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714B1 - 장식천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장식천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714B1
KR900002714B1 KR1019870007801A KR870007801A KR900002714B1 KR 900002714 B1 KR900002714 B1 KR 900002714B1 KR 1019870007801 A KR1019870007801 A KR 1019870007801A KR 870007801 A KR870007801 A KR 870007801A KR 900002714 B1 KR900002714 B1 KR 900002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ead
decorative
fabric
needle
base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7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2468A (ko
Inventor
송정원
Original Assignee
송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정원 filed Critical 송정원
Priority to KR1019870007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2714B1/ko
Publication of KR890002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장식천 가공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장식천 가공장치에 의해 가동된 장식천의 표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 장치로 가공되기 전에 있어서의 바닥무늬가 수놓여진 망사상의 바탕천의 표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장식천 가공장치의 가동 상태도.
제 4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장식천 가공장치에 사용하기 적합한 장식용실의 확대사시도.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천 가공장치인 재봉기의 북실꾸리와 북의 사시도.
제 6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천 가공장치에 사용되는 재봉기 바늘의 정면도.
제 7 도는 종래 장식천의 표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바탕천 20 : 장식용 실
30 : (재봉기의) 헤드(head) 31 : 바늘
31' : (바늘의) 촉 32 : 가는 실
40 : 스핀들 50 : 북집
51, 52, 53 : 장공(長孔) 60 : 북실꾸리
본 발명은 장식천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바탕천의 표면에 굵은 장식용 실은 원하는 모양으로 배열하고 이를 가는 실로 감아서 박음질하여 된 장식천을 가공하기 위해 상기 장식용 실은 밀실로 공급하고 윗실로 공급되는 가는 실로 이 장식용 실은 바탕천의 표면에 박음질할 수 있도록 하는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려하고 섬세하며 다양한 무늬의 망사형 장식천은 흔히 레이스(lace)라고도 불리우는 것으로서 이는 블라우스나 웨딩드레스의 옷감으로 특히 많이 사용되며, 기타 옷깃이나 치마자락등의 장식용으로도 쓰여진다. 이는 본래 서양자수에서 유래되어 홈메이드(Home Made)인 수공업에 의해 생산이 되었으나 직조기의 발달로 산업화되어서 대량 생산에 이르게 되었으며, 이러한 장식천의 아름다움은 여성들의 기로를 충족시킬 수 있어서 그 수요가 날로 증가되고 있다. 통상 직조기에 의해 제조되는 장식천은 평면적인 모양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가늘고 굵은 실을 사용하여 옷감의 바탕무늬에 요철면을 형성함으로써 입체적인 형상의 표현이 가능하여 그 미감을 더욱 향상시키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이 입체적인 형상을 가진 장식천, 예컨대 제 7 도에 보인 장식천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통상의 직조방법에 따라서 직조방향으로 이송되는 날줄(경사)과 이 날줄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씨줄(위사)에 의해 다양한 무늬가 형성된 장식천의 바탕천이 직조되며, 이와 동시에 입체적인 형상을 갖게 하는 장식용 실을 직조과정에서 날줄 및 씨줄과 함게 공급함으로써 바탕천에 대하여 바라는 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의 장식천은 장식용 실이 순차적으로 직조되는 바탕천과 동시에 공급되어 직조되므로 그 모양이 단순하고 곡선의 형상이 원활하지 못하고 외관상 딱딱한 느낌을 주고 있다. 또한 장식용 실이 날줄과 씨줄 사이로 직조되어 있어서 바탕천으로부터 크게 두드러지지 않아 입체적인 모양이 잘 나타나지 않으며, 장식용 실이 지니고 있는 질감과 빛깔등이 가리워져서 높은 장식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법에 의해 바탕천에 섞여 직조되는 장식용 실은 그 직경이 한정되어서 보다 다양한 모양과 질감을 나타낼 수 있는 장식천의 제조에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하고 섬세한 모양으로 그 질감이 뛰어난 장식천을 가공할 수 있는 장식천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장식천 가공장치는 북실꾸리에 감겨진 굵은 장식용 실은 밀실로 하여 바탕천의 표면에 원하는 모양으로 배열되게 하고, 바늘에 끼워진 가는 실을 윗실로 하여 상기 장식용 실을 적정한 간격으로 감아 박음질하여서 장식천을 가공하는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늘의 촉을 뭉툭하게 형성하여 상기 바늘이 상기 장식용 실이나 바탕천에 접촉할 때 미끄럼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북실꾸리가 수납되며 상기 바늘과 상호 동작을 하여 박음질을 수행하는 북집의 외주에 각각 일측이 개구된 복수의 장공을 형성하여 상기 장식용 실이 이 장공을 통해 인출될 때 마찰을 일으키게 함으로써, 상기 장식용 실이 일정한 인장력이 부여된 채 밀실로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 장식천 가공장치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이 의도하는 장식천을 제 1 도와 제 2 도에 의해 설명한다.
제 2 도는 본 발명 장치에 의해 가공되어 장식천을 구성할 다양한 무늬가 놓인 망사형의 바탕천(10)이며, 제 1 도는 본 발명 장치에 의해 가공된 장식천의 표면도로서 굵은 장식용 실(20)이 바탕천(10)의 바닥무늬를 따라서 원하는 모양을 형성하며 그 표면에 배열되도록 하고 이 장식용 실(20)이 가는 실(32)에 의해 바탕천에 감아 박음질되어서 부착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탕천(10)은 직조기에 의해서 바닥무늬가 형성되도록 직조되는 바, 그 바닥무늬는 장식용 실(20)이 배열될 기초형상이 되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장치로 가공될 장식천의 바탕천을 반드시 망사형 천으로 해야만 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장치는 일반천의 표면에도 장식실을 가는 실에 의해 입체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상술한 장식천을 가공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장식천 가공장치의 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3 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공장치인 재봉기에 의해 장식천이 가공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재봉기의 헤드(30)에는 상하 운동하며 그 촉(31')이 뭉툭한 바늘(31)이 장착되며, 상기 바늘(31)에는 가는실(32)이 꿰어지도록 하되, 상기 바늘의 촉(31')은 장식용 실(20)이 조직을 관통하지 못하고 이에 대하여 미끄럼이 일어날 수 있도록 충분히 뭉툭하게 형성한다. 그리고 그 하방의 기계실에는 스핀들(spindle ; 40)을 설치하여 이에 북집(50) 뭉치가 결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북집뭉치는 제 3 도와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북실꾸리(60)와 북집(50)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북실꾸리(60)에는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가늘은 실다발로 된 속실(21)의 주위에 가늘은 겉실(22)를 조밀하게 권회하여서 된 장식용 실(20)을 밀실로서 수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북집(50)의 외주연에는 각각 일측으로 개구된 장공 (52) (52) (53)을 3개 형성하여 상기 북실꾸리(60)를 북집(50)에 끼워 넣으며 장식용 실(20)을 이 장공(51) (52) (53)을 순차적으로 관통시켜 그 측벽과 접촉하게 한다. 이 장공(51) (52) (53)은 장식용 실(21)이 이를 통해 인출될 때 장공(51) ((52) (53)의 측벽과 마찰을 일으킴으로써 장식용 실(20)에 일정한 인장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의한 장식천의 가공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장식천 가공장치에 의해 가공된 장식천의 망사형의 기초무늬가 놓인 바탕천(10)의 표면에 형성하고자 하는 모방을 따라서 장식용 실(20)이 원활한 곡선을 이루며 가는 실(32)에 의해 감기어서 박음질되어 있기 때문에 그 입체감이 두드러지며, 따라서 장식용 실의 질감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이와 같은 장식천을 상술한 본 발명의 가공장치로써 가공하기 위하여는 먼저 바탕천(10)을 도시되지 않은 자수틀에 물려 박음질 될때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한다.
다음 제 4 도와 같은 조직을 갖는 장식용 실(20) 또는 기타 원하는 실을 북실꾸리(60)에 감고 장식용 실(20)의 일부를 북집(50)의 장공(51) (52) (53)을 통하여 꿰어 높은 후 북실꾸리(60)와 북집(50)을 결합하여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북집(50)뭉치를 하부 기계실의 스핀들(40)에 강착한다. 그리고 상부의 헤드(30)에 마련되어 상하운동하는 바늘(31)에 가는 실(32)를 궤어 놓는다.
다음 자수틀(도시되지 않음)에 물리어 있는 바탕천(10)을 소요형상에 따라 수작업에 의해 박음질을 행한다. 이때 작식용 실(20)을 가는 실(32)에 비해 매우 굵으므로 바탕천(10)의 저면에서 가는 실(32)에 의해 제 3 도의 확대부분과 같은 형상으로 박음(stitch)이 되어 바탕천(10)에 부착됨으로써 제 1 도와 같은 장식천이 형성된다. 이때 바늘(31)이 뭉툭하기 때문에 바탕천의 조직을 손상하지 않으며 또한 장식용 실(20)을 관통하거나 속으로 파고 들지 못하고 표면으로 미끄러지게 되어 가는 실(32)이 장식용 실(20)을 감아박음질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제 1 도에는 가는 실(32)이 장식용 실(20)과 구별될 수 있도록 표현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같은 색상을 사용할 경우 가는 실(32)이 장식용 실(20)과 구별될 수 있도록 표현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같은 색상을 사용할 경우 가는 실(32)이 장식용 실(20)과 구별되어 외관을 해치는 일은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장식천 가공장치는 장식용 실의 모양을 원하는 데로 자유자재로 배열할 수 있으며 입체감이 두드러져 장식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매우 다양한 모양의 장식천을 능률적으로 가공할 수 있고 이 과정에서 불량품이 겅의 발생하지 않아 가공원가를 크게 저하시키며 특히 다종 소량생산에 매우 유리하다.

Claims (2)

  1. 북실꾸리에 감겨진 굵은 장식용 실을 밀실로 하여 바탕천의 표면에 원하는 모양으로 배열되게 하고, 바늘에 끼워진 가는실을 윗실로 하여 상기 장식용 실을 적당한 간격으로 감아 박음질하여서 장식천을 가공하는 가공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늘(31)의 촉(31')을 뭉툭하게 형성하여 상기 바늘(31)이 상기 장식용 실(20)이나 바탕천(10)에 접촉할 때 미끄럼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북실꾸리(60)가 수납되며 상기 바늘(31)과 상호 동작을 하여 박음질을 수행하는 북집(50)의 외주에 각각 일측이 개구된 복수의 장공(51, 52, 53)을 형성하여 상기 작식용 실(20)이 이 장공(51, 52, 53)을 통해 인출될 때 마찰을 일으키게 함으로써, 상기 장식용실(20)이 일정한 인장력이 부여된 채 밀실로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천 가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용실(20)을 다수개의 가늘을 실다발의 주위에 가늘을 실을 조밀하게 권회하여서 된 것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천 가공장치.
KR1019870007801A 1987-07-18 1987-07-18 장식천 가공장치 KR900002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7801A KR900002714B1 (ko) 1987-07-18 1987-07-18 장식천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7801A KR900002714B1 (ko) 1987-07-18 1987-07-18 장식천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468A KR890002468A (ko) 1989-04-10
KR900002714B1 true KR900002714B1 (ko) 1990-04-23

Family

ID=19263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7801A KR900002714B1 (ko) 1987-07-18 1987-07-18 장식천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271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468A (ko) 1989-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79221A (en) Textile product
CN1133772C (zh) 一种丝带绣品及其制作方法
KR900002714B1 (ko) 장식천 가공장치
CN201162120Y (zh) 仿手工彩色绳绣工艺饰品
CN105525460A (zh) 一种3d立体刺绣制作方法
CN214088970U (zh) 一种具有装饰链的绣花纱
Day et al. Art in needlework: a book about embroidery
CN104790140A (zh) 一种鳞形刺绣的方法
Akinrujomu Embroidery as a form of decorative stitches in art
KR101951282B1 (ko) 손누비 명주 제조 방법
US4858544A (en) Method of hand-forming needlework patterns
O'neale Peruvian" Needleknitting."
Patrick The Weaver's Idea Book: Creative Cloth on a Rigid Heddle Loom
CN102677413A (zh) 一种刺绣的工艺
CN2303011Y (zh) 割绒提花针织机上针盖
RU2234562C1 (ru) Декоративное кружевное полотно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Chudi-Duru ADAPTATION OF PUNCH NEEDLE EMBROIDERY AS AN ADDED SURFACE DESIGN ON AFRICAN WAX PRINTS FOR NIGERIAN FASHION
CN104264396A (zh) 一种纺织品花型获得方法及带花纺织品
KR200400334Y1 (ko) 자수물
Dahrén From narrow four-strand plaits to openwork bobbin-made braids and edgings
CN1062936A (zh) 东方缕丝绣品制作方法
CN2331683Y (zh) 针织机用勾纱针
JP3026628U (ja) 人工毛皮テープ及び人工毛皮テープ用編織物
KR101067374B1 (ko) 바탕소재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
JPS6485362A (en) Loop like embroidering method by sew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