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7308Y1 - Animal active toy - Google Patents

Animal active to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7308Y1
KR890007308Y1 KR2019840010643U KR840010643U KR890007308Y1 KR 890007308 Y1 KR890007308 Y1 KR 890007308Y1 KR 2019840010643 U KR2019840010643 U KR 2019840010643U KR 840010643 U KR840010643 U KR 840010643U KR 890007308 Y1 KR890007308 Y1 KR 8900073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ear
beak
piece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064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60001390U (en
Inventor
노리유기 고구지
Original Assignee
이와야 가부시기 가이샤
이와야 히로 가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와야 가부시기 가이샤, 이와야 히로 가츠 filed Critical 이와야 가부시기 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13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390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73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308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3/00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 A63H13/02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imitating natural actions, e.g. catching a mouse by a cat, the kicking of an anim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3/00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 A63H13/005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with self-moving head or faci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28Arrangements of sound-producing means in dolls; Means in dolls for producing sound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동물 활동 완구Animal activity toys

제1도는 본 고안 동물 활동 완구의 사시도.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nimal activity toy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도 동물 활동 완구의 일부 절개 측면도.FIG. 2 is a side view of a partial incision of the FIG. 1 animal activity toy. FIG.

제3도는 제2도 몸통체틀의 한쪽을 떼어낸 측면도.3 is a side view of one side of the body frame of FIG.

제4도는 제3도의 정면도.4 is a front view of FIG.

제5도는 제4도에서의 A-A선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제6도는 제4도에서의 B-B선 단면도.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제7도는 날개쭉지편 부착부의 측면도.7 is a side view of the wing abutment piece.

제8도는 제7도에서의 C-C선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제9도는 제7도에서의 몸통체틀의 일부 사시도.9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torso frame in FIG.

제10도는 본 고안 동물활동 완구의 구동기구 분해 사시도.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rive mechanism of the animal activity toy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1도 및 제12도는 목체틀의 작동 설명도.11 and 12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wooden frame.

제13도 내지 제17도는 캠기구의 작동 설명도.13 to 17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cam mechanism.

제18도 내지 제27도는 목 요동편의 작동 설명도이다.18 to 27 are diagrams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the neck swinging piec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동물완구체 2 : 몸통체틀1: animal toy 2: body frame

3 : 머리체틀 4 : 목체틀3: head frame 4: neck frame

5 : 부리체 6 : 기구틀5: beak body 6: framework

7 : 전지케이스 8 : 전지7: battery case 8: battery

9 : 덮개판 10 : 걸림편9: cover plate 10: locking piece

11 : 자리잡기 돌출편 12 : 수직판11: positioning projection 12: vertical plate

13 : 회전체 14 : 플랜지13: rotating body 14: flange

15 : 스페이서 16 : 걸림편15: spacer 16: locking piece

17 : 연동횡막대 18 : 연결편17: interlocking bar 18: connection

19 : 코일스프링 20 : 갈고리편19: coil spring 20: hook hook

21 : 횡축 22 : 회동편21: Horizontal axis 22: Rotating piece

23 :안내구멍 24 : 아래부리23: guide hole 24: beak

25 : 돌출편 26 : 핀25: protrusion 26: pin

27 : 지지축 28 : 윗부리27: support shaft 28: upper beak

29 : 코일스프링 30 : 견인띠29: coil spring 30: tow band

31 : 가이드 32 : 안내구멍31: guide 32: guide hole

33 : 코일스프링 34 : 입개폐레버33: coil spring 34: opening and closing lever

35 : 횡축 36 : 코틀35: horizontal axis 36: bottle

37 : 눈알 38 : 절결홈37: Eyeball 38: Notch Groove

39 : 걸림편 40 : 날개쭉지 부착틀39: hanging piece 40: wing frame attachment

41 : 걸어맞춤요입부 42 : 수직형상부41: engaging recess 42: vertical shape

43 : 걸어맞춤 돌출편 44 :수평형상부43: engaging protrusion 44: horizontal shape

45 : 날개쭉지편 46 : 압력받음편45: wings apex 46: pressure receiving piece

47 : 코일스프링 48 : 전동기47: coil spring 48: electric motor

49 : 스위칭소자 49a : 레버49 switching element 49a lever

50 : 멜로디 발생장치 51 : 스피커50: melody generator 51: speaker

52 : 출력축 53 : 피니언52: output shaft 53: pinion

54 : 치차연동기구 55 : 입력치차54: gear interlocking mechanism 55: input gear

56 : 동력중계치차 57 : 변환치차56: power relay gear 57: conversion gear

58 : 미끄럼 동작축 59 : 슬라이드 카바58: sliding motion axis 59: slide cover

60 : 압력받음부 61 : 코일스프링60: pressure receiving portion 61: coil spring

62 : 회전축 63 : 작동치차62: rotation axis 63: working gear

64 : 캠반 65 : 연동축64: cam panel 65: interlocking shaft

66 : 연동 치차 67 : 캠반66: interlocking gear 67: cam van

68 : 출력치차 69 : 회전축68: output difference 69: axis of rotation

70 : 가동(可動)클러치기어 71 : 회동축70: movable clutch gear 71: rotating shaft

72 : 클러치 73 : 고정클러치기어72: clutch 73: fixed clutch gear

75 : 스톱퍼 76 : 코일스프링75: stopper 76: coil spring

77 : 동력전달치차 78 : 회동반77: power transmission gear 78: rotation group

79 : 연동막대 80 : 회전축79: interlocking rod 80: rotation axis

81 : 수동치차 82 : 연동치차81: manual gear 82: interlocking gear

83 : 목 요동편 84 : 안내구멍83: neck swing 84: guide hole

85 : 통공 86 : 캠원반85: through hole 86: cam disc

87 : 압압평면부 88 : 걸어맞춤 요입부87: pressing flat portion 88: engaging recess

89 : 압압면부 90 : 안내경사면89: pressing surface 90: guide inclined surface

91 : 목 요동캠 92 : 걸어맞춤부91: Throttle rocking cam 92: Hanging part

93 : 압동부 94 : 걸어맞춤면부93: pushing part 94: engaging surface part

95 : 압동막대 96 : 기단부95: pressure rod 96: proximal end

97 : 수동막대부 98 : 압동막대부97: manual bar part 98: pressure bar part

99 : 걸어맞춤면부 100 : 단자부99: engaging surface portion 100: terminal portion

본 고안은 동물활동 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백조등의 원하는 동물의 형태를 모방하여 형성한 것으로, 주로 젖먹이를 대상으로 한 것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imal activity toy, for example, is formed by mimicking the shape of the desired animal, such as swans, mainly relates to suckling.

종래에 젖먹이를 대상으로 하는 완구는 지금까지 여러 종류의 것이 제안 되었으나, 그중 많은 것은, 예를들면 젖먹이가 손으로 잡고 그것을 흔들어 소리를 내는 소리내기 장난감, 베갯머리에 놓는 것으로는, 바닥에 추를 부착한 오똑이 인형종류, 걸어 늘어뜨리는 종류의 것으로는 회전목마와 같은 것이 일반적이었다.Conventionally, there have been several types of toys for infants, but many of them have been put on the floor by placing them on pillows, for example, squeezing toys that are held by hands and shaking them. The type of dolls attached and hanging down were common such as merry-go-round.

종래의 젖먹이용 완구는, 대개 상기와 같은 종류의 것에 한정되는 것으로, 신제품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Conventional baby toys are generally limited to those of the same kind as described above, and development of new products is desired.

본 고안은 이러한 요망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없었던 주로 젖먹이용 동물 활동완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완구체를 젖먹이가 흥취감을 가지는 형태로 함과 동시에, 그 형태를 변환시켜 그 변화성에 의하여 보다 높은 흥취감을 야기시키도록 하고, 또한, 그 변화가 강한 자극을 주는 일없이 안정감을 주도록한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in view of such a demand, and is intended to provide animal feeding toys mainly for infants, which were not previously known. It aims to cause higher interest, and to give a sense of stability without giving a strong stimulus.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몸통체틀(2)에 목체틀(4)을 요동이 자유롭게 연설하고, 원하는 동물의 형태를 모방한, 동물완구체(1)를 형성하고, 이 동물완구체(1)의 상기 몸통체틀(2)에 상기 목체틀(4)을 좌우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목 요동편(83)을 설치하고, 상기 몸통체틀(2)에 상기 목체틀(4)을 상하 방향으로 요동시키는 목 요통캠(91)을 설치하고, 상기 몸통체틀(2)에 날개 쭉지편(45)을 상하 움직임이 자유롭게끔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목체틀(4)에 부리체(5)를 벌리고 오무림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상기 날개쭉지편(45)및 상기 부리체(5)를 동기(同期)로 단속적으로는 작동하는 캠원반(86)을 상기 몸통체틀(2)에 설치하고, 상기 동물완구체(1)에 치차연동기구(54)를 사이에 두고 상기 목 요동편(83), 상기 목 요동캠(91)및 상기 캠원반(86)을 구동하는 전동기(48)를 설치하고, 이 전동기(48)에 음량조절이 자유롭게 하여 설치된 멜로디 발생장치(50)를 전기적으로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으로서, 전동기(48)를 기동하면, 치차연동기구(54)를 사이에 두고 목요동편(83), 목요동캠(91) 및 캠원반(86)이 연동하여 구동됨과 동시에, 멜로디 작동장치가 작동된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wooden frame 4 to the body frame 2 oscillating freely speaking, mimicking the shape of the desired animal, animal toy body (1), and a wooden swing piece 83 for swinging the wooden frame 4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n the trunk frame 2 of the animal toy body 1, and the trunk frame 2 While installing the neck low back pain cam 91 for swinging the wooden frame 4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vertical frame 45 is installed in the trunk frame 2 so that the vertical movement is free to move, and the wooden frame The cam disk 86 which opens | separates the beak body 5 in (4) and installs it freely, and operates the intermittent blade 45 and the beak body 5 intermittently intermittently is said It is installed in the trunk frame (2), the neck swing piece 83, the neck yoke with the gear interlock mechanism (54) interposed between the animal toy (1) A cam 91 and an electric motor 48 for driving the cam disc 86 are provided, and the melody generating device 50 provided with the volume control freely connected to the electric motor 48 is electrically connected. When the electric motor 48 is started, the swing member 83, the swing member cam 91 and the cam disk 86 are driven in conjunction with the gear interlock mechanism 54 therebetween, and at the same time, the melody operating device is operated. .

그리고 상기 목요동편(83)에 의한 좌우 방향의 회동과 목요통캠(91)에 의한 상하 방향의 회동과의 합성 작용에 의하여 목체틀(4)은 원호상의 궤적을 그리면서 선회 회동됨과 동시에 멜로디 발생장치(50)의 작동에 의하여 원하는 멜로디가 흘러 나오는 것이다.And the wooden frame 4 is rotated while drawing the arc of the arc and the melody is generated by the combined action of the left and right rotation by the wood swing piece 83 and the up and down rotation by the wood yaw barrel cam 91. The desired melody flows by the operation of the device 50.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시에서(1)은 동물완구체로서의 백조의 형태를 모방하여 형성한 완구체로서, 이 완구체(1)는, 합성수지로 형성한 몸통체틀(2), 머리체틀(3)과 일체인 목체틀(4)및 부리체(5)로서 구성되어 있다.In the city (1) is a toy formed by mimicking the shape of a swan as an animal toy, the toy (1) is a wooden frame integral with the trunk frame (2) and the head frame (3) formed of synthetic resin It is comprised as (4) and the beak body (5).

상기 몸통체틀(2)내에는 기구틀(6)이 고정되고, 이 기구틀(6)의 저부에 합성 수지제의 전지케이스(7)가 일체로 착설되고, 이 전지케이스(7)내에 전지(8)가 수납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전지케이스(7)의 저부에 덮개판(9)의 일단부가 열리고 닫힘이 자유롭게 연설되고, 이 덮개판(9)의 타단부는 전지케이스(7)의 타단부에 돌출한 걸림편(10)에 걸고 떼기가 자유롭게 걸리도록 되어 있다.A mechanism frame 6 is fixed in the body frame 2, and a battery case 7 made of synthetic resin is integrally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mechanism frame 6, and a battery ( At the same time as 8) is stored, one end of the cover plate 9 is opened and closed freely at the bottom of the battery case 7, and the other end of the cover plate 9 is provided with the other end of the battery case 7. It hangs on the latching piece 10 which protruded at the edge part, and it is made to be caught freely.

또한 상기 전지 케이스(7)의 네 모서리에는 자리잡기 돌출편(11)이 돌출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ing protrusions 11 protrude from four corners of the battery case 7.

또한, 상기 기구틀(6)의 전면의 수직판(12)에 합성수지로 중공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회전체(13)가 이것과 일체인 플랜지(14)를 사이에 두고 회동이 자유롭게끔 걸어 붙임되고, 이 회전체(13)의 외주에 링형상의 스페이서(15)가 끼워져 있음과 동시에, 이 회전체(13)의 선단부에 돌출한 평행 형상의 한쌍의 걸림편(16)에 연동 횡막대(17)가 끼워져 있다.In addition, the rotating body 13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with synthetic resin on the vertical plate 12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ramework 6 is interlocked freely with the flange 14 integrally therebetween. A ring-shaped spacer 15 is fitt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tating body 13 and interlocked horizontal rod 17 to a pair of parallel locking pieces 16 protruding from the tip of the rotating body 13. Is fitted.

또한, 상기 연동횡막대(17)에 상기 목체틀(4)의 기단부에 형성된 한쌍의 연결편(18)이 상하 방향으로의 회동이 자유롭게끔 끼워 붙임되고, 이 한쌍의 연결편(18)보다 상방부에 코일스프링(19)의 일단부가 걸려 있음과 동시에, 이 코일스프링(19)의 타단부가 상기 기구틀(6)의 전방 상부에 회동이 자유롭게끔 밑둥 붙임된 갈고리편(20)에 걸리고, 이 코일스프링(19)에 의하여 목체틀(4)은 항상 몸통체틀(2)쪽으로 힘이 가하여져 지지되고 있다.In addition, the pair of connecting pieces 18 formed on the base end of the wooden frame 4 is fitted to the interlocking bar 17 so as to be freely rotated in an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 upper portion is positioned above the pair of connecting pieces 18. At the same time as one end of the coil spring 19 is caught, the other end of the coil spring 19 is caught by the hook piece 20 which is attached to the front upper part of the mechanism frame 6 so as to rotate freely. The spring frame 19 is always supported by the force applied to the trunk frame 2 by the spring frame 4.

또한, 상기 목체틀(4)과 머리체틀(3)과의 연결 설치부에 횡축(21)이 고정되고, 이횡축(21)에 회동편(22)의 중간부가 회동이 자유롭게끔 밑둥 붙임되고, 이 회동편(22)의 선단부에 형성된 전후방향으로 길다란 안내구멍(23)내에 상기 부리체(5)에서의 아래부리(24)의 돌출편(25)에 돌출한 핀(26)이 회동이 자유롭게끔 끼워져 있다.In addition, the horizontal axis 21 is fixed to the connecting installation portion between the wooden frame 4 and the head frame 3,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rotating piece 22 is attached to the lower horizontal axis 21 so that the rotation is free. The pin 26 which protrudes in the protruding piece 25 of the lower beak 24 in the said beak 5 in the front-back direction elongate direction formed in the front-end | tip part of this rotating piece 22 is free to rotate. It is off.

또, 이 아래 부리(24)는, 상기 머리체틀(3)의 개구부에서의 하부에 지지축(27)을 사이에 두고 상하 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게끔 밑둥 붙임되고, 이 아래부리(24)는 상기 개구부에서의 상부에 고정된 상기 부리체(5)에서의 윗부리(28)에 대하여 벌리고 오므림이 자유롭게끔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Moreover, this lower beak 24 is attached to the lower part in the lower part of the opening part of the said head frame 3 so that rotation can be freely rotated up and down in the up-down direction, and this lower beak 24 is the said It is provided so as to open and close freely with respect to the upper part 28 in the said beak 5 fixed to the upper part in the opening part.

또 상기 회동편(22)의 후단부와 상기 머리체틀(3)과의 사이에 코일스프링(29)이 팽팽하게 설치되고 이 코일스프링(29)에 의하여 회동편(22)이 횡축(21)을 지지점으로 하여 힘이 가하여져 회동되고 있음과 동시에, 아래부리(24)가 지지축(27)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되고, 그리고 윗부리(28)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부리체(5)가 보통때는 입을 닫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a coil spring 29 is provided between the rear end portion of the rotating piece 22 and the head frame 3 in a tight manner, and the rotating piece 22 moves the horizontal shaft 21 by the coil spring 29. At the same time, a force is applied to the support point and the lower beak 24 is rotated with the support shaft 27 as the support point, and is installed to face the upper beak 28 so that the beak 5 is normally worn. It is supposed to close.

동시에 상기 회동편(22)의 후단부에 합성수지제인 견인띠(30)의 일단부가 걸리고, 이 견인띠(30)는 가이드(31)를 사이에 두고 목체틀(4)내를 도통하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연동횡막대(17)로부터 상기 회전체(13)의 안내홈(32)을 도통하여 상기 기구틀(6)내에 타단부를 도출한다.At the same time, one end of the towing belt 30 made of synthetic resin is caught at the rear end of the pivoting piece 22, and the towing belt 30 conducts the inside of the wooden frame 4 with the guide 31 interposed therebetween. Further, the guide groove 32 of the rotating body 13 is conducted from the interlocking bar 17 to derive the other end in the framework 6.

또한, 이 견인띠(30)의 도출된 타단부에 코일스프링(33)의 타단부가 입개폐 레버(34)의 선단부에 걸리고, 이 입개폐레버(34)의 하단부는 상기 기구틀(6)에 횡축(35)을 사이에 두고 전후 방향으로 회동이 자유롭게끔 밀봉붙임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coil spring 33 is caught on the front end of the mouth opening / closing lever 34, and the lower end of the mouth opening / closing lever 34 is pulled out from the other end of the towing belt 30. Is sealed so that rotation is freely possible in the front-rear direction with the horizontal axis 35 interposed therebetween.

또, 상기 머리체틀(3)의 얼굴부에는 코틀(36)및 눈알(37)이 설치되어 있다.The face portion of the head frame 3 is provided with a cottle 36 and an eyeball 37.

또한, 상기 몸통체틀(2)의 양측부에 대략 U자 형상의 절결홈(38)이 형성되고, 이 절결홈(38)의 근방에 걸림편(39)이 절결되어 형성되어 있다.Moreover, the substantially U-shaped cutout groove 38 is formed in the both sides of the said trunk | drum 2, and the latching piece 39 is cut-out in the vicinity of this cutout groove 38, and is formed.

또, 상기 절결홈(38)내에 날개쭉지 부착틀(40)의 걸어맞춤 요입부(41)가 상하 움직임이 자유롭게끔 끼워져 지지하여 가설되고, 이 걸어맞춤구 요입부(41)는 내측의 수직형상부(42)와 외측의 걸어맞춤 돌출편(43)으로 형성되고, 이 걸어맞춤 돌출편(43)의 외측의 수평형상부(44)에 날개쭉지편(45)의 기단부가 일체로 착설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내측의 수직형상부(42)의 하단내측부에 수평형상의 압력받음편(4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Moreover, the engagement recessed part 41 of the blade abutment attachment frame 40 is supported in the said notch groove 38 so that up-and-down movement may be inserted freely, and it is hypothesized, and this engagement hole recessed part 41 has an inner vertical shape. It is formed of the part 42 and the engagement protrusion 43 of the outer side, The base end part of the blade line 45 is integrally installed in the horizontal-shaped part 44 of the outer side of this engagement protrusion 43. At the same time, a horizontal pressure receiving piece 46 is integrally formed at the lower end inner side of the inner vertical portion 42.

또한, 상기 걸림편(39)에 코일스프링(47)의 일단부가 걸려 있음과 동시에, 이 코일스프링(47)의 타단부가 상기 압력받음편(46)의 일단부에 걸리고, 이 코일스프링(47)에 의하여 상기 날개쭉지 부착틀(40)은 힘을 받으며 탄력 지지되고 있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coil spring 47 is caught by the catching piece 39, and the other end of the coil spring 47 is caught by one end of the pressure receiving piece 46. By the wing blade attachment frame 4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force.

다음에, 상기 기구틀(6)의 후방부에 전동기(48)가 고정되고, 이 전동기(48)는 상기 전지케이스(7)의 전지(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Next, an electric motor 48 is fix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mechanism frame 6, and the electric motor 48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8 of the battery case 7.

또 상기 전동기(48)의 전원회로에 스위칭소자(49)가 삽입되고, 이 스위칭소자(49)의 레버(49a)는 상기 전지케이스(7)의 일측부에 미끄럼 동작이 자유롭게끔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witching element 49 is inserted into the power supply circuit of the electric motor 48, and the lever 49a of the switching element 49 is provided so as to slide freely on one side of the battery case 7.

또한, 상기 기구틀(6)의 후방상부에 IC에 의한 멜로디 발생장치(50)가 부착되고, 이 멜로디 발생장치(5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스피커(51)가 상기 몸통체틀(2)에 부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멜로디 발생장치(50)는 상기 전원회로에 삽입된 상기 스위칭소자(49)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In addition, a melody generating device 50 by an IC is attached to the rear upper portion of the frame 6, and a speaker 51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elody generating device 50 is attached to the body frame 2. At the same time, the melody generating device 5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witching element 49 inserted into the power supply circuit.

그리고, 이 스위칭소자(49)는 레버(49a)를, 중간부에 위치시킬때는 전원회로가 OFF로 되고, 또 레버(49a)를 중간부로 부터 일방측으로 변환시킨 경우에는 스위칭소자(49)가 작동하여 전원회로가 ON으로 되어, 전동기(48)및 멜로디 발생장치(50)가 작동하고, 또 레버(49a)를 중간부로 부터 타방측으로 변환시킨 경우에는 스위칭소자(49)가 작동하고 전원회로가 ON으로 되어, 전동기(48)및 멜로디 발생장치(50)가 작동하며, 더우기, 이 멜로디 발생장치(50)는 음량이 증폭되어 스위칭소자(49)를 일방측으로 변환하여 ON한 경우보다도 큰 음량으로 IC에 의한 멜로디가 흘러 나오도록 되어 있다.In the switching element 49, the power supply circuit is turned OFF when the lever 49a is positioned at the middle portion, and the switching element 49 is operated when the lever 49a is switched from the middle portion to the one side. When the power supply circuit is turned on to operate the electric motor 48 and the melody generating device 50, and the lever 49a is switched from the middle portion to the other side, the switching element 49 is operated and the power supply circuit is turned on. The electric motor 48 and the melody generating device 50 are operated, and furthermore, the melody generating device 50 is amplified by the volume and the IC is made louder than the case where the switching element 49 is switched to one side and turned ON. The melody by is supposed to flow out.

또한, 상기 전동기(48)의 출력축(52)에 착설된 피니언(53)에 치차연동기구(54)의 감속치차로 되는 입력치차(55)가 맞물리고, 이 치차연동기구(54)의 동력 중계치차(56)에 변환치차(57)가 걸리고 떼짐이 자유롭게끔 맞물리고, 이 변환치차(57)는 상기 기구틀(6)에 축방향의 미끄럼 동작이 자유롭게끔 굴대 걸쳐 설치된 미끄럼 동작축(58)에 고정 설치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input gear 55 which becomes the deceleration value of the gear interlocking mechanism 54 meshes with the pinion 53 installed on the output shaft 52 of the electric motor 48, and the power relay of the gear interlocking mechanism 54 is engaged. The shifting gear 57 is engaged with the gear 56 and the gear is freely engaged, and the shifting gear 57 has a sliding shaft 58 provided over the mandrel so that the sliding motion in the axial direction is freely formed on the frame 6. It is fixed to the installation.

또한, 상기 미끄럼 동작축(58)의 일방측에는 상기 변환치차(57)와 일체인 합성수지제 슬라이드카바(59)가 밖으로 끼워지고, 이 슬라이드카바(59)의 외단부에 압력받음부(60)가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slide cover 59 made of synthetic resin integral with the conversion gear 57 is fitted to one side of the sliding operation shaft 58, and a pressure receiving unit 60 is provided at an outer end of the slide cover 59. It is formed in an arc shape.

또한, 상기 미끄럼 동작축(58)의 타방측에 있어서 상기 변환치차(57)와 상기 기구틀(6)과의 사이에 코일스프링(61)이 미끄럼 동작축(58)에 감아 장착되고, 이 코일 스프링(61)에 의하여, 변환치차(57) 및 슬라이드카바(59)를 가지는 미끄럼 동작축(58)은 항상 코일스프링(61)과는 반대쪽의 바깥쪽으로 힘을 받고 있다.In addition, on the other side of the sliding shaft 58, a coil spring 61 is wound around the sliding shaft 58 between the conversion gear 57 and the mechanism frame 6 to mount the coil. By the spring 61, the sliding motion shaft 58 which has the conversion gear 57 and the slide cover 59 is always urged outwar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coil spring 61.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기구틀(6)에 회전축(62)이 회동이 자유롭게끔 옆으로 걸쳐 설치되고, 이 회전축(62)의 중간부에는 상기 변환치차(57)에 맞물린 작동치차(63)가 고정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회전축(62)의 양단부에 캠반(64)의 편심 위치가 고정 설치되고, 이 캠반(67)은 상기 입개폐레버(34)에 걸어 맞춤되어 있다.In addition, the rotating shaft 62 is installed sideways to the mechanism frame 6 so as to be free to rotate, and the operating gear 63 engaged with the conversion gear 57 is fixed to the intermediate portion of the rotating shaft 62. At the same time, the eccentric position of the cam panel 64 is fixed to both ends of the rotary shaft 62, and the cam panel 67 is engag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lever 34.

다음에, 상기 치차 연동기구(54)의 동력중계치차(56)의 일측부에 출력치차(68)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동력중계치차(56)및 출력치차(68)는 상기 기구틀(6)에 옆으로 걸쳐 설치된 회전축(69)에 회동이 자유롭게끔 설치되고, 이 출력치차(68)에 가동(可動)클러치기어(70)가 맞물리고, 이 가동클러치기어(70)는 회동축(71)에 회동 및 미끄럼 동작이 자유롭게끔 굴대 걸쳐 설치되어 있다.Next, an output gear 68 is integrally formed at one side of the power relay gear 56 of the gear interlock mechanism 54. The power relay gear 56 and the output gear 68 are formed in the mechanism frame ( 6) Rotation is provided freely on the rotating shaft 69 provided on the side, and the movable clutch gear 70 meshes with this output gear 68, and this movable clutch gear 70 is a rotation shaft ( 71) is installed over the mandrel to be free to rotate and slide.

또 이 회동축(71)의 일측부에는 상기 가동 클러치기어(70)의 클러치(72)에 걸리고 떨어짐이 자유롭게끔 맞물린 클러치(73)를 가지는 고정 클러치기어(74)가 고정 설치되고, 또, 이 회동축(71)의 타측부의 스톱퍼(75)와 상기 가동 클러치기어(70)와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71)에 코일스프링(76)이 감아 장착되고, 이 코일스프링(76)에 의하여 가동 클러치 기어(70)는 고정클러치기어(74)측으로 세력이 가하여져서, 그 상호의 클러치(72)(73)가 항상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a fixed clutch gear 74 having a clutch 73 which is engaged with the clutch 72 of the movable clutch gear 70 and is freely engaged with the fall, is fixedly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rotation shaft 71. Between the stopper 75 of the other side of the rotational shaft 71 and the movable clutch gear 70, a coil spring 76 is wound around the rotational shaft 71, and the coil spring 76 is mounted thereon. The movable clutch gear 70 exerts a force on the fixed clutch gear 74 side so that the mutual clutches 72 and 73 are always engaged.

또한, 상기 회전축(69)의 일측부에 상기 고정클러치기어(74)에 맞물린 동력 전달치차(77)가 고착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회전축(69)의 일단부에는 편심회동하는 회동반(78)이 고착되고, 이 회동반(78)의 편심위치에 연동막대(79)가 돌출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ower transmission gear 77 meshed with the fixed clutch gear 74 is fixed to one side of the rotary shaft 69, and at one end of the rotary shaft 69, the rotary disk 78 rotates eccentrically. The fixed rod is interlocked, and the interlocking rod 79 protrudes from the eccentric position of the pivoting disk 78.

또한, 상기 기구틀(6)에 회전축(80)이 회동이 자유롭게끔 옆으로 걸쳐 설치되고, 이 회전축(80)에 수동치차(81)가 일체로 고정 설치되고, 이 수동치차(81)는 상기 동력 전달치차(77)와 일체인 연동치차(82)에 맞물려 있다.In addition, the rotating shaft 80 is installed on the mechanism 6 sideways so as to be free to rotate, the manual gear 81 is integrally fixed to the rotating shaft 80, and the manual gear 81 is The interlocking gear 82 is integral with the power transmission gear 77.

또한, 상기 회전축(80)의 일단부에 상기 목체틀(4)을 좌우방향으로 요동시키는 목요동편(83)의 중간부가 회동이 자유롭게끔 지지되어 걸쳐 설치되고, 이 목요동편(83)의 후단부에 전후방향으로 긴 안내구멍(84)이 형성되고, 이 안내구멍(84)에 상기 연동막대(79)가 회동이 자유롭게끔 끼워져 있음과 동시에, 이 목요동편(83)의 선단부의 통공(85)내에 상기 연동막대(17)의 일단부가 회동이 자유롭게끔 끼워져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wooden swing piece 83 which swings the wooden frame 4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t one end of the rotary shaft 80 is provided so that rotation is freely supported, and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wooden swing piece 83. The guide hole 84 lo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formed in the front and back, and the interlocking rod 79 is rotatably inserted in the guide hole 84, and the through hole 85 of the tip portion of the neck swing piece 83 is provided. One end portion of the interlocking rod 17 is fitted in the rotation freely.

또한, 상기 회동축(80)의 타단부에 캠원반(86)이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am disc 86 is fixedly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rotation shaft 80.

이 캠원반(86)은, 내측면에서의 원주측부에 상기 변화치차(57)를 가지는 상기 미끄럼 동작축(58)의 압력받음부(60)가 걸어맞춤하여 이것을 압압하는 압압 평면부(87)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각각의 압압 평면부(87)의 사이에 상기 압력받음부(60)를 받아 들이는 바깥쪽으로 깊숙한 걸어 맞춤 요입부(88)가 형성되고, 또한 이 각각의 걸어 맞춤 요입부(88)의 사이에 상기 압압평면부(87)와 동일 평면의 압압면부(89)가 형성되고, 상기 걸어맞춤 요입부(88)는 양측부에 안내경사면(90)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The cam disk 86 has a pressing plane portion 87 in which the pressure receiving portion 60 of the sliding motion shaft 58 having the change difference 57 is engaged with the circumferential side portion on the inner side thereof and presses it. Is formed in plural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between each of the pressing plane portions 87, a hooking recess 88 deep into the outside receiving the pressure receiving portion 60 is formed. In addition, a pressing surface portion 89 of the same plane as the pressing flat portion 87 is formed between the respective engagement recesses 88, and the engaging recess 88 has guide slopes 90 at both sides. It is formed with).

그리고, 이 걸어맞춤 요입부(88)내에 코일스프링(61)에 의하여 압력받음부(60)가 돌입한 경우에 상기 변환치차(57)가 상기 동력중계치차(56)에 치합하도록 되어 있다.When the pressure receiving portion 60 enters the engagement recessed portion 88 by the coil spring 61, the conversion gear 57 meshes with the power relay gear 56.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캠원반(86)의 내측 중심부에 상기 목체틀(4)을 전후 방향으로 요동하는 목 요통캠(9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neck lower back pain cam 91 which swings the neck frame 4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integrally formed at the inner center of the cam disc 86.

이 목요동캠(91)은 가늘고 긴, 대략 부채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일측부에는 대략 직선형상의 걸어맞춤부(92)를 가짐과 동시에, 이 걸어맞춤부(92)의 양단부에는 이것과 연속한 원호형상의 압동부(93)가 형성되고, 이 양측의 압동부(93)를 연결하는 타측부에는 큰 곡률반경의 원호형상의 걸어맞춤면부(94)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This swinging cam 91 is formed in a long, substantially fan shape, and has a substantially straight engagement portion 92 on one side thereof and is continuous with this at both ends of the engagement portion 92. An arc-shaped pushing part 93 is formed, and the other side part which connects the pushing parts 93 of both sides is formed with the arc-shaped engaging surface part 94 of a large curvature radius.

또한, 상기 기구틀(6)의 전방하부에 압동막대(95)의 수평형상의 기단부(96)으로 부터 대략 직각 형상으로 굽힘형성된 수동막대부(97)가 상기 목 요동캠(91)에 걸어 맞춤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수동막대부(97)의 상단부에 상기 기단부(96)에 대략 평행형상으로 내측으로 굽힘형성된 압동막대부(98)가 상기 목체틀(4)의 걸어맞춤면부(99)에 걸어 맞춤되고, 이 걸어맞춤면부(99)는 목체틀(4)의 후측 기초부에 단턱부(100)를 사이에 두고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manual bar portion 97, which is bent in a right angle shape from the horizontal base end 96 of the pressure rod 95 at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frame 6, is engaged with the neck swing cam 91. At the same time, the pressure bar part 98 bent inwardly in a shape parallel to the base end 96 at the upper end of the manual bar part 97 is connected to the engaging surface part 99 of the wooden frame 4. This engaging surface part 99 is formed in the back base part of the wooden frame 4 through the step part 100 in between.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도면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drawings as follows.

전지케이스(7)의 근방에 설치된 스위칭소자(49)의 레버(49a)의 중간부이 OFF위치로 부터 일방측으로 미끄럼 동작하여 변환하면, 스위칭소자(49)가 작동하고, 전원회로가 ON으로 되어, 전동기(48)및 멜로디 발생장치(50)가 작동하고, 스피커(51)를 통하여 멜로디 발생장치(50)에 기억되고 있는 일정한 IC에 의한 멜로디가 흘러 나온다.When the intermediate part of the lever 49a of the switching element 49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battery case 7 slides and shifts from the OFF position to one side, the switching element 49 is activated and the power supply circuit is turned ON. The electric motor 48 and the melody generating device 50 operate, and the melody by the constant IC stored in the melody generating device 50 flows out through the speaker 51.

또한 스위칭소자(49)의 레버(49a)를 타방측으로 미끄럼 동작하여 변환하면, 상기 전동기(48)및 멜로디 발생장치(50)가 작동하여, 스피커(51)를 통하여 멜로디 발생장치(50)에 기억되어 있는 일정한 IC에 의한 멜로디가 상기의 경우에 비하여 큰 음량으로 흘러 나온다.In addition, when the lever 49a of the switching element 49 is slid to the other side and converted, the electric motor 48 and the melody generating device 50 are operated to be stored in the melody generating device 50 through the speaker 51. The melody caused by a certain IC flows out at a high volume compared to the above case.

따라서, 레버(49a)를 원하는 방향으로 변환 설정함으로서 멜로디 발생장치(50) 및 스피커(51)로 부터 발생되는 IC에 의한 멜로디의 음량이 조절된다.Therefore, the volume of the melody by the IC generated from the melody generating device 50 and the speaker 51 is adjusted by setting the lever 49a in the desired direction.

그래서, 레버(49a)의 어느쪽인가 한쪽으로의 ON설정에 의하여 계속하여 멜로디가 흘러 나온다.Therefore, the melody continues to flow out by setting ON to either side of the lever 49a.

또한, 상기의 경우에 있어서, 전동기(48)가 작동되면, 그 피니언(53)에 맞물린 입력치차(55)를 사이에 두고, 치차연동기구(54)가 연동하여 회동되고, 이 치차연동기구(54)의 출력치차(68)에 맞물린 가동 클러치기어(70)가 연동하여 회동하고, 이 가동클러치기어(70)에 상호의 클러치(72),(73)를 사이에 두고 맞물린 고정 클러치기어(74)가 회동된다.In addition, in the above case, when the electric motor 48 is operated, the gear interlock mechanism 54 is interlocked with the input gear 55 engaged with the pinion 53, and the gear interlock mechanism ( The movable clutch gear 70 meshed with the output gear 68 of 54 is rotated and interlocked, and the fixed clutch gear 74 meshed with the clutch clutches 72 and 73 mutually interposed to this movable clutch gear 70. ) Is rotated.

또한, 이 고정클러치기어(74)의 회동으로, 이것에 맞물린 동력전달치차(77)가 회동됨과 동시에, 이 동력전달치차(77)와 일체인 연동치차(82)가 회동된다.In addition, by the rotation of the fixed clutch gear 74, the power transmission gear 77 engaged with it rotates, and the interlocking gear 82 integral with the power transmission gear 77 rotates.

그리고, 이 동력전달치차(77)가 회동되면, 이 동력전달치차(77)를 고정 설치한 회전축(69)이 연동하여 회동됨과 동시에, 이 회전축(69)의 일단부에 회동반(78)을 사이에 두고 그이 편심위치에 돌출한 연동막대(79)가 편심회동된다.When the power transmission gear 77 is rotated, the rotating shaft 69 fixed to the power transmission gear 77 is interlocked with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the rotating disk 78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69. The interlocking rod 79 which protrudes in the eccentric position between them is eccentrically rotated.

또한, 이 연동막대(79)의 회동으로, 이 연동막대(79)를 긴 안내구멍(84)내에 삽입한 목 요동편(83)은, 회전축(80)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요동되고, 이 목요동편(83)의 선단부에 연계된 연동횡막대(17)는 스페이서(15)를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으로 연동되어 요동된다.Moreover, by the rotation of this interlocking rod 79, the neck swinging piece 83 which inserted this interlocking rod 79 in the long guide hole 84 is rocked in the up-down direction by making the rotating shaft 80 into the rotation center. The interlocking bar 17 connected to the distal end of the swinging piece 83 is interlock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the spacer 15 interposed therebetween.

또, 이 연동횡막대(17)의 요동으로, 이 연동횡막대(17)에 회전체(13)의 걸림편(16)을 끼우고 그 양측에 연결편(18)을 굴대 붙임한 목체틀(4)은 연동횡막대(17)를 사이에 두고, 회전체(13)를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요동된다.Moreover, the wooden frame 4 which clamped the engaging piece 16 of the rotating body 13 to this interlocking bar 17, and sticking the connecting piece 18 to both sides by this oscillation of the interlocking bar 17. ) Swings in the left-right direction with the linkage bar 17 in between.

또한, 상기 동력전달치차(77)의 회동으로, 이 동력전달치차(77)와 일체인 연동치차(82)에 맞물린 수동치차(81)가 연동하여 회동되고, 이 수동치차(81)를 고정 설치한 회전축(80)이 회동되고, 이 회전축(80)의 타단부에 일체로 고정 설치된 캠원반(86) 및 이것과 일체인 목 요동캠(91)이 회동된다.In addition, by the rot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gear 77, the manual gear 81 meshed with the interlocking gear 82 integral with the power transmission gear 77 is rotated to interlock, and the manual gear 81 is fixedly installed. One rotary shaft 80 is rotated, and the cam disk 86 fixedly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rotary shaft 80 and the neck swing cam 91 integral with the rotary shaft 80 are rotated.

그리고, 상기 목요통캠(91)의 회동으로, 그의 압동부(93)가 압동막대(95)를 압동하면, 이 압동막대(95)는 기단부(96)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전방으로 압동됨과 동시에, 그 선단부의 압동막대부(98)가 코일스프링(19)에 저항하여 걸어맞춤면부(99)를 전방으로 압동한다.In addition, when the pusher 93 pushes the push rod 95 by the rotation of the neck barrel cam 91, the push rod 95 is pushed forward with the proximal end 96 as the center of rotation. Then, the pushing rod portion 98 of the tip portion resists the coil spring 19 to push the engagement surface portion 99 forward.

또, 이 압동 막대부(98)의 작동에 의하여, 목체틀(4)은 양측의 연결편(18)을 사이에 두고, 연동횡막대(17)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앞쪽 하방으로 하강회동된다.Moreover, by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bar part 98, the wooden frame 4 is rotated downward forward and downward with the interlocking bar 17 as the center of rotation with the connecting pieces 18 on both sides interposed therebetween.

그리고, 목요동캠(91)의 회동으로 압동부(93)를 통과하여 걸어 맞춤부(92)가 압동막대(95)의 수동막대(95)의 수동막대부(97)에 닿으면, 코일스프링(19)의 복귀력에 의하여 목체틀(4)은 상승 회동된다.Then, when the engaging portion 92 touches the manual rod portion 97 of the manual rod 95 of the pressure rod 95 by passing through the pressure portion 93 by the rotation of the swinging cam 91, the coil spring The wooden frame 4 is pivoted up by the return force of (19).

따라서, 완구체(1)는, 목체틀(4)을 연동횡막대(17)를 중심으로 느릿느릿한 동작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동함과 동시에, 이것이 아울러 상하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행한다.Therefore, the toy body 1 rotates the wooden frame 4 to the left-right direction by slow motion about the interlocking transverse rod 17, and performs the same operation | movement which this also rotates to an up-down direction.

그리고, 이의 구체적인 동작 설명은 후술한다.A detailed oper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상기 목 요동캠(91)의 회동으로, 이것과 일체인 캠원반(86)이 동시에 회동되고, 미끄럼 동작축(58)의 압력받음부(60)에 대하여 이것을 코일스프링(61)에 저항하여 압압하면서 미끄럼 동작으로 회동하는 캠원반(86)의 압압평면부(87)가 그 압력받음부(60)로부터 벗어남과 동시에, 코일스프링(81)의 복귀력에 의하여 미끄럼 동작축(58)이 축방향으로 미끄럼 동작되고, 이 미끄럼 동작축(58)의 일단부에 형성된 압력받음부(60)는 압압평면부(87)에 연속한 캠원반(86)의 걸어 맞춤요입부(88)내에 그 일방측의 안내경사면(90)을 따라 돌입한다.In addition, by the rotation of the neck swing cam 91, the cam disk 86 integral with this is rotated at the same time, and the coil spring 61 is resisted by the pressure receiving part 60 of the sliding shaft 58. The pressing plane portion 87 of the cam disk 86, which rotates in a sliding operation while being pressed, is released from the pressure receiving portion 60, and the sliding shaft 58 is moved by the return force of the coil spring 81. The pressure receiving portion 60, which is slid in the axial direc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sliding motion shaft 58, is formed in the engaging recess 88 of the cam disk 86 continuous to the pressing flat portion 87. Plunge along the guide slope 90 on one side.

또, 이 압력받음부(60)의 돌입에 의하여 미끄럼 동작축(58)에 고정 설치된 변환치차(57)는 작동치차(63)에 맞물림한 채로 치차 연동기구(54)의 동력중계 치차(56)에 맞물림 된다.In addition, the conversion gear 57 fixed to the sliding shaft 58 by the inrush of the pressure receiving portion 60 is engaged with the working gear 63 while the power transmission gear 56 of the gear interlock mechanism 54 is engaged. Is interlocked.

그리고, 이 변환치차(57)가 동력중계 치차(56)를 사이에 두고, 치차연동기구(54)에 의하여 연동하여 회동되면, 이 변환치차(57)에 맞물린 작동치차(63)를 사이에 두고, 이 작동치차(63)를 고정 설치한 회전축(62)이 연동하여 회동하고, 이 회전축(62)의 양단부에 고정 설치된 캠반(64)이 회동됨과 동시에, 이 캠반(64)의 편심회동으로, 날개쭉지 부착틀(40)의 압력받음편(46)을 코일스프링(47)에 저항하여 압압하고, 날개쭉지 부착틀(40)이 그의 걸어맞춤요입부(41)에 있어서, 몸통체틀(2)의 절결홈(38)을 지지점으로 하여 상하로 회동되어, 따라서 이 날개쭉지 부착틀(40)의 수평 형상부(44)에 기단부를 고정 설치한 날개쭉지편(45)은 상하로 회동되고, 날개쭉지를 상하로 움직여 날개짓을 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나타낸다.When the conversion gear 57 is rotated with the power relay gear 56 interposed by the gear interlock mechanism 54, the conversion gear 57 is interposed with the working gear 63 engaged with the conversion gear 57 therebetween. The rotary shaft 62 fixed to the working gear 63 rotates in rotation, and the cam vanes 64 fixed to both ends of the rotary shaft 62 are rotated, and at the same time by the eccentric rotation of the cam vanes 64, The pressure receiving piece 46 of the wing abutment attachment frame 40 is pressed against the coil spring 47, and the wing abutment attachment frame 40 is in the engagement recess 41, and the trunk frame 2 And the wing abutment piece 45 having the base end fixed to the horizontally shaped portion 44 of the wing abutment attachment frame 40 is rotated up and down with the notched groove 38 of the support point as the support point. Moves up and down the edges to show the same action.

또한, 상기 작동치차(63)의 회동으로, 이 작동치차(63)에 맞물린 연동치차(66)가 연동하여 회동되고, 이 연동치차(66)의 연동축(65)을 사이에 두고, 캠반(67)이 연동하여 회동된다.In addition, by the rotation of the working gear 63, the interlocking gear 66 meshed with the working gear 63 is interlocked and rotated, with the interlocking shaft 65 of the interlocking gear 66 interposed therebetween. 67) is rotated in conjunction.

그리고, 이 캠반(67)의 편심 회동으로, 이 캠반(67)에 걸어맞춤된 입개폐레버(34)는 횡축(35)을 회동중심으로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이 입개폐레버(34)의 선단부에 코일스프링(33)을 사이에 두고, 고정설치된 견인띠(30)가 진퇴 동작 된다.In the eccentric rotation of the cam panel 67, the opening / closing lever 34 engaged with the cam panel 67 rotates in the front-rear direction with the horizontal axis 35 as the rotation center, and the opening / closing lever 34 The coil spring 33 is interposed between the ends of the), and the fixed towing belt 30 is fixedly moved.

또, 이 견인띠(30)가 연동되면, 횡축(21)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회동편(22)이 코일스프링(29)에 저항하여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고, 이 회동편(22)의 선단부에 핀(26)을 사이에 두고, 회동이 자유롭게끔 걸어 붙임된 아래부리(24)는 지지축(27)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윗부리(28)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고, 부리체95)를 벌리고 오므리는 것과 같은 동작을 나타낸다.In addition, when the traction belt 30 is interlocked, the rotating piece 22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gainst the coil spring 29 with the horizontal axis 21 as the rotating center, and the tip portion of the rotating piece 22 is rotated. The lower beak 24, which is fastened freely with the pin 26 interposed therebetween, rotates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upper beak 28 with the support shaft 27 as the pivot center, and opens the beak 95. Retracting shows the same behavior.

따라서, 변환치차(57)가 동력중계치차(56)에 맞물려서 치차 연동기구(54)에 의하여 연동하여 회동하게 되면 완구체(1)는 천천히 날개쭉지를 상하로 움직여 날개짓을 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나타냄과 동시에, 부리체(5)를 벌렸다 오므렸다 하고, 멜로디를 읊는 것과 같은 동작을 나타낸다.Therefore, when the conversion gear 57 meshes with the power relay gear 56 and rotates by the gear interlocking mechanism 54, the toy body 1 slowly moves up and down the blades and performs the same operation. In addition, the operation | movement similar to opening and closing the beak 5 and opening a melody is shown.

또한, 캠원반(86)의 회동으로, 그의 걸어맞춤 요입부(88)내에 있던 압력받음부(60)가 걸어맞춤 요입부(88)의 타방측의 안내경사면(90)에 순서대로 걸어맞춤하고, 이 안내경사면(90)에 의하여 압력 받음부(60)를 압동함과 동시에, 또한 압압평면부(87)또는 압압면부(89)로 압력받음부(60)를 압동하도록 되면, 미끄럼 동작축(58)은 코일스프링(61)에 저항하여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이 미끄럼 동작축(58)에 고정설치된 변환치차(57)가 치차 연동기구(54)의 동력중계치차(56)로부터 벗어난다.In addition, in the rotation of the cam disk 86, the pressure receiving portion 60 in the engaging recess 88 is engaged with the guide inclined surface 90 on the other side of the engaging recess 88 in order. When the pressure receiving part 60 is pressed by the guide inclined surface 90 and the pressure receiving part 60 is pressed by the pressing flat part 87 or the pressing surface part 89, the sliding shaft ( 58 is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against the coil spring 61, and the conversion gear 57 fixed to the sliding motion shaft 58 deviates from the power relay gear 56 of the gear interlock mechanism 54. As shown in FIG.

그리고, 변환치차(57)가 연동되지 않게 되기 때문에, 작동치차(63)및 연동치차(66)가 연동하여 회동되지 않고, 따라서 양측의 날개쭉지편(45)의 상하 움직임 동작 및 부리체(5)의 개폐 동작이 중지된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rsion gear 57 is not interlocked, the working gear 63 and the interlocking gear 66 are not rotated in conjunction with each other, so that the up-and-down movement and the beaked body 5 of the apex 45 on both sides are performed. )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is stopped.

이와같이, 캠원반(86)의 압압평면부(87), 압압면부(89)및 걸어맞춤 요입부(88)에 대하여 미끄럼 동작축(58)의 압력받음부(60)가 캠원반(86)의 회동에 수반하여 걸리고, 떨어지는 것에 의하여 양측의 날개쭉지편(45)및 부리체(5)는 동기로 하여 단속적으로 동작되는 것이다.Thus, the pressure receiving portion 60 of the sliding shaft 58 is pressed against the pressing plane portion 87, the pressing surface portion 89 and the engagement recessed portion 88 of the cam disc 86. It is caught along with rotation, and by falling, the apex 45 and the beak 5 of both sides operate intermittently in synchronization.

그런, 스위치를 ON상태로 설정한 경우에는 , 완구체(1)의 상기와 같은 머리 흔들동작 및 멜로디의 흐름은 연속하여 행하여 지고 있다.When such a switch is set to the ON state, the above-mentioned shaking motion of the toy body 1 and the flow of the melody are performed continuously.

다음에, 상기 목체틀(4)의 머리흔듦 동작, 부리체(5)의 개폐동작 및 날개쭉지편(45)의 상하 움직임 동작이 상호 관계를 제1도, 제11도 내지 제27도에 따라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Next, the head shaking motion of the wooden frame 4, the opening and closing motion of the beak 5, and the vertical motion motion of the blade-shape 45 in accordance with Figs. 1, 11 and 27 are shown. 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먼저, 머리흔듦동작의 이동 궤적을 부리체(5)의 선단부의 움직임에 따라 설명하면, 제1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목요동캠(91)의 회동으로 그 일방의 압동부(93)가 압동막대(95)의 수동막대부(97)를 압동하고, 그 선단부의 압동막대부(98)로 코일스프링(19)에 저항하여 목체틀(4)이 하강되고, 그 부리체(5)를 정면에서 보아 좌측 하방으로 내린 제11도에서 표시하는 낮은 위치를 동작개시의 스타아트위치(S)로 한다.First, if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head shaking motion is explain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ip portion of the beak body 5, as shown in FIG. 13, one of the pushing parts 93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swinging cam 91. The manual bar portion 97 of the pressure rod 95 is pressed, and the wooden frame 4 is lowered against the coil spring 19 by the pressure rod portion 98 of the tip portion thereof, and the beak 5 is removed. The low position shown in FIG. 11 lowered leftward from the front is made into the star art position S at the start of operation.

이 경우, 목요동편(83)은, 제18도에 표시한 바와같은 연동막대(79)에 압동 하강되어 그 선단부가 들어 올려져 있기 때문에, 그 선단위치를 스타아트위치(S)로 한다.In this case, the swinging piece 83 is pushed down on the interlocking rod 79 as shown in FIG. 18, and the tip end thereof is lifted. Therefore, the line unit value is the star art position S. FIG.

또한 이때에, 목요동편(83)의 선단에 걸어붙임된 연동막대(17)는 그 동작에 연동되어 우측으로 하강하여 기울어지고, 따라서 목체틀(4)의 머리체틀(3)은 제1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좌측으로 기울어 이동하고 있다.In addition, at this time, the interlocking rod 17 fastened to the tip of the wooden swing piece 83 is inclined to descend to the right in association with the operation, so that the head frame 3 of the wooden frame 4 is in FIG. As shown, it is tilted to the left.

동시에, 미끄럼 동작축(58)의 압력받음부(60)는, 제1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캠원반(86)의 걸어맞춤요입부(88)내에 돌출하여 그 변환치차(57)가 치차연동기구(54)의 동력중계치차(56)에 맞물리고 있다.At the same time, the pressure receiving portion 60 of the sliding shaft 58 protrudes into the engaging recess 88 of the cam disk 86, as shown in FIG. It is engaged with the power relay gear 56 of the mechanism 54.

그리고, 각부재의 상기 상태에 있어서, 압동막대(95)의 수동막대부(97)를 목요동캠(91)의 일방의 압동부(93)로 압동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이 목요동캠(91)이 회동되고, 그 일방의 압동부(93)로부터 제1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이 압동부(93)에 연속한 원호형상의 걸어맞춤면부(94)의 낮은 위치로 부터 순서대로 중간부의 높은위치로 수동막대부(97)를 압동하도록 되면, 코일스프링(19)의 복귀력에 의하여 압동막대(95)는 점점 일으켜 세워짐과 동시에, 이것에 연동하도록 목체틀(4)은 점점 상승 회동되고, 가장 낮게 경사진 자세로 부터 가장 높은 자세로 일으켜 세워지도록 회동 된다.Then, in the above state of each member, from the state in which the manual rod portion 97 of the pressure rod 95 is pressed by one of the pressure portions 93 of the wood swing cam 91, the wood swing cam 91 Is rotated, and as shown in FIG. 14 from the one pushing part 93, the high position of an intermediate part is located in order from the low position of the engaging surface part 94 of the arc shape continuous to this pushing part 93. As shown in FIG. When the manual bar portion 97 is pressed by the roller, the pressure rod 95 is gradually raised by the return force of the coil spring 19, and the wooden frame 4 is gradually rotated up and down so as to cooperate with it. It is rotated to be raised from the low inclined position to the highest position.

또한, 목요동편(83)은, 제18도에 표시하는 실선도의 스타아트 위치(S)로부터 쇄선으로 표시한 위치로 하강회동됨과 동시에, 이 하강 위치(A)로부터 재차 상승회동되어 스타아트 위치(S)와 같은 위치인 상승위치(B)로 귀환 이동된다.In addition, the wood moving piece 83 is rotated downward from the star art position S in the solid diagram shown in FIG. 18 to the position indicated by the dashed line, and is pivoted up again from this lowered position A, and thus the star art position. It moves back to the ascending position B which is the same position as (S).

따라서, 부리체(5)는, 제1도 및 제11도에 표시한 가장 낮은 자세인 스타아트 위치(S)로 부터 정면에서 보아 점점 우측상방으로 원호를 그리는 것처럼 이동해가면서 상승 회동함과 동시에, 목요동편(83)이 하강위치(A)로부터 상승위치(B)로 향하는 시점으로부터 점점 좌측 상방으로 원호를 그리는 것처럼 이동해가면서 상승 회동하고, 그래서 목요동 캠(91)의 원호형상의 걸어맞춤면부(94)의 가장 높은 위치로 수동막대부(97)를 압동하도록 됨과 동시에, 목요동편(83)이 상승위치(B)에 도달한 시점에서 부리체(5)는 가장 높은 위치에 도달하고, 이 부리체(5)는 대략 반타원 형상의 상승궤적(가)을 그리면서 최고 위치에 도달한다.Accordingly, the beak 5 moves upward while moving upward as if drawing an arc upward and upward from the front view from the star art position S, which is the lowest posture shown in FIGS. 1 and 11, From the point of time when the swinging piece 83 moves from the lowering position A to the rising position B, the swinging piece 83 moves upward as if drawing an arc, and thus the arc-shaped engaging surface portion of the swinging cam 91 is formed. The manual bar portion 97 is pushed to the highest position of 94), and at the time when the swinging piece 83 reaches the raised position B, the beak 5 reaches the highest position, and this beak The sieve 5 reaches the highest position while drawing the ascending trajectory of the semi-ellipse shape.

또한 이때, 미끄럼 동작축(58)의 압력받음부(60)는, 캠원반(86)의 회동으로, 스타아트 시점의 걸어맞춤요입부(88a)를 통과하고, 압압평면부(87)에 의하여 압동됨과 동시에 이 압압평면부(87)에 의하여 압동됨과 동시에 이 압압평면부(87)를 타고 넘어서 제1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두번째의 걸이맞춤 요입부(88b)내에 돌출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따라서 부리체(5)의 개폐동작 및 날개쭉지편(45)의 상하 움직임 동작(a)은, 부리체(5)의 상승궤적(가)의 개시 직후로 부터와, 상승궤적(가)의 종기(終期)직전경으로 부터의 2회에 걸쳐서 소정의 시간동안 행하여지는 것으로 된다.At this time, the pressure receiving portion 60 of the sliding shaft 58 passes through the engaging recess 88a at the time of the star art in the rotation of the cam disk 86, and is pressed by the pressing flat portion 87. At the same time, it is pushed and pressed by the pressing flat portion 87 and over the pressing flat portion 87 to protrude into the second engagement recessed portion 88b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opening-closing operation of the beak 5 and the up-down movement a of the apex 45 are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the rising trajectory (a) of the beak 5 and the end of the rising trajectory (a). (Iii) It is to be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two times from the immediately preceding mirror.

다음에, 목요동캠(91)이 다시 회동되어 그 원호형상의 걸어맞춤면부(94)의 중간부 높은 위치로부터 점점 타방의 압동부(93)로 향하는 원호형상면부로 수동막대부(97)를 압동하도록 되면, 이 압동막대(95)는 재차 전방으로 압동됨과 동시에 이것에 연동되도록 목체틀(4)은 점점 하강회동되어, 가장 높은 자세로 부터 가장 낮은 자세로 향하여 회동된다.Next, the wood swing cam 91 is rotated again, and the manual bar portion 97 is moved from the high position of the middle portion of the arc-shaped engaging surface portion 94 to the arc-shaped surface portion gradually directed to the other pressing portion 93. When pushed, the push rod 95 is pushed forward again and at the same time, the wooden frame 4 is rotated downward so as to interlock with it, and is rotated from the highest posture to the lowest posture.

또한, 목요동편(83)은, 제19도에 표시한 실선도의 상승위치(B)로 부터 쇄선으로 표시한 위치로 하강회동됨과 동시에, 이 하강위치(C)로 부터 재차 상승 회동되어 스타아트한 상승위치(B)와 같은 위치인 상승위치(D)에 귀환회동된다.In addition, the swing piece 83 is rotated downward from the rising position B of the solid line diagram shown in FIG. 19 to the position indicated by the dashed line, and at the same time, it is rotated upward again from this lowering position C to be star art. The feedback rotation is performed to the rising position D which is the same position as the rising position B. FIG.

따라서, 부리체(5)는 제1도 및 제11도에 표시한 가장 높은 자세인 스타아트 위치(S)와 같은 위치인 상승위치(B)로 부터 점점 우측하방으로 원호를 그리는 것처럼 이동해 가면서 회동함과 동시에, 목 요동편(83)이 하강위치(C)로 부터 상승위치(D)로 향하는 시점으로 부터 점점 좌측하방으로 원호를 그리는 것처럼 이동해 가면서 하강회동하고, 그래서, 제1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목 요동캠(91)의 걸이맞춤면부(94)로 부터 타방의 압동부(93)로 수동막대부(97)를 압동 하도록 됨과 동시에, 목 요동편(83)이 상승 위치(D)에 도달한 시점에서 부리체(5)는 가장 낮은 위치에 도달하고, 이 부리체(5)는 대략 반타원 형상의 하강궤적(나)를 그리며 최저 위치에 도달한다.Accordingly, the beak 5 rotates while moving from the rising position B, which is the same position as the star art position S, which is the highest posture shown in FIGS. At the same time, the neck swing piece 83 moves downward as it draws an arc from the lowered position C to the raised position D and gradually moves downward a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manual bar portion 97 is squeezed from the hook fitting surface portion 94 of the neck swing cam 91 to the other pressing portion 93, and the neck swing piece 83 is moved to the raised position D. At the point of arrival, the beak 5 reaches the lowest position, and the beak 5 reaches the lowest position, drawing a descent trajectory (b) of approximately semi-ellipse shape.

따라서, 상기 상승궤적(가)및 상기 하강궤적(나)의 합성에 의하여 전체적으로는 부리체(5)는 편평형상으로 대략 八자 형상의 회행(回行)궤적을 그리며 회동하는 것이다.Therefore, by combining the rising trajectory (a) and the falling trajectory (b), the beak 5 as a whole is rotated while drawing a substantially eight-shaped trajectory in a flat shape.

또 이때에, 미끄럼 동작축(58)의 압력받음부(60)는, 캠원반(86)의 회동으로 두번째 및 세번째의 걸어맞춤 요입부(88b),(88c)를 통과하여 세번째의 걸어맞춤 요입부(88c)에 계속하여 압압 평면부(87)에 타고 올려지기 때문에, 따라서 부리체(5)의 개폐동작 및 날개쭉지편(45)의 상하 움직임 동작(a)은, 부리체(5)의 하강궤적(나)의 종기전에 소정시간동안 행하여지는 것으로 된다.At this time, the pressure receiving portion 60 of the sliding shaft 58 passes through the second and third engagement recesses 88b and 88c by the rotation of the cam disk 86, and then the third engagement yaw. Since it is mounted on the pressing plane portion 87 after the mouth portion 88c,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beak 5 and the vertical movement motion a of the apex 45 are therefore performed by the beak 5. It is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before the end of the falling trajectory (b).

다음에, 목요동캠(91)이 더욱 회동되어, 그 타방의 압동부(93)로부터 대략 직선인 걸어맞춤부(92)로 수동막대부(97)를 압동하도록 되면, 코일스프링(19)의 복귀력에 의하여 이 압동막대(95)는 점점 일으켜세워짐과 동시에 이것에 연동되도록 목체틀(4)은 점점 상승 회동되어, 가장 낮게 경사진 자세로 부터 중간 위치의 자세로 일으켜지게 회동된다.Next, when the wood swing cam 91 is further rotated to push the manual bar portion 97 from the other pressing portion 93 to the substantially straight engagement portion 92, the coil spring 19 By the return force, the push rod 95 is raised and at the same time, the wooden frame 4 is gradually rotated so as to be linked to it, and is rotated to be raised from the lowest inclined posture to an intermediate position.

또한, 상기 목요동편(83)은, 제21도에 표시한 실선도의 상기 중간위치(F)로 부터 계속 상방의 쇄선으로 표시한 상승위치(G)로 상승됨과 동시에, 이 상승위치(G)로 부터 재차 하강되어 하방의 쇄선으로 표시한 하강위치(H)로 귀환 회동 된다.Further, the swinging piece 83 is raised from the intermediate position F in the solid line diagram shown in Fig. 21 to the ascending position G, which is indicated by the chain line upward, and at the same time, this rising position G It descends again from and returns to the lowered position (H) indicated by the downward chain line.

따라서, 부리체(5)는 제1도 및 제11도에 표시한 가장 낮은 자세인 스타아트 위치(S)와 같은 위치인 상승위치(D)로부터 점점 우측 상방으로 원호를 그리는 것처럼 이동해 가면서 회동함과 동시에 목요동편(83)이 하강위치(E)로 부터 중간(F)로 향하는 시점으로 부터 점점 좌측으로 원호를 그리는 것처럼 대략 수평이동하고, 그래서 제16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목요동캠(91)의 걸어맞춤부(92)로 수동막대부(97)를 압동하도록됨과 동시에, 목요동편(83)이 중간위치(F)에 도달한 시점에서 부리체(5)는 중간 위치에 달하고, 이 부리체(5)는 대략 우측반원 형상의 상승궤적(다)로 그리며, 또, 목요동편(83)이 중간위치(F)로 부터 상승위치(G)를 거쳐서 재차 하강위치(H)에 도달한 시점에서 부리체(5)는 가장 낮은 위치에 도달하고, 이 부리체(5)는 대략 좌측 반원형상의 하강궤적(라)을 그린다.Accordingly, the beak 5 rotates while moving from the rising position D, which is the same as the star art position S, which is the lowest posture shown in FIGS. 1 and 11, to the right upward. At the same time, the wood moving piece 83 moves approximately horizontally as if drawing an arc gradually to the left from the time point toward the middle F from the lowered position E, so as shown in FIG. The manual bar portion 97 is pushed by the engaging portion 92 of the 91 and at the same time the bent body 5 reaches the intermediate position when the swinging piece 83 reaches the intermediate position F. The beak body 5 is drawn in a substantially right semicircular rising trajectory (C), and the wooden swing piece 83 has reached the lowering position H again from the intermediate position F through the rising position G. At this point, the beak 5 reaches its lowest position, and the beak 5 is in the lower left semicircular downward trajectory ( ) Draws.

따라서, 상기 상승궤적(다)및 상기 하강궤적(라)의 합성에 의하여 전체적으로는 부리체(5)는 대략 타원형상의 회행궤적을 그리며 회동하는 것이다.Therefore, by combining the rising trajectory (d) and the falling trajectory (d), the beak 5 as a whole rotates while drawing a trajectory of a substantially elliptical shape.

또한 이때, 미끄럼 동작축(58)의 압력받음부(60)는, 캠원반(86)의 회동으로, 압압평면부(87)를 미끄럼 운동하여 이것을 통과하고 이 압압평면부(87)에 계속하여 네번째의 걸어 맞춤 요입부(88b)내에 돌입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따라서 부리체(5)의 개폐동작 및 날개쭉지편(45)의 상하 움직임 동작(a)은, 부리체(5)가 중간위치에 도달할때, 즉 상승궤적(다)으로 부터 하강궤적(라)으로 이동해 가는 소정의 시간동안 행하여 진다.At this time, the pressure receiving portion 60 of the sliding operation shaft 58 slides the pressing flat portion 87 in the rotation of the cam disc 86, passes through the pressing flat portion 87, and continues to the pressing flat portion 87. Since the fourth indentation portion 88b enters into the fourth recess,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beak 5 and the vertical movement motion a of the apex 45 are therefore performed in the intermediate position. When it arrives, that is, during the predetermined time moving from the rising trajectory (d) to the falling trajectory (d).

다음에, 목요동캠(91)이 더욱 회동되어, 그의 걸어맞춤부(92)로부터 재차 일방의 압동부(93)로 수동막대부(97)를 압동하도록 되면, 재차 제13도에 표시한 상술한 각종 각양의 동작을 하도록 되고, 그리고, 그것 이후는 상술한 각종동작으로 순서대로 이동해 가는 것이다.Next, when the swinging cam 91 is further rotated and the manual bar portion 97 is pushed from the engaging portion 92 to the one pushing portion 93 again, the above-described details shown in FIG. Various kinds of operations are performed, and after that, they move in order to the various operations described above.

다음에, 제12도에 표시한 부리체(5)의 낮은 위치를 동작 개시의 스타아트 위치(S)로 하는 경우에는, 제2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목요동편(83)은 실선도의 스타아트 위치(S)로 부터 쇄선으로 표시한 위치로 상승 회동됨과 동시에, 이 상승위치(I)로 부터 재차 하강 회동 되어 스타아트 위치(S)와 같은 위치인 하강위치(J)로 귀환 회동된다.Next, when setting the low position of the beak 5 shown in FIG. 12 as the star art position S of the start of operation, as shown in FIG. 23, the wooden swing piece 83 is a solid diagram. At the same time, the ascending rotation is performed from the star art position S to the position indicated by the dashed line, and at the same time, the descending rotation is rotated again from the ascending position I and returned to the descending position J which is the same position as the star art position S. .

이것에 의하여, 부리체(5)는 제1도 및 제1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정면으로 부터 보아 우측하방으로 부터 좌측상방으로 원호를 그리는 것처럼 이동해가면서 상승 회동함과 동시에, 목요동편(83)이 상승 위치(I)로 부터 하강위치(J)로 향하는 시점에서 점점 우측 상방으로 원호를 그리는 것처럼 이동해 가면서 상승 회동되고, 이때에 목요동캠(91)은, 상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회동 동작하기 때문에 부리체(5)는 가장 높은 위치에 도달하고, 이 부리체(5)는 상기의 경우와 역방향의 대략 반타원형상의 상승궤적(마)을 그리며 최고 위치에 도달한다.Thereby, as shown in FIGS. 1 and 12, the beak 5 moves upward while moving upward as if drawing an arc from the lower right side to the upper left side as seen from the front, and at the same time, the swing piece 83 At the time point from the rising position (I) to the falling position (J), it moves upward as it draws a circular arc upward and to the right and upwards, and at this time, the swinging cam (91) rotates as in the case described above. The beak 5 reaches the highest position, and the beak 5 reaches the highest position, drawing a rising trajectory (e) of approximately semi-ellips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bove case.

또한, 이경우, 캠원반(86)의 회동으로, 상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승궤적(마)의 개시 직후로부터와, 상승궤적(마)의 종기 직전경으로 부터의 제2회에 걸려 부리체(5)의 개폐동작 및 날개쭉지편(45)의 상하 움직임동작(a)이 소정 시간동안 행하여 진다.In this case, the cam disk 86 is rotated so that the beak body 5 is caught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the ascending trajectory (e) and the second time from the immediately preceding end of the ascending trajectory (e). ) And the up-and-down movement (a) of the wing apex 45 are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또한, 제2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목요동편(83)은, 계속하여 실선도의 상기 하강 위치(J)로 부터 쇄선으로 표시한 위치로 상승 회동 됨과 동시에, 이 상승위치(K)로 부터 재차 하강회동 되어 상기 하강위치(J)와 같은 위치인 하강위치(L)에 귀환 회동된다.Moreover, as shown in FIG. 24, the wood swing piece 83 continues to rotate up to the position shown by the dashed line from the said lowered position J of a solid diagram, and from this raised position K, It is rotated down again and it returns to the falling position L which is the same position as the said falling position J.

이것에 의하여, 부리체(5)는, 제1도 및 제1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정면으로 부터 보아 우측 상방으로 부터 좌측 하방으로 원호를 그리는 것처럼 이동해 가면서 하강 회동함과 동시에, 목요동편(83)이 상승 위치(K)로 부터 하강 위치(L)로 향하는 시점에서 점차 우측 하방으로 원호를 그리는 것처럼 이동해 가면서 하강 회동하고, 이때에 목요동캠(91)은, 상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회동 동작하기 때문에, 부리체(5)는 상기의 경우와 역방향인 대략 반 타원형상의 하강 궤적(바)을 그리며 가장 낮은 위치에 도달한다.Thereby, as shown in FIGS. 1 and 12, the beak 5 moves downward while moving as if it draws an arc from the upper right side to the lower left side as seen from the front, and at the same time, the wooden swing piece 83 At the point of time from the rising position K to the lowering position L, the motor rotates downward while gradually moving like a circular arc downward to the right, and at this time, the swinging cam 91 rotates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 case. Therefore, the beak 5 reaches the lowest position, drawing a downward trajectory (bar) of approximately half elliptical shape in the reverse direction to the above case.

또 이때, 하강궤적(바)의 종기전에 부리체(5)의 개폐동작 및 날개쭉지편(45)의 상하 움직임 동작(a)이 행하여 진다.At this time,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beak 5 and the vertical movement operation (a) of the wing apex 45 are performed before the end of the falling trajectory (bar).

따라서, 상기 상승궤적(마) 및 상기 하강궤적(바)의 합성에 의하여 전체적으로는 부리체(5)는 편평형상이고, 또한 상기의 경우와 역방향이고 대략 八자형상의 회행궤적을 그리면서 회동하는 것이다.Therefore, by combining the rising trajectory (e) and the falling trajectory (bar), the beak 5 as a whole is rotated while drawing a trajectory having a flat shape and a reverse shape and an approximately eight-shaped traverse.

또한 이때에, 캠원반(86)의 회동으로, 상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승궤적(마)의 개시 직수로 부터와, 상승궤적(마)의 종기 직전경으로 부터의 2회 및 하강궤적(바)의 종기전에 있어서 부리체(5)의 개폐동작과 날개쭉지편(45)의 상하 움직임 동작(a)이 소정의 시간동안 행하여 진다.At this time, in the rotation of the cam disk 86, as in the case described above, two times from the start number of the rising trajectory (e) and from the immediately preceding end of the rising trajectory (e) and the falling trajectory (bar). Before the end of time,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beak 5 and the vertical movement operation a of the wing abutment 45 are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다음에, 제2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목요동편(83)은 계속하여 실선도의 상기 하강위치(L)로 부터 상방의 쇄선으로 표시한 상방 위치로 상승 회동됨과 동시에 이 상승 위치(M)로 부터 재차 하강회동 되어 스타아트한 하강위치(L)과 상승위치(M)와의 대략 중간부의 중간위치(N)에 귀환 회동된다.Next, as shown in FIG. 25, the wood swing piece 83 continues to rotate upward from the lowered position L in the solid diagram to the upper position indicated by the upper dashed line and at the same time, the elevated position M It is rotated downward again from and returns to the intermediate position (N) of the intermediate part between the star-shaped falling position (L) and the rising position (M).

또한, 상기 목요동편(83)은 제26도에 표시한 실선도의 상기 중간위치(N)로 부터 계속하여 하방의 쇄선으로 표시한 하강위치(0)에 하강됨과 동시에, 이 하강위치(0)로 부터 재차 상승되어 상방의 쇄선으로 표시한 상승위치(P)에 귀환 회동된다.Further, the wooden swing piece 83 descends from the intermediate position N in the solid line diagram shown in FIG. 26 to the lowered position 0 indicated by the downward chain line, and at the same time, the lowered position 0 It rises again from, and returns to the rising position P indicated by the upper chain line.

따라서, 부리체(5)는, 제1도 및 제12도에 표시한 가장 낮은 자세인 스타아트 위치(S)와 같은 위치인 하강위치(L)로부터 점점 좌측상방으로 원호를 그리는 것처럼 이동해 가면서 회동함과 동시에, 목요동편(83)이 상승위치(M)로 부터 중간위치(N)로 향하는 시점으로 부터 점점 우측으로 원호를 그리는 것처럼 대략 수평이동하고, 따라서 부리체(5)는 대략 좌측 반원 형상인 상승궤적(사)을 그리는 것으로 된다.Accordingly, the beak 5 rotates while moving from the lowering position L, which is the same position as the star art position S, which is the lowest posture shown in FIGS. At the same time, the moving piece 83 moves approximately horizontally as if it arced from the rising position M to the intermediate position N gradually toward the right, so that the beak 5 has a substantially left semicircular shape. It is to draw the phosphorus ascending trajectory.

또한, 목요동편(83)인 중간위치(N)로 부터 하강위치(0)를 거쳐서 재차 상승위치(P)에 도달한 시점에서, 부리체(5)는 가장 낮은 위치에 도달하고 이 부리체(5)는 대략 우측 반원형상인 하강궤적(아)을 그리는 것으로 된다.Further, at the point of reaching the rising position P again from the intermediate position N, which is the wooden swing piece 83, via the lowering position 0, the beak 5 reaches the lowest position and the beak body ( 5) draws a descent trajectory (h) that is approximately right semicircular.

따라서, 상기 상승궤적(사) 및 상기 하강궤적(아)의 합성에 의하여 전체적으로는 부리체(5)는 대략 타원형상의 회행 궤적을 그리며 회동하는 것이다.Therefore, by combining the ascending trajectory and the descending trajectory a, the beak 5 as a whole rotates while drawing a trajectory of a substantially elliptical shape.

이 경우에, 캠원반(86)의 회동으로 상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부리체(5)가 중간 위치(N)에 도달한때 즉, 상승궤적(사)으로 부터 하강궤적(아)으로 이동해가는 소정의 시간동안에 있어서 부리체(5)의 개폐동작 및 날개쭉지편(45)의 상하 움직임 동작(a)이 소정의 사간동안 행하여 진다.In this case, when the beak body 5 reaches the intermediate position N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 by the rotation of the cam disk 86, i.e., a predetermined movement from the ascending trajectory to the descending trajectory (h). During the time,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of the beak 5 and the vertical movement operation a of the flap piece 45 are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period.

그리하여, 캠원반(86), 목요동 캠(91), 목요동편(83)의 동작에 의하여 재차 상술한 각종 동작으로 순서대로 이동해 가는 것이다.Thus, the cam disk 86, the wood swing cam 91, and the wood swing piece 83 move in order in the above-described various operations again.

상기 실시예에서는 백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머리가 비교적 긴 다른 동물을 모방한 완구 체이드라도 좋은 것이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swan is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may be a toy chase that mimics another animal having a relatively long head.

본 고안에 의하면, 전동기의 기동에 의하여 치차 연동기구를 사이에 두고 목요동편 및 목요동캠이 구동 됨과 동시에, 목체틀은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의 합성 작용에 의하여 원호형상의 궤적을 그리면서 목체틀이 선회 회동되고, 그 때문에, 원하는 동물을 모방하여 형성한 동물완구체가 스무우스한 리듬으로 머리를 크게 요동하는 것과 같은 동작을 나타내고, 그 형태의 변화성에 의하여 젖먹이에게 흥취감을 야기시킬수 있으며, 또한 전동기의 기동에 의하여 캠원반이 회동 되고, 이 캠원반에 의하여 날개쭉지편 및 부리체는 동기하여 단속적으로 작동되기 때문에, 이 날개쭉지편의 상하 움직임 동작 및 부리체의 개폐 동작이 액센트로 되어, 동물 완구체의 동작이 또한 변덕이 심한 젖먹이로 하여금 더욱 흥취감을 야기시켜 젖먹이의 싫증을 방지할수가 있으며, 또한, 전동기의 기동에 의하여 멜로디 발생장치가 작동되기 때문에 동물완구체의 활동 동작시에는 미리 설정한 음량으로 소정의 멜로디가 흘러 나오고, 동물 완구체의 활동동작이 일정한 리듬으로 작동하는 것과 같은 감을 야기시켜 안정감을 부여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ood swing piece and the wood swing cam are driven with the gear interlocking mechanism interposed by the start of the electric motor, and the wood frame draws the arc-shaped trajectory by combining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nd the vertical direction. This swinging rotation causes the animal toy body formed by imitating a desired animal to behave like a big swing of the head with a rhythmic rhythm. The cam disk is rotated by the maneuver of the cam disk, and the cam disk and the beak are operated intermittently in synchronism with the cam disk, so the vertical motion of the blade and the opening / closing motion of the bill are accented. The movement of the toy can also cause the whimsy suckling to become more entertaining and prevent the suckling of the suckling. In addition, since the melody generating device is activated by the start of the electric motor, a predetermined melody flows at a predetermined volume during the action of the animal toy, and the action of the animal toy is operated in a constant rhythm. It gives a sense of stability to give a sense of stability.

더나아가, 실내의 분위기도 온화하게 할수 있는 것이다.Furthermore, the atmosphere in the room can be made mild.

Claims (1)

몸통체틀(2)에 목체틀(4)을 요동이 자유롭게끔 연설한 동물 완구체(1)와, 이 동물완구체(1)의 상기 몸통체틀(2)에 설치되고 상기 목체틀(4)을 좌우방향으로 요동하는 목요동편(83)과, 상기 몸통체틀(2)에 설치되고 상기 목체틀(4)을 상하방향으로 요동하는 목요동캠(91)과, 상기 몸통체틀(2)에 날개 쭉지편(45)을 상하 움직임이 자유롭게끔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목체틀(4)에 부리체(5)를 벌리고 오므림이 자유롭게끔 형성하며, 상기 날개쭉지편(45)및 상기 부리체(5)를 동기로 하여 단속적으로 작동시키는 캠원반(86)과, 상기 동물완구체(1)에 설치되고 상기 목요동편(83), 상기 목요동캠(91)및 캠원반(86)을 치차 연동기구(54)를 사이에 두고 구동시키는 전동기(48)와, 이 전동기(48)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음량 조절이 자유롭게끔 설치된 멜로디 발생 장치(5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활동 완구.The animal toy body (1) which gave the wooden frame (4) to the torso frame (2) freely to shake, and the body frame (2) of the animal toy (1) are installed on the body frame (4) A wooden swinging piece 83 swing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 wooden swinging cam 91 that is installed in the trunk frame 2 and swings the wooden frame 4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wings are straight on the trunk frame 2. At the same time, the upper and lower movements of the paper piece 45 are freely formed, and the beak body 5 is opened in the wooden frame 4, and the ream is formed freely, and the wing blade piece 45 and the beak body 5 are formed. The cam disc 86 for intermittently operating in synchronism with the gear, and the wooden toy piece 83, the wood oscillation cam 91 and the cam disc 86 are installed on the animal toy body 1 and the gear interlock mechanism ( 54 and an electric motor 48 for driving the same, and a melody generating device 5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motor 48 and provided with a volume control freely formed. Animal activity toys that feature.
KR2019840010643U 1984-07-26 1984-10-25 Animal active toy KR890007308Y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4-115785 1984-07-26
JP15578584A JPS6133692A (en) 1984-07-26 1984-07-26 Animal active to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1390U KR860001390U (en) 1986-02-28
KR890007308Y1 true KR890007308Y1 (en) 1989-10-25

Family

ID=156133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0643U KR890007308Y1 (en) 1984-07-26 1984-10-25 Animal active toy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133692A (en)
KR (1) KR890007308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598Y2 (en) * 1986-02-27 1992-05-18
JPS62189790U (en) * 1986-05-26 1987-12-0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133692A (en) 1986-02-17
JPH0363395B2 (en) 1991-09-30
KR860001390U (en) 1986-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130703Y2 (en)
US4402158A (en) Toy employing governor to control rate of movement of movable member
KR860002946Y1 (en) Toy imitating the action of swing
US3583098A (en) Dancing walking doll
US4073088A (en) Toy doll
GB2037172A (en) Amusement device
US3452473A (en) Toy figure having vertical reciprocating movement
DE69932602T2 (en) JUMPING TOY
US3858353A (en) Animated dancing doll
KR890007308Y1 (en) Animal active toy
US3846934A (en) Kissing doll actuated by pressure applied to lips
US3050900A (en) Toy
US4449321A (en) Crib toy
US4810226A (en) Calling device of motion toy and motion toy using said calling device
US4453339A (en) Musical rail rocker
US3754351A (en) Doll
US2978834A (en) Doll crawling mechanism
US3744182A (en) Self-propelled toy
US3295253A (en) Doll with head and eye animating mechanism
US3659379A (en) Toy robots
US3230666A (en) Doll having head animating mechanism
US1356901A (en) Toy
US3330065A (en) Doll's eye with mechanism for opening the eye in opposition to gravity
KR860002587Y1 (en) Movable animal toy
KR900001969Y1 (en) Animal to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