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5133Y1 - 핸들 높이 조정기구 - Google Patents

핸들 높이 조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5133Y1
KR890005133Y1 KR2019840010422U KR840010422U KR890005133Y1 KR 890005133 Y1 KR890005133 Y1 KR 890005133Y1 KR 2019840010422 U KR2019840010422 U KR 2019840010422U KR 840010422 U KR840010422 U KR 840010422U KR 890005133 Y1 KR890005133 Y1 KR 8900051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portion
sleeve
pin
opening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104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9554U (ko
Inventor
겐조우 갓사이
Original Assignee
아프리카 갓사이 가부시끼 가이샤
겐조우 갓사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프리카 갓사이 가부시끼 가이샤, 겐조우 갓사이 filed Critical 아프리카 갓사이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95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95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5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1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20Handle bars; Ha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2Articulated members
    • Y10T403/32254Lockable at fixed position
    • Y10T403/32467Telescoping members
    • Y10T403/32475Telescoping members having detent
    • Y10T403/32491Thread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0Interfitted members
    • Y10T403/7075Interfitted members including discrete retainer
    • Y10T403/7077Interfitted members including discrete retainer for telescoping members
    • Y10T403/7079Transverse pin
    • Y10T403/7084Bolt, rivet, or scre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732Handles
    • Y10T74/2078Handle bars
    • Y10T74/20792Folding or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핸들 높이 조정기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유모차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주요부분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선 Ⅲ-Ⅲ을 절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핸들 14 : 상단봉 부분
15 : 하단봉 부분 16 : 그립
19 : 슬리브의 개구 20 : 삽입재의 개구
25 : 핀 26 : 노브
31, 32 : 절결부
본 고안은 손수레의 핸들높이를 조정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유모차 및 짐 운반기구와 같은 손수레에는 손으로 밀 수 있도록 핸들이 제동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핸들은 손수레의 몸체에 고정되어 있으며 높이를 조절할 수 없다. 따라서 여러가지 불편한 점이 있었다. 다시말해 손수레를 미는 사람은 키가 큰 사람도, 키가 작은 사람도 있다. 핸들의 높이를 조정할 수 없기 때문에 이 사람들은 많은 불편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손수레의 핸들높이를 쉽게 조정할 수 있는 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손수레의 핸들은 그립(grip)을 갖는 상단봉 부분과 상단봉 부분을 수직으로 활주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단봉 부분을 구비한다. 상.하단 봉부분에는 슬리브와 슬리브의 개구에 수용될 수 잇는 삽입재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삽입재에는 수직으로 연장되는 가느다란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는 이의 가느다란 개구를 통과하며 대향단부가 슬리브 외부로 돌출하는 핀을 구비하여 이로써 연결된다. 핀의 한 단부는 슬리브의 외부 표면과 접촉하는 위치에 고정된 노브(knob)를 가지며 다른 단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는 슬리브의 외부표면에 위치한 암나사와 맞물린다.
더우기 슬리브에는 핀의 양단부가 통과하며 슬리브의 단면 외주연 선을 교차하는 가느다란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으로 미는 핸들은 슬리브와, 슬리브의 개구에 수용되며 슬리브에대해 활주가능한 삽입재를 구비한다. 더우기, 절결부가 있음으로써 슬리브가 용이하게 편향되어 슬리브와 삽입재 사이의 큰 마찰을 일으켜 노브의 회전이 슬리브와 삽입재 사이의 관련 활주를 억제할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핸들의 높이는 손수레를 미는 사람에 따라 적합하게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징, 장점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 명확해진다.
제1도에서 유모차(1)는 핸드레일(2), 전륜(3)을 갖는 앞다리(4), 후륜(5)을 갖는 뒷다리(6), 시트를 지지하는 시트 지지붕(7), 좌.우측 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8, 9, 10), 푸쉬로드 즉, 하단부가 뒷다리(6)에 연결된 핸들(11)을 구비한다. 핸들(11)은 유모차(1)가 이동될때 사용된다. 본 고안은 핸들의 높이 조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에서, 푸쉬로드(11)는 도면부호(13,12)로 도시된 좌.우측면에 설치된 핸들높이 조정장치가 있는 역"U"자 형상이다. 우측면의 장치(12)는 좌측면의 장치(13)와 기본 구조 및 작동이 동일하다. 따라서, 우측면의 장치를 사용하여야 하기에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서 핸들(11)은 상단봉 부분(14) 및 하단봉 부분(15)을 구비한다. 상단봉 부분(14)는 유모차를 미는 사람이 잡게 되는 그립(16)을 갖는다.
상단봉 부분(14) 및 그립(16)은 함께 고정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이들은 상단봉 부분(14)의 상단부에는 원형개구(17)가 형성되고 글비(16)의 하단부에는 원형돌기(18)가 각각 형성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개구(17) 및 돌기(18)를 서로 결합함으로써 그립(16)은 상단봉 부분(14)에 부착될 수 있다. 더우기, 그립(16)을 접을 수 있으면 동일한 장치는 돌기(18)가 개구(17)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허용하는 설계로 보충될 수 잇다.
하단봉 부분(15)은 수직 활주 운동을 위해 상단봉 부분(14)을 지지한다. 더우기, 상단봉 부분(14)은 내부에 개구(19)를 갖는 슬리브를 형성하며 하단봉 부분(15)은 상단봉 부분(14)의 한 단부로서 상기 개구(19)내에 활주식으로 수용하기에 적합한 삽입재를 형성한다.
더우기, 이 실시예에서 상. 하단봉 부분(14, 15)은 4각 단면이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단봉 부분(15)에는 좌측면 벽(20)으로부터 우측면 벽(21)으로 통과하는 수직하게 연장된 가느다란 개구(22)가 형성되어 있다.
상단봉 부분(14)은 하단봉 부분(15)이 상단봉 부분(14)의 개구(19)내에 있을때 하단봉 부분(15)의 가느다란 개구(22)를 통해 연장되며 양단부가 좌. 우측면 벽(23, 24) 아래로 돌출하는 핀(25)을 구비한다. 이 단계는 제3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핀(25)의 한 단부는 상단봉 부분(14)의 우측면 벽(24)과 접촉하는 위치에서 고정된 노브(26)를 갖는다. 상단봉 부분(14)의 좌측면 벽(23)에는 너트(27)를 수용하고 너트(27)의 회전을 억제하는 너트 수용돌기(28)가 형성되어 있다.
더우기, 상단봉 부분(14)의 전면 및 후면벽에(29, 30)에는 수직하게 연장되는 절결부(31, 3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절결부(31, 32)는 핀(25)의 양단부를 통과하는 상단봉 부분(14)의 단면의 외주연 선을 교차하도록 위치한다. 다시말해 절결부는 이들의 상단부가 핀(25)위에, 하단부가 핀(25) 아래에 있도록 위치한다.
하기에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한 단부에 노브(26)가 고정되어 있는 핀(25)이 너트(27)와 맞물리기 때문에 예정된 방향에서 노브(26)을 회전시키는 것은 상단봉 부분(14)을 내부로 편향시켜 상단봉 부분(14)의 좌. 우측면 벽(23, 24)이 서로를 향해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에 절결부(31, 32)가 상단봉 부분(14)의 전면 및 후면벽(29, 30)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단봉 부분(14)은 작은 힘으로도 쉽게 편향될 수 있으며 편향의 범위 및 양은 증가될 수 있다.
더우기,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상단봉 부분(14)이 편향될 수 있기 때문에 상단봉 부분(14)에 대한 손상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노브(26)가 예정된 방향에서 예정된 양만큼 회전할때 상단봉 부분(14)의 좌.우측면 벽(23, 24)은 편향되어 내부에 위치한 하단봉 부분(15)의 좌. 우측면 벽(20, 21)이 눌리게 된다. 그러므로, 상단봉 부분(14)의 후측면 벽(24)과 하단봉 부분(15)의 우측면 벽(21) 사이에 그리고 상단봉 부분(14)의 좌측면 벽(23)과 하단봉 부분(15)의 좌측면 벽 사이에 많은 마찰이 발생하여 상단봉 (14)의, 활주운동을 억제하게 된다.
더우기, 상단봉 부분(14)을 용이하게 편향시키기 위해서는 상단봉 부분(14)이 플라스틱과 같은 가요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이 양호하다.
핸들의 높이를 조정하려면 먼저, 상단봉 부분(14)의 좌. 우측면 벽(23, 24) 사이의 거리가 넓어지도록 노브(26)를 예정된 방향으로 회전시켜야 한다. 이 상태에서 좌.우측면 벽(23, 24)의 편향이 없어지며, 상단봉 부분(14)의 우측면 벽(24)가 하단봉 부분(15)의 우측면 벽(21) 사이에, 그리고 상단봉 부분(14)의 좌측면 벽(23)과 하단봉 부분(15)의 좌측면 벽(20) 사이에 마찰이 생기며, 상단봉 부분(14)은 가느다란 개구(22)에서 이동하는핀(25)에 의해 하단봉 부분(15)을 허용된 범위내에서 쉽게 활주하도록 허용한다. 그러면 상단봉 부분(14)은 적합한 위치로 이동하여 노브(26)가 활주운동을 억제하도록 예정된 방향에서 회전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쉽게 핸들의 높이가 조정된다.
제1도 내지 제3도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핸들높이 조정장치는 예시로써 도시된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이다. 그러므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하기에 전형적인 변경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절절부(31, 32)에 주목해야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절결부는 상단봉 부분(14)의 전면, 후면벽(29, 30)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절결부의 목적이 상단봉 부분(14)의 용이한 편향을 허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절결부가 전면벽(29)과 후면벽(30)중의 한개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달리 다수의 절결부가 전면벽(29), 후면벽(30) 또는 양쪽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더우기, 도시된 실시예에서 절결부는 상단봉 부분(14)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수직으로 연장되었지만 비스듬하게 연장될 수도 있다. 요약하면, 가느다란 절결부가 한 단부에 노브(26)를 갖는 핀(25)의 양단부를 통과하는 단면의 외주연 선을 교차하는 한 이의 수, 연장방법 또는 위치는 임의로 결정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 하단봉 부분(14, 15)은 4각 단면을 취한다. 그러나, 이들은 원형 단면을 취할 수도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상단봉 부분(14)이 하단봉 부분(15)에서 회전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상단봉 부분(14)에 부착된 핀(25)이 하단봉 부분(15)에 형성된 가느다란 개구(22)와 맞물림으로써 이러한 회전이 억제되기 때문이다.
상기에 설명한 실시예에서, 상단봉 부분(14)은 슬리브를 형성하며, 하단봉 부분(15)은 슬리브의 개구에 수용되기에 적합한 삽입재를 형성한다. 그러나 서로 바뀌어 배열될 수도 있다. 즉, 하단봉 부분(15)이 슬리브를 형성하고 상단봉 부부(14)이 삽입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더우기, 유모차는 본 고안을 적용하는 손수레의 한 예시로써 도시되었다. 그러나, 유모차의 형태는 도시된 형태로 제한되지 않고 어떠한 다른 것으로도 될 수 있다. 예를들어, 전술한 바와같이 그립(16)이 접혀지도록 만들어진 형태의 유모차일 수도 있다. 더우기, 손수레의 예는 유모차에 제한되지 않고 쇼핑수레 및 짐운반기구를 포함한다.
비록 본 고안이 상세하게도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한정되는 본 고안의 영역을 벗어남이없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가능하다.

Claims (1)

  1. 그립(16)을 갖는 상단봉 부분(14)과 이 상단봉 부분을 수직으로 활주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단봉 부분(15)을 구비하며, 상단봉 부분(14) 또는 하단봉 부분(15)중의 하나는 슬리브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슬리브의 개구(19)에 수용되기에 적합한 삽입재를 형성하는 핸들높이 조정기구에 있어서, 삽입재에는 수직하게 연장 관통되는 가느다란 개구(22)가 형성되며, 이 개구를 통과하며 양단부가 상기 슬리브 외부로 돌출하는 핀(25)이 부착되고 핀(25)의 한 단부는 상기 슬리브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위치에 고정된 노브(26)를 가지면 핀의 다른 단부에는 슬리브의 외측면에 위치한 암나사와 맞물리기에 적합한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슬리브에는 핀(25)의 양단부를 통과하는 슬리브의 단면 외주연 선을 교차하는 가느다란 절결부(31, 3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들높이 조정기구.
KR2019840010422U 1983-11-04 1984-10-22 핸들 높이 조정기구 KR89000513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3171761U JPS6078666U (ja) 1983-11-04 1983-11-04 手押車のハンドル高さ調整機構
JP?58-171761 1983-1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9554U KR850009554U (ko) 1985-12-05
KR890005133Y1 true KR890005133Y1 (ko) 1989-08-02

Family

ID=15929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10422U KR890005133Y1 (ko) 1983-11-04 1984-10-22 핸들 높이 조정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587864A (ko)
JP (1) JPS6078666U (ko)
KR (1) KR890005133Y1 (ko)
GB (1) GB2149359B (ko)
IT (1) IT8423444A0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20243A1 (de) * 1985-01-31 1986-12-11 Rainer 8000 München Gödde Stehleiter
DE3760467D1 (en) * 1986-02-07 1989-09-28 Jane Sa Foldable frame for children's push chairs
US4856927A (en) * 1988-06-06 1989-08-15 The Torrington Company Midpoint connection for intermediate shaft subassembly
JPH0625408Y2 (ja) * 1988-10-03 1994-07-06 コンビ株式会社 手押し車の手押し扞高さ調節機構
US4926786A (en) * 1989-04-10 1990-05-22 White Thomas C Restaurant signaling device
US5018405A (en) * 1990-08-02 1991-05-28 Sunshon Molding Co., Ltd. Angle adjustment device for handle of stroller
US5542773A (en) * 1994-02-24 1996-08-06 Tu; A-Shih Secure screw bush type drag-link movable positioning structure
DE4430975C1 (de) * 1994-08-31 1996-02-22 Sachtler Kommunikationstech Vorrichtung mit einem gegen Herunterfallen an einem Körper gesicherten Befestigungselement
US5845917A (en) * 1996-11-06 1998-12-08 Huang; Li-Chu Chen Telescopic handle for a stroller
US6688804B1 (en) * 1998-10-08 2004-02-10 Par-Ten Products Ltd. Hitch receiver/implement threaded fastening assembly
US6217058B1 (en) * 2000-06-05 2001-04-17 Leao Wang Folding apparatus of a front support for a skateboard
US6442797B1 (en) * 2000-11-07 2002-09-03 Link Treasure Limited Flexible transmission device
US20030229966A1 (en) * 2002-06-17 2003-12-18 Boice Angelia S. Stroller height extenders and method
EP2000388A1 (en) * 2005-01-21 2008-12-10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Stroller with a handle that is telescopic and rotational movable
US7766367B2 (en) * 2005-01-21 2010-08-03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Adjustable handle assembly
US7267314B1 (en) * 2005-04-22 2007-09-11 Erickson Roger C Monitor ceiling mount
US20080029980A1 (en) * 2006-04-03 2008-02-07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Stroller Seat Recline Mechanism
US20110121546A1 (en) * 2009-11-20 2011-05-26 Karen Stewart Comfort push stroller system
US9543634B1 (en) * 2015-12-01 2017-01-10 Echostar Technologies L.L.C. Telescoping strut with fixed rail feature
PL130003U1 (pl) 2021-04-19 2022-10-24 Przedsiębiorstwo Produkcyjno-Handlowe Aro Karoń Spółka Jawna Regulowana rączka wózka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99162A (en) * 1950-01-09 1955-01-11 Vincent Nazzaro Kitchen range safety guard
US3353852A (en) * 1965-07-15 1967-11-21 Concrete Steel Corp Mount for tractor canopy post
US3669463A (en) * 1970-11-19 1972-06-13 Hedstrom Co Carriage pusher handle release
US3771885A (en) * 1972-10-06 1973-11-13 Hoover Co Non-slip handle to bail retaining means
GB1595702A (en) * 1978-05-19 1981-08-19 Spastics Soc Wheelchai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149359A (en) 1985-06-12
US4587864A (en) 1986-05-13
GB2149359B (en) 1987-04-08
IT8423444A0 (it) 1984-11-02
KR850009554U (ko) 1985-12-05
JPH0122776Y2 (ko) 1989-07-10
JPS6078666U (ja) 1985-06-01
GB8426536D0 (en) 1984-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5133Y1 (ko) 핸들 높이 조정기구
KR890005134Y1 (ko) 핸들 높이 조정기구
JPH032459Y2 (ko)
US6676140B1 (en) Expandable stroller
US4116464A (en) Automatic brake for wheeled carriages
US6802409B1 (en) Wheeled luggage and associated devices
US3689099A (en) Baby strollers
US5188380A (en) General utility child seat apparatus
US5269544A (en) Carriage for traversing irregular surfaces
AU2225392A (en) Luggage with pull handle
US4359266A (en) Rear view mirror assembly for collapsible stroller
US20180022413A1 (en) Toddler bike
US3421774A (en) Baby strollers
US4453287A (en) Caster for baby carriages
US4852894A (en) Apparatus for converting a car seat to a stroller
EP0495868B1 (en) Steering unit
KR20190002055U (ko) 스토퍼가 내장된 여행용 캐리어
JPH0867255A (ja) 手押し車のブレーキ装置
EP2684769A1 (en) Passenger carrier handlebar
US6478326B1 (en) Pushcart with leg position control gear
US3361439A (en) Tote board assembly
JPH0321327Y2 (ko)
EP0701939A2 (en) Trolley comprising a control device for the swivel castor and a protective rim for the basket
JPH032458Y2 (ko)
US5588701A (en) Device for mounting baby chair to bicy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