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459Y1 - 봉제 완구용 집게 - Google Patents
봉제 완구용 집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00001459Y1 KR900001459Y1 KR2019870005156U KR870005156U KR900001459Y1 KR 900001459 Y1 KR900001459 Y1 KR 900001459Y1 KR 2019870005156 U KR2019870005156 U KR 2019870005156U KR 870005156 U KR870005156 U KR 870005156U KR 900001459 Y1 KR900001459 Y1 KR 90000145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support pieces
- tongs
- toy
- spr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50—Frames, stands, or wheels for dolls or toy animal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6—Connections for limb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a,b도는 본 고안을 조립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협지간을 조립한후 스프링을 끼우는 상태를 예시한 평 단면도.
제4도는 종래 완구용 집게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4,5,6 : 지지편 7 : 괘지돌부
8 : 중공부 9 : 괘지공
10 : 입벽 11 : 홈
본 고안은 봉제완구의 손이나 발의 골격으로 사용되는 집게 몸체를 합성수지로 형성함에 있어서 별도의 체결용 지지축이 필요없이 간편하게 조립 체결될 수 있도록 한 고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봉제완구용 집게는 모두 조립체결할때 제4도에서와 같이 양 협지간의 상하 지지편 사이에 스프링을 삽지하고 각 지지편의 축공과 스프링의 구멍을 일치시킨 다음 지지축을 관통되게 끼워서 조립하도록 되었는바 이러한 경우 양 협지간의 압지부를 스프링의 양단부가 탄발하고 있기 때문에 상하 지지편의 축공들을 일치시키기가 어려웠고 잘못하면 지지편 사이에서 스프링이 잘 빠져나가 지지축을 끼우기가 힘들어서 숙련자들도 일일 조립량이 소량에 불과하였으며 이에 따른 작업시간과 인건비에 의해 완구용 집게의 생산 원가가 상승되는 결점이 있었고 사용시 그 지지축이 잘빠져 양 협지간이 분리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결점을 제거하여 보다 쉽고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창안된 것으로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미에 압지부(1')(2')가 연설된 양 협지간(1)(2)에 각각 상하 지지편(3)(4)(5)(6)을 형성하여 된 것에 있어서 일축협지간(1)의 상단 지지편(3)과 타측 협지간(2)의 하단 지지편(6)에는 중공부(8)가 형성된 괘지돌부(7)를 돌설하고, 그 반대지지편(4)(5)에는 각각 괘지돌부(7)가 삽입될 수 있는 괘지공(9)을 천공하며, 압지부(1')(2')에는 그 표면에 홈(11)이 형성된 입벽(10)을 입설하여 된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부호(12)는 스프링이고 (12')(12")는 스프링(12)의 양단부이며 (13)은 종래제품에 사용되는 지지축이다.
이와같이 형성된 본 고안은 그 조립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제2a도 상태와 같이 양 협지간(1)(2)의 상하지지편(3)(4)(5)(6)을 맞춘후 화살표 방향으로 협지간(1)(2)을 이동시키면 지지판(3)(6)의 괘지돌부(7)가 지지편(4)(5)의 괘지공(9)에 삽입되면서 제2b도 상태와 같이 되는 것이다.
그후 지지편(3)(6) 사이의 공간부로 제3도에서와 같이 스프링(12)을 삽입시키면 스프링(12)의 양단부(12)의 양단부(12')(12")에 입설된 입벽(10)의 홈(11)에 끼워져 외부로 미끄러지지 않고 삽입이 유도되기 때문에 스프링(12)의 삽입이 용이한 것이고 스프링(12)의 양단부(12')(12")가 홈(11)을 완전히 지나가면 스프링(12)의 압축되었던 양단(12')(12")이 탄발되어 벌어지면서 단턱진 압지부(1')(2')의 입벽(10)에 걸려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 것이며, 이때 스프링(12) 몸체는 제2c도에서와 같이 지지편(3)(6) 사이에 삽입되어 지지편(3)(6)을 받쳐주기 때문에 스프링(12)이 빠지지 않는 한 지지편(3)(6)의 괘지돌부(7)가 지지편(4)(5)의 괘지공(9)으로부터 이탈될 염려가 없어 그 결합 상태가 매우 견고한 것이다.
따라서 종래 제품의 경우 제4도에서와 같이 협지간(1)(2)이 상하 지지편(3)(4)(5)(6)의 측공으로 지지축(13)이 삽입되어야만 결합되는 것이며 사용중 지지축(13)이 잘 빠지는 결점이 있으나, 본 고안은 양 협지간(1)(2)의 지지편(3)(4)(5)(6)에 형성된 괘지돌부(7)와 괘지공(9) 및 스프링(12)의 긴착력에 의해 결합되는 것이기 때문에 종래 제품과 같은 지지축(13)이 필요없게 되며 이에 따라 지지편(3)(6)의 괘지돌부(7)에 천공된 중공부(8)를 통해 봉제완구의 머리를 지지하는 핀을 삽입하여 체결할 경우 집게가 설치되는 몸체와 머리를 보다 견고하게 연결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양 협지간(1)(2)을 지지축(13) 없이 지지편(3)(4)(5)(6)의 괘지돌부(7)와 괘지공(9)에 의해 1차 조립한후 압지부(1')(2')의 입벽(10)에 형성된 홈(11)에 의해 스프링(12)을 쉽게 끼우기만 하면 되므로 그 조립과정이 간편하고 쉬워 초보자라 하더라도 단시간 내에 많은 량의 완구용 집게를 조립양산할 수 있어 저렴한 가격으로 봉제공장에 제공할 수가 있으며 봉제공장에서는 이에 따른 봉제완제품의 가격을 낮출수 있고 머리와 몸체를 견고하게 체결하므로서 제품의 질을 향상시켜 대외 경쟁력을 훨씬 높일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 후미에 압지부(1')(2')가 연설된 양 협지간(1)(2)에 각각 상하 지지편(3)(4)(5)(6)을 형성하여 된 것에 있어서 일측 협지간(1)의 상단 지지편(3)과 타측 협지간(2)의 하단 지지편(6)에는 중공부(8)가 형성된 괘지돌부(7)를 돌설하고, 그 반대 지지편(4)(5)에는 각각 괘지돌부(7)가 삽입될 수 있는 괘지공(9)을 천공하며, 압지부(1')(2')에는 그 표면에 홈(11)이 형성된 입벽(10)을 입설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완구용 집게.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70005156U KR900001459Y1 (ko) | 1987-04-10 | 1987-04-10 | 봉제 완구용 집게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70005156U KR900001459Y1 (ko) | 1987-04-10 | 1987-04-10 | 봉제 완구용 집게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19312U KR880019312U (ko) | 1988-11-28 |
KR900001459Y1 true KR900001459Y1 (ko) | 1990-02-28 |
Family
ID=19261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70005156U KR900001459Y1 (ko) | 1987-04-10 | 1987-04-10 | 봉제 완구용 집게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00001459Y1 (ko) |
-
1987
- 1987-04-10 KR KR2019870005156U patent/KR90000145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19312U (ko) | 1988-11-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526553A (en) | Floppy limbed water immersible figure toy | |
KR900001459Y1 (ko) | 봉제 완구용 집게 | |
ATE153901T1 (de) | Universaldübel | |
SE8301590D0 (sv) | A plug for connecting toy elements | |
JPS6284704A (ja) | 衣服または布で作られる物品の重ね合せた布を結合するための固定装置 | |
FR2370407A7 (fr) | Recipient renfermant une serie d'elements faconnes et concu pour jouer le role de support de ces elements de maniere a constituer un pantin ou un jouet | |
KR950000071Y1 (ko) | 공받이용 글러브에 있어서 매직테이프 포지의 결합구조 | |
KR910004091Y1 (ko) | 합성수지제 완구 몸체 | |
US4121362A (en) | Knock-down picture frame assembly | |
JPS6015503Y2 (ja) | 珠飾り | |
KR800001441Y1 (ko) | 인형 케이스 | |
KR0124676Y1 (ko) | 유희 오락 용구 | |
KR950010044Y1 (ko) | 절첩용 다용도 테이블 | |
KR200226226Y1 (ko) | 장식용인형 | |
KR900008762Y1 (ko) | 봉제완구용 골격구조 | |
KR920003924Y1 (ko) | 도깨비 방망이 완구 | |
JPH0436290U (ko) | ||
KR910008379Y1 (ko) | 봉제완구의 골격구조 | |
KR930003144Y1 (ko) | 쇼핑백 손잡이의 체결장치 | |
KR880002655Y1 (ko) | 손목 시계의 밴드 결속구조 | |
KR970005020Y1 (ko) | 교재용 타악기 북판 | |
KR900002308Y1 (ko) | 인형몸통 | |
KR820002090Y1 (ko) | 볼펜 겸용 인형 | |
KR940006775Y1 (ko) | 액자 코너의 연결장치 | |
KR890001440Y1 (ko) | 봉제완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30226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