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5880Y1 - 풍향 조절이 다능한 선풍기 - Google Patents

풍향 조절이 다능한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880Y1
KR890005880Y1 KR2019860012474U KR860012474U KR890005880Y1 KR 890005880 Y1 KR890005880 Y1 KR 890005880Y1 KR 2019860012474 U KR2019860012474 U KR 2019860012474U KR 860012474 U KR860012474 U KR 860012474U KR 890005880 Y1 KR890005880 Y1 KR 8900058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wind direction
wind
control plate
direc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24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4750U (ko
Inventor
김성진
Original Assignee
김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진 filed Critical 김성진
Priority to KR20198600124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5880Y1/ko
Publication of KR8800047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47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8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88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56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 F04D29/563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풍향 조절이 다능한 선풍기
제1도는 본 고안이 적용된 선풍기의 사시도.
제2도는 동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확대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요부 평 단면도.
제5도는 조절축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선풍기 1 : 케이스
2 : 지지간 3 : 풍향조절판
4 : 힌지 5 : 핀
6 : 소켓 7 : 너트
7' : 연결편 8 : 스크류축
9 : 노브
본 고안은 선풍기에서 발생되는 바람이 주위에 폭넓게 확산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일부분에만 풍향을 집중시킬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는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특히, 선풍기의 목을 선회시키지 않고도 모든 방향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풍량을 보낼 수 있으며 전방을 향하여 적어도 150"이내의 전체 범위를 일시에 송풍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이다.
일반적인 선풍기는 날개(Vane)에서 발생되는 바람이 전방을 향하여 일정한 범위를 송풍되기 때문에 선풍기의 목을 상,하로 꺽거나 좌우로 선회시켜서 요구되는 부분에 풍량이 공급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것은 선풍기가 선회하여 해당부의 도달했을 경우에만 잠시동안 풍량을 받게되는 것이므로 다수 인이 일시에 만족할 수는 없었다.
더우기, 날개의 회전과 선풍기 목의 선회 작용이 병행되는 상태는 선회 운동량 만큼의 부하가 모터에 주어지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점진적인 수명 단축을 야기 시킬 뿐만 아니라 전력 소모를 가져오게 되는 결점이 내재되었던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한 일환으로 선풍기의 보호망(Guard)에 또 하나의 날개를 설치한 이른바, "이중날개 선풍기"라고 불리워지는 제품이 시중에 출현된 바 있다.
이 제품은 선풍기의 날개로부터 발생되는 바람이 이의 저면에 신설(新設)한 날개에 유도되어 외향으로 확산되게한 구조로서, 이 경우 선풍기의 전면에는 바람이 거의 전달되지 않는다.
이 구조는 선풍기의 바람을 직접 쐬이지 않고 실내의 공기를 유동시키면서 간접 영향을 받고저 하려는데 근본 목적이 있으므로 수면을 취할때에 유효한 효과를 거둘 수 있으나, 다수인에게 직접적인 송풍을 미치게하기에는 흡족한 결과를 낳지 못했던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선풍기의 풍량이 전도되는 범위를 최대로 확장되게 구성하여 모든 사람이 다같이 지속적으로 선풍기의 바람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인체가 바람을 받고져하는 부분만을 국한하여 바람이 집중될 수 있도록 선풍기의 풍량통로를 자유로히 조절케 하므로서 쓸데없는 방향으로 바람이 분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시키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선풍기의 목을 선회시키지 않고 고정된 상태로 상기의 목적을 달성시킴으로서 선회장치가 제거되고 모터의 수명 및 전력 절감등의 효과를 얻게 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풍향 조절판이 선풍기 전면을 보호하게되어 별도의 보호망를 설치할 필요없이 가급적 생산 원가를 일축 시키려는데 있다.
위의 목적들을 달성할 수 있는 본 고안의 특징은, 다수의 풍향 조절판이 등심원을 향하여 배열되고, 이들이 방사선 형상으로 구획되어 크로스 형으로 설치된 조절축에 각기 2개 조별로 동작되면서 송풍 통로를 개폐시키게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조와 작용 및 효과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더욱 명백히질 것이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선풍기의 사시도로서, 상.하 좌.우 측면의 조절 노브를 회전시키면 전면에 배열된 해당선상의 풍량 조절판이 회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전면 케이스(1)와 후면케이스(1')로 분리 형성되고 선풍기 목의 선회 장치가 생략된 선풍기(A)에 있어서, 후면케이스(1')에 결합되는 케이스(1)의 방사형상으로된 지지간(2)사이에 다수의 풍향 조절판(3)을 회동가능하게 힌지(4)로 설치하되, 전체적으로 동심원의 상태가 되게하되, 중심으로부터 외향으로 나아갈수록 풍향 조절판(3)의 길이가 길어지며, 이들 풍향 조절판(3)의 내측에는 장타원형의 핀(5)를 각각 대칭되게 돌설하여 2개가 1조로 결속되도록 소켓(6)으로 연결시키며, 소켓(6)의 중앙지점에는 절삭면을 형성하여 상.하로 연결편(7')이 돌출된 너트(7)연결시키고, 케이스(1)의 상.하 및 좌.우에 각기 중앙을 향하여 스크류축(8)을 관통설치하되, 나사의 핏치에 차등을 둔 구간(a)(b)(c)(d)(e)마다 상기의 너트(7)를 후부에서 결합시키므로서 노브(9)를 회전시킬때 관련 스크류축(8)에 결합된 상기의 부속품이 연동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도면중 미설명 부호(10)의 날개는 스크류축(8)의 단부이다.
위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예컨데, 4개의 노브(9)중에 어느 하나를 회전시키면 이 스크류축(8)을 중심으로 설치된 양편의 풍향 조절판(3) 2개조가 함께 회동되므로 사용자는 원하는 범위로 풍향이 송출되도록 해당 노브를 조정하면 된다.
즉, 노브(9)를 돌리면 스크류축(8)이 회전하므로 너트(7)가 이동하게 되고 이 너트(7)에 연결된 연결편(7')이 소켓(6)을 연동시키게 되므로 핀(5)이 결속된 풍향 조절판(3)이 힌지(4)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면서 풍향 조절판(3)의 각도가 결정된다.
이때, 풍향 조절판(3)은 호형으로 굴곡되어 있으므로 힌지(4)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핀(5)과 소켓(6)의 간격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타원형으로된 핀(5)이 소켓(6)내의 각도차이에 대한 격차를 보상해주게 되어 소켓(6)이 연동작용이 전달될 수 있는 것이며, 날개(10)의 풍압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진동이 제압된다.
한편, 스크류축(8)은 제5도와 같이 나사의 핏치가 각기 다른 다단계의 구간(a)(b)(c)(d)(e) 즉, 단부(x)에서 노브(9)측으로 갈수록 abcde와 같이 핏치가 커지게 되므로 노브(9)를 돌릴때 스크류축(8)의 구간(a)(b)(c)(d)(e)가 각기 결속된 너트(7)의 이동량에 차등이 발생된다.
다시 말하면, 날개(10)의 중심부 위치에는 풍향 조절판(3)이 미소하게 회동되고 외곽으로 갈수록 회동 범위가 커지므로 날개(10)에서 발생되는 바람이 이러한 형태의 풍향조절(3)에 의하여 폭넓게 확산되면서 풍량을 넓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선풍기 하나로 다수인이 함께 바람을 받을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선풍기를 운용할 수 있는 것이며, 더우기, 선풍기의 목을 선회시키지 않게되므로 전술한 선회 장치의 페지 및 전력 절감등의 경제적인 잇점이 구가되고 풍향 조절판이 기존의 보호망을 대신하게 되므로 본 고안은 여러가지의 유용한 효과를 가져오는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전면 케이스(1)와 후면케이스(1')로 분리 형성되고 선풍기 목의 선회 장치가 생략된 선풍기(A)에 있어서, 전면 케이스(1)는 방사형상으로된 지지간(2)에 다수의 풍향 조절판(3)을 회동 가능하게 힌지(4)로 설치하되, 전체적으로 등심원의 상태가 되게 하되, 중심으로부터 외향으로 나아갈수록 풍향 조절판(3)의 길이가 길어지며, 이들 풍향 조절판(3)의 내측에는 장 타원형의 핀(5)를 각가 대칭되게 돌설하여 2개가 1조로 결속되도록 소켓(6)으로 연결시키며, 소켓(6)의 중앙지점에는 절삭면을 형성하여 상.하로 연결편(7')이 돌출된 너트(7)를 연결시키고, 케이스(1)의 상.하 및 좌.우에 각기 중앙을 향하여 스크류축(8)을 관통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향조절이 다능한 선풍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축(8)의 일측에 노브(9)가 부착되고, 다단계의 구간(a)(b)(c)(d)(e)을 형성하는 스크류축(8)의 나사 핏치가 노브(9)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므로서 이에 연동되는 풍향 조절판(3)의 각도에 차등을 갖게하는 풍향 조절이 다능한 선풍기.
KR2019860012474U 1986-08-18 1986-08-18 풍향 조절이 다능한 선풍기 KR8900058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2474U KR890005880Y1 (ko) 1986-08-18 1986-08-18 풍향 조절이 다능한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12474U KR890005880Y1 (ko) 1986-08-18 1986-08-18 풍향 조절이 다능한 선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750U KR880004750U (ko) 1988-05-11
KR890005880Y1 true KR890005880Y1 (ko) 1989-08-30

Family

ID=19255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2474U KR890005880Y1 (ko) 1986-08-18 1986-08-18 풍향 조절이 다능한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588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802Y1 (ko) * 2012-10-31 2013-11-07 김현준 선풍기의 전면 보호 커버
KR101727281B1 (ko) * 2016-07-07 2017-04-14 (주)비체룸 호환성이 우수한 선풍기의 기능성 전면안전망의 결합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802Y1 (ko) * 2012-10-31 2013-11-07 김현준 선풍기의 전면 보호 커버
KR101727281B1 (ko) * 2016-07-07 2017-04-14 (주)비체룸 호환성이 우수한 선풍기의 기능성 전면안전망의 결합구조
WO2018008848A1 (ko) * 2016-07-07 2018-01-11 (주)비체룸 호환성이 우수한 선풍기의 기능성 전면안전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4750U (ko) 1988-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8689Y1 (ko) 조절식 미늘창을 갖춘 문짝
KR20210095236A (ko) 서큘레이터
US4425840A (en) Blower
CN104473416A (zh) 可调风向吹风机及其风向调节装置
KR890005880Y1 (ko) 풍향 조절이 다능한 선풍기
KR200278255Y1 (ko) 선풍기
JP3197273U (ja) タワー型扇風機
JPH0579690A (ja) 空気調和機の風向調整装置
SU1793107A1 (ru) Быtoboй behtиляtop
KR20010079467A (ko) 송풍기의 공기조절장치
KR950008555Y1 (ko) 송풍공이 가변조절되는 환기장치
JP6655217B1 (ja) 扇風機
KR102572942B1 (ko) 확산형 가이드 베인
JP2633328B2 (ja) 風向変更装置
KR940006913B1 (ko) 에어콘의 공기방향 조절장치
KR200352490Y1 (ko) 전방향 송풍 선풍기
KR860003073Y1 (ko) 환 풍 기
CN213273153U (zh) 空气处理设备的百叶组件和空气处理设备
KR200291822Y1 (ko) 수직회전날개를 이용한 사방 선풍기
KR200253909Y1 (ko) 송풍기의 공기조절장치
JPH0625793Y2 (ja) 空調用床吹出口
KR0129832Y1 (ko) 송풍기의 공기 조절장치
EP3779294B1 (en) Blade adjusting mechanism and air circulator
JPH0255900A (ja) 換気扇
GB2103714A (en) Adjustable air deflecting grille for electric f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8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