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8381Y1 - 전선 보호용 안전카바 - Google Patents

전선 보호용 안전카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8381Y1
KR890008381Y1 KR2019860020694U KR860020694U KR890008381Y1 KR 890008381 Y1 KR890008381 Y1 KR 890008381Y1 KR 2019860020694 U KR2019860020694 U KR 2019860020694U KR 860020694 U KR860020694 U KR 860020694U KR 890008381 Y1 KR890008381 Y1 KR 8900083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s
branches
safety cover
tre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206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3747U (ko
Inventor
박인원
Original Assignee
박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원 filed Critical 박인원
Priority to KR20198600206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8381Y1/ko
Publication of KR8800137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37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83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8381Y1/ko

Link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선 보호용 안전카바
제1도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2(a)도, 제2(b)도는 실시예를 보인 설치상태의 단면도.
제3(a)도, 제3(b )도, 제3(c )도는 본 고안 안전카바의 절연체 일부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1'' : 전선 2 : 절연피복체
3 : 체결고리
본 고안은 수목지대에 설치된 전선이나 도시 도로변의 전주사이에 설치된 전선이 수목의 가지에 의하여 외부 절연 피복층이 손상되거나 또는 선간 간격이 근접하게 되어 발생하는 합선 현상을 유발하는 안전사고를 비연에 방지하기 위한 전선보호용 안전카바에 관한 것으로, 타워 또는 전주사이에 설치된 전선이 수목상방을 지나가게 되어 수목의 가지에 접하게 되는 부위 마다 합성수지제 절연체를 씌워주되, 전선의 설치간격이 유지되게 하여 수목가지에 의하여 선간간격이 근접되는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합성수지제 절연체 내부로 가지가 침투하지 못하게 하므로서 선간간격의 근접현상과 절연피복체가 손상되어 일어나는 합선사고를 방지하여 불의의 단전사고나 합선사고에 의한 재산피해 또는 인명피해를 예방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주와 전주사이에 가설 되는 전선(가로변, 수목이 울창한 산림지대 등등)에 수목의 가지가 접근되어 있는 상태에서 일반적으로 수목이 자라게 되며 또한 풍우나 바람등에 의하여 전선 또는 수목가지가 서로 접촉하여 마찰되는 현상이 발생됨은 주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수목의 가지와 전선의 장기적 이며 지속적인 접촉마찰이나 수목의 성장에 의하여 전주사이에 가설된 전선이 압박을 받는 현상에 의하여 전선 외부를 감싸고 있는 절연 피복이 파괴되어 나선상태로 변형되거나 심한 경우 전선이 합선 또는 단선되는 현상이 야기되고, 이로인하여 수목가지등을 통하여 눈전등의 위험이 뒤따라 감전사고나 송전 이상 상태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될 염려가 뒤따르는 위험이 있었으며, 이러한 사고의 발생을 우려하여 수시로 전선과 근접하고 있는 수목의 가지를 잘라 주는 작업을 수시로 행하여야 하는 불편과 이에 따른 작업에 많은 노고와 작업비가 뒤따르는 비경제적인 문제점도 야기되고 있는 현상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안전사고 발생의 염려와 가지치기등의 부수작업등의 블편을 제거하기 위하여 통공(2')이 있는 합성수지 망체 또는 절연 피막 코팅층을 형성하고 있는 철망등의 절연피복체(2)로 수목과 근접하는 위치에 가설되는 전선(1) (1') (1'')를 피복하여 수목의 가지와 전선(1) (1') (1'') 사이를 차단, 격리시켜 전선(1) (1') (1'')과 소목치기가 접촉되는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하여 수목가지의 성장이나 풍우등에 의한 마찰에 때라 전선 (1) (1') (1'')의 외부절연 피복이 파괴되는 현상을 완벽하게 방지하여 가설전선(1) (1') (1'')의 절연파괴에 따라 누전 되는 현상을 제거하여 누전에 의한 감전사고나 단전등의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 할수 있는 효과와 동시에 전선에 근접한 수목의 가지를 수시로 제거하는 부수적인 작업을 재제시켜 전선의 유지 보수를 경제적으로 수행 할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타워나 전주에 설치되어 수목의 가지와 접하는 전선(1) (1') (1'') 의 부위마다 통공(2')이 있는 절연피복(2)로 감싸고 절연피복체(2)의 양단을 체결고리(3)로 체결하여서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수목지대 또는 도시 도로변의 전주에 설치된 전선(1) (1') (1'') 이 수목지대나 도로변의 가로수 상방을 지나게 될때 가지와 접촉하게 되는 부위마다 적어도 가지가 침투 할 수 없는 미세한 통공(2')이 형성된 절연피복체(2)를 전선(1) (1') (1'')에 감싸주되, 선간간격의 안전거리를 유지시킨 상태로 감싼후 절연피복체(2)의 양단을 다수개의 체결고리(3)로 채결하여 주면 수목상방에 설치된 전선(1) (1') (1'')이 가지의 압박에 의하여 선간간격이 근접 상태로 이동 변경되는 현상을 방지 할수 있으며, 절연피복체(2)가 전선(1) (1') (1'')을 감싼 상태로 보호 하고 있고, 또한 절연피복체(2)의 통공(2')으로 가지가 침투하지 못하므로서 전선(1) (1') (1'')이 가지와 직접 접촉하는 현상이 절대 발생되지 않아 폭풍우 등에 의하여 가지가 심하게 흔들리더라도 전선(1) (1') (1'')의 피복절연층이 손상되지 않으므로 설치상의 안정상태를 장구히 유지 할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절연피복체(2)의 통공(2')은 수목의 가지가 침투 할수없는 정도이면 만족하므로 제3도의 제3(a)도, 제3(b)도, 제3(c)도 도시와 같이 통공(2') 이 사각, 육각 도는 원형상태로 천공된 절연피복체(2)를 사용해도 무방하고, 그 재질은 내구성이 좋은 절연 합성수지 예로서 PE, PP, 나일론 등등 망체나 합성수지가 코팅된 철망체로 해도 무방하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수목 상방을 지나가게 되는 전선부위 마다 수목가지로 부터 전선을 보호하는 절연카바체를 감싸주는 간단한 구성으로 종래와 같이 전선과 수목가지와의 근접시 작업자가 수목에 올라가 전선과 접하는 가지를 일일이 제거하는 별도의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되므로서 이에 따른 막대한 인력과 경비를 줄일수 있게되서 전선의 유지보수를 경제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선의 설치 수명을 장구히 연장시킬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타워나 전주에 설치되어 수목의 가지와 접하는 전선(1) (1') (1'')의 부위마다 통공(2')이 있는 절연피복체(2)로 감싸고 절연피복체(2)의 양단을 체결고리(3)로 체결하여서 된 전선 보호용 안전카바.
KR2019860020694U 1986-12-20 1986-12-20 전선 보호용 안전카바 KR8900083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20694U KR890008381Y1 (ko) 1986-12-20 1986-12-20 전선 보호용 안전카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20694U KR890008381Y1 (ko) 1986-12-20 1986-12-20 전선 보호용 안전카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747U KR880013747U (ko) 1988-08-30
KR890008381Y1 true KR890008381Y1 (ko) 1989-11-25

Family

ID=19258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20694U KR890008381Y1 (ko) 1986-12-20 1986-12-20 전선 보호용 안전카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838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3747U (ko) 198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2015A (en) Squirrel shield device
CA2248374C (en) Insulated electrical equipment
RU145263U1 (ru) Птицезащи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на опорах линий электропередач с подвесными изоляторами
CA2205398C (en) Insulated electrical equipment
US4159395A (en) Cable guard
KR890008381Y1 (ko) 전선 보호용 안전카바
RU2660467C1 (ru) Устройство отпугивания птиц
JPS61239832A (ja) 送電施設の鳥害防止装置
KR101995893B1 (ko) 전선 방호용 절연커버
KR102243282B1 (ko) 전신주용 뱀 오름 방지구
US3772451A (en) Aerial cable guard
KR200207523Y1 (ko) 조류집 방지용 경완금
JPH024423Y2 (ko)
CN216412776U (zh) 新型输配电加强导线绝缘护套
KR100213675B1 (ko) 가공배전장주용 전선지지체
SU1661893A1 (ru) Воздушна лин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CN220180627U (zh) 腕臂绝缘防护装置
KR200148836Y1 (ko) 전주애자 보호용 덮개
KR100376107B1 (ko) 배전선로의 3상 내장주상의 까치집의 축조유도 구조
KR0132112Y1 (ko) 조류둥지용 지지대
KR20010009370A (ko) 전주의 완금, 암타이에 절연체를 커버한 조류 둥지 방지용 덮개
KR0132893Y1 (ko) 전선보호관이 부설된 애자보호켑
KR970024420A (ko) 배전 선로용 전주의 점프선 연결방법
KR200169885Y1 (ko) 전신주용 조류집 유도장치
FI102795B (fi) Johdinsuo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11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