276A (ko) 유리 제품 등의 열처리용 오븐
US2754628A (en) Heat-treating frangible glass articles
WO19930053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ntilating a paint baking oven
KR200321458Y1 (ko) 가열장치
US2856174A (en) Continuous, circulating atmosphere glass furnace
CN86105665A (zh) 强制循环炉
JP2781537B2 (ja) 雰囲気循環式熱処理炉
JP2939217B2 (ja) 雰囲気循環式熱処理炉
JPH11248361A (ja) 炉内雰囲気循環式熱処理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3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