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558Y1 - 음량 제어 회로 - Google Patents

음량 제어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558Y1
KR900000558Y1 KR2019870004712U KR870004712U KR900000558Y1 KR 900000558 Y1 KR900000558 Y1 KR 900000558Y1 KR 2019870004712 U KR2019870004712 U KR 2019870004712U KR 870004712 U KR870004712 U KR 870004712U KR 900000558 Y1 KR900000558 Y1 KR 9000005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resistor
pulse
output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47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20704U (ko
Inventor
문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구자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구자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700047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0558Y1/ko
Publication of KR88002070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2070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5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5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7/00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 H03G7/002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in untuned or 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amplifiers
    • H03G7/004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in untuned or low-frequency amplifiers, e.g. audio amplifiers using continuously variable impedance devic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1/00Details of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mplification
    • H03G1/0005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ing devices operated by a controlling current or voltage signal
    • H03G1/0017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ing devices operated by a controlling current or voltage signal the device being at least one of the amplifying solid state elements of the amplifier
    • H03G1/0023Circui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ling devices operated by a controlling current or voltage signal the device being at least one of the amplifying solid state elements of the amplifier in emitter-coupled or cascode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7/00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 H03G7/06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량 제어 회로
제1도는 종래의 음량 제어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음량 제어 회로도.
제3도는 제2도에 따른 파형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음의 출력 특성 곡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4 : 음량 감쇄 및 증폭부 2, 5 : 스피커
3 : 원격 제어부 6 : 달링톤 회로
R1∼R10 : 저항 D1 : 다이오우드
f1 : 선형적인 음출력 특성곡선 C1, C2 : 콘덴서
f2 : 다이오우드(D1)의 쇼트시 음출력 특성곡선
f3 : 다이오우드(D1)의 존재시 음출력 특성곡선
VR1 : 가변저항 Ri : 입력 임피던스
본 고안은 음량 조절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발생되는 펄스에 의해 음량이 제어되는 음량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격 제어용 튜닝 시스템을 갖는 원격 제어용 TV등에 적당하도록 한 전자기기의 음량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음량 제어회로는 제1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그 구성이 전원(Vcc)과 연결된 저항(R1)의 일단에 가변저항(VR1)을 연결시켜 접지접속시키며 동시에 저항(R2)을 연결시켜 음량 감쇄 및 증폭부(1)를 거쳐 스피커(2)에 접속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전원(Vcc)에 의한 직류 전압이 저항(R1)과 가변저항(VR1)에 의해 분압되어 A점에 나타내게 되고 A점의 전압은 저항(R2)을 거쳐 음량 감쇄 및 증폭부(1)에 인가되어 스피커(2)를 통해 음량이 출력되도록 한 것으로, 이와같은 음량제어회로는 기계식 튜닝 시스템에만 적용이 가능하며 원격 제어용 IC소자를 갖는 전압 합성의 튜닝 시스템이나 포텐셔 미터(Potentio Meter)의 튜닝 시스템과 같이 음량 조절용 펄스가 발생되는 튜닝시스템에는 사용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한 것으로 원격 제어용 튜닝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 원격 제어부에서 발생되는 펄스에 의해 음량이 제어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하 그 구성을 제2도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격 제어부(3)는 저항(R10)과 저항(R3)을 직렬로 거쳐 전원(Vcc)에 접속되며 상기 저항(R10), (R3)의 접속점은 다이오우드(D1)와 저항(R5)를 순차거쳐 트랜지스터(Q1), (Q2)로 구성된 달링톤 회로(6)의 트랜지스터(Q1) 베이스단에 접속되고, 상기 다이오우드(D1)와 저항(R5)의 접속점은 저항(R4)과 콘덴서(C1)를 각각 거쳐 접지단에 접속되고 상기 달링톤 회로(6)의 트랜지스터(Q1), (Q2) 각 콜렉턱단은 저항(R6)과 저항(R7)을 각각 거쳐 전원(Vcc)에 접속되며 달링톤 회로(6)의 출력단은 저항(R8)과 콘덴서(C2)를 각각 거쳐 접지접속되며 동시에 저항(R9)을 거쳐 음량 감쇄 및 증폭부(4)에 연결되어 스피커(5)에 접속되는 구성으로 이의 동작 상태 및 작용효과를 제2도의 회로도와 제도의 파형도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격 제어부(3)의 출력단(A)으로 음량 제어펄스가 발생되는데, 이단은 오픈 콜렉터로 되어 있어 풀업 저항(R3)을 통해 전원(Vc)이 인가되면 음량제어 펄스가 제3도 (a)와 같이 발생된다.
이때 발생된 음량 제어펄스가 하이(H)상태의 펄스 구간(제3도 (a)의 T구간)일때는 저항(R)과 다이오우드(D1)를 거쳐 충전 시정수(π1=R3×C1)에 의해 콘덴서(C1)에 제3도 (b)와 같이 충전되었다가 음량제어 펄스가 로우(L)상태의 펄스 구간(제3도 (a)의 T2 구간)일때는 콘덴서(C1)의 충전 전위는 저항(R4)을 통해 방전시 정수(π2=R4×C1)동안 방전하게 된다.
상기 계속적인, 충, 방전에 따라 평균 전압(VB)이 전압(Va)과 같게 되었을때 달링톤 회로(6)의 트랜지스터(Q1), (Q2)에 바이어스가 걸려 트랜지스터(Q1), (Q2)는 도통되고 이때 전원(Vcc)이 저항(R7)을 통해 일정 전압으로 콘덴서(C2)에 충전되어 음량 감쇄 및 증폭부(4)를 조절하므로서 스피커(5)를 통해 음량이 출력되게 된다.
여기서 초기에 전원을 온시키면 원격제어부(3)에서 발생되는 펄스의 튜티 사이클(Daty Cycle)은스텝(Step)의 비로 출력된다.
이 튜티 사이클의 비에 의해 초기 음량이 발생되는데, 이는 저항(R4)을 크게하므로서 방전 시정수를 길게하여 일전 전위 펄스(T2)기간내에서 서서히 방전되도록 하고 전체 평균전압(VB)을 전압(Va)에서 전압(Vb)으로 높게하여주고, 이와는 반대로 상기 저항(R4)를 작게하여 주므로서 방전시정수를 짧게 하여 같은 펄스기간내에서 빨리 방전케하고 더 낮은 전압으로 까지 방전시켜 평균전압(VB)은 전압(Va)에서 전압(Vc)으로 낮아져 바이어스를 적게하여 초기 음량을 낮게하여 준다.
역시 같은 동작 원리로 음량 제어 스위치에 의해 발생되는 펄스폭을 변화시킴으로서 음량을 제어하는데, 튜티 사이클을 비를 크게 즉 펄스의 고전위폭(T1)을 크게하여 주면 콘덴서(C1)에 충전되는 시간이 길어져 B점의 전압은 높아지고 트랜지스터의 바이어스를 깊게하여 음량을 크게하여 주고, 튜티 사이클의 비를 작게하여 저전위 펄스폭(T2)을 크게하여 주면 방전시간이 길어져 B점의 전압은 낮아지고 트랜지스터의 바이어스가 낮게 되어 음량은 적게된다.
한편 음의 최대 음량조절은 저항(R7)과 저항(R8)의 비에 의해 결정되는데, 저항의 비 ()를 크게하면, C점의 전압(Vc)은에 의해 높아져 최대음량은 커지게 되고, 역으로 저항의 비 ()를 적게하면 음량은 작아지게 된다.
여기서 달링톤 회로(6)는 출력 트랜지스터의 입력 임피던스(Ri)를 크게하므로 바이어스 전압이 출력음량에 영향을 주지 못하게 하는 것이고, 다이오우드(D1)는 펄스가 저전위일때 저항(R10)을 통과하지 못하게 하므로서 방전 시정수를 크게하여 제4도와 같이 음의 출력특성이 제4도의 다이오드(D1) 쇼트시(없을때) 음출력 특성곡선 f2와는 달리 음의 소거 영역(Cut Off Region) 즉 (ㄱ)영역을 적게하여 음을 빨리 소거되도록 하여 실지음의 레벨 변화 영역인 활동영역(Active Rogion) 즉 (ㄷ)영역을 크게하여 주므로서 한 스텝당 변화분을 적게하여 스텝당음의 급변함을 방지하고 음이 서서히 변하도록 하여준다. (제4도의 f3 특성 곡선)
만일 상기 다이오우드(D1)가 없으면 방전 시정수(π2)는로 되어 다이오우드(D1)가 있을 때의 방전 시정수 즉 π2= R4×C1 일때보다 작게되어 더 낮은 전압까지 빨리 방전하게 되므로 음의 출력 특성 곡선은 제4도의 f2와 같이 되어 음소거 영역(ㄴ)에서는 영역이 넓어 음이 서서히 변하고, 실음 레벨 변화 영역인 활동영역(ㄹ)은 좁아서 음이 급하게되므로 C점에 나타난 전압으로서 음향 감쇄 및 증폭부(4)를 제어하여 스피커(5)로 출력시키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4도의 음 출력 특성 극선도를 상세히 설명하면 (ㄱ)영역은 다이오드(D1)가 있을 때 출력이 W0에서 W1(여기서 W0는 제2도의 "C"점 전압이 제로일때, 스피커(5)에서 제로음이 출력되는 지점이고, W1은 C점의 전압이 아주 적을 때 스피커(5)에서 귀로 들을 수 없는 출력음이 출력되는 지점이다)까지 도돌되는데 소용되는 스텝수 영역으로 귀로 들을 수 없을 정도로 출력이 적은 음소거 영역이고, (ㄴ)영역은 다이오드(D1)가 없을때(쇼트시) 출력 W0에서 W1까지 도달되는데 소용되는 스텝수 영역으로 귀로 들을 수 없을 정도로 출력이 적은 음소거 영역이며 (ㄷ)영역은 다이오드(D1)가 있을때 출력이 변환가능한 W1에서 W2까지의 (여기서 W2는 제2도 스피커(5)의 출력이 스텝을 증가하여도 더 이상 변화하지 않게 되는 지점)변동 스텝 영역(실지음의 레벨 변화 영역)으로서 활동영역이고 (ㄹ)영역은 다이오드(D1)가 없을때 출력음이 변환 가능한 W1에서 W2까지의 변동 스텝 영역으로서 활동 영역이며, (ㅁ)영역은 스텝이 증가하여도 더 이상 출력음이 증가하지 않는 스텝영역이다.
그러므로 다이오드(D1)가 있을때의 소음거영역(ㄱ)이 다이오드(D1)가 없을때의 음소거영역보다 적어 음이 빨리 소거되고, 다이오드(D1)가 있을때는 활동영역(ㄷ)이 다이오드(D1)가 없을때의 활동영역(ㄹ)보다 커서 음이 급변하는 것이 방지되고 음이 서서히 변화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음소거 소자와 초기 음량 소자간의 비연관성으로 구성되어 있어 원격제어용 튜닝 시스템 또는 포텐션 미터용 튜닝 시스템에 적용이 가능하게 되어 음량조절이 용이하게 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Claims (1)

  1. 음량 감쇄 및 증폭부(4)와 스피커(5)를 포함한 음량 제어 회로에 있어서, 펄스를 발생시키는 원격 제어부(3)의 출력단(A)에 저항(R3)을 연결시켜 전원(Vcc)에 접속시키고 동시에 다이오우드(D1)를 연결시켜 그의 캐소우드단에 저항(R4)과 콘덴서(C1)의 방전 시정수를 구성하여 전원(Vcc)과 연결된 달링톤 회로(6)의 입력에 접속시키고 상기 달링톤 회로(6)의 출력은 저항(R8) 콘덴서(C2)의 병렬 연결을 통해 접지 접속되며 음량감쇄 및 증폭부(4)에 접속 되어 펄스에 따라 음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량 제어 회로.
KR2019870004712U 1987-04-07 1987-04-07 음량 제어 회로 KR9000005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4712U KR900000558Y1 (ko) 1987-04-07 1987-04-07 음량 제어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4712U KR900000558Y1 (ko) 1987-04-07 1987-04-07 음량 제어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0704U KR880020704U (ko) 1988-11-30
KR900000558Y1 true KR900000558Y1 (ko) 1990-01-30

Family

ID=19261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4712U KR900000558Y1 (ko) 1987-04-07 1987-04-07 음량 제어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055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0704U (ko) 1988-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56744B2 (ja) ピーク検出回路
JPH0233280Y2 (ko)
EP0639894B1 (en) Circuit for limiting the maximum current supplied to a load by a power transistor
KR900000558Y1 (ko) 음량 제어 회로
US4178558A (en) DC Level clamping circuit
US4147996A (en) Current-controlled oscillator
GB1533447A (en) Vertical deflection circuit
US4754232A (en) Amplification gain adjusting circuit
JPH0221686B2 (ko)
JPH0368573B2 (ko)
US4090146A (en) Clipping indicator circuit for transistor amplifier
US3550117A (en) Timing apparatus
JPS641797Y2 (ko)
CN211296933U (zh) 一种会议用音频设备
KR940002970B1 (ko) 쇼크음 방지회로
KR930000836Y1 (ko) 부저 구동회로
KR900001441Y1 (ko) 자동 이득 제어회로
US4086838A (en) Vibrato signal generating arrangement for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2652991B2 (ja) 直流帰還増幅器
KR940003349B1 (ko) 과도상태시 팦콘노이즈가 없는 증폭기
KR920005100Y1 (ko) 음향 기기의 뮤팅 회로
SU1690186A1 (ru) Формирователь сигналов
JPH0417562B2 (ko)
JPS5918745Y2 (ja) 可変周波発生回路
KR960007571B1 (ko) 교환기 가입자회로에 있어서 스위칭 레귤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12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