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626Y1 - 지당용(池塘用) 여과기(濾過機) - Google Patents

지당용(池塘用) 여과기(濾過機)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626Y1
KR900001626Y1 KR2019870013360U KR870013360U KR900001626Y1 KR 900001626 Y1 KR900001626 Y1 KR 900001626Y1 KR 2019870013360 U KR2019870013360 U KR 2019870013360U KR 870013360 U KR870013360 U KR 870013360U KR 900001626 Y1 KR900001626 Y1 KR 9000016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pipe
filtra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33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4123U (ko
Inventor
김귀덕
Original Assignee
김귀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귀덕 filed Critical 김귀덕
Priority to KR20198700133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1626Y1/ko
Publication of KR8900041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1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6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6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5Filters for aquar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A01K63/047Liquid pumps for aqua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지당용(池塘用) 여과기(濾過機)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여과기 전체의 정면 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 제1도에 의한 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을 연못에 설치하여 실시한 상태의 예시도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여과기 본체 2 : 뚜껑
5 : 공급수관 5' : 상단부
6 : 순환수관 7 : 제어밸브체
7' : 핸들 8 : 여과배수관
9 : 여과수 토출관 10 : 오물배수관
12 : 분사노즐 15 : 과잉수로홈
16 : 회전축 16' : 교반간
18 : 공간부 19 : 여과체
본 고안은 관상어(觀賞魚)를 기르는 연못의 물을 옥수와 같이 여과(濾過)시켜주는 지당용(地堂用) 여과기(濾過機)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관상어를 사육하는 연못의 물은 산화철(酸化鐵)과 철분(鐵粉)이 완전히 제거된 옥수를 사용하므로서 소기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관상어 사육에 적합한 지당수(池塘水)를 여과시켜 주기 위한 본 고안의 여과기는 F.R.수지를 주원료로 하여 성형한 원통형상의 여과기 본체 외면에 세워 고정한 공급관의 상단부를 여과기 본체의 내부벽 상부에 형성한 과잉수로홈에 위치하도록 관착하고 상기 공급관의 하단부는 순환관과 오물 개수관 및 여과수 토출관이 구성된 제어밸브체에서 상기 토출관과 관통된 상태로 그 단부가 여과기 본체 내저면의 공간부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여과기 본체의 뚜껑 중앙에 설치한 회전축에 교반간을 형성하고 이를 핸들이나 모우터로 여과기 본체 내 상부에서 회전되도록 하였다.
더우기 교반간은 여과기 본체내에 투입된 여과재(굴껍질을 3mm 정도로 분쇄 건조시킨 패류입자(貝類粒子)를 교반시켜 줌에따라 수로홈으로 넘쳐흐르는 물에 대한 여과작용을 실시하게 되고 다시 본체내 저면에 형성한 격판 상하부에 나착시킨 다수개의 여과체에 재차 여과작용을 실시하기 때문에 공간부를 통해 여과토출관으로부터 연못으로 분사되는 여과수는 분사노즐에서 초음파에 의한 산수의 공급과 더불어 강한 압력으로 분사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관상어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육관리하기 위해 적은량의 물과 짧은 시간으로 완벽한 여과수를 공급하는데 있으며,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단일펌프에 의해 여과작업과 여과수 토출작업 및 오물 배수작업을 별도의 부대시시설을 필요로 하지 않고 여과기 본체 하부에 설치한 제어밸브체의 간단한 핸들 조작으로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하는데 있으며 또한 토출관으로 토출되는 여과수는 분사노즐에서 강한 압력으로 분사되면서 초음파의 가동으로 산소의 공급을 원활히 하여 관상어의 성장을 촉진시켜주는 목적도 겸한다.
종래에는 연못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구성된 개방식 여과기는 주로 내부에 비교적 굵은 입자만을 선별하여서된 모래를 주여과재로 선택수용하여 사용해왔기 때문에 지당수가 이 모래층을 통과하는 시간이 매우 느릴뿐만 아니라 여과수의 토출량도 적어서 연못으로 분사될 때 부족한 산소의 공급으로 관상어 사육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는 결점이 있었다.
즉, 여과기 내에 수용된 모래여과층은 여과작업시 유동됨이 없이 적층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다만 순환펌프에 의해 순환공급되는 지당수를 상기 여과층으로 통과토록 한 것이어서 효과적인 여과작용이 어려웠고 또 순환수에 비해 여과수의 토출량이 매우 적고 분사입력도 약한 결점을 수반하고 있다.
따라서 연못의 크기에 따라 이에 용적되는 물의 량에 비례하여 여과수의 토출량을 원활히 행하기 위해서는 여과기의 구성을 보다 대형화 해야 하는 경제적인 문제점과 특히, 상기 여과층을 통과한 여과수에는 관상어 사육에 장애를 주는 산화철분이 완전히 제거되지 못한 상태이므로 지당수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없었다.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을 시정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F.R.P수지를 주재로 하여 성형한 여과기 본체내에 굴껍질을 분말화한 여과재를 투입하고 이 여과재가 여과작용중 여과기 본체의 뚜껑 상중심부로 삽착구성된 회전축의 교반간에 의해서 교반작용과 더불어 순환펌프로부터 순환공급된 지당수를 교반세척시켜 주는 1차 여과작업에 이어 여과기 본체 내저면에 설치한 격판 상하부에 마련된 수개의 여과체에서 다시 2차 여과작업을 실시하므로서 짧은 시간내에 적은 물로 여과작업을 보다 신속히 행하여 토출관을 통한 여과수가 분사노즐에서 강한 압력으로 분사하면서 초음파를 가동하여 산소화 같이 연못으로 공급되게 한 것인데 상기 교반간의 회전은 수동과 자동을 겸할수 있도록 회전축 상부에 핸들이나 모우터를 장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여과기 본체 외면 하부에 순환펌프를 설치한 순환수관과 토출관 및 공급수관과 오물배수관, 그리고 여과배수관을 각기 단일제어 밸브체에 연결하여 그 핸들의 조작으로 지당수의 공급여과 작업은 물론 오물의 배수작업도 동시에 행할수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오물 배수작업시 여과수의 토출작업을 중단할 필요가 없이 지속적으로 연못에 설치한 분사노즐로 공급분사시켜 주므로서 관상어를 효율적으로 사육관리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여과기 본체(1)의 외관을 나타내 보인 전체 사시도로서 F.R.P수지를 주재로 하여 성형한 원통형상의 여과기 본체(1) 상부에 뚜껑(2)을 후렌지부(3)(3')로 결합하여 보울트넛트(4)로 나착하고 그 외면 일측에 상단부가 본체(1) 내상부로 관착된 공급수관(5)을 세워 그 하단부를 순환펌프(P)를 설치한 순환수관(6)과 관통되게 연결하여 제어 밸브체(7)에 구성하고 또 본체(1)하부로 관착시킨 여과 배수관(8)도 상기 제어 밸브체(7)를 통하여 여과수 토출관(9)으로 관통시켜 줌과 동시에 여과작동부(10')를 형성한 오물배수관(10)은 순환수관(6)의 대칭방향으로 각각 구성하여 이들 수관의 제작동을 제어 밸브체(7)의 핸들(7')로 간단히 제어 조작할 수 있게 하였다.
상기 여과수 토출관(9)과 순환수관(6) 및 오물배수관(10)은 다음에 설명되는 본 고안 제3도의 실시 상태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당수(11)에 설치한 분사노즐(12)과 침전조(13) 및 오물 침전조(14)에 각각 연결된다.
본 고안의 제2도는 상기 여과기 본체(1)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로서 본체(1) 내주벽 상부에 과잉수로홈(15)이 형성되어 있고 이 수로홈(15)으로 상기 공급수관(5)의 상단부(5')가 위치하여 이곳으로 공급된 지당수(11)가 수로홈(15) 주연전체에서 균일하게 넘쳐 흘러 뚜껑(2) 중심부로 삽착된 회전축(16)에 구성한 핸들(H)이나 모우터(M)로 회전운동을 하는 교반간(16')에 의해서 여과재(17)의 교반작용이 이루워지고 있는 본체(1) 내부로 낙하하여 여과작업이 1차적으로 실시되고 다시 그 저면에 공간부(18)을 마련하여 설치한 격판(18') 상하부에 나착시킨 다수개의 여과체(19)를 거치는 동안 2차적으로 여과작업을 실시하여 주므로 옥수와 같이 깨끗하게 세척여과된 여과수가 상기 공간부(18)를 통하여 여과 배수관(8)으로부터 여과수 토출관(9)을 경유하여 분사노즐(12)에서 강하 압력으로 분사되면서 초음파를 가동하여 산소와 더불어 연못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미설명 부호 20은 지저수 송수펌프, 20' 송수관, 21은 약품조, 22는 침전조 송수관, 22'는 배수구, 23은 연못임.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을 제3도에 도시한 실시상태도에 따라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순환펌프(P)를 전원에 연결하여 가동시킨 상태에서 제어밸브체(7)의 핸들(7')을 실선 방향으로 제어시키면 침전조(13)의 물이 순환수관(6)을 따라 공급수관(5)으로 상승한다.
이때 여과기 본체(1) 내에 투입수용된 여과재(17)는 핸들(H)이나 모우터(M)에 의해 그 회전축(16)에 형성한 교반간(16')이 상기 여과재(17)을 교반시켜 주는 상태이므로 상기 공급수관(5)으로 상승된 지당수(11)는 상단부(5')에서 본체(1) 내주벽 상부에 형성된 과잉수로홈(15)으로부터 넘쳐 흘러 교반작용이 진행되고 있는 여과재(17) 방향으로 떨어져서 1차적으로 여과작업을 실시한다.
이 여과수는 다시 본체(1)이 내저면 격판(18') 상하부에 구성한 다수개의 여과체(19)를 통하여 공간부(18)에서 여과 배수관(8)과 여과수 토출관(9)을 경유하여 연못(23)에 설치한 분사노즐(12)에서 강한 압력으로 분사됨과 동시에 초음파를 가동하여 산소화 더불어 원활히 공급되기 때문에 관상이 사육에 획기적인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여과작업과 동시에 제어밸브체(7)의 핸들(7')을 접선 방향으로 제치면 여과기 본체(1)로부터 여과작업시 생긴 오물이 오물배수관(10)을 통하여 여과작동부(10')의 작용으로 오물침전조(14)로 배수되며 여기서 다시 약품조(21)에 의해 처리된 침전수는 재차 침전조 송수관(22)을 통해 침전조(13)로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침전조(13)에는 연못(23) 저면의 지저수(地底水)를 직접 송수펌프(20)로 끌어올려 침전조(13)에서 침전작업을 실시한후 순환펌프(P)에 의해 여과기로 공급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단일 펌프(P)로 1,2차의 여과 작업과 동시에 여과수의 토출작업을 오물배수작업과 병행시켜 실시할 수 있고 또 강한 압력으로 분사되는 여과수에 의해 가동되는 초음파가 더불어 산소의 공급을 원활히 행하므로서 서술한 바와 같이 관상어 사육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침전된 지당수를 순환펌프(P)로 여과 공급시켜 주는 여과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여과기 본체(1)와 뚜껑을 분리결합할 수 있도록 원통형상으로 구성하고 그 외면 일측에 공급수관(5)을 세워 상단부(5')를 본체(1) 내주벽 상부에 형성한 과잉수로홈(15)으로 관착시키는 한편 내저면에 공간부(18)를 마련하기 위한 격판(18') 상하부에 다수개의 여과체(19)를 나착하여 상기 공급수관(5)으로 통하는 순환수관(6)과 또 공간부(18)에 연결된 여과 배수관(18) 및 여과수 토출관(9) 그리고 오물배수관(10)을 상기 순환수관(6)의 대칭 방향으로 형성시켜서 이들을 제어밸브체(7)에 모두 연결 구성하며 회전축(16)의 교반간(16')으로 여과재(17)와 교반하는 작용에 의해서 1차 여과작업과 여과체(19)를 거치는 2차 여과작업으로 여과된 여과수를 핸들(7')로 조작하여 분사노즐(12)로 분사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지당용 여과기.
  2. 제1항에 있어서 여과기 본체(1)의 뚜껑(2) 중심부에서 회전하는 교반간(16')의 회전축(16)을 핸들(H)과 모우터(M)로 설치하여 수동과 자동을 겸할수 있게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지당용 여과기.
KR2019870013360U 1987-08-10 1987-08-10 지당용(池塘用) 여과기(濾過機) KR9000016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3360U KR900001626Y1 (ko) 1987-08-10 1987-08-10 지당용(池塘用) 여과기(濾過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3360U KR900001626Y1 (ko) 1987-08-10 1987-08-10 지당용(池塘用) 여과기(濾過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123U KR890004123U (ko) 1989-04-17
KR900001626Y1 true KR900001626Y1 (ko) 1990-03-03

Family

ID=19266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3360U KR900001626Y1 (ko) 1987-08-10 1987-08-10 지당용(池塘用) 여과기(濾過機)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16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080B1 (ko) * 2004-03-12 2006-03-2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 비드 여과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4080B1 (ko) * 2004-03-12 2006-03-24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미세 비드 여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123U (ko) 1989-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8134B2 (en) See-thru self cleaning biological filter system for aqua-culture
US5290437A (en) Auto-flushing drainage filter system
US6015497A (en) Filt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biological wastes from aquaculture tanks
WO2001083076A1 (fr) Dispositif de filtrage et procede d'epuration du materiau de filtrage contenu dans le dispositif de filtrage
KR100802602B1 (ko) 다목적 만능 물탱크
DE1428394A1 (de) Geschirrspuelmaschine
KR900001626Y1 (ko) 지당용(池塘用) 여과기(濾過機)
Klapsis et al. Flow distribution studies in fish rearing tanks. Part 1—design constraints
KR200191305Y1 (ko) 지당용(池塘用) 여과기(濾過機)
KR101694962B1 (ko) 불가사리 액비 생산 시스템
CN208678458U (zh) 一种畜禽废水用竖流式污泥沉淀池
CN112889741A (zh) 水生生物养殖系统
KR100681494B1 (ko) 오폐수 슬러지를 이용한 연료 제조방법 및 장치.
CN115104569A (zh) 一种涡流式循环水养殖设备
CN114349234A (zh) 一种养殖污水循环处理系统及污水处理方法
DE3842640A1 (de) Einrichtung zum waschen und nachspuelen von geschirr in einer geschirrspuelmaschine
CN111387132A (zh) 一种养殖池排污装置
CN112690245A (zh) 一种新型箱式养殖用的微滤机
JPH11197681A (ja) 濾過装置
CN116768345B (zh) 一种水产养殖污水处理装置及方法
JP3491202B2 (ja) 生海苔前処理システム及び前処理装置
CN220546644U (zh) 一种畜牧养殖水处理设备
CN216914216U (zh) 竹子蒸煮池循环喷淋装置
JPH05261218A (ja) 池水浄化装置
CN211585468U (zh) 一种畜禽养殖污水处理用粪便过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02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