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1219B1 - 퀴놀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퀴놀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1219B1
KR900001219B1 KR1019850001885A KR850001885A KR900001219B1 KR 900001219 B1 KR900001219 B1 KR 900001219B1 KR 1019850001885 A KR1019850001885 A KR 1019850001885A KR 850001885 A KR850001885 A KR 850001885A KR 900001219 B1 KR900001219 B1 KR 900001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hydrogen
alkyl
compound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1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6184A (ko
Inventor
팀-우주 다니엘
Original Assignee
애버트 래버러터리즈
요셉 엠 버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버트 래버러터리즈, 요셉 엠 버닠 filed Critical 애버트 래버러터리즈
Publication of KR850006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6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1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12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5/00Carboxylic acid nitriles
    • C07C255/01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55/32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carbon skeleton containing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55/40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carbon skeleton containing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the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doubly-bound oxygen ato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5/00Carboxylic acid nitriles
    • C07C255/01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55/32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carbon skeleton containing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55/37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carbon skeleton containing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the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etherified hydr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5/00Carboxylic acid nitriles
    • C07C255/01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55/32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carbon skeleton containing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255/42Carboxylic acid nitrile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having cyan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carbon skeleton containing at least one six-membered aromatic ring the carbon skeleton being further substituted by singly-bound nitrogen atoms, not being further bound to other hetero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9/00Ketones; Ketenes; Dimeric ketenes; Ketonic chelates
    • C07C49/76Ketones containing a keto group bound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49/78Acetophen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5/18Halogen atoms or nitro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5/20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5/36Sulfur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5/4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 C07D215/54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attached in position 3
    • C07D215/56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attached in position 3 with oxygen atoms in position 4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9/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 C07D49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ring system both one or more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59/00, C07D463/00, C07D477/00 or C07D489/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1/04Ortho-condensed systems
    • C07D491/056Ortho-condensed systems with two or more oxygen atoms as ring hetero atoms in the oxygen-containing 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퀴놀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1,4-디하이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의 제조에 있어 중간 물질로서 유용한 퀴놀린 유도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의 1,4-디하이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이 항균성을 나타낸다는 것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4,017,622호에는 1-위치의 치환기가 알킬, 벤질 또는 아세틸인 특정의 7-피페라지닐-4-옥소-1,4-디하이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 유도체가 기술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292,317호에는 1-위치의 치환기가 메틸, 에틸, 비닐 또는 알킬인 특정의 7-피페라지닐-6-할로-4-옥소-1,4-디하이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 유도체가 기술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4,284,629호에는 1-위치의 치환기가 시클로알킬일 수 있는 여러 가지 4-옥소-1,4-디하이드로퀴놀린-3-카르복실산이 기술되어 있지만, 7-피페라지닐 치환기를 갖는 상응하는 유도체는 기술되어 있지 않다. N-에틸 아닐린을 에톡시 메틸렌-말론산 디에틸 에스테르와 반응시킨 다음 생성물을 상승온도에서 폴리인산의 존재하에 폐환시켜 1-에틸-1,4-디하이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 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은 참고문헌[J. Het.chem.12,557(1975)]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자는 알파-할로-아세토페논을 시안화 나트륨과 같은 시안화금속과 반응시켜 상응하는 B-케토니트릴을 수득하고, 이 B-케토니트릴을 산무수물의 존재하에 트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는 화합물은 다음과 같은 일반식(I)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kpo00001
상기식에서, R0는 수소, 할로겐, 니트로, 또는 식-Y-R3의 그룹(여기서 Y는 O 또는 S이고 R3는 수소 또는 C1내지 C10알킬임)이고, R는 수소, 할로겐, C1내지 C10알킬, C3내지 C8사이클로알킬, 그룹 -Y-R3, 페닐 또는 치환된 페닐, 식-
Figure kpo00002
의 아미노 그룹(여기서 R6은 수소 또는 C1내지 C10알킬 및 그의 치환된 유도체이고, R7은 C1내지 C10알킬 또는 치환된 알킬임)또는 Z(이 Z는 아미노그룹, 모노(C1내지 C6알킬아미노그룹 또는 디(C1내지 C6)알킬아미노 그룹일 수 있거나, 또는 탄소수 4내지 7, 바람직하게는 탄소0 1 1 10 3 3 1 8
Figure kpo00003
의 아미노그룹(여기서 R4ALC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내지 C10알킬임)이거나, 또는 환중의 헤테로사이클릭 원자가 적어도 하나의 S.O , 및 N이고 나머지 원자가 탄소원자인 5내지 7원의 방향족헤테로 사이클릭환 : 식
Figure kpo00004
의 페닐그룹(여기서 R8은 수소, 하나 이상의 할로겐, C1내지 C6알킬, 니트로, 카르복실, 시아노, 메틸렌디옥시 및 그의 치환된 유도체임): 식-Y-R3의 그룹(여기서 Y는 O또는 S이고 R3는 수소 또는 C1내지 C6알킬임), 및 식
Figure kpo00005
의 아민(여기서 R4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내지 C10알킬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고, R2는 수소 또는 카르복시 보호그룹이다.
전술한 화합물외에도,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화합물은 전술한 화합물의 약제학적으로 무독한 염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알킬"이란 용어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3 8
여기에서 사용되는 "할로겐"이란 용어는 클로로, 브로모, 플루오로 및 요오드 그룹을 일컫는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방향족 헤테로 사이클릭"이란 용어는 환중의 1 또는 2개의 원자는 S, O 또는 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나머지 원자는 모두 탄소원자인 5내지 7원의 헤테로사이클릭환을 일컫는다. 대표적인 헤테로사이클릭 그룹으로는 피리딜, 피라지닐, 티아소일, 푸릴, 티에닐 및 그의 치환된 유도체가 있다. 헤테로사이클릭환상에 존재할 수 있는 치환기로는 C1내지 C6알킬그룹, Y가 상술한 바와 같고 R3가 수소 또는 C1내지 C4알킬인 일반식 -Y-R3의 그룹중 할로겐 그룹이 있다.
이러한 지방족 헤테로사이클릭 그룹의 예로는 아제티디닐그룹, 피페라지닐그룹, 피페리디닐그룹, 피롤리디닐그룹, 모르폴리노그룹, 티오모르폴리노그룹 및 호모피페라지닐그룹(예, 핵사이하이드로 -1-H-1,4-디아제피닐)이 있다.
일반식 -Y-R3의 그룹은 하이드록시그룹, 메르캅토그룹, 저급알콕시그룹(예,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등)뿐만 아니라 그의 티오유사물, 즉 메틸메르캅토그룹, 에틸메르캅토그룹으로 치환된 그룹을 일컫는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카르복시-보호그룹"이란 용어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그룹의 잔기라는 의미를 포함한다. 이러한 카르복시-보호그룹은 당해 기술분야의 전문가들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또한 여기에서 참고로 소개하는 미합중국 특허 제3,840,556호 및 제3,719,667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페니실린 및 세팔로스포린 업계에서 카르복실그룹의 보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카르복시-보호그룹은 비교적 쉽게 분리되어 상응하는 유리카르복시그룹을 생성시킨다. 대표적인 보호그룹은 C1내지 C8알킬(예, 메틸, 에틸, 디메틸아미노에틸, 3급부틸), 벤질 및 그의 치환된 유도체(예, 알콕시-및 니트로 벤질그룹)을 포함하여, 또한 적합한 것은 피발로일옥시 메틸그룹과 같은 아실옥시알킬 그룹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이탈기"(leaving group)란 용어는 페닐 또는 퀴놀린 부위로부터 치환될 수 있고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R9의 경우에 라디칼 R에 의해 대용될 수 있는 그룹,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R10의 경우에 퀴놀린 질소와 결합을 형성할 그룹을 의미한다. 적합한 이탈기는 할로, 알콕시, -S-알킬, -O-토실 또는 -O-메실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이탈기는 할로이고, 가장 바람직한 것은 클로로이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약제학적으로 무독한 염"이란 용어는 일반식(Ⅰ)화합물의 비독성 산부가 또는 알카리토금속염을 의미한다. 이들염은 그 위치에서 일반식(Ⅰ)화합물의 최종분리 및 정제도중에, 또는 유리염기 또는 산작용기를 적합한 유기 또는 무기산 또는 염기와 각각 별개로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대표적인 산부가염은 염산염, 브롬화수소산염, 황산염, 중황산염, 아세크산염, 옥살산염, 발레산염, 올레산염, 팔미트산염, 스테아르산염, 라우르산염, 붕산염, 벤조산염, 락트산염, 인산염, 토실산염, 메실산염, 시
그외에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는 일반식(Ⅰ)화합물의 제조에 있어 중간물질로서 유용한 다음 일반식의 신규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Figure kpo00008
Figure kpo00009
상기식에서, R0및 R1은 일반식(Ⅰ)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고, R7은 독립적으로 알킬, 바람직하게는 저급알킬, 페닐 또는 벤질이고, R9는 수소, 저급알킬, 피리디닐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이탈기이거나, 또는 R0및 R9는 함께 결합되어 메틸렌디옥시를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방향족환의 결합원자와 함께 결합되어 푸로 또는 디하이드로푸로를 형성할 수 있으며, R10은 상술한 바와 같은 이탈기이다.
일반식(Ⅱ), (Ⅲ) 및 (Ⅳ)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R910이 이탈기, 가장 바람직하게는 클로로인 화합물들이다. 일반식(Ⅲ) 및 (Ⅳ)외에 여기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OR7그룹 및 -N-R1그룹은 단지 설명할 목적으로 트랜스-위치에 나타냈으며, 이들 그룹은 시스-위치에 존재할 수 있으며 일반식(III) 및 (IV)의 중간 물질은 트랜스- 및 시스-형태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식(Ⅰ)의 화합물은 다음과 같은 반응 공정에 따라 제조할 수 있으며, 여기서 가변성 치환기는 일반식(Ⅰ),(Ⅱ),(Ⅲ),(Ⅳ) 및 (Ⅴ)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Figure kpo00010
전술한 반응공정에 따르면 아세토페논(Ⅰ)을 브롬과 반응시켜 알파-브로모아세토페논(92)을 생성시킨 다음 시안화칼륨 또는 나트륨과 같은 시안화금속으로 처리하여 상응하는 B-케토니트릴(3)을 수득한다. B-케토니트릴(3)의 형성은 알파-브로모아세토페논(2)을 비양자성 및 양자성 용매중에 및 상이동촉매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예를 들면
다른 한편, B-케토니트릴(3)은 삼치환된 벤젠과 염화클로로아세틸과의 프리델 크리프츠 아실화 반응에 의해 제조된 알파-클로로아세토페논(2A)의 시안화칼륨 치환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다.
그후 B-케토니트릴(3)을 산무수물,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 무수물의 존재하에 트리알킬오르토포르메이트(4)로 처리한 다음 R1이 상술한 바와 같은 아민(5)과 반응시켜 엔아미노 케토니트릴(6)을 수득한다. 반면 R1이 치환된 아미노일 경우에는 아민(5)는 치환된 히드라진이다. 트리알킬오르토프르메이트(4)에서 R7은 예를 들면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그룹일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저급알킬(예, 에틸)이다. 트리알킬 오르토프르메이트와의 반응은 상승온도, 예를 들면 약 50℃ 내지 약 150℃, 바람직하게는 약 100℃내지 약 140℃에서 수행하여(반응공정에서 괄호로 나타냄) 필요에 따라 분리 또는 분리될 수 없는 오일상 액체를 수득한다.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민(5)과 후자와의 반응은 적합한 양자성 또는 비양자성 용매, 바람직하게는 염화메틸렌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중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 실온 또는 적합한 상승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그후 엔아미노 케토니트릴(6)을 폐환시켜,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은 강염기, 바람직하게는 수소화나크륨으로 처리하여 3-시아노-1,4-디하이드로-4-옥소-퀴놀린(6A)를 수득한다. 폐환은 비양자성 용매, 예
3-시아노-퀴놀린(6A)는 이것을 알콜성 염화수소 용액으로 처리하거나 또는 이것을 R6이 저급알킬일 수 있는 방향족 설폰산의 존재하에 알콜로 환류시킴으로써 3-카르복실산 에스테르로 가수분해된다.
에스테르(7)는 가수분해, 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또는 다른 강광산으로 처리함으로써 유리산(8)을 형성한다. 반면 3-시아노-퀴놀린(6A)는 강광산으로 처리함으로써 3-카르복실산(8)로 직접가수분해될 수 있다. 산(8)중의 R9를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으로 R가 일반식(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식 R-H로 치환시키면 목적한 1,4-디하이드록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9)를 수득한다.
그후, 1,4-디하이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9)는 경우에 따라 통상의 에스테르화 방법에 의해, 예를 들면 유리산(9)을 산촉매의 존재하에 적합한 알콜로 처리하고, 유리산(9)을 상응하는 산클로라이드로 전환시킨 다음 클로로라디칼을 적합한 알콜로 치환시키거나, 또는 산(9)의 나트륨염을 적합한 반응성 할라이드, 예를 들면 디메톡시에탄중의 클로로메틸피발레이트로 처리하여 예를들면 R2가 -CH2OCOC(CH3)3인 피발로일옥시메틸에스테르(10)을 수득하는 방식으로 상응하는 에스테르(1)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설명할 목적으로 기술되는 다음 실시예로부터 더욱 잘 이해될 수 있는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화1 2
[실시예 1]
1-페닐-6-플루오로-1,4-디하이드로-4-옥소-7-(1-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
(a) 600㎖의 염화메틸렌중에 60g의 2,4-디클로로-5-플루오로아세토페논의 냉용액에 0℃에서 16.3ml의 브롬을 서서히 가한다. 0℃에서 1시간 후에 용액을 물(300㎖)로 2회 세척한다. 유기상을 MgSO4상에 건조시키고, 건고 증발시켜 고형물을 수득한다. 핵산으로 여과 세척하여 48.6g알파-브로모아세토페논(2)(R0=F,R9=R10=C1)을 수득한다. 1㎜bar하에 109℃에서 헥산으로 세척된 생성물을 증류하면 추가량 9.5g의 (2)(R0=F, R9=R10=C1)을 수득한다. 융점60℃.
30㎖의 아세토니트릴중에 4.5g의 전술한 알파-브로모아세토페논의 얼음냉 용액에 10㎖의 물중에 1.58g의 시안화나트륨을 가한다. 0℃에서 1시간, 실온에서 2시간 교반시킨 후, 혼합물을 증발 건고시킨다. 이어서 50㎖의 물을 가하고 에테르(50㎖)로 2회 추출시킨다. 수성층을 아세트산(1.5㎖)로 산성화시킨 다음 물로 희석하여 여과시킨다. 고형물을 물로 세척한 다음 건조시켜 B-케토에스테르(3)(R0=F, R9=R10=C1)을 수득한다. 융점 105.5℃
한편, 전술한 (B-케토에스테르(3)은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 16.6g의 1,3-디클로로-4-플루오로벤젠과 12.4g의 클로로아세틸 클로라이드로 구성된 교반하는 용액에0 9 10 1
1200㎖의 메탄올중에 47g의 시안화칼륨의 미세한 현탁액에 58.4g의 전술한 알파-클로로아세토페논(2A)을 가한다. 16시간 교반시킨 후 여과한다. 여과물을 건고 농축시켜 오렌지색-적색 고형물을 수득한다. 고형물을 물로 현탁시키고 빙초산을 사용하여 pH 5로 조절하고 여과 시킨다. 고형물을 물로 현탁시키고 20% NaOH용액을 사용하여 pH 9로 조절하고 여과시킨다. 여과물은 빙초산을 사용하여 pH5로 조절한다. 여과물은 여과하고, 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순수한 B-케토니트릴(3)(R0=F, R9=R10=C1)을 수득한다. 융점 105.5℃.
(b) 14㎖의 트리에틸오르토 포르메이트와 35ml의 아세트산 무수물중에 15.18g의 B-케토니트릴(3)(R0=F, R9=R10=C1)용액을 반응도중에 형성된 에틸아세테이트를 제거하며 135℃에서 1½시간동안 가열한다. 용액을 감압하에 모빌오일로 증발시킨다. 이어서 오일을 150ml의 염화메킬렌으로 용해시킨 다음 7.5ml 의 아닐린을 용액에 가한다. 10분후 침전물이 나타나고 혼합물을 증발 건고시킨 다음 에테르로 세척하여 (6)(R₁=페닐, R0=F, R9=R10=C1)을 수득한다. 융점 201.5℃.
(c) 140ml의 디메톡시메탄(DME)중에서 13.9g의 전술한 생성물(6)(R₁=페닐,0 9 10 0 9 6 2 5 1 0 9
(d) 30ml의 THF중에 5.4g의 (7)(R6=C2H5, R1=페닐, R0=F, R9=C1)의 현탁액에 20ml의 H2O중에 0.73g의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가한다. 혼합물을 80℃에서 1시간동안 가열하여 순수한 용액을 얻고 감압하에 증발건고시킨다. 고형물은 200ml의 H20로 용해하고 2ml의 아세트산을 가한다. 수득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냉수로 세척한 다음 디메틸포름아미드(DMF)로부터 결정화시키면 4.6g의 7-클로로-1-페닐-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8)(R1=페닐, R0=F, R9=C1)을 수득한다. 융점 271 내지 273℃.
다른 한편, 산(8)(R1=페닐, R0=F, R9=C1)은 다음과 같이 제조한다 : 100ml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과 50ml의 6N 염산중에 5g의 (6)(R1=페닐, R0=F, R9=C1)용액에 80℃에서 6시간 동안 가열한다. 냉각시킨 다음 200ml의 물을 가하고 여과시켜 산(8)(R1=0 9
(e) 15ml의 1-메필-2-피롤리디논중에 1.25g의 7-클로로-1-페닐-6-플루오로-1,4-디하이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 용액에 115℃에서 2ml의 피페라진을가한다. 100℃에서 20시간 동안 교반시킨 후 용매는 감압하에 건고시켜 제거한다. 에탄올은 잔사에 가하고 수득된 혼합물을 여과하고 에테르로 세척한 다음 소량의 냉수로 세척한다. 수득된 건조 고형물은 30ml의 H2O로 현탁시키고 2.35ml의 1N HCl을 가하고 뜨겁게 용해시킨다. 감압하에 용매를 제거하면 835mg의 1-페닐-6-플루오로-1,4-디하이드로-4-옥소-7-(1-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9)(R0=F, R1=페닐, R=1-피페라지닐)의 염산염을 수득한다.
[실시예 2]
1-페닐-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7-(1-(4-메틸)-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
실시예1(e)에서의 피페라진 대신 N-메틸-피페라진을 사용하여 실시예 1의 절차를 반복하면 1-페닐-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7-(1-4(-메틸)-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9)(R0=F, R1=페닐, R=1-(4-메틸)피페라지닐) 및 그의 염산염을 수득할 수 있다.
[실시예 3]
1-페닐-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7-(1-(4-에틸)-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 실시예 1(e)에서의 피페라진 대신에 N-에틸피페라진을 사용하여 실시0 1
[실시예 4]
1-p-플루오로페닐-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1-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
(a) 아닐린 대신에 p-플루오로아닐린을 사용하여 실시예 1(b)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엔아미노케토니트릴(6)(R0=F, R9=R10=C1, R1=p-플루오로페닐)을 수득할 수 있다.
(b) 실시예 1(c) 및 1(d)에 따라 전술한 화합물(6)(R0=F, R9=R10=C1, R1=p-플루오로페닐)은 7-클로로-1-p-플루오로페닐-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8)(R0=F, R9=C1, R1=p-플루오로페닐)을 수득할 수 있다.
(c) 실시예 1(e)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상기 산(8)(R0=F, R9=C1, R1=p-플루오로페닐)은 목적한 1-p-플루오로페닐-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7-(1-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9)(R1=p-플루오로페닐, R0=F, R=1-피페라지닐) 및 그의 염산염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5]
1-p-플루오로페닐-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7-(1-(4-메틸)-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
피페라진 대신에 N-메틸피페라진을 사용하여 실시예 1(e)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0 9 1 0 1
[실시예 6]
1-p-클로로페닐-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1-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
(a)아닐린 대신에 p-클로로아닐린을 사용하여 실시예 1(b)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엔아미노케톤니트릴(6)(R0=F, R9=R10=C1, R1=p-클로로페닐)을 수득할 수 있다.
(b) 실시예 1(c) 및 1(d)에 따라 전술한 화합물(6)(R0=F, R9=R10=C1, R1=p=클로로페닐)은 7-클로로-1-p-클로로페닐-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8)(R0=F, R9=R10=C1, R1=p-클로로페닐)을 수득할 수 있다.
(c) 실시예 1(e)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상기 산(8)은 전술한 1-p-클로로페닐-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7-(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9)(R1=p-클로로페닐, R0=F, R=1-피페라지닐) 및 그의 염산염을 수득할 수 있다.
[실시예 7]
1-p-클로로페닐-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7-(1-(4-메틸)-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
피페라진 대신에 N-메틸피페라진을 사용하여 실시예 1(e)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예 6(b)에서의 산(8)(R0=F, R9=C1, R1=p-클로로페닐)은 목적한 1-p-클로로페닐-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7-(1-(4-메틸)-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9)(R1=p-클로로페닐, R0=F, R=1-(4-메틸)-피페라지닐) 및 그의 염산염을 수득할 수 있다.
[실시예 8]
1-p-메톡시페닐-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1-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
(a) 아닐린 대신에 p-메톡시아닐린을 사용하여 실시예 1(b)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엔아미노케토니트릴(6)(R0=F, R9=R10=C1, R1=p-메톡시페닐)을 수득할 수 있다.
(b) 실시예 1(c) 및 1(d)에 따라 전술한 화합물(6)(R0=F, R9=R10=C1, R1=p-메톡시페닐)을 7-클로로-1-p-메톡시페닐-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8)(R0=F, R9=C1, R=p-메톡시페닐)을 수득할 수 있다.
(c) 실시예 1(e)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상기 산(8)(R0=F, R9=C1, R1=p-메톡시페닐)은 목적한 1-p-메톡시페닐-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1-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9)(R0=F, R=1-피페라지닐, R1=p-메톡시페닐) 및 그의 염산염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9]
1-p-메톡시페닐-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7-(1-(4-메틸)-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
피페라진 대신에 N-메틸피페라진을 사용하여 실시예 1(e)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예 8(b)에서의 산(8)(R0=F, R9=C1, R1=p-메톡시페닐)은 전술한 1-p-메톡시페닐-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7-(1-(4-메틸)-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9)(R0=F,, R1=p-메톡시페닐, R=1-(4-메틸)-피페라지닐) 및 그의 염산염을 수득할 수 있다.
[실시예 10]
1-p-메틸페논-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1-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
(a) 아닐린 대신에 p-페닐아닐린을 사용하여 실시예 1(b)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엔아미노케토니트릴(6)(R0=F, R9=R10=C1, R1=p-메틸페닐)을 수득할 수 있다.
(b) 실시예 1(c) 및 1(d)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전술한 화합물(6)(R0=F, R9=R10=C1, R1=p-메틸페닐)은 7-클로로-1-p-메틸페닐-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8)(R0=F, R9=C1, R1=p-메틸페닐)을 수득할 수 있다.
(c) 실시예 1(e)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상기 산(8)(R0=F, R9=C1, R1=p-메틸페닐)은 목적한 1-p-메틸페닐-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7-(1-피페라지닐)-퀴0 1
[실시예 11]
1-p-메틸페닐-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7-(1-(4-메틸)-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
피페라진 대신에 N-메틸피페라진을 사용하여 실시예 1(e)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예 10(b)에서의 산(8)(R0=F, R9=C1, R1=p-메틸페닐)은 목적한 1-p-메틸페닐-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7-(1-(4-메틸)-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9)(R0=F, R1=p-메틸페닐, R=1-(4-메틸)-피페라지닐) 및 그의 염산염을 수득할 수 있다.
[실시예 12]
1-p-하이드록시페닐-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1-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
(a) 아닐린 대신에 p-하이드로 아닐린을 사용하여 실시예 1(b)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엔아미노케토니트릴(6)(R0=F, R9=R10=C1, R1=p-하이드록시페닐)을 수득할 수 있다.
(b) 실시예 1(c) 및 1(d)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전술한 화합물(6)(R0=F, R9=R10=C1, R1=p-하이드록실페닐)은 7-클로로-1-p-하이드록시페닐-6-플루오로-1,0 9 1
(c) 실시예 1(e)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상기 산(8)(R0=F, R9=C1, R1=p-하이드록시페닐)은 목적한 1-p-하이드록시페닐-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7-(1-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9)(R0=F, R1=p-하이드록시페닐, R=1-피페라지닐) 및 그의 염산염을 수득할 수 있다.
[실시예 13]
1-p-하이드록시페닐-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7-(1-(4-메틸)-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
피페라진 대신에 N-메틸피페라진을 사용하여 실시예 1(e)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예 12(b)에서의 산(8)(R0=F, R9=C1, R1=p-하이드록시페닐)은 목적한 1-p-하이드록시페닐-6-플루오로-1,4-디하이드로-4-옥소-7-(1-(4-페닐)-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9)(R0=F, R1=p-하이드록시페닐, R=1-(4-메틸)-피페라진) 및 그의 염삼염을 수득할 수 있다.
[실시예 14]
1-o-플루오로페닐-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1-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
(a) 아닐린 대신에 o-플루오로 아닐린을 사용하여 실시예 1(b)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엔아미노케토니트릴(6)(R0=F, R9=R10=C1, R1=o-플루오로페닐)을 수득할 수 있다.
(b) 실시예 1(c) 및 1(d)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전술한 화합물(6)(R0=F, R9=R10=C1, R1=o-플루오로페닐)은 7-클로로-1-o-플루오로페닐-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8)(R0=F, R9=C1, R1=o-플루오로페닐)을 수득할 수 있다.
(c) 실시예 1(e)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상기 산(8)(R0=F, R9=C1, R1=o-플루오로페닐)은 목적한 1-o-플루오로페닐-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7-(1-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9)(R0=F, R1=o-플루오로페닐, R=1-피페라지닐) 및 그의 염산염을 수득할 수 있다.
[실시예 15]
1-o-플루오로페닐-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7-(1-(4-메틸)-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
피페라진 대신에 N-메틸피페라진을 사용하여 실시예 1(e)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예 14(b)에서의 산(8)(R0=F, R9=C1, R1=o-플루오로페닐)은 목적한 1-o-플루오로페닐-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7-(1-(4-메틸)-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9)(R0=F, R1=o-플루오로페닐, R=1-(4-메틸)-피페라지닐) 및 그의 염산염을 수득할 수 있다.
[실시예 16]
1-m-플루오로페닐-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1-피페라지닐)-퀴놀
(a) 아닐린 대신에 m-플루오로 아닐린을 사용하여 실시예 1(b)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엔아미노케토니트릴(6)(R0=F, R9=R10=C1, R1=m-플루오로페닐)을 수득할 수 있다.
(b) 실시예 1(c) 및 1(d)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전술한 화합물(6)(R1=m-플루오로페닐, R0=F, R9=C1)은 7-클로로-1-m-플루오로페닐-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8)(R0=F, R9=C1, R1=m-플루오로페닐)을 수득할수 있다.
(c) 실시예 1(e)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상기 산(8)(R0=F, R9=C1, R1=m-플루오로페닐)은 목적한 1-m-플루오로페닐-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7-(1-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9)(R0=F, R=1-피페라지닐, R1=m-플루오로페닐) 및 그의 염산염을 수득할 수 있다.
[실시예 17]
1-메틸아미노-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1-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
(a) 아닐린 대신에 N-포르밀-N-메틸히드라진을 사용하여 실시예 1(b)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엔아미노케토니트릴(6)(R0=F, R9=C1, R1=N(CH3)CHO)을 수득할 수 있다.
(b) 실시예1(c) 및 1(d)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전술한 화합물(6)(R0=F, R9=C1, R1=N(CH3)CHO)은 7-클로로-1-메틸아미노-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퀴0 9 1 3
(c) 실시예 1(e)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상기 산(8)(R0=F, R9=C1, R1=NHCH3)은 목적한 1-메틸아미노-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7-(1-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9)(R0=F, R=1-피페라지닐, R1=NHCH3) 및 그의 염산염을 수득할 수 있다.
[실시예 18]
1-4-메틸아미노-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1-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
피페라진 대신에 N-메틸피페라진을 사용하여 실시예 1(e)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예 17(b)에서의 산(8)(R0=F, R9=C1, R1=NHCH3은 목적한 1-메틸아미노-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7-(1-(4-메틸)-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9)(R0=F, R1=NHCH3, R=1-(4-메틸)-피페라진) 및 그의 염산염을 수득할 수 있다.
[실시예 19]
1-4-피리딜-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1-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
(a) 아닐린 대신에 4-아미노피리딘을 사용하여 실시예 1(b)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엔아미노케토니트릴(6)(R0=F, R9=C1, R1=4-피리딜)을 수득할 수 있다.
(b) 실시예 1(c) 및 1(d)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전술한 화합물(6)(R0=F,9 10 1 0 9 1
(c) 실시예 1(e)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상기 산(8)(R0=F, R9=C1, R1=4-피리딜)은 목적한 1-4-피리딜-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7-(1-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9)(R0=F, R=1-피페라지닐, R1=4-피리딜) 및 그의 염산염을 수득할 수 있다.
[실시예 20]
1-4-피리딜-7-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7-(1-(4-메틸)-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
피페라진 대신에 N-메틸피페라진을 사용하여 실시예 1(e)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예 19(b)에서의 산(8)(R0=F, R9=C1, R1=4-피리딜)은 목적한 1-4-피리딜-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7-(1-(4-메틸)-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9)(R0=F, R1=4-피리딜, R=1-(4-메틸)-피페라지닐)을 수득할 수 있다.
[실시예 21]
1-3-피리딜-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1-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
(a) 아닐린 대신에 3-아미노피리딘을 사용하여 실시예 1(b)에 기술된 방법에 따0 9 10 1
(b) 실시예 1(c) 및 1(d)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전술한 화합물(6)(R0=F, R9=R10=C1, R1=3-피리딜)은 7-클로로-1-3-피리딜-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8)(R0=F, R9=C1, R1=3-피리딜)을 수득할 수 있다.
(c) 실시예 1(e)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상기 산(8)(R0=F, R9=C1, R1=3-피리딜)은 목적한 1-3-피리딜-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7-(1-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9)(R0=F, R1=3-피리딜, R=1-피페라지닐) 및 그의 염산염을 수득할 수 있다.
[실시예 22]
1-3-피리딜-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7-(1-(4-메틸)-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
피페라진 대신에 N-메틸피페라진을 사용하여 실시예 1(e)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실시예 21(b)에서의 산(8)(R0=F, R9=C1, R1=3-피리딜)은 목적한 1-3-피리딜-6-플루오로-1, 4-디하이드로-4-옥소-7-(1-(4-메틸)-피페라지닐)-퀴놀린-3-카르복실산(9)(R0=F, R=1-(4-메틸)-피페라지닐, R1=3-피리딜)을 수득할 수 있다.
[실시예 23]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아닐린 대신에 여러 가지 치환된 아민 및 다른 아미2
[표1]
Figure kpo00011
그외에, 실시예 1에서의, 2, 4-디클로로-5-플루오로아세토페논 출발물질 및 아2
[표2]
Figure kpo00012

Claims (30)

  1. 하기 일반식 (IIa)의 화합물을 시안화금속과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하기 일반식 (I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13
    Figure kpo00014
    상기식에서, R0는 수소, 할로겐, 니트로 및 식 -Y-R3의 그룹(여기서 Y는 -O-또는 -S-이고, R3는 수소 또는 C1내지 C10알킬임)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것이고, R9는 수소, C1내지 C10알킬, 피리디닐 및 이탈기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것이거나, 또는 R0및 R9는 함께 결합되어 메틸렌디옥시그룹을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방향족환의 결합원자와 함께 결합되어 푸로 또는 디하이드로푸로그룹을 형성할 수 있고, R10은 이탈기이며, X는 할로겐이다.
  2. 하기 일반식(II)의 화합물을 산무수물의 존재하에 트리알킬오르토포르메이트와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하기 일반식(III)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15
    Figure kpo00016
    상기식에서, R0는 수소, 할로겐, 니트로 및 식 -Y-R3의 그룹(여기서 Y는 -O- 또는 -S-이고, R3는 수소 또는 C1내지 C10알킬임)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되고, R9는 수소, C1내지 C10알킬, 피리디닐 및 이탈기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것이거나, 또는 R0및 R9는 함께 결합되어 메틸렌디옥시그룹을 형성할 수 있거나, 또한 방향족환의 결합원자와 함께 결합되어 푸로 또는 디하이드로루포그룹을 형성할 수 있고, R7은 C1내지 C10알킬이며, R10은 이탈기이다.
  3. 하기 일반식(III)의 화합물을 아민과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하기 일반식(IV)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17
    Figure kpo00018
    상기식에서, R0은 수소, 홀로겐, 니트로 및 식 -Y-R3의 그룹(여기서 Y는 -O- 또는 -S-이고, R3는 수소 또는 C 내지 C10알킬임)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것이고, R9는 수소, C1내지 C10알킬, 피리디닐 및 이탈기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것이거나, 또는 R0및 R9는 함께 결합되어 메틸렌디옥시그룹을 형성할 수 있거나, 또한 방향족환의 결합원자와 함께 결합되어 푸로 또는 디하이드로푸로그룹을 형성할 수 있고, R1은 환중의 헤테로원자가 적어도 하나의 -S-, -O- 및 -N-이고, 환중의 나머지 원자가 탄소원자인 탄소수 5 내지 7개의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릭환 ; 및 식
    Figure kpo00019
    의 페닐그룹(여기서 R8은 수소, 할로겐, 니트로, 카르복실, 시아노, 메틸렌디옥시, C1내지 C6알킬 및 그의 치환된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것 하나 이상임) ; 식 -Y-R3의 그룹(여기서, Y는 -O- 또는 -S-이고, R3는 수소 또는 C1내지 C6알킬임); 및 식
    Figure kpo00020
    의 아미노그룹(여기서 R4및 R5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내지 C10알킬임)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것이고, R10은 이탈기이며, R7 1 10
  4. 하기 일반식 (IV)의 화합물을 강염기와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하기 일반식(V)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
    Figure kpo00021
    Figure kpo00022
    상기식에서, R0은 수소, 할로겐, 니트로 및 식 -Y-R3의 그룹(여기서 Y는 -O- 또는 -S-이고, R3는 수소 또는 C1내지 C10알킬임)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것이고, R9는 수소, C1내지 C10알킬, 피리디닐 및 이탈기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것이거나, 또는 R0및 R9는 함께 결합되어 메틸렌디옥시그룹을 형성할 수 있거나, 또한 방향족환의 결합원자와 함께 결합되어 푸로 또는 디하이드로푸로그룹을 형성할 수 있고, R1은 환중의 헤테로원자가 적어도 하나의 -S-, -O- 및 -N-이고, 환중의 나머지 원자가 탄소원자인 탄소수 5 내지 7개의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릭환 ; 및 식
    Figure kpo00023
    의 페닐그룹(여기서 R8은 수소, 할로겐, 니트로, 카르복실, 시아노, 메틸렌디옥시, C1내지 C6알킬 및 그의 치환된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것 하나 이상임) ; 식 -Y-R3의 그룹(여기서 Y는 -O- 또는 -S-이고, R3는 수소 또는 C1내지 C6알킬임) ; 및 식
    Figure kpo00024
    의 아미노그룹(여기서 R4및 R5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내지 C10알킬임)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것이고, R10은 이탈기이다.
  5. 하기 일반식(V)의 화합물을 산의 존재하에 알콜과 반응시켜 상응하는 에스테르를 형성시킨 다음 에스테르를 가수분해시키거나, 또는 전술한 3-시아노-퀴놀린을 가수분해시켜 1, 4-디하이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을 수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1, 4-디하이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25
    상기식에서, R0은 수소, 할로겐, 니트로 및 식 -Y-R3의 그룹(여기서 Y는 -O- 또는 -S-이고, R3는 수소 또는 C1내지 C10알킬임)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것이고, R9는 수소, C1내지 C10알킬, 피리디닐 및 이탈기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것0 9 1
    Figure kpo00026
    의 페닐그룹(여기서 R8은 수소, 할로겐, 니트로, 카르복실, 시아노, 메틸렌디옥시, C1내지 C6알킬 및 그의 치환된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것 하나 이상임) ; 식 -Y-R3의 그룹(여기서 Y는 -O- 또는 -S-이고 R3는 수소 또는 C1내지 C6알킬임) ; 및 식
    Figure kpo00027
    의 아미노그룹(여기서 R4및 R5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내지 C10알킬임)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것이다.
  6. 하기 일반식(9)의 화합물을 일반식(A)의 화합물과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1, 4-디하이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28
    상기식에서, R0은 수소, 할로겐, 니트로 및 식 -Y-R3의 그룹(여기서 Y는 -O- 또는 -S-이고, R3는 수소 또는 C 내지 C10알킬임)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것이고, R9는 수소, C1내지 C10알킬, 피리디닐 및 이탈기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것이거나, 또는 R0및 R9는 함께 결합되어 메틸렌디옥시그룹을 형성할 수 있거나, 또한 방향족환의 결합원자와 함께 결합되어 푸로 또는 디하이드로푸로그룹을 형성할 수 있고, R1은 환중의 헤테로원자가 적어도 하나의 -S-, -O- 및 -N-이고, 환중의 나머지 원자가 탄소원자인 탄소수 5 내지 7개의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릭환 ; 및 식
    Figure kpo00029
    의 페닐그룹(여기서 R8은 수소, 할로겐 니트로, 카르복실, 시아노, 메틸렌디옥시, C1내지 C6알킬 및 그의 치환된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것 하나 이상임) ; 식 -Y-R3의 그룹(여기서 Y는 -O- 또는 -S-이고, R3는 수소 또는 C1내지 C6알킬임); 및 식
    Figure kpo00030
    의 아미노그룹(여기서 R4및 R5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내지 C10알킬임)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것이고, R은 수소, 할로겐, C1내지 C10알킬, C3내지 C8사이클로알킬, 상기 그룹 -Y-R3, 페닐 또는 치환된 페닐, 식
    Figure kpo00031
    의 아미노그룹(여기서 R6은 수소 또는 C1내지 C10알킬 및 그의 치환된 유도체이고, R7은 C1내지 C10알킬 또는1 6 1 6
  7. 하기 일반식(IIb)의 알파-할로아세토페논을 시안화금속과 반응시켜 상응하는 베타-케토니트릴을 수득하고, 이 베타-케토니트릴을 산무수물의 존재하에 트리알킬오르토포르메이트로 처리한 다음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민으로 처리하여 상응하는 엔아미노케토니트릴을 수득하고, 이 엔아미노케토니트릴을 강염기와 반응시켜 상응하는 3-시아노퀴놀린 화합물을 수득하고, 3-시아노퀴놀린 화합물을 산의 존재하에 알콜로 처리하여 상응하는 에스테르를 형성시킨 다음, 이 에스테르 또는 전술한 3-시아노-퀴놀린을 가수분해시켜 1, 4-디하이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을 수득함을 특징으로 하는 1, 4-디하이드로-4-옥소-퀴놀린-3-카르복실산의 제조방법.
    상기식에서, R0은 수소, 할로겐, 니트로 및 식 -Y-R3의 그룹(여기서 Y는 -O- 또는 -S-이고, R3는 수소 또는 C 내지 C10알킬임)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것이고, R9는 수소, C1내지 C10알킬, 피리디닐 및 이탈기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것0 9 10
  8. 하기 일반식(III)을 갖는 화합물.
    Figure kpo00033
    상기식에서, R0은 수소, 할로겐, 니트로 및 식 -Y-R3의 그룹(여기서 Y는 -O- 또는 -S-이고, R3는 수소 또는 C 내지 C10알킬임)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것이고, R9는 수소, C1내지 C10알킬, 피리디닐 및 이탈기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것이거나, 또는 R0및 R9는 함께 결합되어 메틸렌디옥시그룹을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방향족환의 결합원자와 함께 결합되어 푸로 또는 디하이드로푸로그룹을 형성할 수 있고, R7은 C1내지 C10알킬이고, R10은 이탈기이다.
  9. 제8항에 있어서, R9및 R10이 독립적으로 할로, 알콕시, -S-알킬, -O-토실, 및 -O-메실중에서 선택된 이탈기인 화합물.
  10. 제9항에 있어서, R0가 플루오로인 화합물.
  11. 제8항에 있어서, R0가 플루오로이고, R9및 R10이 클로로인 화합물.
  12. 제11항에 있어서, R7이 에틸인 화합물.
  13. 다음 일반식(IV)을 갖는 화합물.
    Figure kpo00034
    상기식에서, R0은 수소, 할로겐, 니트로 및 식 -Y-R3의 그룹(여기서 Y는 -O- 또는 -S-이고, R3는 수소 또는 C 내지 C10알킬임)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것이고, R1은 환중의 헤테로원자가 적어도 하나의 -S-, -O- 및 -N-이고, 환중의 나머지 원자가 탄소원자인 탄소수 5내지 7개의 방향족 헤테로사이클릭환 ; 및
    Figure kpo00035
    의 페닐그룹(여기서 R8은 수소, 할로겐, 니트로, 카르복실, 시아노 C1내지 C10알킬 및 그의 치환된 유도체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것 하나 이상임) ; 식 -Y-R3의 그룹(여기3 1 3
    Figure kpo00036
    의 아민그룹(여기서 R4및 R5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내지 C10알킬임)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것이고, R9는 수소, C1내지 C10알킬, 피리디닐 및 이탈기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것이거나, 또는 R0및 R9는 함께 결합되어 메틸렌디옥시 그룹을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방향족환의 결합원자와 함께 결합되어 푸로 또는 디하이드로푸로그룹을 형성할 수 있으며, R10은 이탈기이다.
  14. 제13항에 있어서, R9및 R10이 독립적으로 할로, 알콕시, -S-알킬, -O-토실 및 -O-메실중에서 선택된 이탈기인 화합물.
  15. 제14항에 있어서, R0가 플루오로인 화합물.
  16. 제13항에 있어서, R0가 플루오로이고, R9및 R10이 클로로인 화합물.
  17. 다음 일반식(III)을 갖는 화합물.
    Figure kpo00037
    상기식에서, R0은 수소, 할로겐, 니트로 및 식 -Y-R3의 그룹(여기서 Y는 -O- 또는 -S-이고, R3는 수소 또는 C1내지 C10알킬임)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것이고, R9는 수소, C1내지 C10알킬, 피리디닐 및 이탈기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것이거나, 또는 R0및 R9는 함께 결합되어 메틸렌디옥시그룹을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방향족환의 결합원자와 함께 결합되어 푸로 또는 디하이드로푸로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18. 제17항에 있어서, R9가 할로, 알콕시, -S-알킬, -O-토실 및 -O-메실중에서 선택된 이탈기인 화합물.
  19. 제18항에 있어서, R0가 플루오로인 화합물.
  20. 제17항에 있어서, R0가 플루오로이고, R9가 클로로인 화합물.
  21. 다음 일반식(II)을 갖는 화합물.
    Figure kpo00038
    상기식에서, R0은 수소, 할로겐, 니트로 및 식 -Y-R3의 그룹(여기서 Y는 -O- 또는 -S-이고, R3는 수소 또는 C1내지 C10알킬임)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것이고, R9는 수소, C1내지 C10알킬, 피리디닐 및 이탈기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것이거나, 또는 R0및 R9는 함께 결합되어 메틸렌디옥시그룹을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방향족환의 결합원자와 함께 결합되어 푸로 또는 디하이드로푸로그룹을 형성할 수 있고, R10은 이탈기이다.
  22. 제21항에 있어서, R9및 R10이 독립적으로 할로, 알콕시, -S-알킬, -O-토실 및 -O-메실중에서 선택된 이탈기인 화합물.
  23. 제21항에 있어서, R0가 플루오로인 화합물.
  24. 제21항에 있어서, R0가 플루오로이고, R9및 R10이 클로로인 화합물.
  25. 다음 일반식(IIb)을 갖는 화합물.
    Figure kpo00039
    상기식에서, R0은 수소, 할로겐, 니트로 및 식 -Y-R3의 그룹(여기서 Y는 -O- 또는 -S-이고, R3는 수소 또는 C1내지 C10알킬임)으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것이고, R9는 수소, C1내지 C10알킬, 피리디닐 및 이탈기로 이루어진 그룹중에서 선택된 것이거나, 또는 R0및 R9는 함께 결합되어 메틸렌디옥시그룹을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방향족환의 결합원자와 함께 결합되어 푸로 또는 디하이드로푸로그룹을 형성할 수 있고, R10은 이탈기이며, X는 할로겐이다.
  26. 제25항에 있어서, R9및 R10이 독립적으로, 할로, 알콕시, -S-알킬, -O-토실 및 -O-메실중에서 선택된 이탈기인 화합물.
  27. 제26항에 있어서, R0가 플루오로이고, X가 브로모인 화합물.
  28. 제26항에 있어서, R0가 플루오로이고, X가 클로로인 화합물.
  29. 제25항에 있어서, R0가 플루오로이고, R9및 R10이 클로로이고, X가 브로모인 화합물.
  30. 제25항에 있어서, R0가 플루오로이고, R9및 R10이 클로로이고, X가 클로로인 화합물.
KR1019850001885A 1984-03-23 1985-03-22 퀴놀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KR9000012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9297184A 1984-03-23 1984-03-23
US592,971 1984-03-23
US592971 1984-03-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6184A KR850006184A (ko) 1985-10-02
KR900001219B1 true KR900001219B1 (ko) 1990-03-05

Family

ID=243728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1651A KR850006183A (ko) 1984-03-23 1985-03-22 가요성을 가진 연장체
KR1019850001885A KR900001219B1 (ko) 1984-03-23 1985-03-22 퀴놀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1651A KR850006183A (ko) 1984-03-23 1985-03-22 가요성을 가진 연장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850006183A (ko)
GR (1) GR8507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156B1 (ko) * 2001-12-15 2003-11-28 엘지전선 주식회사 광섬유 가공지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R850723B (ko) 1985-07-19
KR850006184A (ko) 1985-10-02
KR850006183A (ko) 1985-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99594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7-substituted-3-quinoline and 3-quinol-4-one carbonitriles
JPH0778065B2 (ja) (6,7―置換―8―アルコキシ―1―シクロプロピル―1,4―ジヒドロ―4―オキソ―3―キノリンカルボン酸―o▲上3▼,o▲上4▼)ビス(アシルオキシ―o)ホウ素化合物及びその塩並びにその製造方法
CA1214466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quinoline carboxylic acid derivatives
JPS59157068A (ja) キノロンカルボン酸類
US4994599A (en) Intermediates for producing quinolone-3-carboxylic acids
KR970005911B1 (ko) 퀴놀린 카복실산 유도체를 제조하는 제조방법
JPH0144717B2 (ko)
JP2693987B2 (ja) キノリンカルボン酸の製造方法
KR900001219B1 (ko) 퀴놀린 유도체의 제조방법
US5914401A (en)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quinolone carboxylic acids derivatives and intermediates thereof
EP0331899B1 (en) A method for the sequential oxidation of substituted-8-hydroxy-quinolines to produce substituted-pyridine-2,3-dicarboxylic acids
JPH04230265A (ja) キノリンカルボン酸の製造方法
US4769462A (en) Novel 2-carbamoylnicotinic and 3-quinolinecarboxylic acids and esters
NO761926L (ko)
KR970005910B1 (ko) 퀴놀린 카복실산의 제조방법
US4421919A (en) 4-Oximino-1,2,3,4-tetrahydroquinoline derivatives
US5262559A (en) Method of producing quinoline-3-carboxylic acids
US4277607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4-chloroquinolines
GB2092130A (en) 4-Oximino-1,2,3,4- tetrahydroquinoline Derivatives
US4009169A (en) 8-Carboxylester, and 8-carbamyl derivitives of 5,6,7,8-tetrahydroquinoline
CA2040110A1 (en) Process for preparing pyridine and quinoline derivatives
US4011225A (en) 8-cyano-5,6,7,8-tetrahydroquinoline derivatives
US4921961A (en) 2-Carbamoyl-3-quinolinecarboxylic acids and salts as intermediates for the preparation of herbicidal 2-(5-isoproyl-5-methyl-4-oxo-2-imidazolin-2-yl)-3-quinolinecarboxylic acids
EP0195135B1 (en)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quinoline carboxylic acid derivatives
US3840544A (en) Alkyl 4-alkoxy-7-(pyridyl)-3-quinoline-carboxylates,their preparation and conversion to corresponding 4-oxo compoun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3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