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5429Y1 - 수도콕의 자동 급수변 - Google Patents

수도콕의 자동 급수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429Y1
KR890005429Y1 KR2019860009160U KR860009160U KR890005429Y1 KR 890005429 Y1 KR890005429 Y1 KR 890005429Y1 KR 2019860009160 U KR2019860009160 U KR 2019860009160U KR 860009160 U KR860009160 U KR 860009160U KR 890005429 Y1 KR890005429 Y1 KR 8900054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opening
closing plate
automatic water
crank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91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0966U (ko
Inventor
문호일
Original Assignee
문호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호일 filed Critical 문호일
Priority to KR20198600091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5429Y1/ko
Publication of KR8800009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9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4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4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16K31/3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tap or cock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4Constructional or functional features of the sp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oat Valv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도콕의 자동 급수변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작동관의 구조를 보인 일부를 절결한 분해 사시도.
제3(a)도는 수위에 의해 개폐판이 폐쇄된 상태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제3(b)도는 수위가 떨어져서 개폐판이 개방된 상태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작동관 10' : 공간부
14 : 개폐판 12 : 고무판
12' : 유출공 13 : 중간종판
14 : 양측격판 14' : 중간협지부
15 : 트랭크축 15' : 연결구
16 : 스프링 17 : 하부횡봉
1 : 부구체
본 고안은 물의 수위에 따라 수도콕에서 나오는 물을 자동으로 개폐되게 하는 자동 급수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자동 급수장치가 있었으나 주로 화장실 등의 급수탱크 용으로 부구체가 급수파이프내에 설치된 개폐 변과직접 연결 시켜야 되었으므로 설치 작업이 한정되어 있어서 일반적인 다른 용도로는 사용이 불가능 하였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폐단을 없애고져 수위에 의한 부구체의 작동을 크랭크축에 전달하여 이 크랭크축으로 개폐판을 작동시켜 자동으로 수위를 조절하는 것으로 수도콕과 용기와의 거리에 관계없이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작동관(10)의 상판에 개폐판(11)이 삽입될 공간부(10')가 형성되고 그 내부쪽에는 양측격판(14)에 의해 중간협지부(14')를 형성시켜 전부쪽으로 유출공(12')이 천공된 고무판(12)이 후부반쪽만 부착된 개폐판을 하부의 중간종판(13)으로 협지시켜 전, 후로 유동되게 하되 중간총판의 전부쪽은 부구체(1)상, 하작용이 전달되는 크랭크축(15)의 연결구(15')와 연결시키고 후부쪽은 개폐판의 복원력을 위한 스프링(16)으로 하부횡봉(17)과를 연결시켜서 된 것이다.
이와같은 구조로 된 본 고안은 고무판(12)이 부착된 개폐판(11)을 작동관(10)의 상판 공간부에 삽입시켜 하부의 중간종판(13)으로 중심협지부(14')에 협지되게 한 후 전부쪽은 크랭크축(15)과 후부쪽은 스프링(16)으로 연결시켰으므로 크랭크축의 연결구(15')와 연결끈으로 연결된 부구체(1)가 급수되는 물의 높이에 따라 작동되어 크랭크축을 회전시키면 이와 연결된 개폐판이 작동되면서 개폐판이 수평을 이루면 고무판도 수평이 되면서 유출구가 폐쇄되고 개폐판이 각도를 이루면 도면 제3(b)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무판의 전, 후부로 물이 유출되는 것이다.

Claims (1)

  1. 작동관(10)상판에 개폐판(11)이 삽입될 공간부(10')가 형성되고 그 내부쪽에는 양측격판(14)에 의해 중간 협지부(14')를 형성시켜 전부쪽으로 유출공(12')이 천공된 고무판(12)이 후부반쪽만 부착된 개폐판을 하부의 중간종판(13)으로 협지시켜 전, 후로 유동되게 하되 중간총판의 전부쪽은 부구체(1)의 상, 하 작용이 전달되는 크랭크축(15)의 연결구(15')와 연결시키고 후부쪽은 개폐판의 복원력을 위한 스프링(16)으로 하부횡봉(17)과를 연결시켜서된 수도콕의 자동 급수변.
KR2019860009160U 1986-06-28 1986-06-28 수도콕의 자동 급수변 KR8900054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9160U KR890005429Y1 (ko) 1986-06-28 1986-06-28 수도콕의 자동 급수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9160U KR890005429Y1 (ko) 1986-06-28 1986-06-28 수도콕의 자동 급수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0966U KR880000966U (ko) 1988-02-23
KR890005429Y1 true KR890005429Y1 (ko) 1989-08-18

Family

ID=19253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9160U KR890005429Y1 (ko) 1986-06-28 1986-06-28 수도콕의 자동 급수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542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0966U (ko) 1988-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1016A (en) Divertor valve
US3964109A (en) Flush valve assembly
CA2022082A1 (en) Solenoid operated flush valve and flow control adapter valve insert therefor
MY101915A (en) Auto-flush system.
KR890005429Y1 (ko) 수도콕의 자동 급수변
US4266304A (en) Flush tank water saver
US4782537A (en) Quick connect water saver for a flush toilet
KR960008515Y1 (ko) 부동전
US4195373A (en) Double flush valve assembly
DE3165089D1 (en) Valve unit for water closets
CN112376661A (zh) 一种储能器及具有该储能器的马桶冲洗系统
CA2055331A1 (en) Accumulator with a valve connected float
CN219493140U (zh) 一种双向过滤阀
US3783897A (en) Warm liquid supply system for reservoir and mixing valve therefor
KR200351202Y1 (ko) 볼탑
JP2512800Y2 (ja) 寒冷地用減圧弁
DK1016763T3 (ko)
JPS57167578A (en) Ball tap for use in water tank
SU1717746A1 (ru) Клапан дл смывного бачка
KR930008651Y1 (ko) 수압식 개폐 밸브
CN2208131Y (zh) 一种坐便器储水箱控制阀
KR200351393Y1 (ko) 볼탑
GB2162339A (en) Float controlled valve
JP2563384B2 (ja) 分岐水栓
JPS5931809Y2 (ja) 給水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