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381Y1 - 마쇄분쇄 장치 - Google Patents
마쇄분쇄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00002381Y1 KR900002381Y1 KR2019870004791U KR870004791U KR900002381Y1 KR 900002381 Y1 KR900002381 Y1 KR 900002381Y1 KR 2019870004791 U KR2019870004791 U KR 2019870004791U KR 870004791 U KR870004791 U KR 870004791U KR 900002381 Y1 KR900002381 Y1 KR 90000238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ew shaft
- grinding
- inlet
- fluid
- air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 1 도 및 제 2 도는 본 고안에 관한 마쇄분쇄장치의 각 실시예의 개략 단면도.
제 3 도는 다른 실시에의 요부 단면도.
제 4 도 및 제 5 도는 종래의 마쇄분쇄장치의 각예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처리통 11 : 스크류축
21 : 유입구 26 : 공기저류부
a : 피처리물 b : 분쇄매체
본 고안은 마쇄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마쇄분쇄장치(그라인더)는 제 4 도 및 제 5 도를 참조해서 설명하면, 세로형처리통(1)내에 상하방향의 스크류축(2)을 착설함과 동시에 강구(steel ball)등의 분쇄매체(b)를 충전하고, 스크류축(2)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처리통(1)내에 피처리물(a)을 투입하여, 이 피처리물(a)을 그 상호간 및 상기 분쇄매체(b)와의 마쇄에 의해서 미세한 생산입자(c)로 하고, 처리통(1)내를 통과하는 공지 또는 물등의 유체에 그 생산입자(c)를 실어서 처리통(1) 밖으로 도출하는 것이다.
이 마쇄분쇄장치의 일종래예로서, 한국특허출원 제1985-7516호에 기재되고, 제 4 도에 도시한 것이 있으며, 유체를 처리통(1)의 저부측면 으로부터 도입하여, 유체의 흐름에 실어서 상승하는 생산입자(c)를 통의 상부근처에서 배출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압송유체가 측벽으로부터 도입되면, 생산입자(c)의 분포가 처리통(1)의 중심으로부터 한쪽으로 편기되어 축척되기 때문에, 신속하게 도출되지 않아 생산능률이 비교적 떨어져서 기체(機體)의 크기에 비하여 생산능력이 저하되는 결점이 있다.
이 결점을 해결한 것으로서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공보 소화 60-155957호에 기재되어 있고,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류축(2)을 중공축으로 하고, 그 상단부로부터, 상기 유체를 스크류축(2)에 유통시키면서 하단부로부터 처리통 주위에 방사상으로 유출시키는 것이었다.
이것은, 스크류축(2)의 하단부로부터, 유체가 주위에 방사상으로 유출하므로, 유체가스 스크류축(2)을 중심으로해서 주위에 구석구석까지 확대되어 생산입자(c)이 분포가 편기되지 않아 상기 문제점이 해결된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스크류축(2)은 처리통(1)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하고, 이 돌출부에서, 스크류축(2)의 구동 및 액체의 유입을 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돌출부에는 각종 부재가 부착되고, 그 부착구조가 복잡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처리통내의 생산입자의 분포에 편기를 없앰과 동시에 스크류축에 각종 부재의 부착을 적게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술한 처리통내를 상승하는 유체에 의해서 생산입자 처리통의 바닥벽 중앙에 생산입자의 반송유체의 유입구를 형성한 것이다.
이 장치는, 스크류축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처리통내에 피처리물을 투입하고, 이 피처리물을 그 상호간 및 분쇄매체와의 마쇄에 의해서 미세한 생산입자로 하고 처리통 상부로부터 흡인함으로서 스크류축의 하부를 통해서 처리통내로 유체를 유입하여 스크류축 하부로부터 방사상의 상부방향의 흐름을 일으켜서 이 흐름을 타고 상기 생산입자가 상승해서 통밖으로 도출한다.
이와 같이, 처리통 내부 바닥벽 중앙으로부터 유체를 도입하면, 유체가 중앙으로부터 유체를 도입하면, 유체가 중앙으로부터 주위에 구석구석까지 확대되어 생산입자의 분포가 편기되지 않아 생산입자가 전체영역에 걸쳐서 구석구석까지 신속하게 도출되어서 원활한 작업이 이루어진다.
또, 스크류축 상단부에는 유체유입수단이 부착되지 않기 때문에, 스크류축 구동수단등의 부착이 용이해 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부면을 폐쇄한 세로형의 원통처리통(10)의 중심축상에 스크류축(11)이 착설 되고, 이 축(11)은 처리통(10) 상부면을 관통하여 드러스트 베어링등의 지지수단에 의해서 현수지지되어 있으며, 도시하지 않은 모우터에 의해서 회전한다.
스크류축(11)은 하단부의 일부가 중공축으로 되어 있고, 그 하부에 복수개의 작은구멍(25)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작은 구멍(25)은, 축(11) 하단부로부터의 유체유출속도를 완화하기 위함이며, 유출속도가 너부 빠를 때에 형성하고, 그 수 및 위치는 적절히 결정한다. 따라서, 반드시 형성할 필요는 없다.
처리통(10)의 상부에는 분쇄매체(b)의 투입구(12) 및 피처리물 투입구(13)가 형성되고, 전자의 투입구(12)로 부터 세라믹, 돌, 강구등의 분쇄매체(b)가 도시된 L레벨가지 충전되고, 후자의 투입구(13)로 부터 스크류켄베어 등에 의해서 기밀을 유지하여 피처리물(a)이 도시한 화살표와 같이 이동교반 되어서 피처리물(a)이 그 상호간 및 분쇄매체(b)와의 마쇄에 의해서 미세한 생산입자(c)로 분쇄된다.
스크류축(11)의 처리통(10)내 상부에는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설된 날개(14a)를 가진 임펠러(14)가 회전 자재케 착설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임펠러(14)와 대향하는 처리통(10)내면 전체둘레에 단면이 삼각형 형상인 환형상부재(15)가 착설되어 있고, 외부의 모우터(20)에 의해서 임펠러(14)가 회전하면, 임펠러(14)와 환형상의 부재(15) 사이를 통과하는 기류에 선회력이 부여되어서 분쇄가 행해진다.
임펠러(14)의 상부쪽 처리통(10)상부면에는, 흡기구(16)가 형성되고, 이 흡기구(16)에, 백필터, 사이크론 등의 제품포집장치(17)를 개재해서 흡기팬(18)이 접속된다.
처리통(10)의 바닥벽중앙에는 공기유입관(공기유입구라고도 함)(21)이 접속되고, 이 유입관(21)은 스크류축(11)의 하단부내에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흡기팬(18)이 구동하면, 처리통(10)내가 부압이되어, 유입관(21)을 개재해서 스크류축(11) 하단부내로 공기가 유입한다.
이 유입된 공기는 작은 구멍(25)으로부터 처리통(10)내로 분출함과 동시에, 스크류축(11) 하단부로부터 처리통(10)내로 공기가 둘레에 방사상으로 유출하여 구석구석까지 퍼지게 된다.
도면에서 (19)는 분쇄매체(b)의 인출구이다.
이 실시예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피처리물(a)을 적절히 투입하면 스크류축(11)이 교반작업에 의해서, 피처리물(a)은 그 상호간 및 분쇄매체(b)와의 마쇄에 의해서 미세한 생산입자(c)로 분쇄되어 가벼워진다.
한편, 흡기팬(18)에 의해서 흡기되면, 유입관(22)으로부터 공기가 처리통(10) 하부로 흘러들어서 주위에 구석구석까지 확대되어 상승해서 임펠러(14)와 환형상의 부재(15) 사이를 통과하는 기류가 발생한다.
이 기류를 타고 상기의 가벼워진 생산입자(c)가 상승하여 임펠러(14)의 선회력에 의해서 굵은 것은 분리되고 소정의 입도로 된 것이 흡기구(16)로부터 포집장치(17)에 도달하여, 여기에서 생산입자(c)가 포집된다.
이 작용시, 기류는 처리통(10)에 스크류축(11)의 하단부로부터 주위에 구석구석까지 확대되고 그 흐름으로 분쇄매체(b), 처리물(a)을 교반하기 때문에 이들이 체류하는 일이 없다.
[실시예 2]
제 2 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1에 있어서 공기유입구(21)를 스크류축(11)의 하단부내에 위치시킨 것이다.
도면에서 (30)은 스크류축(11) 하단부에 원주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된 슬리트이며 상기 작은 구멍(25)과 동일한 작용을 한다.
이와같이하면, 기류는 스크류축(11) 하단부로부터 처리통(10)내주에서 방사상으로 유출해서 구석구석까지 행해진다.
[실시예 3]
제 3 도에 도시한 실시예는, 실시예 2에 있어서, 스크류축(11)의 하단부에 팽출시켜서 공기저류부(26)를 형성한 것이며, 도면에서 (29)는 축(11)내로의 유입저지판이다.
이와같이하면 유입관(22)으로부터의 공기가, 이 공기저류부에 일단 저류되기 때문에 공기저류부내 전체영역의 공기분포는 균일해진다. 이 때문에 스크류축(11)의 하단부로부터 유출하는 공기도 전체주위에 걸쳐서 균일하게 되어 더욱 주위 구석구석까지 확대된다.
또한 공기저류부를 실시예 1에 형성해도 마찬가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각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를 열풍으로 하면, 건조분쇄가 가능하게되어 생산입자(c)의 반송유체를 공기 대신에 다른 기체를 채용해도 되며, 물 등의 액체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예를들면 제 1 도의 쇄선과 같이 흡기팬(18)의 배기구를 유입관(22)에 접속하여 기체의 일부 또는 전체의 흐름을 폐쇄해도 된다.
이 경우, 유입관(22)에는 흡기팬(18)의 배출량이 2/3정도를 공급하여 유입관(22)내는 정압이 되어도 처리통(10)내가 부압이 되도록 흡기팬(18)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폐쇄조업에 있어서, 기체를 공기로 하였을 경우, 그 공기가 물을 흡수해서 포화상태가 되면, 흡기팬(18)의 배기의 일부를 방출하여, 처리통(10) 하단부의 유입관(21) 유입구 근처로부터 그 방출량을 보충한다.
또한 실시예는 처리통(10)내를 부압제어하도록 하였으나, 유입관(21)으로부터 압축유체를 이송하고, 처리통(10)내를 정압으로 하여도, 본 고안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3)
- 세로형 처리통(10)내에 상하방향의 스크류축(11)을 착설함과 동시에 분쇄매체(b)를 충전하고, 상기 스크류축(11)을 회전시킨 상태에서 처리통(10) 내에 피처리물(a)을 투입하고, 이 피처리물(a)을 그 상호간 및 상기 분쇄매체(b)와의 마쇄에 의해서 미세한 생산입자(c)로하고, 처리통(10)내를 승상하는 유체를 타고 그 생산입자(c)를 처리통(10) 밖으로 중앙에 상기 유체의 유입구(21)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쇄분쇄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축(11) 하단부를 중공으로 하고, 그 하단부내에 상기 유입구(21)를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쇄분쇄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축(11) 한부를 팽출시켜서 공기저류부(26)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쇄분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70004791U KR900002381Y1 (ko) | 1987-04-08 | 1987-04-08 | 마쇄분쇄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70004791U KR900002381Y1 (ko) | 1987-04-08 | 1987-04-08 | 마쇄분쇄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19345U KR880019345U (ko) | 1988-11-28 |
KR900002381Y1 true KR900002381Y1 (ko) | 1990-03-26 |
Family
ID=19261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70004791U KR900002381Y1 (ko) | 1987-04-08 | 1987-04-08 | 마쇄분쇄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00002381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1488B1 (ko) * | 2007-02-02 | 2014-04-04 | 마쉬넨파브릭 구스타프 아이리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 수직 그라인딩 밀의 연속 건식 밀링 가공 방법 및 수직 그라인딩 밀 |
-
1987
- 1987-04-08 KR KR2019870004791U patent/KR90000238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81488B1 (ko) * | 2007-02-02 | 2014-04-04 | 마쉬넨파브릭 구스타프 아이리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 수직 그라인딩 밀의 연속 건식 밀링 가공 방법 및 수직 그라인딩 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19345U (ko) | 1988-11-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H043630Y2 (ko) | ||
US3769779A (en) | Degassing apparatus | |
US3160106A (en) | Centrifugal pumps | |
TW201313322A (zh) | 介質攪拌式粉碎機 | |
US2931581A (en) | Precision grinder with forced circulation classifier | |
JPH0753955B2 (ja) | ガス排出装置 | |
US4439200A (en) | Single stage high pressure centrifugal slurry pump | |
KR900002381Y1 (ko) | 마쇄분쇄 장치 | |
US4660776A (en) | Vertical grinding mill | |
US5114083A (en) | Method and appatatus for pulverizing material | |
US2622537A (en) | Pumping mechanism | |
CN109012979A (zh) | 除粉除尘立轴式冲击破碎机及除粉除尘方法 | |
US2552603A (en) | Apparatus and method to comminute solid particles in gas | |
US3429511A (en) | Material pulverization | |
JPH0328916Y2 (ko) | ||
KR890003745B1 (ko) | 마쇄분쇄장치 | |
US2238743A (en) | Bowl mill | |
WO1997003753A1 (fr) | Broyeur sans boulets | |
CN1462654A (zh) | 液体状物料的循环粉碎研磨装置及其方法 | |
JPS6279855A (ja) | 摩砕粉砕装置 | |
JP2698504B2 (ja) | 摩砕粉砕装置 | |
CN213286541U (zh) | 一种安全防爆型单锥螺带真空干燥机 | |
CN209791745U (zh) | 一种新型无尘粉碎机 | |
JP4288649B2 (ja) | 竪型粉砕機 | |
CA1256414A (en) | Vertical grinding mil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80312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