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7377Y1 - 캔용기의 개전장치 - Google Patents
캔용기의 개전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90007377Y1 KR890007377Y1 KR2019860015016U KR860015016U KR890007377Y1 KR 890007377 Y1 KR890007377 Y1 KR 890007377Y1 KR 2019860015016 U KR2019860015016 U KR 2019860015016U KR 860015016 U KR860015016 U KR 860015016U KR 890007377 Y1 KR890007377 Y1 KR 89000737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container
- handle
- opening
- wheel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3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pull or lift tabs
- B65D17/347—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pull or lift tabs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between the tab and a detachable member or portion of the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0001—Details
- B65D2517/001—Action for opening container
- B65D2517/0013—Action for opening container pull-out tear panel, e.g. by means of a tear-ta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Opened By Tearing Frangible Portions (AREA)
- Devices For Opening Bottles Or Ca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의 평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종단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캔용기 1' : 돌륜
2 : 평면판 3 : 절취선
4 : 개전판 5 : 손잡이
6 : 리벳트 7 : 미절결부
8 : 괘지돌기
본 고안은 각종 음료 용기로 이용 되는 금속캔 용기의 개전장치 개량에 관한 것으로서 개전판의 개전방향을 변경하여 개전판이 열려서 부착된 상태에서도 용기내의 음료를 편안하게 마실 수 있도록하고 음료가 남았을때는 개전판을 다시 닫아 놓을 수가 있도록 했으며, 개전판이 완전분리되지 않도록하여 캔용기와 함께 폐기 처분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별도로 버려진 개전판에 의하여 자상을 입는 사고나 환경을 오염시키는 폐단이 없도록 한 것이다.
종래 캔용기의 개전판은 용기 평면의 중앙부에서 외측을 향해 절취하게 됨으로 개전판이 완전히 분리되도록 절취하지 않은상태에서는 구부러져서 돌출된 개전판과 손잡이 때문에 장애가 되어서 음료를 마실수가 없으며 개전판이 완전히 분리되도록 절취한 다음에 음료를 마실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음료가 남더라도 닫아놓을 수가 없어 그대로 버려야 하는 결점이 있게됐으며 통상적으로 개전판을 절취한 다음에는 아무데나 버리게 되므로 야외나 바닷가등에서 맨발로 거닐때 개전판을 밟게되면 자상을 입게 되며, 환경을 오염 시키는 원인이 되어왔던 것이다.
또한 일본 공개 실용신안공보 소 52-113067호로 손잡이를 당겨 개봉하는 캔이 알려진바 있으나 이경우는 손잡이 부를 캔을 개봉한 후 뒤로 젖혀서 캔용기의 돌륜에 고정시킬수는 있으나 캔을 개봉 하기전 또는 개봉후 손잡이 부분을 다시 원위치로 하였을때 손잡이 부분을 캔 용기의 돌륜에 고정시킬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첨부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돌륜(1')를 가진 용기(1)의 평면판(2)에 절취선(3)으로 절결되게하는 개전판(4)을 형성하여 이에 손잡이(5)를 리벳트(6)로 부착하는 것에 있어서 개전판(4)과 평면판(2)이 분리될수 없도록 미절결부(7)를 내측에 두어 개전판(4)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절취 되도록 하고, 개전판(4)에 부착되는 손잡이(5)도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당겨 지도록 했으며, 손잡이(5)를 만곡되게하고 그 저면에는 괘지돌기(8)를 돌설하여 용기(1)의 돌륜(1')에 괘지 되도록한 것이다.
이와같이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손잡이(5)를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당기게 되면 손잡이(5)를 외측에서 내측을 향해 당기게 되면 손잡이(5)와 연결된 개전판(4)의 절취선(3)이 절결되면서 제3도와 같이 열리게 되며 개전판(4)이 절결선(3) 까지만 절취되고, 미절결부(7)에 의하여 평면판(2)에 붙어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는 개전판(4)이 절취선 부분에 음료 토출공이 생기게 되며, 개전판(4)과 손잡이(5)는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어서 음료를 마시는데 아무런 지장을 받지 않게되는 것이다.
또한 용기내에 잔여음료가 남았을때는 열려있던 개전판(4)을 다시 닫으면서 손잡이(5)의 만국 부분이 용기(1)의 돌륜(1')에 끼워 지도록 눌러 주게 되면 손잡이(5)에 돌설된 괘지돌기(8)가 돌륜(1')에 괘지되어 밀폐 상태가 됨으로 남은 음료를 보관할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 돌륜(1')를 가진 용기(1)의 평면판(2)에 절취선(3)으로 절결되게 하는 개전판(4)을 형성하여 이에 손잡이(5)를 리벳트(6)로 부착하여 개전판(4)이 외측에서 내측으로 절취되도록한것에 있어서 손잡이(5)의 저면에는 괘지돌기(8)를 돌설하여 용기(1)의 돌륜(1')에 괘지되도록한 캔용기의 개전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60015016U KR890007377Y1 (ko) | 1986-09-30 | 1986-09-30 | 캔용기의 개전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860015016U KR890007377Y1 (ko) | 1986-09-30 | 1986-09-30 | 캔용기의 개전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06299U KR880006299U (ko) | 1988-05-30 |
KR890007377Y1 true KR890007377Y1 (ko) | 1989-10-25 |
Family
ID=19256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60015016U KR890007377Y1 (ko) | 1986-09-30 | 1986-09-30 | 캔용기의 개전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90007377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008591A (ko) * | 2004-12-24 | 2005-01-21 | 이정민 | 음용이 용이한 용기의 구조 |
-
1986
- 1986-09-30 KR KR2019860015016U patent/KR89000737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06299U (ko) | 1988-05-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330186B (en) |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package, and package provided with such a device | |
US4339053A (en) | Container with attached pull tab opener and indicator | |
IE801711L (en) | Dispensing container | |
PT79322B (en) | Opening and extraction cap | |
US4360970A (en) | Device for opening sealed food bags | |
US5292022A (en) | Closure for beverages metal containers | |
US4213215A (en) | Container opener | |
IE811129L (en) | Carry-bag | |
KR890007377Y1 (ko) | 캔용기의 개전장치 | |
JPS649174A (en) | Purchase transporter | |
US2529737A (en) | Combination detachable handle and can punch | |
US2090085A (en) | Container opener | |
USD383978S (en) | Reuseable sanitary seal for use with pop-top beverage cans | |
US2579912A (en) | Container opener | |
US3628695A (en) | Beverage container drinking spout | |
AU3622489A (en) | Opening-closing device | |
KR800000923Y1 (ko) | 개관겸용 오프너 | |
KR920008852Y1 (ko) | 개량 우유팩 | |
US2537544A (en) | Hinged, can puncturing, pitcher lid with extension forming and engaging handle | |
KR900006183Y1 (ko) | 원타치 오푼링 병마개 | |
JPS604937Y2 (ja) | 開封容器 | |
ES283197U (es) | Dispositivo para la apertura de envases | |
KR920002862Y1 (ko) | 공기유입공이 형성된 캔용기용 유출구 | |
US2897700A (en) | Tool for removing end of collapsible walled tube | |
KR910007767Y1 (ko) | 눌름 개전식 캔용기의 내용물 유출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