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315Y1 - Pipe connector - Google Patents

Pipe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315Y1
KR890004315Y1 KR2019840003885U KR840003885U KR890004315Y1 KR 890004315 Y1 KR890004315 Y1 KR 890004315Y1 KR 2019840003885 U KR2019840003885 U KR 2019840003885U KR 840003885 U KR840003885 U KR 840003885U KR 890004315 Y1 KR890004315 Y1 KR 8900043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plug
pipe
branch pip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3885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850002768U (en
Inventor
레이찌 마끼시마
도시오 미끼야
Original Assignee
닛또오 고오끼 가부시끼가이샤
도시오 미끼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또오 고오끼 가부시끼가이샤, 도시오 미끼야 filed Critical 닛또오 고오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500027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76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3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315Y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관연결구Connector

제1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에 관한 관열결구를 도시한 부분 종단측면도.Figure 1 is a partial longitudinal side view showing a tube heat pi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관연결구의 소켓에 플러그와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부분 종단측면도.Figure 2 is a partial longitudinal sid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with the plug in the socket of the connector.

제3도는 및 제4도는 복수의 관연결구를 적당히 연결하여 구성한 다지형(多枝刑)관연결구 구조체의 상태를 나타낸 각 측면도.3 and 4 are side views each illustrating a state of a multi-rigid pipe structure formed by appropriately connecting a plurality of pipe connectors.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drawing

1 : 주 몸통체 2 : 분기관 몸통체1: main body 2: branch pipe body

3, 3' : 소켓 4 : 플러그3, 3 ': socket 4: plug

J : 관연결구 L1: 주관로(主管路)J: Pipe connection L 1 : Main pipe route

L2: 지관로(枝管路)L 2 : Branch pipe line

본 고안은 관연결구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관연결구의 주몸통체 바깥둘레에 이 주몸통체의 중심선을 중심으로하여 회전이 자유로운 분기관통체를 가지고 이루어진 분기관 연결구부를 설치하는 동시에 주몸통체의 양끝부분에 상호 호환성(互換性)이 있는 소켓과 플러그를 개별적으로 (분기관 연결구부에서는 어느한쪽을) 설치하고 동종 관연결구끼를 직선상 또는 그밖에는 형상으로 연결하여 임의의 다지형 관연결구 구조체를 만들고 또한 상기 소켓 혹은 플러그와 호환성이 있느 소켓이나 플러그를 가진 이종(異種)관연겨루와도 접속을 가능케하고 또한 분기관 연결구부를 사용장소에 맞추어서 주관로의 주위를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관연결구에 관한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pe connector, and more particularly, the main body body is installed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ain body of the pipe connector at the same time by installing a branch pipe connector part having a branch pipe body freely rotating around the center line of the main body body Arrange the sockets and plugs that are mutually compatible at both ends of the pipes individually (either in the branch pipe connector) and connect the same type of pipes in a straight line or other shape. Pipe connectors for making structures and for connecting to heterogeneous pipe joints with sockets or plugs that are compatible with the sockets or plugs, and for allowing the branch connection to rotate around the main line in accordance with the location of use. It's about.

각종 공장이나 제작소등에 있어서 공기압식공구나 장치를 1대의 콤프레서로부터 보내져오는 압축공기를 구동력원으로서 여러개소에서 사용할 경우 다수의 공기분배구가 있으며 극히 편리하다.In various factories and manufacturing facilities, there are a number of air distribution ports, which are extremely convenient when using compressed air from a single compressor as a driving force source.

그래서 종래부터 이와같은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공기분배구로서의 분기관 몸통체를 복수개 가진 다지형의 관연결구가 이미 제안되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atisfy such a demand, a multi-segment pipe connector having a plurality of branch pipe bodies as air distribution ports has already been proposed.

그러나 종래의 다지형 관연결구의 경우 다지형이라고는 하나 일반적으로 분기부 갯수가 2내지 4개정도의 것이 많고 불출분한 경우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multi-gear pipe connector, although it is a multi-gear type, the number of branch parts is generally 2 to 4, and there are cases in which it is not easy.

또 종래의 다지형 관연결구는 분기관 몸통체의 방향이 특정(고정) 되어 버리기 때문에 작업하는 위치에 따라서는 분기배관이 뒤범벅이 되어 들어가서 작업성을 해치는 결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direction of the branch pipe body is specified (fixed), the conventional multi-gear pipe connector has a drawback that the branch pipe is jammed in depending on the working position, thereby impairing workability.

본 고안은 종래의 다지형 관연결구가 상기와 같은 폐단과 결점을 가진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같은 종류의 다지형 관연결구의 직선적인 접속, 그 밖에 임의의 접속을 가능케하는 동시에 또한 이종 관연결구와의 접속도 가능케하고 또한 분기관 연결구부의 방향을 임의로 취할 수 있도록한 관연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dis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multi-directional pipe connector as described above, and its purpose is to enable the linear connection of the same type of multi-directional pipe connector and other arbitrary connections. At the same tim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ipe connector that enables connection with heterogeneous pipe connectors and also allows the direction of the branch pipe connector to be arbitrarily taken.

다음에 본 고안의 1실시예를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Nex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1도는 본 고안의 1실시예인 관연결구의 전체를 나타낸 것이다.1 is a view showing the whole of the connector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 관연결구(J)는 공기등이 똑바로 유통되는 주관로(L1)를 가진 곧은 주몸통체(1)와 공기등이 분류되는 지관로(L2)를 가진 분기관 몸통체(2)를 가졌다.This pipe joint (J) has a straight main body (1) having a main passage (L 1 ) through which air lamps flow straight, and a branch pipe body (2) having a branch pipe passage (L 2 ) through which air lamps are classified. Had

이 분기관 몸통체(2)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주몸통체(1)의 관연결구 부분에 대하여 분기관 연결구부를 이룬다.This branch pipe body 2 forms a branch pipe connector with respect to the pipe connector part of the main body 1, as mentioned later.

상기 주몸통체(1)의 좌우의 양끝부분의 한쪽에는 소켓(3)을 다른쪽에는 플러그(4)를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한다.The socket 3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main body 1, and the plug 4 is separately provided at the other side.

그리고 이들의 소켓(3)과 플러그(4)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상호 호환성을 가졌다.These sockets 3 and plugs 4 had mutual compatibility as described later.

분기관 연결구부의 상기 분기관몸통체(2)는 기초부(제1도 하단)에 지관로(L2)와 직교하는 관통의 부착구멍(5)을 설치하고 이 부착구멍(5)에 상기 주몸통체(1)를 제1도중, 우측으로부터 끼워넣고 다시 플러그(4) 기초부에 스톱링(6)을 장착하여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The branch pipe body (2) of the branch pipe connector has a through hole ( 2 ) orthogonal to the branch pipe line (L 2 ) at the base portion (lower part of FIG. 1), and the attachment hole (5) The main body 1 is inserted from the right side in the first diagram, and the stop ring 6 is attached to the base of the plug 4 again to prevent the main body from falling out.

따라서 분기관 몸통체(2)는 주몸통체(1)에 대하여 그 축심선을 중심으로하여 360도 회전이 자유롭다.Therefore, the branch pipe body 2 is free to rotate 36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1 about its axis line.

이 분기관몸통체(2)의 부착부에서 주몸통체(1)에는 내부의 주관로(L1)내로 향하여 관통시킨 분기통로용의 관통구멍(7)을 원주방향으로 복수개를 뚫어 설치하는 동시에 이 관통구멍(7)이 트리는 바깥둘레에는 원주방향으로 돌린 원주홈(8)을 형성하고 있다.At the attachment portion of the branch pipe body 2, the main body 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7 for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rough which the through-hole 7 for the branch path penetrated toward the inner main pipe path L 1 is provided. The through hole 7 has a circumferential groove 8 which is turn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이 때문에 분기관 몸통체(2)의 임의의 회전위치에 있어서 그 지관로(L2)는 원주홈(8)으로 트여 항상 주몸통체(1)의 주관로(L1)와 연통한다.For this reason, in any rotational position of the body of the manifold body (2) to the branch pipe (L 2) is in communication with a host of open space all the time the main body member (1) in a circumferential groove (8) (L 1).

이 원주홈(8)의 좌우에는 동일하게 원조홈(9, 9)을 설치하고 이 홈(9, 9)에 0링(10, 10)을 끼워놓었기 때문에 주몸통체(1)와 분기관몸통체(2)의 부착부의 기밀성을 유지된다.Auxiliary grooves 9 and 9 are similarly provid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ircumferential groove 8, and zero rings 10 and 10 are inserted into the grooves 9 and 9, so that the main body 1 and the branch pipe The airtightness of the attachment part of the trunk | drum 2 is maintained.

상기 소켓(3)은 부착용의 소켓관본체(11)를 가지며 이 소켓관본체(11)의 한쪽의 안쪽둘레면 (제1도, 우측)에 설치한 암나사부(11a)를 주몸통체(1)의 바깥둘레에 설치한 숫나사부(1a)와 나사결합하여 주몸통체(1)에 부착되어 있다.The socket (3) has a socket tube body (11) for attachment and has a female threaded portion (11a) provided on on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FIG. 1, right side) of the socket tube body (11). It is attached to the main body (1) by screwing into the male thread (1a) installed i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이 소켓관본체(11)의 내부에서 상기 주몸통체(1)의 숫나사부(1a)앞끝에 대향하는 트인구멍 끝부분(11b)에는 환상의 패킹(12)을 끼워장치한다.An annular packing (12) is fitted into the open hole end portion (11b) facing the front end of the male screw portion (1a) of the main trunk body (1) inside the socket tube body (11).

이 패킹(12)부분에는 중앙의 플랜지부(13a)를 이 패킹(12)의 안쪽구멍옆가장자리에 도면중 우측으로부터 밀어대고 그 왼쪽 끝의 판상으로 돌기한 밸브해제용 혀모양부재(13b)를 패킹 안쪽구멍으로부터 돌출시키고 또 오른쪽 끝에는 원주상의 걸어맞춤돌기(13c)를 가진 밸브체(13)와 이 밸브체(13)의 걸어맞춤돌기(13c) 주몸통체(1)의 안쪽둘레면의 트인구멍 끝부분 사이에 삽입한 압축형의 밸브스프링(14)으로 되어서 상기 밸브스프링(14)에 항상 상기 플랜지부(13a)를 패킹(12)안쪽구멍옆가장 자리에 접촉시키고 있는 항상 폐쇄형의 개폐벨브(15)를 내장시키고 있다.In the packing 12 portion, a valve-releasing tongue member 13b which pushes the center flange portion 13a from the right side in the drawing to the edge of the inner hole of the packing 12 and protrudes into the plate shape at the left end thereof. The valve body 13 protrudes from the inner hole of the packing and has a circumferential engagement protrusion 13c at the right end thereof,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ain body 1 of the engagement protrusion 13c of the valve body 13. Compression-type valve springs 14 inserted between end portions of the open holes, and the valve springs 14 are always closed, in which the flange portion 13a is always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edge of the packing 12. The opening and closing valve 15 is incorporated.

또 이 소켓관본체(11)의 앞끝에 근접한 바깥둘레 부분을 약간 직경이 작게 형성하고 있으며 이 소경부(11c)에는 이 소경부(11c)와 면이 고르게 미끄러져 맞추어지는 직경이 작은 누름돌기(16a)를 앞끝에 근접한 둘레방향으로 설치한통 형상의 미끄럼이동 슬라이브(16)를 미끄러져 움직이기 자유롭게 끼워맞추어져 있다.In addition,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close to the front end of the socket tube body 11 is formed to be slightly smaller in diameter, and the small-diameter portion 11c has a small-diameter pressing protrusion for uniformly sliding with the small-diameter portion 11c ( The cylindrical sliding slide 16 having 16a) install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close to the front end is fitted to slide and move freely.

이 미끄럼이동 슬라이브(16)는 상기 소경부(11c)의 앞끝둘레에 스톱링(17)을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탈락방지 및 미끄럼이동이 규제되고 또 이 미끄럼이동 슬리이브(16)의 누름돌기(16a)의 안쪽트링구멍 끝부분(16b)와 상기 소경부(11c)의 바깥트인구멍끝부분(11d)과의 간격내에는 슬리이브 스프링(18)을 삽입하고 있기 때문에 항상 외측방향으로 힘을 받고 있다. 또한 이 소켓관본체(11)의 소경부(11c)의 앞끝 가까이에서 상기 미끄럼 이동 슬리이브(16)의 제1도중 가장 좌측으로 근접한 최전진 상태에 있으며 이 미끄럼이동 슬라이브(16) 안쪽둘레면 누름돌기(16a)가 위치하는 부분에서는 중심방향으로 향해서 중심으로 가까워지는데 따라 그 내경이 테이퍼형상으로 축소되는 원추구멍(19)을 원주방향으로 복수계를 뚫어 설치한다.Since the slide slide 16 is equipped with a stop ring 17 at the front end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11c, dropping prevention and sliding movement are regulated, and the pressing protrusion of the sliding sleeve 16 Since the sleeve spring 18 is inserted in the gap between the inner trough hole end portion 16b of 16a and the outer hole end portion 11d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11c, the force is always applied in the outward direction. have. In addition, near the front end of the small diameter portion 11c of the socket tube body 11, it is in the most advanced state closest to the left most of the first slide of the sliding sleeve 16,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iding slide 16 In the portion where the pressing projection 16a is located, a conical hole 19 whose inner diameter is reduced to a tapered shape is install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coming closer to the center toward the center direction.

그리고 이 원추구멍(19)에는 상기 소켓관본체(11)의 안쪽둘레로 열린 개구부의 직경보다 약간 크게하여 빠지지 않도록 한 이 원추구멍(19)의 해당 개구부보다 소켓관본체(11)의 안쪽 둘레로 향하여 약간 돌출할 수가 있는 직경의 록 보올(20)이 들어있다.The conical hole 19 is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opening opened by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ocket tube body 11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ocket tube body 11 than the corresponding opening of the conical hole 19 so as not to fall out. There is a diameter of the lock bowl 20, which can slightly protrude toward.

따라서 이록보올(20)은 미끄럼이동 스프링(16)의 최전진상태시 (무하중 상태로 슬라이브 스프링918)에 의해 힘을 받고 있을때)에는 이 슬라이브(16)의 누름돌기(16a)에 눌려서 소켓관본체(11)의 내부에 일부 돌출하고(제1도). 한편 슬리이브(16)를 슬리이브 스피링(18)의 탄성에 버티면서 밀어낸 후퇴시에는 이 슬리이브의 누름돌기(16a)로 부터 벗어나기 때문에 자유롭게 된다.Therefore, the rock ball 20 is pressed by the push projection 16a of the slide 16 when the sliding spring 16 is in the most advanced state (when it is under the load by the slide spring 918). It partially protrudes inside the socket tube body 11 (FIG. 1). On the other hand, when the sleeve 16 is pushed back while supporting the elasticity of the sleeve spring 18, the sleeve 16 is freed from the push protrusion 16a of the sleeve.

즉 록보올(20)은 미끄럼 이동 슬라이브(16)의 미끄럼이동에 의해 원추구멍(19)내에서 구심 및 원심방향으로 변위하여 잠금상태, 자유상태를 취한다.In other words, the lock ball 20 is displaced in the concentric hole and centrifugal direction in the conical hole 19 by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liding slide 16 to take a locked state and a free state.

한편 상기 플러그(4)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소켓(3)에 대한 삽입시, 개폐밸브(15)를 여는 작용을 가졌기 때문에 그 길이는 적어도 소켓(3)의 개구부로부터 밸브체(13)의밸브해제용, 혀모양부재(13b)까지의 간격보다 길며 또 이 바깥둘레 부분에서 상기 소켓(3)에 대한 삽입시 록보올(20)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이 록보울(20)이 돌출부분이 걸어맞추어지는 보올받이홈(21)을 원주방향으로 설치하고 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plug 4 has an action of opening and closing the valve 15 when the socket 4 is inserted into the socket 3 as described below, the length of the plug 4 is at least released from the opening of the socket 3. Longer than the gap between the tongue member 13b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rock bowl 20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ck bowl 20 when the socket 3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The bottom support groove 21 is install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또한 바람직하기는 플러그(4)의 앞끝개구부의 안쪽둘레주면에는 밸브체(13)가 열릴때 밸브체(13)의 밸브해제용 혀모양부재(13b)의 계단부(13d)와의 끼워맞춤이 원활하게 행해지도록 내경을 약간 넓힌 트인구멍끝부분(4a)을 설치하면 된다.Also preferably,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end opening of the plug 4 is smoothly fitted with the stepped portion 13d of the valve-releasing tongue member 13b of the valve body 13 when the valve body 13 is opened.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provide the open-hole end part 4a which made the inner diameter slightly wide so that it may be performed.

한편 상기 분기관몸통체(2)에는 상기 소켓(3)과 동일한 소켓(3')을 설치하여 분기관연결구부를 이루고 있다.Meanwhile, the branch pipe body 2 is provided with the same socket 3 'as the socket 3 to form a branch pipe connector.

이 분기관연결구부는 이 소켓(3')외에 상기 플러그(4)와 동일한 플러그부(도시생략)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The branch pipe connector may be formed by forming the same plug portion (not shown) as the plug 4 in addition to the socket 3 '.

본 고안의 관연결구(J)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므로 예컨대 이 관연결구(J, J)끼리를 연결하는데는 제2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먼저 작업자가 예컨대 한쪽 손으로 한쪽(도면중 우측)의 관연결구(J)의 미끄럼이동 슬리이브(16)를 슬리이브 스프링(18)의 탄성에 버티면서 도면중 2점쇄선으로 표시한 위치로 밀어보낸다.Since the pipe joint J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to connect the pipe joints J and J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The sliding sleeve 16 of the connector J is pushed to the position indicated by the dashed-dotted line in the figure while supporting the elasticity of the sleeve spring 18.

이 상태를 유지한채로 다음에 작업자가 다른쪽 손으로 다른쪽(도면중 좌측)의 관연결구(J)의 플러그(4)를 상기 소켓(3) 내로 삽입하여 밀어넣는다.Keeping this state, the operator next inserts and pushes the plug 4 of the connector J of the other side (left side in the drawing) into the socket 3 with the other hand.

이 플러그(4)의 삽입에 의해 플러그(4)의 앞끝이 소켓(3)내의 밸브체(3)의 밸브해제용 혀모양부재(13b)에 맞닿아서 눌러가기때문에 밸브체(13)는 밸브스프링(14)의 탄력에 버티면서 도면중 우측방향으로 밀어모내지고 개폐밸브(15)를 연다.By inserting the plug 4, the front end of the plug 4 is pressed against the valve-releasing tongue member 13b of the valve body 3 in the socket 3, so that the valve body 13 is closed. While pushing against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14, it is pushed in the right direction in the figure, and the opening / closing valve 15 is opened.

그리하여 이 플러그(4)가 소망하는 최종 삽입위치에 달하면 이 플러그(4)의 앞끝이 소켓(3)내의 패킹(12)의 안쪽구멍 옆가장자리에 도면중 좌측방향으로부터 눌러붙이는 동시에 이 상태에서 플러그(4) 바깥둘레의 보올받이홈(21)은 소켓(3)의 록보올(20)부분에 도달한다.Thus, when the plug 4 reaches the desired final insertion position, the front end of the plug 4 is pressed from the left side in the drawing to the edge of the inner hole of the packing 12 in the socket 3 while the plug ( 4) The outer bowl receiving groove 21 reaches the lock bowl 20 portion of the socket (3).

그후 작업자가 지금까지 누르고 있던 미끄럼이동 슬리이브(16)를 높으면 슬리이브 스프링(18)에 의해 미끄럼이동 슬리이브(16)는 자동적으로 도면중 실선으로 표시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After that, when the worker slides the sliding sleeve 16 that has been pressed so far, the sliding spring 16 is automatically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indicated by the solid line in the drawing by the sleeve spring 18.

이 때문에 자유로운 상태에 있었던 록보울(20)은 미끄럼이도 슬리이브(16)의 누름돌기(16a)에 눌리고 그 일부가 소켓관 본체(11)의 원추구멍(19)의 안쪽둘레 개구부로부터 돌출하기 때문에 상기 플러그(4)의 보올받이홈(21)에 떨어져 들어가 걸어맞추어진다.For this reason, the rock bowl 20 which is in a free state is pushed by the push protrusion 16a of the sleeve 16 even if it is slippery, and a part thereof protrudes from the inner circumference opening of the conical hole 19 of the socket tube main body 11. Therefore, it falls into the retaining groove 21 of the plug 4 and is engaged.

따라서 플러그(4)는 소켓(3)으로부터는 빠지는 일이 없이 접속되고 2개의 관연결구(J, J)끼리를 견고하게 연결한다.Therefore, the plug 4 is connected without being pulled out from the socket 3 and firmly connects two pipe connectors J and J.

이때 연결의 기밀성은 플러그(4) 앞끝과 패킹(12)과의 밀착에 의해 유지된다.At this time, the airtightness of the connection is maintained by close contact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plug 4 and the packing 12.

이 연결조작은 실제로는 미끄럼이동 슬리이브(16)의 후퇴, 플러그(4)의 삽입, 미끄럼이동 슬리이브(16)의 개방에 의한 자동복귀로 순식간에 행하여 진다.This connection operation is actually performed in an instant by the retraction of the sliding sleeve 16, the insertion of the plug 4, and the automatic return by opening the sliding sleeve 16. FIG.

즉 소켓(3)과 플러그(4)와의 원터치 조작으로 간단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가 있다.That is, it can be performed simply and quickly by one-touch operation between the socket 3 and the plug 4.

한편 상기 연결을 해제하는데는 소켓(3)의 미끄럼 이동 슬리이브(16)를 상기와 동일하게 후퇴시키고 이대로의 상태에서 플러그(4)를 잡아 뽑으면 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release the connection, the sliding sleeve 16 of the socket 3 is retract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and the plug 4 is pulled out as it is.

즉 미끄럼이동 슬리이브(16)의 후퇴에 의해 미끄럼이동 슬리이브(16)의 누름돌기(16a)가 원추구멍(19)의 바깥둘레 개구부로부터 도면중 후방으로 이동하여 구멍이 트이기 때문에 록보올(20)이 자유롭게 되어서 플러그(4) 바깥둘레의 보올 받이홈(21)과의 걸어맞춤이 풀려서 플러그(4)가 뽑아지기 때문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sliding sleeve 16 is retracted, the pressing protrusion 16a of the sliding sleeve 16 moves backward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pening of the cone hole 19 in the drawing so that the hole is open. This is because the plug 4 is pulled out by freeing 20 so that the engagement with the bowl receiving groove 21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lug 4 is released.

물론 이 연결해제조작도 상기 연결조작과 동일하게 실제로는 순시간에 행하여진다.Of course, this disconnect operation is actually performed in the same instantaneous time as the above connection operation.

즉 소켓(3)과 플러그(4)와의 원터치조작으로 간단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가 있다.That is, the one-touch operation between the socket 3 and the plug 4 can be performed simply and quickly.

이상의 연결조작 및 그 해제조작으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본 고안 관연결구(J)의 실제의 사용에 있어서는 예컨대 제3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3개의 관연결부(J, J, J)를 직선상으로 차례로 연결하여 3중연결의 다기형 관연결구 구조체를 취하는것도 극히 용이하며 또 필요에 의해 관연결구(J)를 임의의 갯수를 증가시킬수도 있다.As is apparent from the above connecting operation and the releasing operation thereof, in the practical use of the pipe joint J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the three pipe connecting portions J, J, J are sequentially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Therefore, it is extremely easy to take a multi-connected tubular structure of the triple connection, and it is also possible to increase the arbitrary number of the joint (J) as necessary.

또 제4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2개의 관연결부(J, J)에 있어서 한쪽의 관연결구(J)의 플러그(4)를 다른쪽의 관연결구(J)의 분기관체(2)측의 소켓(3')에 연결하여 직선상과는 상이하는 2중연결의 다기형 관연결구 구조체를 취할수도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the plug 4 of one pipe connector J is inserted into the socket on the side of the branch pipe 2 of the other pipe connector J in the two pipe connectors J and J. It is also possible to take a multi-connected, multi-connected tube structure different from the straight line in connection with (3 ').

물론 조작도 용이하며 또 이것과 상기 직선상의 접속방법을 조합하여 도시하지 않았으나 더욱 복잡한 형태를 취할수도 있다.Of course, it is easy to operate, and although not shown in combination with this linear connection method, it can take a more complicated form.

또 상기는 본 고안에 관한 동종 관연결구끼리의 접속이었으나 이외에 본 고안 관연결구의 소켓또는 플러그와 호환성이 있는 소켓이나 플러그를 가진 이종 관연결구와도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면 이들 동종 관연결구끼리 또는 이종 관연결구와의 조합을 취한다면 거의 모든 요구를 만족시키는 임의의 형상의 다지형 관연결구 구조체가 얻어진다.In addition, the above was the connection of homogeneous pipe connect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ut in addition to these heterogeneous pipe connectors having a socket or a plug that is compatible with the socket or plug of the pip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se homogeneous pipe connectors or hetero pipes can be connected. Taken in combination with connectors, multi-shaped connector structures of any shape are obtained that meet almost all needs.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관연결구의 곧은 주몸통체의 양끝부분에 상호 호환성을 가진 소켓과 플러그를 개별적으로 설치하는 동시에 또 주몸통체의 바깥둘레 부분에는 분기관 몸통체를 이 주몸통체의 바깥둘레 부분에는 분기관 몸통체를 이 주몸통체의 축심선을 중심으로 회전을 자유롭게 설치하고 다시 분기관 몸통체와 앞끝부분에는 상기 플러그와 호환성을 가진 소켓 또는 상기 소켓과 호환성을 가진 플러그를 설치하여 분기관연결구부로 하고 또한 상기 소켓과 상기 플러그에 동종관연결구 또는 이것들과 호환성을 가진 소켓과 플러그를 가진 이종관연결구의 접속을 가능케 하였기때문에 예컨대 본 고안의 관연결구를 복수개 준비하여 이것들을 적당히 연결하므로써 임의의 형상의다지 관연결구 구조체를 극히 용이하게 구성할수가 있고 또 분기 관연결구부의 방향을 작업장소에 맞추어서 자유로이 바꿀수가 있으므로 사용상 극리 편리하 종래의 다기 관연결구의 불합리한점, 결점을 전부 해소할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ocket and a plug having mutual compatibility are separate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straight main body of the pipe connector, and at the outer circumferential part of the main body, the main body has a branch body.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ranch pipe body is installed freely rotating about the axis of the main body of the main body, and again the branch pipe body and the front end have a socket compatible with the plug or a plug compatible with the socket. It is installed to be a branch pipe connection part, and it is possible to connect homogeneous pipe connectors or heterogeneous pipe connectors having sockets and plugs compatible with these sockets and the plugs. This makes it very easy to construct a dodge tube structure of any shape. And also a branch pipe,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connection to bend freely in conformity with the change place of work can be eliminated altogether with unreasonable that, in use of the defect geukri convenient conventional manifold connector.

Claims (1)

곧은 주관로(L1)를 가진 관연결구(J) 주몸통체(1)의 양끝부분에 상호 호환성을 가진 소켓(3, 3')과 플러그(4)를 개별적으로 설치하고 또 상기 주몸통체(1)의 바깥둘레부분에는 주관로(L1)에 연통하는 관로를 가진 분기관 몸통체(2)를 주몸통체(1)의 축심선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하여 분기관 몸통체(2)의 앞끝부분에 상기 플러그(4)와 호환성을 가진 소켓(3, 3') 또는 상기 소켓(3, 3')과 호환성을 가진 플러그(4)의 어느 한쪽을 설치하고 또한 상기 소켓(3, 3')과 상기 플러그(4)에는 동종 관연결구 또는 이것과 호환성을 가진 소켓(3, 3')이나 플러그(4)를 가진 이종 관연결구의 접속을 가능케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구.Pipe fittings (J) having a straight main passage (L 1 ) at both ends of the main body (1) of the mutually compatible sockets (3, 3 ') and plugs (4) separately installed and the main body The outer periphery of (1) is provided with a branch pipe body (2) having a pipe communicating with the main pipe line (L 1 ) freely rotated about an axis line of the main body (1), and the branch pipe body ( 2) at either end of the socket (3, 3 ') compatible with the plug (4) or the plug (4) compatible with the socket (3, 3') and the socket (3) , 3 ') and the plug (4) is characterized in that it allows the connection of the same type of connector or a heterogeneous connector having a socket (3, 3') or a plug (4) compatible with it.
KR2019840003885U 1983-09-14 1984-04-26 Pipe connector KR890004315Y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3141436U JPS6049384U (en) 1983-09-14 1983-09-14 pipe fittings
JP???58-141436 1983-09-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768U KR850002768U (en) 1985-05-30
KR890004315Y1 true KR890004315Y1 (en) 1989-06-26

Family

ID=30316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3885U KR890004315Y1 (en) 1983-09-14 1984-04-26 Pipe connect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S6049384U (en)
KR (1) KR890004315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44510A1 (en) * 1987-12-30 1989-07-13 Wilhelm Hegler PIPE CONNECTION ELEMENT
JP3760785B2 (en) * 2001-03-21 2006-03-29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Rotary connector with valve
JP2011021620A (en) * 2009-07-13 2011-02-03 Yamato Engineering:Kk Branch joint
JP2014224586A (en) * 2013-05-17 2014-12-04 ダイセン株式会社 Pipe joi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44638Y2 (en) 1988-11-18
JPS6049384U (en) 1985-04-06
KR850002768U (en) 1985-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1614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means for maintaining a connected condition
US3314696A (en) Quick connect coupling
US5080405A (en) Corrugated pipe coupling
US6302447B1 (en) Self-locking coupling device
US4941846A (en) Quick connect/disconnect microwave connector
US6908123B2 (en) Bayonet quick coupler
KR100599639B1 (en) Quick connect coupling
US6257278B1 (en) High pressure fluidline connector
US3810073A (en) Connector locking mechanism
US2753445A (en) Hanger for lighting fixture
US4711974A (en) Adapter fitting for connecting flexible conduit to electrical outlet boxes
US4382618A (en) Hydraulic coupling device
US4382619A (en) Hydraulic coupling device
JPS63270992A (en) Improved partition-wall fixture for fluid pipe joint
KR890004315Y1 (en) Pipe connector
US4060264A (en) Swivel conduit coupling assembly
US5131692A (en) Pipe connector with threaded seal in nonthreaded cavity
GB2049856A (en) Tube and nipple coupling
CZ286076B6 (en) Plug-in coupling for connecting two plastic pipes
US4988129A (en) Fluid pipe coupling
US20030002917A1 (en) Clamp connection and release device
US6431611B1 (en) Two piece universal elbow
KR100214781B1 (en) Pipe connector
US5120092A (en) Apparatus to provide a threaded coupling for a broken pipe
US2005556A (en) Coupling means for lubricating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50530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