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0107Y1 - 낚시 - Google Patents

낚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0107Y1
KR900000107Y1 KR2019870008820U KR870008820U KR900000107Y1 KR 900000107 Y1 KR900000107 Y1 KR 900000107Y1 KR 2019870008820 U KR2019870008820 U KR 2019870008820U KR 870008820 U KR870008820 U KR 870008820U KR 900000107 Y1 KR900000107 Y1 KR 9000001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water
fishing lines
submerged
take pu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88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0055U (ko
Inventor
김태수
Original Assignee
김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수 filed Critical 김태수
Priority to KR20198700088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0107Y1/ko
Publication of KR8900000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00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01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01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7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낚시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정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측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몸체 9,9' : 물유도구멍
10 : 방향조정키
본 고안은 축광 물질로 사출 성형시킨 낚시 몸체의 전, 후부면에 다수의 물 유도구멍과 방향 조정키를 성형시켜서 물속에 잠겨있던 빈 낚시를 당길때 물에 의한 부하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함에 따라 낚시줄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물에 잠겼을때 축광물질 자체의 색상에 의해 낚시의 착지점을 감지 확인할 수 있게된 낚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낚시에 있어서는 본인의 선출원된 실용신안 등록 출원 제87-2264호가 있었으나 이는 물속에 잠겨있던 빈 낚시를 당길 경우에 구조상 물에 의한 부하를 제대로 감소시킬 수 없기 때문에 빈 낚시가 당겨지면서 회전되어 낚시줄이 꼬임에 따라 빈 낚시를 회수하는데 애로 사항이 있을뿐만 아니라 낚시 몸체 자체가 축광물질로 되거나 또는 위치를 나타낼 수 있는 기능이 없었기 때문에 낚시를 던져서 물속에 잠겼을 경우에 착지점을 제대로 확인할 수가 없었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그 구성과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수의 낚시바늘(1), 낚시줄(2)이 연결 고정되도록 몸체(3)의 외측 둘레면에는 다수의 고정구(4)가 형성되고 또한 다수의 유도구(5)와 삽지구(6)를 형성하며 스폰지(7)가 삽입되면서 납덩이(8)가 삽입 리벳 고정되어진것에 있어서 몸체(3)를 축광물질로 사출 성형시키고 그 전후단부면에는 각각 물유도구멍(9)(9')을 형성하고 또한, 물유도구멍(9')의 후면으로는 방향 조정키(10)를 일체로 형성하여서 구성되어진 것으로 미설명 부호 11은 낚시대인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원의 낚시에 있어서는 축광물질로 몸체(3)를 사출 성형시켰기 때문에 도면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고기를 낚시질 하기 위해 일단 몸체(3)면에 떡밥을 넣은 상태에서 낚시대(11)를 손으로 잡고 던지게 되면 몸체(3)가 물속에 잠기게 되는데 이때 몸체(3)전체가 축광물질로 사출 성형되었기 때문에 물속에 몸체(3)가 잠겼을때 축광물질 자체의 색상에 의해 야간에 낚시를 할 경우에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낚시의 착지 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무척 편리하여 졌을뿐만 아니라 몸체(3)의 전, 후단부면에 물 유도구멍(9) (9') 이 각각 뚫리면서 물유도구멍(9') 의 후면에는 방향조정키(10)가 몸체(3)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일단 물속에 잠겨있던 몸체(3)내의 떡밥이 모두 없어진 다음 빈 낚시를 당길 경우에 몸체(3)면에 마찰되던 물이 물유도구멍(9)을 통과해서 후부의 물유도구멍(9')으로 빠져 나감에 따라 물에 의한 부하를 감소시킬수 있을뿐만 아니라 방향 조정키(10)에 의해 몸체(3)가 당겨지면서 일정하게 일방향으로 나올 수 있게 된 것으로 종래의 낚시와 같이 물에 의해 부하가 많이 걸림에 따라 몸체(3)가 회전되면서 단겨지게 되어 이에 연결된 낚시줄이 꼬이던 것을 본원은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당기는 위치로 일정하게 향하면서 정확하게 당겨져 나오기 때문에 빈 낚시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게된 것이다.

Claims (1)

  1. 다수의 낚시바늘(1), 낚시줄(2)이 연결되게 몸체(3)의 외측 둘레면에는 다수의 고정구(4)가 형성되고 또한 다수의 유도구(5), 삽지구(6)가 형성되고 스폰지(7), 납덩이(8)가 삽입 고정되어진 것에 있어서, 몸체(3)를 축광물질로 사출 성형시키고 그 전후부면에는 각각 물유도구멍(9)(9')을 형성하고 또한 물유도구멍(9')의 후면에는 방향 조정키(10)를 일체로 형성시켜서 됨을 특징으로한 낚시.
KR2019870008820U 1987-06-01 1987-06-01 낚시 KR9000001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8820U KR900000107Y1 (ko) 1987-06-01 1987-06-01 낚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8820U KR900000107Y1 (ko) 1987-06-01 1987-06-01 낚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055U KR890000055U (ko) 1989-03-02
KR900000107Y1 true KR900000107Y1 (ko) 1990-01-30

Family

ID=19263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8820U KR900000107Y1 (ko) 1987-06-01 1987-06-01 낚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010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0055U (ko) 1989-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49663A (en) Fishing sinker
US3092925A (en) Fisherman's gaffs
US2582627A (en) Fish lure
KR900000107Y1 (ko) 낚시
US3411232A (en) Hook-keeping sleeve
US2775054A (en) Line guide for fishing rod
US2516468A (en) Fishing plug
CA2037167A1 (en) Fishing lure and method
US2495572A (en) Jiffy slip fishing sinker
US2684551A (en) Fish lure
US2573215A (en) Fishing lure
US2663112A (en) Fish lure
GB1227980A (ko)
US2619763A (en) Weedless fishing lure
US2531235A (en) Fish landing grip
KR930006900Y1 (ko) 낙지잡이용 줄낚시봉돌
US3271893A (en) Detachable fishing float
US2580361A (en) Gaff
US3196573A (en) Fishing lure
US2819555A (en) Fish line sinker
FR2354704A1 (fr) Dispositif de fixation d'un appat sur un hamecon et hamecon equipe d'un tel dispositif
US3874106A (en) Hook setting device
US3154877A (en) Fishing lure
ES2005713A6 (es) Ancla de capa.
US3787995A (en) Outrigger line rele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10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