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5358Y1 - 실린더를 이용한 호울딩 및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실린더를 이용한 호울딩 및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358Y1
KR890005358Y1 KR2019850015849U KR850015849U KR890005358Y1 KR 890005358 Y1 KR890005358 Y1 KR 890005358Y1 KR 2019850015849 U KR2019850015849 U KR 2019850015849U KR 850015849 U KR850015849 U KR 850015849U KR 890005358 Y1 KR890005358 Y1 KR 8900053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cylinder
holder
point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58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8112U (ko
Inventor
오영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부품 주식회사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부품 주식회사, 정재은 filed Critical 삼성전자부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500158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5358Y1/ko
Publication of KR8700081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81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3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3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11/00Cutting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실린더를 이용한 호울딩 및 절단장치
제1(a)도 및 제1(b)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좌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터(Cutter) 2 : 제1레버
3 : 호울더 4 : 제2레버
5 : 지점 6 : 힌지점
7 : 안내부 8 : 실린더
9 : 지지체 10 : 축
11 : 코일스프링 12 : 슬라이더
13 : 힌지점
본 고안은 1개의 공압이나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코일이나 철사같은 재료물을 호울딩하여 절단하는 호울딩 및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2개의 실린더를 이용하여 호울딩작업과 절단작업을 각각 별도로 수행하게 되어 있는바, 이렇게 2개의 실린더장치를 이용하여 작업할 때에는 하나의 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호울딩장치로 호울딩한 후, 나머지 하나의 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절단장치로서 코일과 같은 재료물을 절단하게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치는 2개의 실린더를 이용하므로서 전체적인 장치의 메카니즘이 복잡하고 그 구조도 역시 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2개의 실린더를 사용하지 않고 단지 1개만의 실린더를 이용하여 코일과 같은 재료물을 호울딩하여 절단할 수 있게한 2중동작을 갖춘 제동함에 있다.
더욱 본 고안은 실린더에 연결된 레버의 길이차이와 레버의 기구적인 특성에 의한 행정차이 및 스프링을 이용하여 1개의 실린더로서 호울딩작업과 절단작업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호울딩을 겸한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코일을 절단시키는 것에 적용시킨 경우를 들어 설명한다.
본 고안은 커버(1)가 장착된 제1레버(2)와 호울더(3)가 장착된 제2레버(4)를 동일한 지점(5)에 연결하되, 상기 제1레버(2)는 힌지점(6)에 의해 축선회되도록 안내부(7)를 통하여 실린더(8)에 연결되고, 상기 제2레버(4)는 지지체(9)의 축(10)에 설치된 코일스프링(11)과 연접한 슬라이더(12)에 다른 힌지점(13)등으로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14는 코일이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실린더(8)에 안내부(7)를 장착하고 상기 안내부(7)에다 제1레버(2)를 힌지점(6)으로 연결하므로써 상기 힌지점(6)들에 의해 커터(1)가 장착된 제1레버(2)는 지점(5)을 중심으로 축선회하도록 되어 있는데, 상기 제1레버(2)에 장착된 커터(1)는 실린더(8)의 왕복운동에 의해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레버(4)는 지지체(9) 상단에 장착된축(10)에서 코일스프링(11)과 접해있는 슬라이더(12)에 다른 힌지점(13)으로 연결되되, 상기 제2레버(2)와 제2레버(4)는 동일한 지점(5)을 중심으로 서로 다른 작용으로 각각 다르게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제1(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8)가 화살표(a)방향으로 후진하면, 상기 실린더(8)에 연결된 안내부(7)도 후퇴하므로 제1레버(2)는 화살표(b)방향으로 상승함과 동시에, 압축된 코일스프링(11)의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더(12)가 축(10)에서 윗쪽방향으로 이동하므로서 제2레버(4)도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제1레버(2)에 장착된 커터(1)와 제2레버(4)에 장착된 호울더(3)는 지점(5)을 중심으로 화살표(C)방향으로 모아져서 호울더(3)가 코일(14)을 제1(a)도 처럼 잡게된다. 이와 같이 호울더(3)가 코일(14)을 잡은뒤에 제2레버(4)는 더 이상의 상승을 하지 못한 상태에서 커터(1)를 장착한 제1레버(2)가 상승하므로 코일(14)이 절단되게 된다.
코일(14)이 절단된 후, 제1(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실린더(8)가 화살표(d)방향으로 전진하면 앞에서 설명한 커터(1)와 호울더(3)가 모아지는 작동과 반대로 제1레버(2)와 제2레버(4)가 각각의 힌지점(6, 13)을 이용하여 지점(5)을 중심으로 제1(b)도 처럼 호울더(3)와 커터(1)가 서로 벌어지게 되는데, 이와같은 작동이 계속 반복하여 이루어지면서 코일이나 철사같은 재료물을 지지하여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1개의 실린더에 연결된 레버의 관절운동인 길이차와 레버장치의 기구적인 특성 및 행정차이를 이용하여 호울딩작업과 절단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뿐만 아니라 구조를 단순화시켜 작동의 확실성을 얻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커터(1)가 장착된 제1레버(2)와 호울더(3)가 장착된 제2레버(4)를 하나의 지점(5)에서 연결시키되 상기 제1레버(2)는 힌지점(6)에 의해 축선회되도록 안내부(7)를 통하여 실린더(8)에 연결되고, 상기 제2레버(4)는 지지체(9)의 축(10)에 설치된 코일스프링(11)과 연접한 슬라이더(12)에 다른 힌지점(13)으로 연결된 실린더를 이용한 호울딩 및 절단장치.
KR2019850015849U 1985-11-29 1985-11-29 실린더를 이용한 호울딩 및 절단장치 KR8900053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5849U KR890005358Y1 (ko) 1985-11-29 1985-11-29 실린더를 이용한 호울딩 및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5849U KR890005358Y1 (ko) 1985-11-29 1985-11-29 실린더를 이용한 호울딩 및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112U KR870008112U (ko) 1987-06-10
KR890005358Y1 true KR890005358Y1 (ko) 1989-08-18

Family

ID=19246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5849U KR890005358Y1 (ko) 1985-11-29 1985-11-29 실린더를 이용한 호울딩 및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535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112U (ko) 1987-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8204546L (sv) Vinkelhevstangsspennanordning paverkbar genom ett tryckmedium och med en elastisk fjederlenk och med en losbart fastsatt spennarm
KR900701589A (ko) 전기 작동 케이블
AU4169189A (en) Needle loom having improved needle beam guide system
KR890005358Y1 (ko) 실린더를 이용한 호울딩 및 절단장치
PT830920E (pt) Maquina impulsora de cavilhas e mola de reposicao para a mesma
US3524374A (en) Shearing machine for continuous metal sheet
ES8608410A1 (es) Un aparato para efectuar operaciones en una banda continua
KR900700201A (ko) 굽힘장치
DE3163647D1 (en) An overcentre tensioning device
ES198433U (es) Mecanismo para seccionar y desvestir un hilo cubierto de una vaina.
DE3478774D1 (en) Switches with a pivotally supported contact arm
SU1143567A1 (ru) Механизм зажима
SU61521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креплени резца
KR930702592A (ko) 두 매스트 플랫포옴(mast platform)내의 배열
KR900000614A (ko) 브레이크 장치
GB2064407A (en) Rotary-cutter Holding Device
KR880003054A (ko) 재봉틀
SE8403687L (sv) Platpress
SU1194677A1 (ru) Захва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SU871764A1 (ru) Режущий аппарат
SU925696A1 (ru) Подвеска сидень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830008863A (ko) 와이퍼장치(wiper 裝置)
SU62245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резани деревьев
GB2009304A (en) Clamp
SU166430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оздани стрессовых ситуаций у лабораторных животны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