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861Y1 - 모우터의 기동장치 - Google Patents

모우터의 기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861Y1
KR890004861Y1 KR2019890005232U KR890005232U KR890004861Y1 KR 890004861 Y1 KR890004861 Y1 KR 890004861Y1 KR 2019890005232 U KR2019890005232 U KR 2019890005232U KR 890005232 U KR890005232 U KR 890005232U KR 890004861 Y1 KR890004861 Y1 KR 8900048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acitor
triac
resistor
motor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900052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관진
Original Assignee
김관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60003776A external-priority patent/KR870011741A/ko
Application filed by 김관진 filed Critical 김관진
Priority to KR20198900052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48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8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8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1/00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16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 H02P1/42Arrangements for starting 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dynamo-electric mo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for starting an individual single-phase induction 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8/00Electricity: motor control systems
    • Y10S388/907Specific control circuit element or device
    • Y10S388/9072Bridge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And Converter Star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우터의 기동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을 설명키위한 실시예의 회로도.
제2도는 입력전압과 턴-오프시간관계를 나타낸 곡선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1-D5 : 다이오드 C1-C4 : 콘덴서
R1-R6 : 저항 T1 : 트라이악
T2 : 다이악 Tr : 트랜지스터
ZD : 제너다이오드 S1, S2 : 연결단자
본 고안은 모우터의 기동장치(Motor Start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동용 보조권선에 흐르는 전류를 자동 제어함으로써 모우터의 소손을 방지하면서 모우터의 규정치이하 또는 약간의 규정치 이상의 전원이 인가되더라도 상기한 기동용 보조권선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도록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동용 보조권선을 보호하기 위하여는 모우터가 회전하는 관성에 의거 기계적인 원심분리장치로 전원을 제어하도록된 것이어서 제작배용의 과다와 또 이를 트라이악과 같은 전자스위치 회로를 이용하는것도 알려져 있으나 전류의 세기를 감지하는 센서의 기능에 따라 트라이악의 게이트를 트리거하기위한 회로구성이 복잡할뿐만 아니라 기능면에 있어 많은 개선이 필요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기동장치에 있어서의 제반사정을 감안하여 연구한결과 모우터에 인가되는 규정치의 전압보다 낮거나 약간 높더라도 규정치의 기동이 끝나면 자동적으로 보조용 기동권선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는 소손을 방지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댜.
따라서 본 고안은 트라이악의 게이트를 트리거해줌에 있어서 트라이악과 병렬로 콘덴서와 브리지 정류회로를 구성하고 상기한 브리지정류 회로의 출력측에는 콘덴서와 트랜지스터를 병렬로 연결하여 모우터가 기동되기 시작하면 반파정류되는 전류를 별도의 콘덴서를 충전시키고 저항과 상기한 충전전류의 시정수에 따라 방전전류로 상기한 트랜지스터를 턴-온하여 브리지정류 회로의 출력측을 쇼트시켜 트라이악의 게이트 트리거신호를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실시예의 도면에 따라 상술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을 설명키위한 회로도로 공지의 모우터의 주권선에 연결되는 연결단자(S1)와 보조기등권선에 연결하는 연결단자(S2) 사이에 트라이악(T1)이 연결됨은 공지와 같은 것이다.
상기와 같은 트라이악(T1)과 병렬로 콘덴서(C1)와 다이오드(D2-D5)로 구성되는 브리지 정류회로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한 콘덴서(C1)와 브리지 정류회로의 연결점과 상기한 트라이악(T1)의 게이트 사이에는 다이악(T2)이 연결되고 또 콘덴서(C4)가 상기한 브리지 정류회로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다이오드(D2-D5)로 구성된 브리지 정류회로의 출력측 양단에는 콘덴서(C2)와 방전용 저항(R1)이 트랜지스터(Tr)와 함께 병렬로 연결되었으며, 상기한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에는 저항(R2)과 제너다이오드(ZD)를 통해 콘덴서(C3)와 저항(R4)의 접점에 연결하여서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R3은 콘덴서(C3)의 방전용 저항이며, D1은 콘덴서(C3) 충전용 반파정류 다이오드 R5는 트라이악(T1) 보호용 저항, R6은 보조기동권선에 흐르는 전류제한용 저항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실시예이므로 도시하지않은 모우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경우 주권선과 보조기동권선을 통해 연결단자(S1, S2)에 통전되면 콘덴서(C1)와 콘덴서(C4) 사이에 연결된 다이악(T2)이 트라이악(T1)의 게이트를 트리거하여 트라이악(T1)은 턴-온되어 기동권선에 전류가 흐르기 시작한다.
또 일부의 전원은 전원이일때 다이오드(D3, D4)로일때 다이오드(D5, D2)를 통해 콘덴서(C2)를 충전하게되며, 또 일부의 전원은 다이오드(D1)로 반파정류된 전압은 충전전류 제한용 저항(R4)을 통해 콘덴서(C3)가 충전되기 시작하여 콘덴서(C3)와 저항(R4)의 시정수에 따라 방전개시되면 제너다이오드(ZD)의 도통한계에 이르고 이에따라 저항(R2)으로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를 트리거하여 다이오드(D2-D5)로 구성되는 브리지 정류회로의 출력측에 연결된 콘덴서(C2)를 방전시켜 쇼트상태가 되므로 다이악(T2)으로 트라이악(T1)의 게이트를 트리거하지 못해 트라이악(T1)은 턴-오프되어 도시하지않은 보조기동권선으로의 전류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않은 모우터에 입력되는 전압이 규정치 이하 예를들어 80볼트가 인가되는 경우 모우터가 충분히 토르크가 되기까지의 시간만큼 모우터의 보조기동권선에 전류가 흐르교 규정치 이상의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재빨리 트라이악(T1)을 턴오프시켜 줌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은 시간은 저항(R4)과 콘덴서(C3)에 의해 시정수가 결정됨은 물론이다.

Claims (1)

  1. 트라이악을 온. 오프시켜 전동기의 기동권선에 전원을 제어하도록 연결단자(S1 및 S2)사이에 콘덴서(C1)와 콘덴서(C4)를 직렬로하여 트라이악(T1)과 별렬연결하여 아이악(T2)을 턴-온되도록 되는것에 있어서 다이오드(D2-D5)로 되는 브리지 정류회로의 출력측에 콘덴서(C2)와 저항(R1) 및 트랜지스터(Tr)를 병렬연결되고 저항(R4)과 콘덴서(C3)의 시정수로되는 방전전류가 제너다이오드(ZD)와 저항(R2)을 통해 상기한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에 연결하여서되는 모우터의 기동장치.
KR2019890005232U 1986-05-15 1989-04-27 모우터의 기동장치 KR8900048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90005232U KR890004861Y1 (ko) 1986-05-15 1989-04-27 모우터의 기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3776A KR870011741A (ko) 1986-05-15 1986-05-15 모우터의 기동장치
KR2019890005232U KR890004861Y1 (ko) 1986-05-15 1989-04-27 모우터의 기동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3776A Division KR870011741A (ko) 1986-05-15 1986-05-15 모우터의 기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4861Y1 true KR890004861Y1 (ko) 1989-07-25

Family

ID=26627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90005232U KR890004861Y1 (ko) 1986-05-15 1989-04-27 모우터의 기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486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06539B1 (en) Voltage regulating system for an electrical generator
KR920004320B1 (ko)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제어장치
KR860009533A (ko) 자동 재시동 또는 커트-인 기능을 갖고 있는 모터 제어회로
US4347462A (en) Discharge lamp lighting device
US4401937A (en) Control device for battery charging AC generator
US4134038A (en) Speed control for a universal electric motor
KR890004861Y1 (ko) 모우터의 기동장치
US4246521A (en) DC Motor speed control system
US3593102A (en) Semiconductor voltage regulator
US4503365A (en) Power supply system for low cold resistance loads
US4345196A (en) Speed control device for sewing machines
JPH07284219A (ja) 異常入力電圧保護回路
EP0033890B1 (en) Power source apparatus for an electric flash lamp
GB2316245A (en) Fluorescent lamp starter circuit
GB2239569A (en) Engine starting device
KR890005921Y1 (ko) 전동기 기동장치
GB1485786A (en) Device for adjusting the power supplied to a load from a rectified alternating voltage source by suppressing half cycles
GB2082405A (en) AC motor control
KR830002001Y1 (ko) 방전특성을 개량한 배터리 충방전 제어회로
JP2540953Y2 (ja) 交流負荷の電力制御回路
SU1525691A1 (ru) Стабилизатор посто нного напр жени
JPS6321740Y2 (ko)
KR940003085Y1 (ko) 전자조리기의 보호회로
KR910004797Y1 (ko) 리모콘 테레비젼의 과전압 보호회로
SU166189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щиты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 от перегре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0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