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7134Y1 - 다기능실을 구비한 간냉식 냉장고의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다기능실을 구비한 간냉식 냉장고의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7134Y1
KR890007134Y1 KR2019850011502U KR850011502U KR890007134Y1 KR 890007134 Y1 KR890007134 Y1 KR 890007134Y1 KR 2019850011502 U KR2019850011502 U KR 2019850011502U KR 850011502 U KR850011502 U KR 850011502U KR 890007134 Y1 KR890007134 Y1 KR 8900071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refrigerator
damper
compartmen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15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5625U (ko
Inventor
송승섭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김용원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115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7134Y1/ko
Publication of KR8700056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56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71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7134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12Sensors measuring the inside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Defrosting Systems (AREA)
  • Control Of Temperatur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기능실을 구비한 간냉식 냉장고의 제어회로
제1도는 본 고안의 제어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냉장고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이 적용되는 냉매 가스의 순환 개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동실 2 : 다기능실
3 : 냉장실 4 : 전면판넬
9 : 독립된 냉각기 SW1, SW2 : 사용 중지 스위치
A1-A4 : 비교기 TH1, TH2, TH3 : 온도 감지센서
Q1-Q9 : 트랜지스터 7 : 댐퍼
VR1-VR3 : 온도 설정 가변저항 13 : 전자변
FF : 플립 플롭 RB1, RB2 : 베이스 저항
EDRY3 : 전자 댐퍼온 릴레이 EDRY4 : 전자 댐퍼 오프릴레이
본 고안은 냉동실과 냉장실 사이에 다기능실이 구비된 3도어 냉장고의 제어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계절의 변화에 따라 사용 상태가 많이 변화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사용자의 욕구 충족을 위하여 냉동실을 내장실로 전환시키거나 또는 냉장실을 냉동실로 전환하여 사용되도록 제어하는 절환회로는 기히 공지된 바있었으나, 이러한 것은 모두 냉동실과 냉장실만을 구비한 2도어 냉장 고에만 적용되었는바 다기능실을 갖는 3도어 냉장고에서도 상술한 기능을 갖는 냉장고가 절실히 요구되는 있다.
일예로서 냉장실을 냉동실로 또는 냉동실을 냉장실로 절환하도록 하는 "전자식 냉장고의 냉동, 냉장 절환회로" (실용신안출원 제82-9825호 공고 번허 제84-1842호)가 이미 안출된바 있었으나, 이것 역시 2도어 냉장고에만 적용될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었다.
따라서 본원 고안에서는 선출원된 84년도 특허 출원 제7809호 회로의 기본 원리를 이용하여 3냉장고에 적용되는 다기능실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냉동실 또는 냉장실로 전환시켜 사용할수 있도록 하는데 주목적을 두었다.
다른 목적은 본원 고안에 의하여 냉동실, 냉장실 및 다기능실을 모두 냉동실 또는 냉장실로 전환 사용할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본원 고안에 의하여 냉장실 및 다기능실의 기능은 정지시키고 냉동실만을 사용할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첨부된 도면에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와 같이 비교기(A1, A2)의 반전단자(-)가 접점(b, d)에 접속되고 그의 비반전단자(+)는 가변저항(VR1)의 접점(a)과 접점(c)에 각각 접속되어 구성된 온도 제어부(가) 및 자동제상 복귀 신호부(다)에서 비교기(A1, A2) 출력단을 제상 타이머(TM)와 플립플롭(FF)에 각각 연결하여 자동제상 제어부(나)를 구성시키고, 이의 출력단과 연결되는 다이오드(D1, D2)를 트랜지스터(Q1, Q2)를 통해 팬 및 콘프레셔 구동용 릴레이(CFRY1)와 제상히터 릴레이(HTRY2)에 연결시키고 그 접점(Ry1a, Ry2a)에는 콤프레서(10)와 팬(8) 및 제상히터(HT)를 연결하며, 가변저항(VR3)과 사용중지 스위치(SW2)를 병렬로서 비교기(A4)의 비반전 단자(+)에 연결하고 이의 반전단자(-)에는 냉장실(3)내에 설치되는 온도감지센서(TH3)가 연결되고, 이 비교기(A4)의 출력측과 연결되는 트랜지스터(Q9)의 콜렉터측에는 전자변 릴레이(MVRY5)를 연결하고 그 접점(Ry5a)에 전자변(13)을 접속하여 온도 제어부(바)를 구성한 통상의 냉장고 제어 회로에 있어서, 다기능실 온도제어부(라)와, 전자댐퍼 구동부(마)를 부가시킨 다기능실 온도 제어부(라)는 비교기(A3)의 비반전 단자(+)에 가변저항(VR2)과 사용중지 스위치(SW1)를 병렬 연결시키고, 반전단자(-)에는 일측이 접지된 온도감지 센서(TH2)와 공지된 자동제상제어부(나)의 플립플롭(FF)의 출력단자(Q)로 부터 연결되는 다이오드(D3)를 병렬로서 연결시켜 구성하며 다기능실 온도제어부(라)의 비교기(A3) 출력단과 연결되는 전자댐퍼 구동부(마)는 역극 성형달링턴으로 접속된 트랜지스터(Q3, Q4)의 에미터측에서, 트랜지스터(Q5)의 베이스단 저항(RB1)과, 이 트랜지스터(Q5)의 에미터측에 접속되는 전자댐퍼 오프용 릴레이(EDRY3)를 상호 병렬로 연결시키고 그 접점(Ry3a)에는 댐퍼 전자변(ED1)을 접속하며, 또한, 대칭형 달링턴으로 접속된 트랜지스터(Q6, Q7)의 에미터측에는 트랜지스터(Q8)의 베이스단 저항(RB2)과 트랜지스터(Q8)에 에미터측에 접속되는 전자댐퍼온용 릴레이(EDRY4)를 상호 병렬로 연결시키고 그 접점(Ry4a)에는 댐퍼 전자변(ED2)를 접속하여 구성한다.
미설명부호중 1은 냉동실 2는 다기능실 3은 냉장실 4는 전면판넬, 5, 9는 냉각기, 6, 7는 댐퍼, 11은 방열기, 12는 드라이어 14는 모세관 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우선 본 고안에서 냉동실(1), 다기능실(2), 및 냉장실(3)의 온도 설정은 적당한 수단에 의하여 전면판넬(4)에 설치되는 가변저항(VR1-VR3)의 임의 조정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냉동실 온도 제어부(가) 냉동실(10)의 온도를 냉장고 전면판넬(4)에서 온도 설정가변 저항(VR1)으로 조정하여 임의 설정온도에 셋팅하면 냉동실(1)에 온도 감지센서(TH1)에 의해 냉동실의 온도를 자동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가변저항(VR1)에 의해 설정된 온도보다 냉동실(1)내의 실제 온도가 상승되면 센서(TH1)는 부온도 계수의 특성으로 그 저항 값이 감소되어 전원(Vc)에 직렬로 연결된 센서(TH1)양단의 전위가 (즉 접점(b)의 전위(Vb))가 낮아져 검출된 전압이 비교기(A1)의 비반전단자(+)로 입력이 된다.
그러면 비교기(A1)는 임의로 설정된 온도 설정가변저항(VR1)의 전원(즉 접점(a) 의 전위(Va))와 비교하게 된다.
따라서 접점(a)의 전위가 접점(b)의 전위보다 크므로 이 비교기(A1)는 하이 레벨의 전위가 출력되어져 다이오드(D1)를 통해 트랜지스터(Q1)를 베이스에 인가됨으로서 턴온시킨다.
이에 팬 및 콤프레셔 구동용 릴레이(CFRy1)가 동작하여 그 접점(Ry1a)이 턴온되고 콤프레셔(10)와 팬(8)은 이러한 상태에서 자동 제상제어부(나)인 냉동실(1)내의 서리를 제거하기 위하여 제상용 히터(HT)가 동작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즉 상기에서와 같이 플립플롭(FF)단자(Q)에서 하이 레벨의 신호가 발생되어 트랜지스터(Q2)를 동작시켜 제상용 히터(HT)를 가열시킬때 접점(g)의 하이레벨 신호는 다이오드(D3)를 통해 접점(f)에 인가되어진다.
그러면 온도 설정가변 저항(VR2)의 전위 즉 접점(e), 전위(Ve)보다 높게 비교기(A3)의 입력단자에 입력되어 그 출력은 로우 레벨의 상태가 되어져 상기와 같이 전자댐퍼오프 릴레이(ED RY3)를 동작시켜 주게됨으로서 댐퍼(7)를 강제로 닫아주어 다기능실(2)의 온도상승을 억제 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상이 종료 되면 플립플롭(FF)의 단자(Q)는 로우 레벨의 전위가 되므로 접점(f)의 전위(Vf)도 로우레벨의 상태로 되어져 비교기(A1)의 출력은 하이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므로 정상적인 운전을 하게된다.
또한 냉장시 온도제어부(바)로 독립된 냉각기(9)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온도 감지 센서(TH3)와 설정 가변저항(VR3)에 의해 냉장실(3)의 온도를 설정치로 하여 놓을때 냉장실(3)의 온도가 상승하면 냉장실(3)은 온도감지센서(TH3)의 저항값이 감소하여 그 전위(접점(i)의 전위(Vi))는 온도 설정 가변저항(VR3)의 전위(즉 접점(h)의 전위(Vh))보다 낮기 때문에 비교기(A4)는 하이레벨의 신호가 출력되어져 트랜지스터(Q9)를 턴온시키게 된다.
이에 전자변 릴레이(HVRY)가 동작하여 그 접점(Ry5a)을 턴온시킴으로서 전자변(13)이 동작을 하게된다.
이로써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변(13)은 콤프레서(10)부터의 냉매를 독립된 냉각기(9)로 인입시켜 냉장실(3)의 온도를 하강시키게된다.
이후 냉장실내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까지 내려가면 온도감지 센서(TH3)의 저항값이 증가하여 접점(i)의 전위(Vi)는 접점(h)의 전위(Vh)보다 높아져 비교기(A4)는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시키게 된다.
이로우 레벨의 신호에 의하여 트랜지스터(Q9)가 오프되면 전자면 릴레이(MV RY5)와 전자변(13)이 부동작 되어져 냉매의 흐름을 저지시켜준다.
위와 같이 상태에서 다기능실(2)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 제어부(라)와 냉장실(3)의 온도를 제어하는 온도제어부(바)에 설정된 사용 중지스위치(SW1, SW2)를 턴온시키게 되면 비교기(A3, A4)의 비반전 단자(+)는 접지전위가 되어 접점(e, h)의 전위(Ve, Vh)는 접점(f, i)의 전위(Vf, Vi)보다 항상 낮아져 비교기(A3, A4)는 로우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므로 전자댐퍼 오프 릴레이(EDRy3)와 댐퍼 전자변(ED)를 작동시키게 되고, 다기능실(2)의 댐퍼(7)를 닫게되어 주냉각기(5)의 냉기를 차단시키게 되므로서 다기능실(2)의 사용을 중지시킬 수 있고, 또 비교기(A4)의 출력은 전자변릴레이(MV RY5)와 전자변(13)을 부동작시켜 다기능 실(3)의 시용을 중지할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동작에 의해 다기능실(2) 및 냉장실(3)을 폐쇄시키되 냉동실(1)을 냉장실로 사용코져 하는 경우에서는 냉동실 온도 제어부(가)의 온도 설정 가변저항(VR1)의 전위를 로우 전위가 되도록 위치시켜 놓고 사용중지 스위치(SW1, SW2)를 턴온 하면 비교기(A3, A4)는 온도감지센서(Th1)가 냉동실(1)내에서 검출하는 검출온도 변위와 가변저항(Vr1)의 변위를 비교 출력 시킴으로서 냉동실(1)내의 온도는 가변저항(VR1)이 설정한 냉장실로서의 온도로서 유지되어지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냉동실(1)과 다기능실(2) 및 냉장실(3)을 모우 냉장실로 사용하고자 하는 냉동실(1)과 다기능실(2) 및 냉장실(3)의 온도설정 가변저항(VR1, VR2, VR3)을 적당한 위치에 조절하면 상기와 같은 동작이 반복 수향되어져냉동실(1), 다기능실(2)이 냉장실로 절환 되므로 모두 냉장실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3도어 냉장고를 제어 해주는 것으로써 전자 댐퍼와 독립된 냉각기 및 사용 중지 스위치를 두어 냉장실과 냉동실 및 다기능실을 임의적으로 변환될수 있게 한것으로 사용할수 있어 3도어 냉장기동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냉동실(1)은 온도는 가변저항(VR1)에 의해 임의 설정된 온도까지 냉각되며, 이후 설정온도 도달하게 되면 냉동실(1)의 온도 감지센서(Th1)에 의해 부의 온도 계수로서 전술된 상기와 반대 동작으로 콤프레셔(10)와 팬(8)의 기동을 차단시키므로서 냉동 동작을 마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냉동실(1)내의 서리를 제거하기 위하여 제상용 히터(HT)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콤프레셔(10)운전의 누적 시간에 의하여 계산된 제상용 타임머(TM)의 동작이 종료되면 제상 타임머(TM)의 단자(Q)에서 하이 레벨의 신호가 발생되어 플립플립(FF)는 세트(set)되고 이후, 그 플립플롭(FF)의 단자(Q)에서는 하이레벨의 신호가 발생되어 다이오드(D2)를 통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턴온된다.
이에 제상히터 릴레이(HTRY2)가 동작하여 그 접점(Ry2a)이 턴온하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전원(Ac)이 제상히터(HT)코일을 통해 흐르게 되면서 냉동실(1)내의 서리를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제상히터(HT)의 동작으로 일정시간이 경과된후 냉동실(1)내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 제상복귀 신호부(다)의 온도감지 소자인 센서(Th1)에 의해 비교기(A2)의 반전단자에 입력되는 저항값이 낮아져 그 양단의 전위 (즉 접점(d)의 전위(Vd)가 낮아져 비교기(A2)의 출력을 하이 레벨의 신호로 발생시켜, 플립플롭(FF)의 단자(CL)에 입력시키면 그 출력단자(Q)는 로우 레벨의 신호가 되므로 트랜지스터(Q2)는 턴오프됨과 동시에 제상히터(HT)의 동작은 정지하게 된다.
이때 플립플롭(FF)의 단자(Q)에서는 하이 레벨의 신호가 발생되어 제상 타이머(TM)리세트 단자(RS)로 입력되며 제상타이머(TM)는 리세트 되어 통상운전을 하게된다.
다음으로는 다기능실(2)의 온도를 제어 시키기 위한 다기능실 온도제어부(라)의 동작을 설명하면 냉장고 전면판넬(4)에 설치되는 온도 설정 가변저항(VR2)에 의해 다기능실(2)의 온도를 임의 설정하여 놓을때, 다기능실(2)의 온도가 상승하면 온도 감지센서(TH2)는 부위 온도계수로 저항 값이 감소되어 그 양단 전위 즉 접점(f)의 전위(Vd)도 낮아져 비교기(A3)의 입력단자인 접점(e)의 전위(Ve)보다 접점(f)의 전위(Vf)가 낮기 때문에 비교기(A3)의 출력은 하이레벨 신호로서 전자 댐퍼 구동부(마)의 NPN형 트랜지터(Q6)의 베이스에 인가되면서 트랜지스터(Q7)를 턴온시킴으로서 별도의 다른 전원(VD)이 콜렉터에서 에미터를 거쳐 베이스 저항(RB2)으로 흐르게 된다.
이에 베이스 저항(RB2)으로 흐르는 전류에 의해 트랜지스터(Q8)가 턴온되어 그 전류는 전자 댐퍼 온릴레이(EDRY4)를 동작 시킴과 동시에 접점(Ry4a)를 턴온시키게 된다.
이로써 댐퍼 전자변(ED2)이 동작하여 댐퍼(7)가 개방되어져 주냉각기(5)의 냉기가 전자 댐퍼(7)를 통해 다기능실(2)로 인입되어 온도 상승을 저지시켜 주게되므로 결국 온도 상승을 하강시키게 된다.
그러나 다기능실(2)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까지 하강하면 다기능실(2)의 온도 감지센서(TH2)의 저항값이 증가되어 접점(f)의 전위(Vf)는 온도 설정가변 저항(VR2)의 접점(e) 전위(Ve)보다 높게 되어 비교기(A3)는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시키게 된다.
이때에는 PNP 형 트랜지스터(Q3)에 베이스가 순방향이 되기 때문에 별도의 전원(Vc)이 트랜지스터(Q3)의 에미터에서 콜렉터로 흐름과 동시에 트랜지스터(Q4)를 턴온 시킴으로서 별도의 전원(VD)이 트랜지스터(Q4)의 콜렉터에서 에미터로 흐르게된다.
따라서 전류는 전자 댐퍼 오프 릴레이(ED RY3)를 동작시켜 그 접점(Ry3a)을 턴온 시키게 된다.
이에 댐퍼 전자변(ED1)이 동작하여 개방되어져 있던 댐퍼(7)를 담음으로써 주냉작기(5)의 냉기를 차단하여 다기능실(2)내의 온도 하강을 억제시켜 주어 항상일정한 온도로서 유지하게 된다.
고의 사용효율을 극대화시킬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도시한 바와 같이 온도 제어부(가)와 자동제상 제어부(나) 및 제상 복귀 신호부(다)와 냉장실 온도 제어부(바)로 된 통상의 제어회로에 있어서, 비교기(A3)의 비반전 단자(+)에 가변저항(VR2)과 사용중지 스위치(SW1)를 병렬로 연결하고 반전 단자(-)에는 온도감지센서(Th2)를 연결하되 접점(f)에는 다이오드(D3)를 통해 자동제상 제어부(나)의 접점(g)에 접속시켜 다기능실 온도제어부(라)를 구성하고 그 출력단의 일측은 트랜지스터(Q3, Q4, Q5)에 베이스 저항(RB1)과 전자 댐퍼 오프 릴레이(EDRY3)를 연결하고, 타측은 트랜지스터(Q6, Q7, Q8)와 베이스 저항(RB2) 및 전자 댐퍼 온 릴레이(ED RY4)를 연결하여 댐퍼 구동부(마)를 구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한 다기능실을 구비한 간냉식 냉장고의 제어회로.
KR2019850011502U 1985-09-09 1985-09-09 다기능실을 구비한 간냉식 냉장고의 제어회로 KR8900071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1502U KR890007134Y1 (ko) 1985-09-09 1985-09-09 다기능실을 구비한 간냉식 냉장고의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1502U KR890007134Y1 (ko) 1985-09-09 1985-09-09 다기능실을 구비한 간냉식 냉장고의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625U KR870005625U (ko) 1987-04-24
KR890007134Y1 true KR890007134Y1 (ko) 1989-10-16

Family

ID=19245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1502U KR890007134Y1 (ko) 1985-09-09 1985-09-09 다기능실을 구비한 간냉식 냉장고의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713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5625U (ko) 1987-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7220A (en) Refrigeration system for both vehicle air conditioner and refrigerator
US4726160A (en) Temperature control apparatus for electric refrigerator
US4326386A (en) Temperature control circuit for automobile air-conditioning system
US5479785A (en) Electronic defrost controller with fan delay and drip time modes
US4129993A (en) Refrigeration equipment, particularly household refrigeration or the like
US4481789A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890007134Y1 (ko) 다기능실을 구비한 간냉식 냉장고의 제어회로
JPS6231650B2 (ko)
KR200193593Y1 (ko) 냉장고의 제상장치
KR890005018Y1 (ko) 냉장고의 전자식 온도제어 회로
JPH0415473A (ja) 冷蔵庫の除霜制御装置
JPH0712862Y2 (ja) 冷蔵ショーケースの制御装置
JP2516932B2 (ja) 冷蔵庫
JP2644852B2 (ja) 冷蔵庫等の除霜制御装置
KR840001677Y1 (ko) 냉장실이 폐쇄 가능한 냉동 냉장 겸용 냉장고
JPS6216610Y2 (ko)
KR890000765Y1 (ko) 냉장고의 제상시 운전회로
KR850000987B1 (ko) 냉장고 등의 온도 제어장치
KR840001435Y1 (ko) 겸용 냉장고 회로
JPH0351989B2 (ko)
JPS59157467A (ja) 冷蔵庫の霜検知装置
JPH0151753B2 (ko)
KR910006422Y1 (ko) 다기능 해동 냉장고
JPS62255777A (ja) 冷蔵庫
JPS5851049Y2 (ja) 車輛用冷房装置の温度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930

Year of fee payment: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