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744Y1 - 파종기 - Google Patents

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744Y1
KR900001744Y1 KR2019870017736U KR870017736U KR900001744Y1 KR 900001744 Y1 KR900001744 Y1 KR 900001744Y1 KR 2019870017736 U KR2019870017736 U KR 2019870017736U KR 870017736 U KR870017736 U KR 870017736U KR 900001744 Y1 KR900001744 Y1 KR 9000017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s
wheels
gland
seed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77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8184U (ko
Inventor
이윤기
Original Assignee
이윤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윤기 filed Critical 이윤기
Priority to KR20198700177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1744Y1/ko
Publication of KR8900081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81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7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7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0Devices for adjusting the seed-box ; Regulation of machines for depositing quantities at intervals
    • A01C7/102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eed 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4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holes for sowing or plan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파종기
제1도는 종래 파종기의 예시도.
제2도는 본고안에 의한 파종기의 사시도.
제3도는 본고안 파종기의 저면을 보이는 사시도.
제4도는 본고안 파종기의 저면 구성도.
제5도는 본고안 파종기의 연결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파종기 12 : 종자함
13,13' : 토출구멍 14,14' : 유도래일
16,16' : 조정판 19,19' : 브러쉬
20,20' : 지지간 22,22' : 글토륜
23 : 고정구멍 24,24' : 글토봉
28 : 고정구 30,30',32,32' : 연결구멍
31 : 연결 손잡이
본 고안은 파종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앙을 생략한 건답직파에 있어서, 습지 천수답 등지에서 실시 할수 있는 피복 재배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건답직파는 벼의 묘상 파종후 논에 이앙은 재래의 농작방법을 지양하여, 물을 뺀 건답에 벼를 직접 파종하여 줌으로서 갈수기인 봄의 급수 문제를 해소하고, 묘상, 이앙기 및 이앙 인력을 필요로하지 않으며 이앙시 모의 잔 뿌리가 많이 제거됨으로서 착상에 오랜 기간(모살이 기간15-20)일을 필요로 하던 문제점을 없애 종기 수확 및 중수를 위해 실시된다.
그러나, 종래의 파종기에 있어서는 제1도에서와 같이 추진간(1)이 부설된 기틀(2)의 전면에 회전문(3)을 구비하고, 회전륜(3)이 진행됨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땅을 파주는 글토판(4) 및 글토판(4)의 후면에서 종자를 뿌려주는 종자함(5)이 구비되며, 종자함(5)의 파종구(6)는 글토판(4)과 관련하여 작동되는 순간 개방 동기 수단을 구비하여 글토판(4)이 파놓은 파종 구멍의 위치에서 개방, 종자를 뿌려 주도록 하여 종자함(5)후면에 구비된 복토판(7)이 구멍에 흙을 밀어 넣어 주도록 되어 있었다.
상기에서, 파종간격 즉, 이앙할 경우 모와 모사이에 띄워주는 일정 간격은 글토판(4)의 크기에 의해 정해지게 되나, 글토판(4)의 크기가 일률적으로 정해져 있으므로 파종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글토판(4)을 궁비하여야만 하였고, 파종구(6)에도 복잡한 순간 개방동기 수단이 구비되므로 유지, 보수가 곤란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파종기는 콩, 팥등의 밭작물용으로 적합하여 피복재배시의 파종은 불가능하게 되는데, 이는 즉 글토판(4)이 논을 덮은 피복비닐까지 전부 파헤치게 되므로써 피복 재배 방법이 목적한 보온, 보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근본적인 결함을 갖게 되는 것이다.
피복 재배는 수분 증발에 의해 온도가 낮아지는 습지에서의 보온 및 수분이 적어 수분 증발을 최대한 억제해야 되는 천수답 등지에서 실시하게 되는데, 이 피복 재배를 건답직파와 병행하여 실시할 경우 최상의 효과를 얻게 된다.
즉, 건답직파시에는 전술한 모살이 기간(15-20)일의 생략이 가능하고, 피복 재배시에는 피복 비닐에 의해 수분 증발이 억제되어 갈수기에 물의 고갈을 방지하는 보습효과와, 보습에 의해 수분 증발시 발생하는 일을 축적하는 보온 효과(약 10°정도 차이)에 의해 벼가 조기 발아(30℃에서 1일, 20℃에서 15-20이 소요)되므로 조기 수확이 가능하게 되고, 특히 이상기후 발생시에도 벼의 생육에 큰 지장을 받지 않게 된다.
본 고안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건답직파 특히 피복재배에 적합한 파종기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는바,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파종기의 사시도이고 제3도는 파종기 저면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파종기(11)의 종자함(12)하부에는 두 개의 토출구멍(B)(B')을 뚫고, 그 양측에 구비한 각각의 유동레일(14)(14')일측에는 고정볼트(15)(15')가 구비되어 조정판(16)(16')의 장공(17)(17')을 끼워 고정하여서, 파종시 종자의 파종량을 조절하게 되고, 유도레일(14)(14')의 후면에는 지지대(18)(18')가 구비되어 대략 V자형이 브러쉬(19)(19')를 고정시켜 상기 토출구멍(13)(13')을 통해 뿌려진 종자를 수거, 파종 구멍에 밀어넣게 된다.
종자함(12)의 하부 전면에는 두 개의 지지간(20)(20')사이에 지지된 글토륜 측(21)의 양측에 각각 토출구멍(13)(13')에 대응하는 글토륜(22)(22')을 구비하고 글토륜(22)(22')의 둘레면에는 복수개의 고정구멍(23)을 구비하여 글로봉(24)(24')을 나사 조임한다.
종자함(12)의 하부 후면에는 브라켓(25)(25')으로 지지된 회전륜측(26)양측에 연결구멍(32)(32')이 뚫린 회전륜(27)(27')이 구비되고, 회전륜측(26)의 중심부에 위치한 고정구(28)에는 추진간(29)이 끼워 고정되며, 추진간(29)의 상부에는 대략 ㄷ자형이고 양측에 연결구멍(30(30')이 뚫린 연결 손잡이(31)가 구비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파종기의 저면 구성도로서 이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결 손잡이(31)가 부착된 추진간(29)을 밀면 파종기(11)는 F방향으로 진행하게 되고, 종자함(12)에 고정된 지지간(20)(20')의 글토륜(22)(22')이 회전하면서 그 글토봉(24)(24')이 지면에 일정 간격으로 파종구멍을 뚫게 되는데, 글토륜(22)(22')후면의 토출구멍(13)(13')에서는 조정판(16)(16')으로 토출량이 조절된 종자가 계속 유출되며, 유출된 종자는 유도레일(14)(14')에 고정된 지지대(18)(18')끝단의 브러쉬(19)(19')가 쓸어 파종구멍 넣어 주게 됨으로써 파종을 완료하게 된다.
상기에서, 글토륜(22)(22')과 토출구멍(13)(13') 및 브러쉬(19)(19')는 파종기(11)의 진행 방향 F에 대해 동일선상에서 구비되고, 사용시 논의 모퉁이 등 필요에 따라서는 한 개의 토출구멍(13)만을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글토륜(22)(22')에 나사조임된 글토봉(24)(24')은 글토륜에 체결되는 원형 또는 곡형의 밴드에 고정하여 부착하여도 무방하고 또는 글토륜에 힌지로 고정하여 사용후 접어 넣도록 구성하여도 무방하며 이외에 다른 방법도 있을 수 있다.
한편, 연결손잡이(31) 및 회전륜(27)에 뚫린 연결구멍(30)(30')(32)(32')에는 또하나의 파종기(11')로 볼트 조임할 수 있어 넓은 곳에서는 다수의 파종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Claims (2)

  1. 통상의 파종기에 있어서, 종자함(12)하부의 토출구멍(13)(13')에 조정판(16)(16')의 장공(17)(17')에 끼워진 고정볼트(15)(15')로 토출량을 조정하고, 유도레일(14)(14')의 후면에 고정된 지지대(18)(18')에는 V형 브러쉬(19)(19')를 구비하여 토출된 종자를 수거, 매립하며, 종자함(12)전면의 지지간(20)(20')에 조립된 글토륜(22)(22')의 외면에는 다수의 고정구멍(23)을 뚫고 글토봉(24)(24')은 나사 조임하고, 후면에는 연결구멍(32)(32')이 구비된 회전륜(27)(27')이 고정된 회전륜축(26)의 중심부위에 위치한 고정구(28)에 추진간(29)을 고정하고 그 상부에 연결구멍(30)(30')이 뚫린 연결손잡이(31)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2. 제2항에 있어서, 회전륜(27)(27')과 연결 손잡이(31)에 각각 구비된 연결구멍(30)(30')(32)(32')으로 파종기(11)를 병열로 연결 사용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종기.
KR2019870017736U 1987-10-17 1987-10-17 파종기 KR9000017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7736U KR900001744Y1 (ko) 1987-10-17 1987-10-17 파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7736U KR900001744Y1 (ko) 1987-10-17 1987-10-17 파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8184U KR890008184U (ko) 1989-05-27
KR900001744Y1 true KR900001744Y1 (ko) 1990-03-05

Family

ID=19268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7736U KR900001744Y1 (ko) 1987-10-17 1987-10-17 파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174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8184U (ko) 198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4018115A (ja) 根茎菜の栽培方法および溝形成用マルチ農機具
EA011873B1 (ru)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для гребневой обработки почвы
KR900001744Y1 (ko) 파종기
KR102095964B1 (ko) 씨앗필름 피복장치
RU2604304C1 (ru) Способ выращивания картофеля на лесотундровых вечномерзлых почвах
KR100740044B1 (ko) 비료의 두둑 줄 뿌림 장치
KR102299200B1 (ko) 농기계용 파종기 연결장치
RU2456790C1 (ru) Комбинированный сошник
CN111567187A (zh) 一种播种机用调节轮
US952607A (en) Irrigating planter and cultivator.
KR200214872Y1 (ko) 건답직파기
CN109197050A (zh) 一种悬挂牵引式免耕花生播种机
CN211481924U (zh) 一种水稻的水穴直播盖土机
KR200363636Y1 (ko) 건답직파기의 파종골형성장치
SU1014498A1 (ru) Сошник
CN217850167U (zh) 一种多功能甘薯水肥一体化作业机
GB2021373A (en) Soil cultivating implement
RU96108707A (ru) Сеялка плодово-лесная
RU2218697C1 (ru) Рабочий орган сеялки зернотуковой стерневой
CN215222963U (zh) 一种小麦播种装置
US2167023A (en) Side dressing apparatus for planters
KR960001841Y1 (ko) 직파기
KR960003330Y1 (ko) 담수 직파용 파종기
KR0123187Y1 (ko) 트랙터의 벼직파기용 배토장치
KR20010064871A (ko) 종자 파종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