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891Y1 - 소켓트에 있어서 전선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소켓트에 있어서 전선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891Y1
KR830000891Y1 KR2019810008804U KR810008804U KR830000891Y1 KR 830000891 Y1 KR830000891 Y1 KR 830000891Y1 KR 2019810008804 U KR2019810008804 U KR 2019810008804U KR 810008804 U KR810008804 U KR 810008804U KR 830000891 Y1 KR830000891 Y1 KR 8300008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wire
lid
wire connection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100088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원
Original Assignee
이효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효원 filed Critical 이효원
Priority to KR20198100088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8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8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8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6Connections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connecting parts has projections which bite into or engage the other connecting part in order to improve the conta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Landscapes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소켓트에 있어서 전선 연결장치
제 1 도는 본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 2 도는 본고안의 종단면도.
제 3 도는 제 2 도의 A-A선 단면도.
제 4 도는 제 2 도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절결홈 4, 4' : 돌기
5 : 나봉 6 : 압지구
본 고안은 한개의 전선에 소켓트를 연결함에 있어 전선을 절단하지 않고 소켓트에 연결할 때 정확하게 연결될수 있도록한 전선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소켓트에 전선을 연결함에 있어서 전선을 절단하지 않고 소켓트의 단자와 연결되고 서로 엇비켜서 돌설된 원뿔형상의 돌기에 전선이 박히게 되는데 이때 하나의 돌기는 음극선에 삽착되고 또 다른 돌기는 양극선에 삽착되어 돌기가 음극과 양극에 연결되도록 한것으로서 전선을 절단하지 않고도 연결할 수 있게한 것이 있었으나 뚜껑을 나합할때 전선이 옆으로 밀리기 때문에 전선의 연결이 잘 안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뚜껑속에 압지구를 볼트로 나합하되 유착되게 하여 소켓트에 뚜껑을 나합하게 되면 압지구는 전선을 누르고 있고 뚜껑만 회동되기 때문에 전선의 연결이 정확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한 것이다.
소켓트(1)에 뚜껑(2)이 나합되고 소켓트(1)의 상면에 절결홈(3)을 형성하고 이 절결홈(3)의 면에는 원뿔형 돌기(4)(4')가 서로 엇비켜 입설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뚜껑(2)의 내부에는 나봉(5)에 의하여 압지구(6)를 유설하여서된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7. 7'는 단자이고, 8은 전구이며, 9는 전선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켓트(1)에 전선(9)을 연결코저 할때는 소켓트(1)의 상면에 형성된 절결홈(3)에 전선(9)을 삽착하고, 뚜껑(2)을 소켓트(1)에 나합하는데 이때 뚜껑(2)내에 나봉으로 유설된 압지구(6)를 절결홈(3) 속으로 삽통되게 하고 뚜껑(2)를 나합하면 압지구(6)는 나봉(5)에 유설되어 있기 때문에 회동하지 않고 뚜껑(2)만 회동되면서 소켓트(1)에 나합된다.
그러나 소켓트(1)의 뚜껑(2)이 나합될 때 압지구(6)가 밀리면서 전선(9)을 눌러주기 때문에 전선(9)이 원뿔형의 돌기(4)(4')에 삽착되면서 돌기(4)는 양극의 전선에 그리고 돌기(4')는 음극의 전선에 삽착되어 돌기(4)(4')는 전선(9)과 정확하게 연결되는 잇점이 있는 고안이다.

Claims (1)

  1. 소켓트(1)에 뚜껑(2)이 나합되는 공지의 것에 있어서 뚜껑(2)의 내부에는 나봉(5)에 의하여 압지구(6)를 유설하여서 된 소켓트에 있어서 전선 연결장치.
KR2019810008804U 1981-12-24 1981-12-24 소켓트에 있어서 전선 연결장치 KR8300008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8804U KR830000891Y1 (ko) 1981-12-24 1981-12-24 소켓트에 있어서 전선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10008804U KR830000891Y1 (ko) 1981-12-24 1981-12-24 소켓트에 있어서 전선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891Y1 true KR830000891Y1 (ko) 1983-06-07

Family

ID=19223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10008804U KR830000891Y1 (ko) 1981-12-24 1981-12-24 소켓트에 있어서 전선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8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636069A (en) Pin-tap lamp socket
US3118715A (en) Connector for bridging insulated wires
ES292709Y (es) Un terminal electrico con una seccion de contacto hembra o de receptaculo, de baja fuerza de insercion
GB1125830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al connectors
ATE65347T1 (de) Abspannklemme fuer einen isolierten elektrischen leiter mit einem ebenfalls isolierten tragseil.
EP0281079A3 (en) Low pressure discharge lamp
GB1282068A (en) Electrical connectors
AU556405B2 (en) Rib cage terminal
US4210378A (en) Electrical wire connection
US3585571A (en) Electric wire connector with insulation piercing means
ES288464U (es) Conectador electrico
ES484394A1 (es) Un dispositivo conectador para fusibles de cartucho
KR830000891Y1 (ko) 소켓트에 있어서 전선 연결장치
ATE29630T1 (de) Sich nicht loesende universalklemme zur realisierung von elektrischen quetschverbindungen zwischen zwei leitenden elementen.
US3594709A (en) Electric series terminal
ES287789U (es) Un dispositivo electricamente conductor
US3487354A (en) Connector for insulation covered conductors
US2459832A (en) Electrical outlet terminal
GB1191794A (en) Lamp Socket
US4309069A (en) Fused plug assembly with fuse unit having spare fuse elements
FR2389250A1 (fr) Clip de contact electrique cylindrique
DE3776870D1 (de) Steckkontakt.
EP0166115A3 (en) Female contact for solderless press-in connection
EP0102878A3 (en) A contac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KR870001579Y1 (ko) 100v/220v 겸용 플럭의 어댑터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O071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utility model]: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