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2033Y1 - 난간 횡간 단부의 가리개 - Google Patents

난간 횡간 단부의 가리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2033Y1
KR900002033Y1 KR2019860018311U KR860018311U KR900002033Y1 KR 900002033 Y1 KR900002033 Y1 KR 900002033Y1 KR 2019860018311 U KR2019860018311 U KR 2019860018311U KR 860018311 U KR860018311 U KR 860018311U KR 900002033 Y1 KR900002033 Y1 KR 9000020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ing
transverse
present
screen
elastic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83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9955U (ko
Inventor
이종현
Original Assignee
이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현 filed Critical 이종현
Priority to KR20198600183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2033Y1/ko
Publication of KR8800099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99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20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0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난간 횡간 단부의 가리개
제 1 도는 종래 난간 횡간 단부 가기개체의 사시도.
제 2 도는 가는 본 고안의 난간 횡간 단부 가리채의 사시도, 나는 본 고안의 난간 횡간 단부 가리개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난간 횡간 단부 가리개체의 사용 상태도.
본 고안은 베란다 난간이나 층계 난간등의 횡간 단부의 고정부분을 가릴 수 있는 가리개체에 관한 것으로 가리개체의 끼움 구멍의 주연부에 다수개의 탄성편을 형성하여 가리개체가 횡간단부의 관에 끼워져서 요동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한 난간 횡간 단부 가리개의 구성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난간 횡간단부의 가리개는 제 1 도와 같이 원형 가리개체(20)는 접시모양과 같은 형상으로서 원형 가리개채(20)를 난간 횡간단부의 관에 끼워서 단부를 가려서 외관상 보기좋게 하는 것으로서 난간 횡간 단부의 관에 끼워지는 중앙구멍(21)의 주연부(22)는 원형선과 같이 절단된 상태로 되어 있어서 원형 가리개체(20)를 횡간 단부의 관에 약간 헐겁게 끼워져 있게 되므로 원형 가리개체(20)가 관에서 이동되므로 단부의 가림역할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는 난간 횡간 단부는 나사 고정식으로 플렌지에 횡간종단을 나사꽂이 하는 것이 있으나 이와같은 방법은 시공비가 많이 소요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난간 횡간단부의 가리개 즉 원형 가리개체에 형성된 탄성지지편에 의하여 횡간단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난간 횡간단부의 가리개 즉 원형 가리개체에 형성된 탄성지지편에 의하여 횡강단부의 관체에 끼워져서 이동되지 않고 일정한 위치에 고정될수 있도록 하여 난간 횡간단부를 가리게 하므로서 시공비도 감소되고 외관상 미리하게 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효과를 도면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구성은 제 2 도 가와 같은 공지의 접시형 원형가리개채(1)의 중앙구멍(2)의 주연부(3)에 등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된 탄성지지편(4)은 중앙구멍(2)안쪽으로 기울어 지게 하여서 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중 탄성지지편(4)의 내면상에 니어링(5)하여 난간 횡간관체(6)와의 접촉부의 마찰력을 놓이게 한 것이다.
미설명부호 7 : 총계 8 : 횡관 관체 9 : 건물벽체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제 3 도와 같이 난간 횡간 관체(6)를 건물의 총개(7)등에 설치할때 횡간 관체 양단부(8)에 원형 가리개채(1)의 중앙구멍(2)으로 끼워서 건물벽체(9)면에 밀착시켜두면 구멍(2) 주연부(3)에 형성된 다수개의 탄성지지편(4)은 횡간관체 단부(8)면을 탄성압압하여 집게 되므로 원형 가리개채(1)는 횡간관체단부(6)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특히 제 2 도 나와 같이 탄성지지편(4)의 면을 니어링(5)하게 되면 횡간 관체단부(8)면과의 접촉 마찰력이 높아져서 원형 가리개채(1)는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고정효과를 높이게 한것으로 구성이 간단하여 생산 및 시공을 저렴한 가격이 소요되므로 실용성을 높이게 한 것이다.

Claims (2)

  1. 공지의 접시형 원형 가리개채(1)의 중앙구멍(2)의 주연부(3)에 동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된 탄성지지편(4)은 중앙구멍(2)안쪽으로 기울어 지게 하여서 된 난간 횡간단부의 가리개.
  2. 제 1 항에 있어서, 탄성지지편(4)의 내면상에는 니어링(5)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난간 횡간 단부의 가리개.
KR2019860018311U 1986-11-24 1986-11-24 난간 횡간 단부의 가리개 KR9000020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8311U KR900002033Y1 (ko) 1986-11-24 1986-11-24 난간 횡간 단부의 가리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8311U KR900002033Y1 (ko) 1986-11-24 1986-11-24 난간 횡간 단부의 가리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955U KR880009955U (ko) 1988-07-23
KR900002033Y1 true KR900002033Y1 (ko) 1990-03-13

Family

ID=19257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8311U KR900002033Y1 (ko) 1986-11-24 1986-11-24 난간 횡간 단부의 가리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203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955U (ko) 1988-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7318A (ko) 지붕 장치
ES2065249A2 (es) Canalon de recogida de aguas pluviales articulado.
KR900002033Y1 (ko) 난간 횡간 단부의 가리개
IT8647547A0 (it) Pastecca con complesso di bullone e gancio perfezionati
DK31286A (da) Indretning ved barnesikring til svingevindue
GB2180871B (en) Window support and condensation drainage element
US2914278A (en) Detachable flag pole bracket
US4712256A (en) Cover plate and mounting clip assembly
JPS6140225Y2 (ko)
JPH0129931Y2 (ko)
ATE56995T1 (de) Als putzabschlussprofil ausgebildete putzprofilleiste.
JPH0514997Y2 (ko)
JPS638020Y2 (ko)
KR930002090Y1 (ko) Tv본체 분리형 실내안테나 고정홀더
ATA245785A (de) U-foermiges bauelement und damit hergestellter mauerverband
JPH0438015Y2 (ko)
JPH0752270Y2 (ja) 樋用化粧カバー止め具
JPH026216Y2 (ko)
JPH0539127Y2 (ko)
DE69018804D1 (de) Profil zur errichtung tragender aufbauten.
KR800001487Y1 (ko) 국기대 협지구
KR790001552Y1 (ko) 창문의 유리 고정 장치
KR880004183A (ko) 채광공간 형성장치
JPH0321565Y2 (ko)
JPH0742327A (ja) 軒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31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