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7286Y1 - 음극선관용 소켓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7286Y1
KR890007286Y1 KR2019870007311U KR870007311U KR890007286Y1 KR 890007286 Y1 KR890007286 Y1 KR 890007286Y1 KR 2019870007311 U KR2019870007311 U KR 2019870007311U KR 870007311 U KR870007311 U KR 870007311U KR 890007286 Y1 KR890007286 Y1 KR 8900072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ode ray
ray tube
hole
wall
s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73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22763U (ko
Inventor
김원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성사, 최근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to KR20198700073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7286Y1/ko
Publication of KR8800227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227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72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2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92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74Devices having four or more poles, e.g. holders for compact fluorescent lamps
    • H01R33/76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 H01R33/7678Holders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dapted for axially-sliding engagement with parallely-arranged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on counterpart, e.g. electronic tube socket having a separated part for spark preventing mean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극선관용 소켓
제1도는 종래 음극선관용 소켁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대한 소켓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중 몸체에 공통어스단자를 조립한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대한 조립 상태의 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음극 선관용 소켓 2 : 몸체
3 : 외측벽 4 : 인출공
5 : 내측벽 5a : 외벽면
5b : 내벽면 6 : 단자
6a : 접점 7 : 삽입홈
8 : 구멍 9 : 고정돌기
15 : 공통어스단자 밴드 16 : 통공
17 : 돌출부 25 : 방전공극
본 고안은 칼라 영상기의 음극선관에 공급되는 과대 전압을 방전에 의해 감소시켜 음극선관을 보호할 수 있도록 방전 공극을 일체로 형성한 음극 선관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음극 선관을 과대전압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소켓에는 그 내부에 단자판과 하나의 공통 어스단자밴드로 방전공극(Spark Gap)을 형성하고 있고 이러한 방전 공극을 몸체에 형성하기 위한 부품과 설치 위치는 음극선관용 소켓의 구조와 조립 방법을 복잡하게 하거나 혹은 간단하게 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기술에 대한 실용신안 공고 82-1826호, 실용신안 공고 83-1536호를 참조하여 보면, 난연성 수지물 사출 성형시 별도의 단자편을 수지물 상하로 삽입시켜 방전 공극을 형성하여 이단자를 접점용 단자에 납땜고정하는 구성을 이루거나, 이 기술에서 발전되어 제1도와 같이 절연체인 몸체(2')에 접점단자(6')를 등 간격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공통어스단자 밴드(15')를 덮개(20)의 고정홈(21')에 끼운 상태에서 몸체(2')에 눌러 결합 고정한 구성을 이루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전 공극에 대한 구성은 일정한 스파이크 간격을 유지시키기 위한 작업 공정이 복잡하고 소요되는 부품들의 크기가 작아 효율적인 생산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을 안출한 것으로 공통어스단자 밴드의 재질이 갖는 탄성으로 몸체내에 밀착되게 하여 덮개를 복개하지 않아도 접점 단자와 일정한 방전 공극을 형성하여 구조와 조립 작업을 간단히 할 수 있게한 것으로 이를 첨부 도면과 함게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소켓의 분해사시도인 것으로 소켓(1)은 몸체(2)와 덮개(20)의 접점단자(5)와 공통어스단자 밴드(15)의 구성 결합으로 이루어니며 몸체(2)는 절연체로서 원통형으로 사출 성형하여 조립 구성물을 설치하기에 적당한 높이를 갖는 외측벽(3)과 음극 선관을 끼우기에 적당한 직경을 갖는 인출공(4)사이에 내측벽(5)을 형성한다.
내측벽(5)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외측벽의 높이보다 작고, 인출공의 직경보다 큰 직영을 갖도록 형성하여 내측벽(5)의 외벽면(5a)에 방사 형태로 접점단자 삽입용(7)을 수직으로 절개 형성하면서 접점단자의 접점직경보다 작게 형성하고 내측벽(5)의 내측벽(5b)에는 수용 구멍(8)과 고정돌기(9)를 형성하되 삽입홈의 중간위치되는 각각의 장소에 작은 직경의 수용구멍(8)을 뚫어 삽입홈과 관통하게하여 고정돌기(9)는 수용구멍(8)들 사이 위치에서 수용 구멍의 직경과 대응한 크기로 튀어나오게 형성한다.
그리고 삽입홈(7)과 일치하는 외측벽(3)의 턱 부분에 돌출부(10)를 형성하며 나사공(24)을 돌출부 사이에 형성하여 돌기부 사이로 " t-1 " 형의 접점단자(6)의 선단 절곡 부분을 후단의 접점(6a)을 삽입홈(7)에 끼워지게 한다.
소켓의 구성중 공통어스단자 밴드(15)는 탄성을 갖는 금속판에 수용구멍(8)과 고정돌기(9)의 간격 및 끼워질 수 있는 간격으로 엠보싱부(17)와 통공(16)을 형성한다.
소켓(1)의 구성중 덮개(20)는 몸체(2)보다 작게 만들되 외측벽(3)에 안착되는 크기로 만들고 중앙에는 음극 선관용 인출공(21)을 뚫고 덮개의 둘레에는 접점단자(6)삽입용 홈(22)과 통공(23)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몸체(2)의 삽입홈(7)으로 접점단자(6)의 접접(6a)부위를 끼우면 직경이 작고 절개된 형상에 의해 삽입되는 접점(6a)을 압착하면서 절곡 부위가 돌출부(10)에 끼워져 접점단자(6)의 조절 상태가 안정되며 인출공(5)부위로 공통어스단자 밴드(15)를 삽입하면 공통어스단자 밴드(15)는 자체의 탄성으로 내측벽(5)의 내벽면(5b)에 밀착되면서 통공(16)을 고정돌기(9)에 끼워져서 돌기를 열 융착하여 공통어스단자 밴드를 완전히 고정하면 엠보싱부(17)는 내측벽(5)의 수용구멍(8)으로 들어가 제4도에서와 같이 접점단자(6)와 접점(6a)과 엡보싱부(17)가 내측벽과 두께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방전공극(25)을 수용구멍(8)에서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덮개(20)는 몸체(2)상부에 씌워져 조립된 접점단자(6)가 이탈하지 않도록 나사를 통공(23)에 끼워 몸체(2)의 나사공(24)에 조여 압착하여 인출공(4)(21)을 통해 음극선관에 연결하여 음극선관에 공급되는 과대 전압을 방전에 의해 감소시켜 음극선관을 보호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몸체의 자체 구성 즉 삽입홈의 절개 형태로 접점 단자의 조립이 안정되고 내측벽에의해 공극형성용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내측벽에 뚫린 통공에서 안정된 구조의 방전 공극을 형성하는 이점이 있다.
특히, 공통어스단자 밴드의 제작과 조립이 간단하여 취급을 간편하게 할 수 있어 제작과 조립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공통어스단자는 융착으로 고정되고 접점단자는 덮개에 눌러 고정되므로 이들의 조립 구조가 매우 안정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절연체의 몸체(2)내에 복수의 단자(6)와 하나의 공통어스단자 밴드(15)를 설치하여 몸체(2)상부를 덮개(20)로 복개하는 음극선관용 소켓(1)을 형성함에 있어서, 몸체의 외측벽(3)보다 높이가 낮고, 음극선관용 인출공(4)의 직경보다 내측벽의 외벽면(5a)에 복수의 삽입홈(7)을 등 간격으로 형성하여 삽입홈 중간에 복수의 수용구멍(8)을 뚫고, 수용구멍(8)사이의 내벽면(5b)에는 고정돌기(9)를 세워서 내벽면에 밀착시키는 공통어스단자 밴드(15)의 통공(16)은 고정돌기(9)에 끼워지고 밴드의 엠보싱부(17)는 수용구멍(8)에서 단자(6)의 접점(6a)와 방전공극(25)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 선관용 소켓.
KR2019870007311U 1987-05-13 1987-05-13 음극선관용 소켓 KR8900072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7311U KR890007286Y1 (ko) 1987-05-13 1987-05-13 음극선관용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7311U KR890007286Y1 (ko) 1987-05-13 1987-05-13 음극선관용 소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2763U KR880022763U (ko) 1988-12-27
KR890007286Y1 true KR890007286Y1 (ko) 1989-10-25

Family

ID=19262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7311U KR890007286Y1 (ko) 1987-05-13 1987-05-13 음극선관용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728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22763U (ko) 198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9008A (en) Lamp socket assembly
KR890007286Y1 (ko) 음극선관용 소켓
US4382654A (en) Resilient contact support for lamp socket
US5722837A (en) Coaxial cable connector
JPS6441180A (en) Plug-in cap for lamp or reflective mirror
JPS6136975U (ja) 陰極線管ソケツト
KR860003177Y1 (ko) 스파이크 갭이 일체로된 칼라 브라운관용 소켓
US5690506A (en) Decorative lamp holder
JPH0357011Y2 (ko)
US3054083A (en) Electrical contact devices
KR830000891Y1 (ko) 소켓트에 있어서 전선 연결장치
KR910002751Y1 (ko) 폰 플럭
JPS645829Y2 (ko)
JPH024471Y2 (ko)
KR850000609Y1 (ko) 스파아크 갭(Spark Gap)이 일체로 형성된 C.P.T. 소켓
JPH0245965Y2 (ko)
KR960005003Y1 (ko) 형광등의 소켓
KR850003007Y1 (ko) 이중절연 소켓트
KR880002248Y1 (ko) 전화선 단자함
JPH0235180Y2 (ko)
JPH0115085Y2 (ko)
JPS63149070U (ko)
KR960010379Y1 (ko) 텔레비젼의 안테나 단자판용 실드박스
JPS6199365U (ko)
JPS61100885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92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