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4781B1 - Pipe connector - Google Patents

Pipe connec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4781B1
KR100214781B1 KR1019940010634A KR19940010634A KR100214781B1 KR 100214781 B1 KR100214781 B1 KR 100214781B1 KR 1019940010634 A KR1019940010634 A KR 1019940010634A KR 19940010634 A KR19940010634 A KR 19940010634A KR 100214781 B1 KR100214781 B1 KR 1002147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body
claw
elastic coupling
pip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06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50019346A (en
Inventor
쇼하치 시미즈
Original Assignee
야마다 아키오
미라이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다 아키오, 미라이 코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다 아키오
Publication of KR950019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3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47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4781B1/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잘못 접속된 관의 분리를 쉽게 행할 수 있는 관 접속구에 관한 것으로, 관이 삽입되는 수용구를 갖춘 접속구 본체와, 이 접속구 본체의 수용구에 원주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져 장착되는 캡체를 구비하고, 캡체는 접속구 본체의 수용구에 삽입되는 관에 결합하기 위한 글로부를 안쪽으로 돌출시킨 탄성 결합클로를 내측에 가지고 있고, 접속구 본체의 수용구는, 캡체의 회전에 의해 탄성 결합클로의 단부와 원주방향으로 미끄럼 접촉하여 그 단부를 넓히는 확개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접속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캡체를 분리하지 않고 캡체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수용구의 측방향으로 단지 순라이드시키는 것만으로 관의 결합을 해제하여 관을 쉽게 분리할 수 있어, 분리작업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ube connecting port which can easily separate a wrongly connected pipe, and includes a connector main body having a receiving port into which a tube is inserted, and a cap body freely rotatably fitt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the receiving opening of the connecting main body. The cap body has an elastic coupling claw which protrudes inwardly a glow portion for coupling to a tu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 of the connector main body, and the receiving port of the connector main body has an end portion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by rotation of the cap body. A tubular connector is provided, having a slidable contac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widen its e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ube can be easily separated by releasing the coupling of the tube by simply rotating the cap body without removing the cap body or merely forwarding the container in the lateral direction, thereby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the separating operation. Has the effect.

Description

관 접속구Pipe connection

제1도는 특허청구범위의 제1항에 기재된 관 접속구의 일실시예(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first embodiment) of the pip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of the claims.

제2도는 제1도의 관 접속구에서 관에 결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탄성 결합클로(claw)의 단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an end portion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when engaging the pipe at the pipe connection port of FIG. 1. FIG.

제3도는 제1도의 관 접속구에서 관에 결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FIG.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in the case of coupling to a pipe at the pipe connection port of FIG. 1. FIG.

제4도는 제1도의 관 접속구에서 관의 결합을 해제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탄성 결합클로의 단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in the case of releasing the coupling of the pipe in the pipe connecting port of FIG.

제5도는 제1도의 관 접속구에서 관의 결합을 해제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FIG.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when releasing a pipe from the pipe connection port of FIG. 1; FIG.

제6도는 다른 예의 확개부를 가지는 관 접속구의 다른 예(제2실시예)에서 관에 결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탄성 결합클로의 단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in the case of engaging the pipe in another example (second embodiment) of the pipe connector having the expansion part of another example.

제7도는 제6도의 관 접속구에서 관의 결합을 해제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FIG. 7 is a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when releasing a pipe from the pipe connection port of FIG. 6. FIG.

제8도는 또 다른 예의 확개부를 가지는 관 접속구의 다른 예(제3실시예)에서 관에 결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탄성 결합클로의 단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an end portion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in the case of joining to a pipe in another example (third embodiment) of a pipe connector having an extension of another example.

제9도는 제8도의 관 접속구에서 관의 결합을 해제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when releasing a pipe from a pipe connection port of FIG. 8; FIG.

제10도는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관 접속구의 다른 실시예(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fourth embodiment) of the pip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제11도는 제10도의 관 접속구에서 관의 결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탄성 결합클로의 단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an end portion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in the case of joining the pipe in the pipe connection port of FIG. 10. FIG.

제12도는 제10도의 관 접속구에서 관의 결합을 해제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탄성 결합클로의 단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in the case of releasing the coupling of the pipe in the pipe connecting port of FIG.

제13도는 커플링에 적용한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관 접속구의 다른 실시예(제5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fifth embodiment) of the pipe connector of claim 1 applied to the coupling.

제14도는 커플링에 적용한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관 접속구의 또 다른 실시예(제6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sixth embodiment) of the pipe connector of claim 1 applied to a coupling.

제15도는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관 접속구의 또 다른 실시예(제7실시예)로서, 캡(cap)체를 나타내는 정면도.FIG. 15 is a front view of another embodiment (seventh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showing a cap body. FIG.

제16도는 제15도에 나타낸 캡체의 배면도.FIG. 16 is a rear view of the cap body shown in FIG. 15. FIG.

제17도는 제15도에 나타낸 캡체의 단면도.FIG. 1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p body shown in FIG. 15. FIG.

제18도는 제15도에 나타낸 캡체가 장착되는 접속구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main body to which the cap body shown in FIG. 15 is mounted.

제19도는 제15도에 나타낸 캡체와 제18도에 나타낸 접속구 본체와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19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between the cap body shown in FIG. 15 and the connector main body shown in FIG. 18;

제20도는 제15도에 나타낸 캡체의 탄성 결합클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20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lastic coupling claw of the cap body shown in FIG.

제21도는 제7실시예의 관 접속구에서 관에 결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탄성 결합클로의 단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Fig. 21 is a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in the case of joining to the pipe in the pipe connector of the seventh embodiment.

제22도는 제7실시예의 관 접속구에서 관에 결합을 해제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Fig. 22 is a parti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in the case of releasing a coupling to a pipe in the pipe connection port of the seventh embodiment.

제23도는 제7실시예의 관 접속구에서 캡체의 회전 구조를 나타내는사시도.Fig. 2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tating structure of a cap body in the pipe connection of the seventh embodiment.

제24도는 제7실시예의 관 접속구에서 캡체의 회전 구조를 나타내는사시도.Fig. 2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otating structure of the cap body at the pipe connection of the seventh embodiment.

제25도는 제7실시예의 관 접속구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25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e of the pipe connector of the seventh embodiment.

제26도는 상이한 회전 구조를 가지는 관 접속구의 다른 예(제8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Fig. 2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eighth embodiment) of a pipe connector having a different rotating structure.

제27도는 제26도의 관 접속구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FIG. 2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connector of FIG. 26; FIG.

제28도는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관 접속구의 또 다른 실시예(제9실시예)로서, 캡체를 나타내는 정면도.FIG. 28 is a front view of a cap body as another embodiment (ninth embodiment) of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1;

제29도는 제28도에 나타낸 캡체의 배면도.FIG. 29 is a rear view of the cap body shown in FIG. 28; FIG.

제30도는 제28도에 나타낸 캡체의 단면도.3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p body shown in FIG.

제31도는 제28도에 나타낸 캡체가 장착되는 접속구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FIG. 3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nector main body to which the cap body shown in FIG. 28 is mounted. FIG.

제32도는 제28도에 나타낸 캡체와 제31도에 나타낸 접속구 본체와의 장착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3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between the cap body shown in FIG. 28 and the connector main body shown in FIG. 31;

제33도는 제9실시예의 관 접속구에서 관에 결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탄성 결합클로의 단부의 위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3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end portion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in the case of joining to the pipe in the pipe connector of the ninth embodiment.

제34도는 제9실시예의 관 접속구에서 관에 결합을 해제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3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in the case of releasing a coupling from a pipe in the pipe connection port of the ninth embodiment.

제35도는 특허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관 접속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3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nnector shown in claim 2;

제36도는 제35도의 관 접속구의 결합 상태의 단면도.3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state of the tube connector of FIG.

제37도는 제35도의 관 접속구의 관 삽입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3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parts of the service condition of a pipe insertion port of FIG.

제38도는 제35도의 관 접속구의 관 결합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3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parts of the service condition of the pipe connection shown in FIG.

제39도는 제35도의 관 접속구의 관 결합해제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Fig. 3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incipal parts of a state in which the pipe joint of Fig. 35 is used when uncoupling;

제40도는 커플링에 적용한 특허청구범위 제2항의 관 접속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4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ipe connection of claim 2 applied to a coupling;

제41도는 관 접속구의 종래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Fig. 4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example of a pipe fittin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접속구 본체 11 : 수용구10: connector body 11: receiving port

12 : 확개부(擴開部) 13 : 잘라낸 부분12: expansion part 13: cut out part

14 : 오목부 15 : 수나사14 concave portion 15 male thread

20 : 캡(cap)체 21 : 탄성 결합클로20: cap body 21: elastic coupling claw

22 : 클로(claw)부 25 : 블록부22: claw portion 25: block portion

40 : 너트 P : 관40: nut P: pipe

본 발명은, 커넥터(connector), 커플링(coupling) 등의 관 접속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잘못 접속된 관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 관 접속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관 접속구는, 각종 케이블이 내부에서 통과하여 있는 전선관이나, 또는 급배수탕관(給排水湯管), 가스관을 내부에서 통과시키는 초관(梢管) 등의 관을 건물의 벽 뒤나 천정 뒷면, 또는 콘크리트 벽내 또는 건물의 옥내, 옥외에 설치되는 각종 박스나 보호구 등의 배설자재(配設資材)에 연결하는 경우나, 관끼리를 연결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pipe joints such as connectors, couplings, and the like, and more particularly, to pipe joints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easily separating a wrongly connected pipe. The pipe connection 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connect a conduit such as a conduit through which various cables pass through, or a pipe such as a water supply and drain pipe, a super pipe through which a gas pipe passes inside, and a back of a wall or a ceiling of a building. It is used when connecting to excrement materials, such as various boxes or protective equipments installed in a concrete wall or indoors or outdoors of a building, or connecting pipes.

종래, 특히 오목부와 블록부가 번갈아 형성된 파형 전선관을 접속하는 관 접속구로서는, 제4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선관이 삽입되는 수용구(受容口)(51)를 가진 접속구 본체(50)와, 수용구(51)에 삽입되는 전선관에 결합하는 클로(claw)부(63)를 안쪽 방향으로 돌출시킨 탄성 결합클로(62)를 내측에가지고 있는 캡(cap)체(60)로 구성되는 전선관 접속구가 알려져 있다. 이 전선관 접속구는, 접속구 본체(50)의 수용구(51)의 바깥둘레 면에 수나사(52)가 형성되고, 이 접속구 본체(50)의 수나사(52)에 캡체(60)의 안쪽둘레 면에 형성된 암나사(61)가 나사결합되어, 접속구 본체(50)에 캡체(60)가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선관을 캡체(60)의 삽입구로부터 삽입하면, 탄성 결합클로(62)가 넓혀져 접속구 본체(50)의 수용구(51)에 전선관이 삽입되고, 탄성 결합클로(62)가 세자리로 되돌아옴으로써 클로부(63)가 전선관의 오목부에 결합되어, 전선관이 빠짐방지 상태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Conventionally, especially as a pipe connection port which connects the corrugated conduit formed by which the recessed part and the block part were alternated, as shown in FIG. 41, the connector main body 50 which has the accommodating opening 51 into which a conduit is inserted, The conduit connection port composed of a cap body 60 having an inner side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62 which protrudes inwardly the claw portion 63 coupled to the conduit inserted into the tool 51. Known. The conduit connector has a male screw 52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 51 of the connector main body 50, and the male thread 52 of the connector main body 50 has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body 60. The formed female thread 61 is screwed together, and the cap body 60 is couple | bonded with the connector main body 50, and is comprised. Then, when the conduit is inserted from the insertion opening of the cap body 60, the elastic coupling claw 62 is widened, the conduit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 51 of the connector main body 50, the elastic coupling claw 62 is returned to three positions. The claw portion 63 is coupled to the concave portion of the conduit tube so that the conduit can be connected in a state where the conduit is prevented from coming off.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전선관 접속구의 경우에는, 전선관을 잘못 접속했을 경우에 그 전선관을 빼내는 것이 쉽지 않고, 접속구 본체(50)의 수용구(51)에 나사결합된 캡체(60)를 분리하지 않는 한, 전선관의 결합을 해제할 수 없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불편하였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conventional conduit connection port, when the conduit is connected incorrectly, it is not easy to pull out the conduit, and the cap body 60 screwed to the receiving port 51 of the connector main body 50 is not removed. However, the work was very inconvenient because the conduit could not be released.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의 목적은, 캡체를 분리하지 않고 전선관 등의 관의 결합을 해제하여, 잘못 집속된 관의 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관 접속구를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pipe connection port which can easily disconnect a tube that is wrongly focused by releasing a connection of a pipe such as a conduit without removing the cap body. .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특허청구범위의 제1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관이 삽입되는 수용구를 가진 접속구 본체와, 그 접속구 본체의 수용구에 삽입되는 관에 결합하기 위한 클로(claw)부를 안쪽으로 돌출시킨 탄성 결합클로를 내측에 가지고 있고, 상기 접속구 본체의 수용구에 장착되는 캡(cap)체로 이루어진 관 접속구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 본체의 수용구의 단부에는, 상기 캡체의 회전으로 상기 탄성 결합클로의 단부와 원주방향으로 미끄럼 접촉하여 그 단부를 넓히는 다수의 확개부(擴開部)가 전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캡체가 상기 접속구 본체에 장착된 때 상기 캡체가 상기 접속구 본체로부터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해, 상기 캡체의 내면과 상기 접속구 본체의 외면중 어느 한쪽에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캡체의 내면과 상기 접속구 본체의 외면중 다른 한쪽에는, 상기 볼록부가 결합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접속구이 제공된다.As a mean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1, the connector body having a receiving port into which the tube is inserted, and the tu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 of the connecting body In the pipe connection port which has the elastic coupling claw which protruded inward and the claw part for a inside, and consists of a cap body attached to the accommodation port of the said connection port main body, The end of the accommodation port of the said connection port main body has the said When the cap body is rotated in contact with the end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plurality of extension parts are installed to protrude forward, and the cap body is mounted on the connector main body. In order to prevent a cap body from coming out from the said connector body, a convex part is formed in either the inner surface of the said cap body,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aid connector body, The other group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body and the connection port of the cap body side, there is provided pipe connection grilled,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ss is formed to the coupling convex portion.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제2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관이 삽입되는 수용구를 가진 접속구 본체와, 그 접속구 본체의 수용구에 삽입되는 관에 결합하기 위한 클로부를 안쪽으로 돌출시킨 탄성 결합클로를 내측에 가지고 있고, 상기 접속구 본체의 수용구에 장착되는 캡체로 이루어진 관 접속구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 본체의 수용구의 단부에는, 상기 수용구의 축방향으로의 상기 캡체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 상기 수용구의 축방향으로 상기 탄성 결합클로의 단부와 미끄럼 접촉하여 그 단부를 넓히는 확개부가 외측으로 경사져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체가 상기 접속구 본체에 장착된 때 상기 캡체가 상기 접속구 본체로부터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해, 상기 캡체의 내면과 상기 접속구 본체의 외면중 어느 한쪽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캡체의 내면과 상기 접속구 본체의 외면중 다른 한쪽에는 상기 돌출부가 결합하기 위해,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홈과 그 홈과 연통하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접속구가 제공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claim 2 of the claims, a connector main body having a receiving port into which a tube is inserted, and a claw portion for engaging the tu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 of the connecting main body are projected inward. In the pipe connecting port having an elastic coupling claw on the inner side and formed of a cap body attached to the receiving port of the connector main body, an end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 of the connector main body is adapted to the sliding movement of the cap body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port. The slit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inclining outwardly in an axial direction of the receptacle in sliding contact with the end of the resilient coupling claw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eceptacle, when the cap body is mounted to the connector main body. Protrusions are formed on eith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ap body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or main body so as not to fall out from the And a groove extending in the axial direction from an end portion and a concave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groove is formed on the oth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ap body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or main body so as to engage the protrusion. do.

상기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관 접속구는, 접속구 본체의 수용구에 장착된 캡체에 구비된 탄성 결합클로의 클로부를 그 수용구에 삽입된 관의 외면의 오목부에 결합시킨 상태로 그 관을 접속할 수 있는 한편, 캡체의 회전에 의해 탄성 결합클로의 단부와 원주방향으로 미끄럼 접촉하여 그 단부를 넓히는 확개부를 접속구 본체의 수용구에 갖춘 구성에 의해, 캡체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확개부와의 미끄럼 결합에 의해 탄성 결합클로의 단부가 넓혀져, 클로부와 관의 결합이 해제되어, 접속구 본체로부터 캡체를 분리하지 않고 관을 수용구로부터 빼내어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캡체를 회전 전의 상태로 되돌림으로써, 탄성 결합클로의 단부가 확개 전의 상태로 되돌아가고, 이어서, 접속되는 관에 결합가능한 상태로 되돌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The pipe joint according to claim 1 is a tube in which the claw portion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provided in the cap body attached to the receiving port of the connector main body is coupled to the concave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u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 While the cap body is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the configuration of the receiving port of the connector main body, the expansion part which slid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ith the end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cap body and expands the end thereof can be connected. The end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is widened by the sliding engagement with the claw, and the claw portion and the tube are released, so that the tube can be pulled out from the receiving port and separated without separating the cap body from the connector main body. And by returning a cap body to the state before rotation, the edge part of an elastic coupling claw returns to the state before expansion, and can return to the state which can be connected to the pipe connected subsequently.

또한, 상기 특허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관 접속구는, 접속구 본체의 수용구에 장착된 캡체에 구비된 탄성 결합클로의 클로부를 그 수용구에 삽입된 관의 외면의 오목부에 결합시킨 상태로 그 관을 접속할 수 있는 한편, 접속구 본체의 수용구의 축방향으로의 캡체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 탄성 결합클로의 단부와 그 수용구의 축방향으로 미끄럼 접촉하여 그 단부를 넓히는 확개부를 그 수용부에 갖춘 구성에 의해, 캡체를 그 수용구의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키면, 확개부와의 미끄럼 결합에 의해 탄성 결합클로의 단부가 넓혀져, 클로부와 관의 결합이 해제되어, 접속구 본체로부터 캡체를 분리하지 않고 관을 수용구로부터 빼내어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캡체를 미끄럼 이동 전의 상태로 되돌림으로써, 탄성 결합클로의 단부가 확개 전의 상태로 되돌아가고, 이어서, 접속되는 관에 결합가능한 상태로 되돌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ipe joint described in claim 2 is a state in which the claw portion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provided in the cap body attached to the receiving port of the connector main body is coupled to the concave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u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 The tube can be connected, while an expansion part for sliding the end portion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port by sliding the cap body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port of the connector main body and expanding the end thereof is provided in the receiving part. With the structure provided, when the cap body is sli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port, the end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is widened by sliding engagement with the extension part, and the coupling between the claw part and the pipe is released, and the cap body is removed from the connector body. The tube can be pulled out from the receiver and separated without being separated. And by returning a cap body to the state before sliding, the edge part of an elastic coupling claw returns to the state before expansion, and can return to the state which can be connected to the pipe connected subsequently.

[실시예]EXAMPLE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제5도에는, 각종 박스나 보호구 등의 배설자재와 관을 연결하는 커넥터에 적용된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관 접속구의 일 실시예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관 접속구는, 한쪽 끝에 관이 삽입되는 수용구(受容口)(11)를 가지고 있고, 다른쪽 끝에 너트(40)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15)가 형성된 접속구 본체(10)와, 이 접속구 본체(10)의 수용구(11)에 장착되며, 수용구(11)에 대응한 관 삽입구(24)를 가지고 있는 캡(cap)체(20)로 구성되어 있다.1 to 5 show one embodiment of the pipe connection port of claim 1 applied to a connector for connecting pipes with excrement materials such as various boxes and protective equipments. This pipe connection port has a connector 11 having a receiving port 11 into which a pipe is inserted at one end thereof, and having a male screw 15 to which a nut 40 is screwed at the other end thereof. It is attached to the receiving opening 11 of the main body 10, and is comprised from the cap body 20 which has the pipe insertion opening 24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opening 11. As shown in FIG.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체(20)는, 그의 내면에 형성된 볼록부(25)가 접속구 본체(10)의 수용구(11)의 외면에 축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오목부(14)에 끼워 넣어지고,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오목부(14)내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짐으로써, 접속구 본체(10)의 수용구(11)에 원주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캡체(20)가 수용구(11)로부터 빠져 나오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오목부(14)는 축방향으로 형성된 부분을 얕게, 그리고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부분을 깊게 한 단차(段差)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오목부(14) 및 볼록부(25)는 한 곳에 마련하여도 좋고, 여러 곳에 마련하여도 좋다.As shown in FIG. 1, the cap body 20 has the concave part 14 in which the convex part 25 formed in the inner surface was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opening 11 of the connector main body 10. As shown in FIG. It is comprised so that rotation can be moun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freely in the receiving opening 11 of the connector main body 10 by being inserted in the recess part 14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is case, in order to prevent the cap body 20 from escaping from the receiving opening 11, the recess 14 forms a step that makes the portion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shallow and the portion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deep. It is good. In addition, the recessed part 14 and the convex part 25 may be provided in one place, and may be provided in several places.

캡체(20)는, 접속구 본체(10)의 수용구(11)에 삽입되는 관에 결합하여 그 관을 고정시키기 위한 클로(claw)부(22)를 안쪽으로 돌출시킨 복수의 탄성 결합클로(21)를 내측에 가지고 있다. 이 탄성 결합클로(21)는 합성수지에 의해 캡체(20)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제3도 및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체(20)의 내면과의 사이에 클로부(22)가 후퇴할 수 있는 공간이 되는 틈(S)을 두고 안쪽 방향으로 굽혀져 형성되고, 단부(23)가 틈(S)쪽으로 휘어져 확개(擴開)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그 단부(23)가 확개 상태(제5도)에서 본래의 상태(제3도)로 되돌려지도록 탄성이 작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탄성 결합클로(21)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것이어도 좋고, 별개의 부재로 만들어진 후 캡체(20)에 부착되는 것이어도 좋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로부(22)는, 관(P)의 삽입측을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관(P)의 삽입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관(P)을 빼내는 것에 대해서는 이것을 방지하는 대략 수직의 벽을 가지는 3각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ap body 20 is coupled to a tu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 11 of the connector main body 10 and a plurality of elastic coupling claws 21 protruding inward the claw portion 22 for fixing the tube. ) Inside.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p body 20 by synthetic resin. As shown in FIGS. 3 and 5, the claw portion 22 is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ap body 20. It is formed to be bent inwardly with a gap S serving as a space to be retracted, and the end 23 is configured to be bent toward the gap S to be in an expanded state, and the end 23 is The elasticity can act so as to return from the expanded state (FIG. 5) to the original state (FIG. 3). In addition,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may be made of metal, or may be attached to the cap 20 after being made of a separate member. As shown in FIG. 3, the claw part 22 forms the insertion side of the pipe P in the inclined surface, and makes it easy to insert the pipe P, and prevents this from taking out the pipe P. It is desirable to have a triangular cross section with a substantially vertical wall.

수용구(11)의 단부에는, 캡체(20)에 설치된 탄성 결합클로(21)에 대응하여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가 끼워 넣어지는 잘라낸 부분(13)과, 캡체(20)를 회전시킬 때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와 미끄럼 접촉하는 확개부(12)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구(11)에 캡체(2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와 확개부(12)가 나란히 인접한 상태로 배열되도록 되어 있다. 즉, 캡체(20)를 회전시킬 때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가 확개부(12)에 미끄럼 접촉하는 위치에 그 단부(23)가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At the end of the receiving port 11, a cutout portion 13 into which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fitted, corresponding to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provided on the cap body 20, and the cap body 20 When rotating the expansion portion 12 which is in sliding contact with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alternately formed. Thereby, as shown in FIG. 2, in the state in which the cap body 20 was attached to the receiving opening 11, the edge part 23 and the extension part 12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are adjacent to each other side by side. It is supposed to be arranged. That is, when the cap body 20 is rotated, the end part 23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which the end part 23 of the elastic engagement claw 21 slidingly contacts with the extension part 12. As shown in FIG.

확개부(12)에는, 그의 일측 가장자리에 바깥으로 향한 경사면(12a)이 형성되고, 한편,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에는, 그의 일측 가장자리에 상기 경사면(12a)에 대향하는 안쪽으로 향한 경사면(23a)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캡체(20)를 회전시킬 때, 이들 경사면(12a, 23a)끼리를 미끄럼 접촉시켜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가 원활하게 확개부(12)상에 겹치게 하여, 단부(23)를 넓힐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확개부(12) 및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에 형성되는 경사면(12a, 23a)은 어느 한쪽에 형성된 것이라도, 캡체(20)를 회전시켜 단부(23)를 넓히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확개부(12)와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 모두를 경사면(12a, 23a)에 의해 미끄럼 접촉시키는 형태라면, 캡체(20)의 회전에 의한 단부(23)의 넓힘은 원활해지고, 또한 확실해진다.The expansion portion 12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12a facing outward at one side edge thereof, while at an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an inner side of the extension portion 12 is opposed to the inclined surface 12a at its one edge edge. The inclined surface 23a toward the side is formed. As a result, when the cap body 20 is rotated, the inclined surfaces 12a and 23a are brought into sliding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smoothly overlaps on the extension 12, and the end (23) is to be widened. In addition, even if the inclined surfaces 12a and 23a formed on the extension portion 12 and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are formed on either side, it is preferable to rotate the cap body 20 to widen the end 23. It is possible. As described above, if both the extension portion 12 and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are in sliding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s 12a and 23a, the end portion 23 by the rotation of the cap body 20 The widening becomes smooth and certain.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용구(11)에 캡체(20)가 장착된 상태에서,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잘라낸 부분(13)내에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클로부(22)가 안쪽으로 돌출하여 관(P)을 빠짐방지 상태로 결합할 수 있고, 한편,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체의 회전에 의해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가 확개부(12)상에 겹친 상태로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클로부(22)가 후퇴하여 관(P)과 클로부(22)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관(P)을 수용구(11)로부터 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2도는, 탄성 결합클로(21)가 제3도에 나타낸 상태에 있는 것을 그의 단부(23)를 포함하는 선에서 세로로 절단하여 캡체(20)측에서 본 도면으로, 캡체(20)의 바깥둘레 벽은 생략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4도는, 탄성 결합클로(21)가 제5도에 나타낸 상태에 있는 것을 그의 단부(23)를 포함하는 선에서 세로로 절단하여 캡체(20)측으로 본 도면으로, 캡체(20)의 바깥둘레 벽은 생략되어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in the state in which the cap body 20 is attached to the receiving opening 11,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ends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s 21 in the cutout portions 13. ) Is located, the claw portion 22 protrudes inward and can be coupled to the tube (P) in the preventive state, while, as shown in Figs. 4 and 5, by the rotation of the cap body When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positioned in the state of being overlapped on the extension portion 12, the claw portion 22 retreats to release the coupling between the pipe P and the claw portion 22. The pipe P can be taken out from the accommodation port 11. 2 is the figure which cut | disconnected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n the state shown in FIG. 3 longitudinally at the line | wire including the edge part 23, and was seen from the cap body 20 side, The cap body 20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wall is omitted. Similarly, FIG. 4 is a view in which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in the state shown in FIG. 5 in the line including the end 23 thereof and viewed vertically from the cap body 20 side. The outer circumference wall is omitted.

상기 실시예의 관 접속구에서는,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를 확개시켰을 때,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에 형성된 평탄한 내면과, 확개부(12)에 형성된 평탄한 외면이 미끄럼 접촉하여, 캡체(20)의 회전을 멈추어도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가 확개된 상태(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낸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즉, 확개부(12)에 형성된 평탄한 외면이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를 확개된 위치에 올려놓는 상태로 하는 올려놓을 면을 형성하고, 캡체(2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정지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정지부를 갖는 관 접속구에 있어서는, 회전한 캡체(20)로부터 손을 떼어도 캡체(20)가 회전 전의 상태로 되돌아감이 없이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는 확개된 상태로 유지되어, 한 손으로의 조직으로 관(P)을 수용구(11)로부터 빼낼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확개부(12)에 형성된 평탄에 외면에 대해서,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에 형성된 평탄한 내면은, 탄성 결합클로(21)의 탄성에 의해 서로 눌러 접한 상태로 되어 미끄럼 접촉하여, 회전한 캡체(20)에 다소의 외력이 작용해도 쉽게 벗어나지 않도록 되어 있다.In the pipe joint of the above embodiment, when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expanded, the flat inner surface formed on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and the flat outer surface formed on the extension portion 12 are formed. Even if the sliding contact stops the rotation of the cap 20,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kept in the expanded state (the state shown in FIG. 4 and FIG. 5). That is, the flat outer surface formed in the extension part 12 forms the mounting surface which makes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to the expanded position, and stops stopping rotation of the cap body 20. It is comprised as a part. In the pipe joint having such a stop,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opened in a state in which the cap body 20 does not return to the state before rotation even if the cap body 20 is removed from the rotated cap body 20. It can hold | maintain and can pull out the pipe P from the accommodation port 11 with the tissue of one hand. In addition, in the said embodiment, the flat inner surface formed in the edge part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was pressed against each other by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with respect to the flat surface formed in the extension part 12, and the outer surface. Even if some external force acts on the rotated cap body 20 by coming into a sliding state, it does not come out easily.

제6도 및 제7도에는 확개부(12)의 다른 예가 나타내어져 있고 이 예에서는,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와 미끄럼 접속하는 확개부(12)의 미끄럼 접촉면 전체가 경사면(12a)으로 형성되어 있고, 확개부(12)의 경사면(12a)상에서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를 이동시킴으로써,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를 바깥쪽으로 확개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예의 경우에는, 제1도~제5도에 나타낸 실시예와 달리,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가 확개된 제7도에 나타낸 것과 같은 상태에서 관(P)을 빼낸 후에, 캡체로부터 손을 떼면, 탄성 결합클로(21)의 탄성으로 단부(23)가 경사면(12a)에서 미끄러져 내려가, 제6도와 같은 상태로 되돌아가도록 되어 있다. 즉, 확개부(12)의 경사면(12a)의 구성이, 캡체의 회전을 멈춤으로써 캡체를 회전 전의 상태로 되돌리는 되돌림부로서 형성되어 있다.6 and 7 show another example of the extension 12, in this example the entire sliding contact surface of the extension 12 slidingly connected to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an inclined surface ( 12a), and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can be extended outward by moving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on the inclined surface 12a of the extension portion 12a. To make it work. In the case of this example, unlike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5, after removing the tube P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7 in which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expanded, When the hand is released from the cap body, the end portion 23 slides down on the inclined surface 12a due to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and returns to the state as shown in FIG. That is, the structure of the inclined surface 12a of the extension part 12 is formed as a return part which returns a cap body to the state before rotation by stopping rotation of a cap body.

이와 같은 되돌림부를 형성한 관 접속구는, 단지 관(P)을 삽입하는 것만으로 관(P)에 결합한 상태에서 접속할 수 있어, 캡체(20)를 회전 전의 상태로 되돌리는 조작이 간단하여,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캡체(20)를 회전 전의 상태로 되돌리는 조작을 잊어버리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The pipe connection port which formed such a return part can be connected in the state couple | bonded with the pipe | tube P only by inserting the pipe | tube P, and operation which returns a cap body 20 to the state before rotation is simple, and work efficiency Can be improved, and the case of forgetting the operation of returning the cap body 20 to the state before rotation can be prevented.

또한, 제8도 및 제9도에는 확개부(12)의 또 다른 예가 나타내어져 있고, 이 예에서는, 확개부(12)의 타측 가장자리(경사면(12a)이 형성된 측과 반대측)에, 확개된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가 맞닿아 정지하는 정지벽(12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정지벽(12b)은 캡체(20)의 회전을 소정의 범위로 규제하는 회전멈춤부로서 구성되어 있고, 정지벽(12b)에 의해,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를 확개하는 경우에 캡체(20)를 필요 이상으로 회전시킴 없이 확개조작을 확실히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정지벽(12b)은 모두 확개부(12)에 갖추어질 필요없이 부분적으로 설치되어도 좋다.8 and 9 show another example of the extension 12. In this example, the extension of the extension 12 is extended to the other edge (the side opposite to the side on which the inclined surface 12a is formed). The stop wall 12b which the edge part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contact | abuts and stops is formed. This stop wall 12b is comprised as a rotation stop part which restricts rotation of the cap body 20 to a predetermined range, and extends the edge part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by the stop wall 12b. In this case, the expansion operation can be surely performed without rotating the cap body 20 more than necessary. In addition, all of the stop walls 12b may be partially provided without having to be provided in the extension 12.

회전멈춤부로서는,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에서 맞닿아 정지시는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체(20)의 내면에 형성된 볼록부(25)를 접속구 본체(10)의 외면에 형성된 오목부(14)에 끼워 넣는 형태의 관 접속구에 있어서는, 오목부(14)의 원주방향 길이를,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를 넓히는데 필요한 길이에 대응시켜 형성하고, 오목부(14)의 측벽에 볼록부(25)가 맞닿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14)와 볼록부(25)를 반대로 해도 된다. 즉, 접속구 본체(10)의 바깥둘레에 볼록부를 설치하고, 이 볼록부가 결합하여 캡체(20)의 회전에 의해 그 볼록부가 맞닿게 되는 측벽을 형성한 오목부 또는 잘라냄부를 캡체(20)에 설치하여 구성해도 좋다. 또한, 제6도 및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개부(12)의 경사면(12a)이 캡체(20)의 내면(제6도 및 제7도의 맨바깥둘레 원에 위치하고 있는)에 이르도록 형성된 관 접속구에 있어서는, 확개시킨 단부(23)를 확개부(12)의 경사면(12a)의 상단에 배치시켜 캡체(20)의 내면에 맞닿게 할 수 있어, 이 캡체의 내면을 회전멈춤부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As the rotation stopper, the convex portion 25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p body 20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that abuts at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and stops. In the pipe connector of the form which is inserted into the recessed part 14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or main body 10, the circumferential length of the recessed part 14 is necessary for widening the edge part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t may b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length, and may be configur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convex portion 25 abuts on the side wall of the concave portion 14. The concave portion 14 and the convex portion 25 may be reversed. That is, the convex part is provid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nection port main body 10, and this convex part couple | bonded with the cap body 20 the recessed part or cutout which formed the side wall which the convex part contacts by the rotation of the cap body 20. You may install and configure.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inclined surface 12a of the enlarged portion 12 reaches the inner surface of the cap body 20 (located in the outermost circle of FIGS. 6 and 7). In the formed pipe joint, the expanded end 23 can be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inclined surface 12a of the extension portion 12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ap body 2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ap body is used as a rotation stopper. It can also be configured.

제10도에는, 커넥터에 적용된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관 접속구의 다른 실시예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관 접속구는, 한쪽 끝에 관이 삽입되는 수용구(11)를 가지고 있고, 다른쪽 끝에 너트(40)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15)가 형성된 접속구 본체(10)와, 이 접속구 본체(10)의 수용구(11)에 장착되며 수용구(11)에 대응한 관 삽입구(24)를 갖는 캡체(20)로 구성되어 있다. 캡체(20)는, 그의 내면에 형성된 볼록부(25)를 접속구 본체(10)의 외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홈(16)에 강제적으로 끼워넣음으로써, 접속구 본체(10)의 수용구(11)에 원주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25)의 양측에는, 볼록부(25)만 바깥쪽으로 확개시킬 수 있게 하는 슬릿(slit)을 형성함으로써, 홈(16)에의 강제적인 끼워넣기가 쉽게 행해지도록 해도 좋다.10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pipe connector of claim 1 applied to a connector. The pipe connecting port has a receiving port 11 into which a pipe is inserted at one end thereof, and a connector main body 10 having a male screw 15 to which a nut 40 is screwed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the connecting main body 10. It is comprised by the cap body 20 which is attached to the receiving opening 11 of and has the tube insertion opening 24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opening 11. The cap body 20 forcibly fits the convex portion 25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to the groove 16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or main body 10, thereby receiving the receiving port 11 of the connector main body 10. The rotation is freely moun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addition, on both sides of the convex portion 25, a slit that allows only the convex portion 25 to extend outward may be formed so that the forced insertion into the groove 16 can be easily performed.

캡체(20)의 내측에는, 접속구 본체(10)의 수용구(11)에 삽입되는 관에 결합하기 위한 클로부(22)를 안쪽으로 돌출시킨 복수의 탄성 결합클로(21)를 가지고 있고, 한편, 접속구 본체(10)의 수용구(11)의 단부에는, 상기 복수의 탄성 결합클로 2개를 1조로 하여 그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가 끼워넣어지는 잘라낸 부분(13)과,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와 미끄럼 접촉하는 확개부(12)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에는, 그의 일부에 안쪽으로 향한 경사면(23a)이 형성되어 있고, 확개부(12)에는, 그의 일측 가장자리에 바깥쪽으로 향한 경사면(23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확개부(12)의 다른측 가장자리에는, 회전멈춤부로서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가 맞닿는 정지벽(12b)이 형성되어 있다.The inner side of the cap body 20 has a plurality of elastic engagement claws 21 which protrude inwardly the claw portion 22 for engaging the pip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 11 of the connector main body 10, In the end of the receiving port 11 of the connector main body 10, the cutout portion 13 into which the plurality of elastic coupling claws is set as one set, and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fitted. The extension part 12 which slides in contact with the edge part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alternately formed. An inclined surface 23a facing inward is formed at a portion thereof at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and an inclined surface 23a facing outward is formed at one edge thereof in the extension portion 12. . In addition, at the other edge of the extension portion 12, a stop wall 12b is formed in which the end 23 of the elastic engagement claw 21 abuts as the rotation stop portion.

이 예의 경우에는, 탄성 결합클로(21)가 2개씩 조를 이루어 구성되어 있어,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를 넓히는 경우에는, 각 조의 탄성 결합클로중 처음의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가 확개부(12)의 경사면(12a)에 올려 놓여지고, 그후, 그다음의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가 경사면(12a)에 올려 놓여지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캡체(20)를 회전시켜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를 넓히는 경우에 필요로 하는 힘은, 개개의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를 경사면(12a)에 올려놓는 구조의 것과 비교하여 극히 적은 힘으로 완료할 수 있다. 즉,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가 경사면(12a)에 올려 놓여지는데 걸리는 저항을 분산시켜 캡체(20)의 회전조작을 원활하게 하고, 또한, 탄성 결합클로(21)의 수를 줄이지 않고 관의 결합을 확실히 행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In the case of this example, when two elastic coupling claws 21 are comprised by two, and when the edge part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expanded, the first elastic coupling claw 21 of each pair of elastic coupling claws 21 is formed. The end portion 23) is placed on the inclined surface 12a of the extension portion 12, and then the end 23 of the next elastic engagement claw 21 is placed on the inclined surface 12a. For this reason, the force required when rotating the cap body 20 to widen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causes the end 23 of each elastic coupling claw 21 to the inclined surface 12a. It can be completed with very little force compared to that of the mounting structure. That is, by dispersing the resistance that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placed on the inclined surface 12a,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cap body 20 is smoothed, and the number of the elastic coupling claws 21 is also reduced. It is a structure that can reliably join pipes without reducing them.

상기 실시예에서는, 수용구(11)에 캡체(20)가 장착된 상태에서, 잘라낸 부분(13)내에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로부(22)가 안쪽으로 돌출하여 관(P)을 빠짐방지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고, 한편, 캡체(20)의 회전에 의해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가 확개부(12)상에 겹친 상태로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로부(22)가 후퇴하여 관(P)과 클로부(22)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관(P)을 수용구(11)로부터 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when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located in the cutout portion 13 with the cap body 20 attached to the receiving opening 11, as shown in FIG. Likewise, the claw portion 22 protrudes inward to fix the tube P in a preventive state, while the end portion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expanded by the rotation of the cap body 20. When it is located in the state overlapped on (12), as shown in FIG. 12, the claw part 22 retreats and the coupling | coupling of the pipe | tube P and the claw | claw part 22 is canceled | released, and the pipe | tube P is removed. It is possible to take out from the receiving port 11.

또한, 상기 실시예의 관 접속구의 경우, 확개부(12)에 형성된 평탄한 외면은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를 확개된 위치에 올려놓는 상태로 하는 올려놓음 면을 형성하고, 캡체(2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정지부로서 구성되어 있어, 회전한 캡체(20)로부터 손을 떼어도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가 확개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nection port of the above embodiment, the flat outer surface formed in the extension portion 12 forms a mounting surface in which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placed in the expanded position, and the cap body ( It is comprised as the stop part which stops the rotation of 20, and the edge part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maintained in the expanded state, even if it removes a hand from the rotated cap body 20.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실시예의 관 접속구에서는, 확개부(12)와 탄성 결합클로(21) 모두에 경사면(12a, 23a)이 형성되고, 이들 경사면(12a, 23a)끼리를 미끄럼 접촉시킴으로써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를 확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경사면은 확개부(12)와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중 어느 한쪽에만 형성된 것이어도 좋다.Moreover, in the pipe connection port of the said embodiment, inclined surfaces 12a and 23a are formed in both the extension part 12 and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and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made by sliding-contacting these inclined surfaces 12a and 23a. Although it is possible to expand the end 23 of the c), the inclined surface may be formed only on either one of the extension 12 and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제13도 및 제14도에는, 관끼리를 접속하는 커플링에 적용된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관 접속구의 각 실시예가 나타내어져 있으며, 접속구 본체(10)의 양끝에 수용부(11)를 가지고 있고, 각 수용부(11)에 캡체(20)가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제13도에 나타낸 관 접속구는 제1도에 나타낸 관 접속구의 캡체와 접속구 본체의 수용구의 구조를 적용한 것이고, 제14도에 나타낸 관 접속구는 제10도에 나타낸 관 접속구의 캡체와 접속구 본체의 수용구의 구조를 적용한 것이다. 또한, 제6도 또는 제8도에 나타낸 예에 있어서도, 커넥터와 커플링중 어느 하나의 관 접속구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이다.13 and 14, each embodiment of the pipe connector of claim 1 applied to the coupling for connecting pipes is shown, and has accommodation portions 11 at both ends of the connector body 10. The cap body 20 is rotatably mounted to each housing portion 11. The pipe fitting shown in FIG. 13 applies the structure of the cap body of the pipe fitting shown in FIG. 1, and the receiving opening of the connector body, and the pipe fitting shown in FIG. 14 shows the cap body of the pipe fitting shown in FIG. The structure of the receiving port is applied. In addition, also in the example shown in FIG. 6 or 8, it is applicable to the pipe connection port of any one of a connector and a coupling, and the same also applies to the Example demonstrated below.

제15도~제25도에는, 커넥터에 적용된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관 접속구의 다른 실시예가 나타내어져 있다. 제15도 및 제16도는 캡체(20)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고, 제17도는 캡체(20)의 단면도이며, 제18도는 접속구 본체(10)의 사시도이다. 이 관 접속구의 경우에는, 캡체(20)의 내면에 형성된 볼록부(25)(제17도)가 접속구 본체(10)의 수용구(11)의 외면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오목부(14a)(제18도)에 끼워넣어진 다음,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오목부(14b)내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동가능하게 끼워짐으로써, 접속구 본체(10)의 수용구(11)에 원주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15 to 25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pipe connector of claim 1 applied to the connector. 15 and 16 are front and rear views of the cap body 20, and FIG. 17 is a sectional view of the cap body 20, and FIG. 1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main body 10. FIG. In the case of this pipe joint, the convex part 25 (FIG. 17)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cap body 20 was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in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 11 of the connector body 10 (14a) ( 18), and then slidably fitted to move into the recess 14b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that rotation can be freely moun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the receiving port 11 of the connector body 10. FIG. It is.

이 예에서는, 접속구 본체(10)의 수용구(11)의 외면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오목부(14a)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오목부(14b)와의 사이에 테이퍼(taper)부(14c)를 가지는 단차가 마련되어 있고, 또한, 캡체(20)의 볼록부(25)에는 그의 일부에 역 테이퍼부(25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역 테이퍼부(25a)와 테이퍼부(14c)의 미끄럼 접촉에 의해 캡체(20)의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캡체(20)의 볼록부(25)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오목부(14b)내에 빠짐방지 상태로 결합되어, 캡체(20)가 부주의로 빠지는 일이 없게 되어 있다.In this example, the taper portion 14c is provided between the recess 14a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 11 of the connector main body 10 and the recess 14b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 step is provided, and in the convex part 25 of the cap body 20, the reverse taper part 25a is formed in a part of it, and the sliding contact of the said reverse taper part 25a and the taper part 14c is carried out. While the cap body 20 can be easily mounted, the convex portion 25 of the cap body 20 is coupled in the recessed portion 14b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prevent the cap body 20 from being inadvertently inadvertently attached. It is not supposed to fall out.

수용구(11)의 단부에는, 캡체(20)가 설치된 탄성 결합클로(21)에 대응하여 그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가 끼워넣어지는 잘라낸 부분(13)과, 캡체(20)를 회전시킬 때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와 미끄럼 접촉하는 확개부(12)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고, 제1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구(11)에 캡체(2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와 확개부(12)와는 인접한 상태로 배열되도록 되어 있다. 즉, 캡체(20)를 회전시킬 때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가 확개부(12)에 미끄럼 접촉하는 위치에 그 단부(23)가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At the end of the receiving port 11, a cutout portion 13 into which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fitted, corresponding to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provided with the cap body 20, and the cap body 20 Is rotated, the extension part 12 which is in sliding contact with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alternately formed, and as shown in FIG. 19, the cap body 20 in the receiving opening 11 is shown. In the attached state, the end portion 23 and the extension portion 12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are arrange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That is, when the cap body 20 is rotated, the end part 23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which the end part 23 of the elastic engagement claw 21 slidingly contacts with the extension part 12. As shown in FIG.

제2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체(20)에 설치된 탄성 결합클로(21)는, 캡체(20)의 내면과의 사이에 클로부(22)가 후퇴할 수 있는 공간이 되는 틈(S)을 두고 안쪽방향으로 굽혀져 형성되고, 도면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단부(23)가 틈(S)쪽으로 휘어진 확개 상태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확개 상태일 때에는, 본래의 상태(도면에서의 실신)로 되돌아 가도록 탄성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0,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provided in the cap body 20 has a clearance S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ap body 20 and becomes a space where the claw part 22 can retreat. It is formed to bend inwardly, and as shown by the dashed-dotted line of the figure, it is formed so that the edge part 23 may be in the expanded state bent toward the clearance S. As shown in FIG. In the expanded state, the elasticity acts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fainting in the drawing).

제21도 및 제2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에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안쪽으로 향한 경사면(23a)이 형성되어 있고, 한편, 확개부(12)에는 상기 경사면(23a)에 대향하는 바깥쪽으로 향한 경사면(12a)이 형성되어 있어, 캡체(20)를 회전시킬 때, 이들 경사면(12a, 23a)끼리를 미끄럼 접합시켜, 단부(23)를 확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확개부(12)와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에 형성되는 경사면(12a, 23a)은 어느 한쪽에 형성된 것이어도, 캡체(20)를 회전시켜 단부(23)를 넓히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확개부(12)와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 모두를 경사면(12a, 23a)에 의해 미끄럼 접촉시키는 형태라면, 캡체(20)의 회전에 의한 단부(23)의 확개가 원활해지고, 또한 확실해진다.As shown in FIG. 21 and FIG. 22, the inwardly inclined surface 23a formed in circular arc shape is formed in the edge part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and in the expansion part 12, the inclined surface The inclined surface 12a facing outward is formed so as to face 23a, and when the cap body 20 is rotated, these inclined surfaces 12a and 23a are slid to each other so that the end 23 can be expanded. have. In addition, even if the inclined surfaces 12a and 23a formed on the extension portion 12 and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are formed on either side, it is preferable to rotate the cap body 20 to widen the end 23. It is possible. As described above, if both the extension portion 12 and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are in sliding contact with the inclined surfaces 12a and 23a, the end portion 23 by the rotation of the cap body 20 Expansion becomes smooth and it is sure.

한편, 이 관 접속구에서는, 제1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는 그의 폭이 탄성 결합클로(21)의 클로폭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확개부(12)는, 제2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부가 탄성 결합클로(21)의 클로폭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관 접속구는, 제1도에 나타낸 관 접속구의 경우와 비교해서, 탄성 결합클로(21)끼리의 간격을, 확개부(12)가 탄성 결합클로(21)의 클로폭내에 배치될 수 있는 만큼 작게 하여, 캡체(20)에 다수의 탄성 결합클로(21)을 설치하거나, 관과 클로부(22)와의 결합 부위를 넓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관의 결합 상태를 견고하게 할 수 있고, 빼냄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도에 나타낸 관 접속구의 경우와 비교해서,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가 확개부(12)상에 겹쳐놓이는 거리가 짧아지고, 캡체(20)의 조작에 있어서 작은 회전각으로 관에 결합하거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is tube, as shown in FIG. 16, the width | variety of the edge part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formed shorter than the claw width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and the extension part ( 12, as shown in FIG. 21, the whole is formed so that it may be arrange | positioned within the claw width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As shown in FIG. Compared with the case of the pipe joint shown in FIG. 1, such a pipe joint has a space between the elastic coupling claws 21 so that the extension portion 12 can be arranged within the claw width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By making it small, many elastic coupling claws 21 can be provided in the cap body 20, or the coupling | bonding site | part of a pipe | tube and the claw part 22 can be formed widely, and, thereby, the joint state of a pipe | tube can be made firm. In addition, the extraction strength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compared with the case of the connection port shown in FIG. 1, the distance which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overlaps on the extension part 12 becomes short, and the operation | movement of the cap body 20 is small. It is designed to engage or disengage the tube at a rotation angle.

또한, 단부(23)의 폭은, 관과의 결합이 해제되는 정도로 클로부(22)를 들어올릴 수 있고, 또한 확개 상태에서 탄성 결합클로(21)의 탄성에 대항할 수 있는 강도를갖는 것을 고려하여, 탄성 결합클로(21)의 클로폭에대해 절반 정도의 폭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확개부(12)의 전부가 탄성 결합클로(21)의 클로폭내에 배치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확개부(12)의 일부가 탄성 결합클로(21)의 클로폭내에 배치되는 것이어도 좋다.In addition, the width of the end 23 has a strength capable of lifting the claw portion 22 to the extent that the engagement with the tube is released, and also against the elasticity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n the expanded state. In consideration,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width about half of the claw width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n the above embodiment, the entirety of the extension part 12 is arranged in the claw width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but a part of the extension part 12 is arranged in the claw width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You can do it.

한편, 상기 실시예의 경우, 제2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구(11)에 캡체(20)가 장착된 상태에서, 잘라낸 부분(13)내에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클로부(22)가 안쪽으로 돌출하여 관(도시하지 않음)에 빠짐방지 상태로 결합할 수 있고, 한편, 제2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체(20)의 회전에 의해,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가 확개부(12)상에 겹친 상태로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클로부(22)가 후퇴하여 관과 클로부(22)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관을 수용구(11)로부터 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above embodiment, as shown in FIG. 21, in the state in which the cap body 20 is attached to the receiving opening 11,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located in the cutout portion 13. If there is, the claw part 22 protrudes inward and can be coupled to the pipe (not shown) in a prevented state. Meanwhile, as shown in FIG. 22, the claw portion 22 is elastic by rotation of the cap body 20. When the end 23 of the engaging claw 21 is positioned in the state of being overlapped on the extension portion 12, the claw portion 22 is retracted to release the coupling between the tube and the claw portion 22, so that the tube can be closed. It can be taken out from the tool 11.

또한, 상기 실시예의 관 접속구에서, 확개부(12)에 형성된 평탄한 외면은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를 확개시킨 위치에 올려놓은 상태로 하는 올려놓음 면을 형성하고, 캡체(2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정지부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회전한 캡체(20)로부터 손을 떼어도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가 확개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connection port of the said embodiment, the flat outer surface formed in the extension part 12 forms the mounting surface which puts it in the position which extended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and the cap body 20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kept in an expanded state even when the hand is removed from the rotated cap body 20.

또한, 확개부(12)의 다른쪽 가장자리(경사면(12a)이 형성된 쪽의 반대쪽)에는, 확개된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가 맞닿는 회전멈춤부로서의 정지벽(12b)이 형성되어 있어,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를 확개시킨 경우에 캡체를 필요 이상으로 회전시킴 없이 확개조작을 확실히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In addition, a stop wall 12b is formed on the other edge of the extension portion 12 (opposite to the side on which the inclined surface 12a is formed) as the rotation stop portion where the end portion 23 of the expanded elastic coupling claw 21 abuts. In this case, when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expanded, the expansion operation can be surely performed without rotating the cap body more than necessary.

또한, 상기 실시예의 관 접속구에서는, 캡체(20)의 둘레 벽에 오목부(26)(제16도)가 마련되어 있는 한편, 접속구 본체(10)의 외면에 ㅁ자 모양의 돌출부(17)(제18도)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오목부(26)와 ㅁ자 모양의 돌출부(17)는, 캡체(20)가 접속구 본체(10)의 수용구(11)에 장착되었을 때 개구(開口)끼리 마주 바라본 상태로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 오목부(26)와 ㅁ자 모양의 돌출부(17)는 드라이버에 의해 캡체(20)를 회전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즉, 제23도 및 제2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26)는 드라이버(D)의 앞끝을 끼워넣는 꽂음부로서 구성되고, ㅁ자 모양의 돌출부(17)는 끼워넣어진 드라이버(D)를 조작하기 위한 지지부로서 구성되어, 오목부(26)에 끼워넣은 드라이버(D)의 앞끝을 ㅁ자 모양의 돌출부(17)를 지지점으로 하여 비틂으로써 캡체(2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회전조작은 탄성 결합클로의 단부를 넓히는 방향과 확개된 상태로부터 제자리로 되돌리는 방향의 일 방향으로 가능하다.Moreover, in the pipe connection port of the said embodiment, while the recessed part 26 (FIG. 16) is provided in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cap body 20, the protrusion shape 17 of a K-shap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or main body 10 (18th). Fig.) Is installed. The concave portion 26 and the U-shaped protruding portion 17 are arranged so that the openings face each other when the cap body 20 is attached to the receiving opening 11 of the connector main body 10. The recess 26 and the U-shaped protrusion 17 are used to rotate the cap 20 by a driver. That is, as shown in FIG. 23 and FIG. 24, the recessed part 26 is comprised as a fitting part which fits the front end of the driver D, and the K-shaped protrusion 17 is the inserted driver D. As shown in FIG. The cap body 20 can be rotated by twisting the front end of the driver D inserted into the recess 26 with the K-shaped protrusion 17 as a support point. In addition, this rotation operation is possible in one direction of extending the end portion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and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from the expanded state.

이와 같은 관 접속구는, 예를 들어, 제2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 너트(C)를 통하여 단말 보호구(E)에 부착시켜, 콘크리트 슬래브(W)내로부터 천정 뒤에의 관(P)의 접속에 사용되는 경우 등, 손으로 캡체(20)의 회전 조작을 할 수 없는 장소에서 사용하는데 편리하다. 즉, 제25도에서, 오목부(26)와 ㅁ자 모양의 돌출부(17)가 아래쪽 개방면에 위치하도록 관 접속구를 단말 보호구(E)에 부착해 둠으로써, 캡체(20)를 회전시킬 필요가 있을 때 상기 조작에 의해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캡체(20)를 쉽게 회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Such a pipe joint is attached to the terminal protection tool E via the connection nut C,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5, and the connection of the pipe P from the inside of the concrete slab W to the ceiling. It is convenient to use in a place where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cap body 20 cannot be performed by hand, for example, whe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n FIG. 25, the cap body 20 needs to be rotated by attaching the pipe connector to the terminal protective device E so that the recess 26 and the K-shaped protrusion 17 are located on the lower opening surface. This is because the cap body 20 can be easily rotated using a screwdriver by the above operation when there is.

또한, 이와 같은 꽂음부 및 지지부를 갖춘 관 접속구는, 제6도 및 제7도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이, 되돌림부가 형성된 것과 조합한 경우에는, 드라이버로 비틀어 캡체를 회전시킨 후 드라이버를 빼내면, 캡체를 회전시켜 되돌리지 않아도 캡체는 회전 전의 상태로 자동적으로 되돌아가고, 제25도에 나타낸 사용상태에 있어서는, 드라이버로 캡체를 회전 전의 상태로 되돌리는 조작은 불필요해지므로, 작업성이 좋다. 물론, 상기 실시예와 같이 정지부를 형성한 관 접속구에 꽂음부 및 지지부를 설치하는 것을 방해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such a fitting having a plug and a support, as shown in Figs. 6 and 7, when combined with the one with the return portion, the screw is rotated by a screwdriver to rotate the cap body and then the screwdriver is removed. Even if the cap body is not rotated and returned, the cap body automatically returns to the state before rotation, and in the use state shown in FIG. 25, the operation of returning the cap body to the state before rotation by a driver is unnecessary, so workability is good. Of course, it does not prevent the insertion part and the support part from being installed in the pipe connection part which formed the stop part like the said embodiment.

또한, 꽂음부로서의 오목부(26)와 지지부로서의 ㅁ자 모양의 돌출부(17)는 실시예와 같이 두 곳에 설치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한 곳 또는 세 곳 이상 설치해도 좋다. 여러 개라면 제25도에 나타낸 사용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오목부(26) 및 ㅁ자 모양의 돌출부(17)를 아래쪽 개방면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되, 꽂음부는 드라이버로 캡체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면 좋고, 드라이버의 앞끝을 지탱할 수 있는 벽으로 구성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지지부는 꽂음부에 끼워넣어진 드라이버를 비트는 지점으로서 작용하는 것이면 좋고, V자형의 돌출부나 L자형의 돌출부 등으로 형성된 것이어도 좋다.In addition, the recessed part 26 as a plug part and the K-shaped protrusion part 17 as a support part are not limited to the case where it is installed in two places like an Example, You may provide one or three or more places. If there are several, it is possible to place any one of the recesses 26 and the K-shaped protrusion 17 in the lower opening surface in the use state shown in Fig. 25, but the inserting part may be a screwdriver capable of rotating the cap body. For example, the wall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the front end of the driver. In addition, the support portion may serve as a point for twisting the driver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and may be formed of a V-shaped protrusion, an L-shaped protrusion, or the like.

그리고, 캡체에 꽂음부만을 설치하면, 드라이버로 캡체를 회전운동시키는 것은 가능하지만, 접속구 본체의 지지부를 설치함으로써, 드라이버를 조작위치에 정확히 고정할 수 있어, 캡체의 회전 조작을 확실히 그리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The cap body can be rotated by a screwdriver only by installing the plug portion in the cap body. However, by installing the support portion of the connector main body, the driver can be accurately fixed to the operating position, and the cap body rotation operation can be performed reliably and quickly. Can be.

제26 및 제27도에는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관 접속구의 또 다른 예가 나타내어져 있고, 손에 의한 캡체의 회전 조작이 곤란한 장소(제25도)에서의 사용에 적합한 관 접속구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관 접속구는 캡체(20)와 접속구 본체(10)에 뺀찌(T)로 잡는 돌기(27, 18)를 설치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벌려진 뺀찌(T)의 앞끝을 돌기(27, 18)에 길어 뺀찌(T)로 돌기(27, 18)를 잡음으로써 캡체(20)의 돌기(27)를 접속구 본체(10)의 돌기(18)로 끌어당겨 캡체(2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탄성 결합클로의 단부를 넓히는 방향과 확개 상태로부터 되돌리는 방향중 한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접속구 본체(10)의 돌기(18)를, 캡체(20)의 돌기(27)를 사이에 두고 반대 위치에 추가로 설치함으로써, 탄성 결합클로의 단부를 넓히는 방향과 확개 상태로부터 되돌리는 방향의 양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돌기(27, 18)는 캡체(20)와 접속구 본체(10)의 여러 곳에 설치해도 좋다. 여러 개일 경우, 제25도에 나타낸 사용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돌기(27, 18)를 아래쪽 개방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돌기는 뺀찌로 잡을 수 있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것이어도 좋다.26 and 27 show still another example of the pipe connector of claim 1, and show a pipe fitting suitable for use in a place (fig. 25) in which a cap operation by a hand is difficult to rotate. This pipe connection port is comprised by providing the cap 27 and the projections 27 and 18 which hold | maintain with the teeth T in the connection port main body 10. As shown in FIG. In this example, the front end of the open tooth T is extended to the protrusions 27 and 18, and the protrusions 27 of the cap body 20 are held by the protrusions 27 and 18 with the pull T. The cap body 20 can be rotated by being attracted to the protrusion 18. In addition, in this example, although it consists of a structure which can rotate only in one direction of the direction which expands the edge part of an elastic coupling claw, and the direction which returns from an expansion state, the projection 18 of the connector main body 10 is a cap body 20. As shown in FIG. By providing the projections 27 in the opposite positions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ends of the elastic coupling claws in both directions in a direction widening and returning from an expanded state. The protrusions 27 and 18 may be provided in various places of the cap body 20 and the connector main body 10. In the case of several, any one of the projections 27 and 18 can be placed on the lower opening surface in the use state shown in FIG. In addition, a processus | protrusion is not limited to what can be caught with a pulled out thing, but may be what can be catched by hand.

이와 같은 돌기를 갖는 관 접속구는, 제6도 및 제7도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이 되돌림부를 형성한 것과 조합한 경우에는, 잡은 돌기를 해방시킴으로써, 캡체를 회전시켜 되돌리지 않아도 회전 전의 상태로 자동적으로 되돌릴 수 있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와 같이 탄성 결합클로의 단부를 넓히는 방향과 확개 상태로부터 되돌리는 방향중 한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한 구조의 것에 대해서는, 이와 같이 조합한 구조가 적합하다.In the case of the pipe fitting having such a projection, in combination with the formation of the return portion as in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6 and 7, the released projections are automatically released to the state before rotation without the cap body being rotated and returned. Can be reversed. As for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a combination of the above structures is suitable for a structure in which the end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can be rotated only in one of a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expanded state and a returning state from the expanded state.

또한, 캡체에만 돌기를 설치해도 캡체를 회전시키는 것은 가능하지만, 접속구 본체에도 돌기를 설치함으로써, 접속구 본체를 고정하면서 캡체의 회전 조작을 확실하게 그리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The cap body can be rotated even if the projection is provided only in the cap body. However, by providing the projection body in the connector body, the cap body can be reliably and quickly rotated while fixing the connector body.

제28도~제34도에는, 커넥터에 적용된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관 접속구의 또 다른 실시예가 나타내어져 있다. 제28도 및 제29도는 캡체(20)의 정면도 및 배면도이고, 제30도는 캡체(20)의 단면도이며, 제31도는 접속구 본체(10)의 사시도이다. 이 관 접속구는, 한쪽 끝에 관이 삽입되는 수용구(11)를 가지고 있고, 다른쪽 끝에 너트(40)가 나사결합하는 수나사(15)가 형성된 접속구 본체(10)와, 이 접속구 본체(10)의 수용구(11)에 대응한 관 삽입구(24)를 가지고 있고, 내측에 관에 결합하기 위한 클로부(22)를 안쪽으로 돌출시킨 복수의 탄성 결합클로(21)를 가진 캡체(20)로 구성되어 있다.28 to 34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pipe connector of claim 1 applied to a connector. 28 and 29 are front and rear views of the cap body 20, and FIG. 3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ap body 20, and FIG. 3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or main body 10. As shown in FIG. This pipe connection port has a receiving port 11 into which a pipe is inserted at one end thereof, and a connector main body 10 having a male screw 15 to which a nut 40 is screwed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this connector main body 10. A cap body 20 having a tube inserting opening 24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opening 11 of the cap, and having a plurality of elastic coupling claws 21 protruding inward from the claw portion 22 for joining the tube to the inside thereof. Consists of.

캡체(20)는 그의 내면에 형성된 블록부(25)를 접속구 본체(10)의 수용구(11)의 외면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오목부(14a) 및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오목부(14b)에 끼워넣음으로써, 접속구 본체(10)의 수용구(11)에 원주방향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예에서는, 축방향으로 형성된 오목부(14a)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오목부(14b) 사이에 테이퍼부(14c)를 갖는 단자(段瓷)가 마련되어 있고, 또한, 캡체(20)의 블록부(25)에는 그의 일부에 역 테이퍼부(25a)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역 테이퍼부(25a)와 테이퍼부(14c)의 미끄럼 접촉에 의해 캡체(20)의 장착을 쉽게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동시에, 캡체(20)의 블록부(25)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오목부(14b)내에 빠짐방지 상태로 결합되어 캡체(20)가 부주의로 빠지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The cap body 20 fits the block portion 25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reof to the recess portion 14a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 11 of the connector main body 10 and the recess portion 14b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inserting, rotation is circumferentially attached to the receiving port 11 of the connector main body 1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is example, a terminal having a tapered portion 14c is provided between the recessed portion 14a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recessed portion 14b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 the block portion 25, a reverse taper portion 25a is formed at a portion thereof, and the cap body 20 can be easily mounted by sliding contact between the reverse taper portion 25a and the tapered portion 14c. At the same time, the block portion 25 of the cap body 20 is coupled to the recessed portion 14b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o prevent it from falling out so that the cap body 20 is not inadvertently pulled out.

수용구(11)의 단부에는, 캡체(20)에 설치된 탄성 결합클로(21)에 대응하여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가 끼워넣어지는 잘라낸 부분(13)과, 캡체(20)를 회전시킬 때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와 미끄럼 접촉하는 확개부(12)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어, 제3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구(11)에 캡체(2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와 확개부(12)는 인접한 상태로 배열되도록 되어 있다. 즉, 캡체(20)를 회전시킬 때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가 확개부(12)에 미끄럼 접촉하는 위치에 그 단부(23)가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At the end of the receiving port 11, a cutout portion 13 into which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fitted, corresponding to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provided on the cap body 20, and the cap body 20 The rotating portion 12 which is in sliding contact with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rotated alternately, and as shown in FIG. 32, the cap body 20 is formed in the receiving opening 11. In the attached state, the end portion 23 and the extension portion 12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are arranged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That is, when the cap body 20 is rotated, the end part 23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which the end part 23 of the elastic engagement claw 21 slidingly contacts with the extension part 12. As shown in FIG.

이 예에서는, 캡체(20)에 설치되는 탄성 결합클로(21)가, 그의 클로폭보다 짧은 폭으로 형성된 단부(23)를 갖는 것과, 동일 폭으로 형성된 단부(23)를 갖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짧은 폭으로 형성된 단부(23)를 갖는 탄성 결합클로(21)와, 동일 폭으로 형성된 단부(23)를 갖는 탄성 결합클로(21)가 조를 이루어, 캡체(20)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수용구(11)의 단부에는, 상기 조를 이루는 탄성 결합클로(21)에 대응하여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가 끼워넣어지는 잘라낸 부분(13)과, 캡체(20)를 회전시킬 때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와 미끄럼 접촉하는 확개부(12)가 교대로 형서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구(11)에 캡체(2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작은 폭으로 형성된 단부(23)를 갖는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와 확개부(12)가 인집한 상태로 배열되도록 되어 있다.In this example, the elastic engagement claw 21 provided in the cap body 20 is comprised by having the edge part 23 formed in the width | variety shorter than the claw width, and having the edge part 23 formed in the same width, An elastic coupling claw 21 having an end 23 formed in a short width and an elastic coupling claw 21 having an end 23 formed in the same width are formed in a jaw and arranged inside the cap body 20. At the end of the receiving port 11, the cut portion 13 into which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fitted and the cap body 20 are rotated corresponding to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forming the jaw. When extending, the expansion portion 12 in sliding contact with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alternately shaped. In the state where the cap body 20 is attached to the receiving port 11, the end 23 and the extension part 12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having the end 23 formed in a small width are collected. It is supposed to be arranged.

각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에는, 확개부(12)와 미끄럼 접촉하는 쪽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안쪽으로 향한 경사면(23a)이 형성되어 있는 한편, 확개부(12)에는,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와 미끄럼 접촉하는 쪽에 바깥쪽으로 향한 경사면(12a)이 형성되어 있어, 캡체(20)의 회전에 의한 단부(23)의 확개를 원활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확개부(12)와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에 형성되는 경사면(12a, 23a)는 어느 한쪽에 형성될 것이어도, 캡체(20)를 회전시켜 단부(23)를 확개시킬 수 있다. 또한, 확개부(12)외 다른쪽 가장자리(경사면(12a)이 형성된 쪽과 반대쪽)에는, 탄성 결합클로(21)의 짧은 폭의 단부(23)에 맞닿아 캡체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회전멈춤부로서 정지벽(12b)이 형성되어 있어, 탄성결합클로(21)의 단부(23)를 넓히는 경우에 캡체를 필요 이상으로 회전시킴 없이 확개 조작을 확실히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An inwardly inclined surface 23a formed in an arc shape is formed at the end 23 of each elastic coupling claw 21 in sliding contact with the extension 12, while the extension 12 is elastically engaged. The inclined surface 12a which faces outward is formed in the side which slidingly contacts the edge part 23 of the claw 21, and the expansion of the edge part 23 by the rotation of the cap body 20 can be performed smoothly and reliably. . Incidentally, even if the inclined surfaces 12a and 23a formed on the extension portion 12 and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are formed on either side, the cap body 20 is rotated to extend the end 23. You can. Moreover, the rotation stop part which contacts the edge part 23 of the short width | variety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at the other edge (opposite to the side in which the inclined surface 12a was formed) outside the extension part 12, and stops rotation of a cap body. As a result, a stop wall 12b is formed, and when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widened, the expansion operation can be reliably performed without rotating the cap body more than necessary.

한편, 이 관 접속구에서는, 탄성 결합클로(21)가 2개씩 조를 이루어 구성되어 있고,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를 넓히는 경우에는, 각 조에서 처음의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가 확개부(12)의 경사면(12a)에 올려놓여지고, 그후, 그 다음의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가 경사면(12a)에 올려놓아지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캡체(20)를 회전시켜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를 넓히는 경우에 필요로 하는 힘은, 개개의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를 경사면(12a)에 올려놓게 하는 구조에 비하여 극히 작은 힘으로 될 수 있다. 즉,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가 경사면(12a)에 올려놓여지는데 걸리는 저항을 분산시켜, 캡체(20)의 회전 조작을 원활하게 하며, 또한, 탄성 결합클로(21)의수를 줄이지 않고, 관의 결합을 확실히 행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is pipe connection port, two elastic coupling claws 21 are comprised, and when the edge part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expanded, the first elastic coupling claw 21 in each claw is formed. The end 23 of is placed on the inclined surface 12a of the expanding portion 12, and then the end 23 of the next elastic engagement claw 21 is placed on the inclined surface 12a. For this reason, the force required when rotating the cap body 20 to widen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causes the end 23 of each elastic coupling claw 21 to the inclined surface 12a. It can be made with very little force compared to the structure to put it on. That is, by dispersing the resistance which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puts on the inclined surface 12a,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cap body 20 is made smooth, and also the number of the elastic coupling claws 21 is reduced. It is a structure that can reliably join pipes without reducing them.

또한, 상기 실시예의 관 접속구에서는, 짧은 폭으로 형성된 단부(23)를 갖는 탄성 결합클로(21)를 가지고 있고, 확개부(12)의 일부는 짧은 폭으로 형성된 단부(23)을 가진 탄성 결합클로(21)의 클로폭내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14도에 나타낸 관 접속구의 경우에 비하여, 탄성 결합클로(21)끼리의 간격을, 확개부(12)가 탄성 결합클로(21)의 클로폭내에 배치되는 만큼 작게 하여, 캡체(20)에 다수의 탄성 결합클로(21)를 설치하거나 관과 클로부(22)의 결합부위를 넓게 형성하거나 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핀의 결합상태를 견고히 할 수 있고, 빼냄강도를 높힐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4도에 나타낸 관 집속구의 경우에 비하여,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를 확개부(12)상에 겹치는 거리가 짧아져, 캡체(20)의 조작에 있어서 작은 회전각으로 관을 결합하거나 결합을 해체하거나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pipe port of the above embodiment, it has an elastic coupling claw 21 having an end 23 formed in a short width, and a part of the extension portion 12 has an elastic coupling claw having an end 23 formed in a short width. It is formed so that it may be arrange | positioned in the claw width of (21). For this reason, compared with the case of the connection port shown in FIG. 14, the space | interval of elastic coupling claws 21 is made small so that the extension part 12 may be arrange | positioned in the claw width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and the cap body ( 2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lastic coupling claw 21 or to form a wide coupling portion of the pipe and the claw portion 22, thereby strengthening the engagement state of the pi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ullout strength It is supposed to be. Moreover, compared with the case of the tube focusing port shown in FIG. 14, the distance which overlaps the edge part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on the extension part 12 becomes short, and the rotation angle which is small in the operation of the cap body 20 is small. It can be used to join pipes or to disengage them.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3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구(11)에 캡체(20)가 장착된 상태에서, 잘라낸 부부(13)내에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클로부(22)가 안쪽으로 돌출하여 관(도시하지 않음)에 빠짐방지 상태로 결합할 수 있고, 한편, 제3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체(20)의 회전에 의해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가 확개부(12)상에 겹친 상태로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클로부(22)가 후퇴하여 관과 클로부(22)의 결합이 해제되어, 관을 수용구(11)로부터 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as shown in FIG. 33, when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located in the cut-out couple 13 in a state where the cap body 20 is attached to the accommodation port 11. The claw portion 22 protrudes inward and can be coupled to a tube (not shown) in a prevented state. Meanwhile, as shown in FIG. 34, an elastic coupling claw is formed by rotation of the cap body 20 ( When the end portion 23 of the 21 is positioned in the state of being overlapped on the extension portion 12, the claw portion 22 retreats to release the coupling between the tube and the claw portion 22, thereby receiving the tube. I can take it out of

이상,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관 접속구의 각종 실시예에 대해 설명 했으나, 이들 각 실시예의 관 접속구에 있어서는, 관(P)을 접속하는 경우, 관(P)을 삽입할 때의 누르는 힘으로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를 넓히면서 삽입하고, 탄성 결합클로(21)의 제자리로 되돌아옴으로써 클로부(22)를 관(P)에 결합하도록 하여도 좋고, 또한, 캡체(20)를 회전시켜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를 넓힌 상태에서 관(P)을 삽입하고, 그후, 캡체(20)를 회전 전의 상태도 되돌림으로써 클로부(22)를 관(P)에 결합하도록 해도 좋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various Example of the pipe joint of Claim 1 was described, in the pipe joint of each of these Examples, when the pipe P is connected, the pressing force at the time of inserting the pipe P is described. Inserting while widening the end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and returning to the position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may be to engage the claw portion 22 to the pipe (P), the cap body 20 The tube P is inserted in the state where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expanded to rotate, and then the claw portion 22 is coupled to the tube P by returning the cap body 20 to the state before rotation. You may do so.

또한, 상기 각 실시예의 관 접속구에 있어서, 수용구(11)의 단부에는, 캡체(20)에 설치된 탄성 결합클로(21)에 대응하여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가 끼워 넣어지는 잘라낸 부분(13)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잘라낸 부분(13)은, 확개부(12)에 미끄럼 접촉하는 위치에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가 배치되는 공간으로서 형성되는 것이면 되고, 그 형태로서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완전히 잘라 내어진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내측에 둘레 벽을 남긴 움푹 패인 것으로 형성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실시예와 같이 완전히 잘라 내어진 형태의 잘라낸 부분(13)에 의한 구성이라면, 내측에 둘레 벽을 남긴 움푹 패인 것으로 형성되는 것에 비하여, 관에 결합하기 위한 클로부(22)외 돌출량이 둘레 벽의 두께만큼 적어져, 최소한의 돌출량으로 할 수 있어, 캡체(20) 및 접속구 본체(10)를 소형화할 수 있는 동시에, 제조에 필요한 재료가 적어지게 되어 싼값으로 공급할 수 있다.Moreover, in the pipe connection port of each said embodiment, the edge part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fitted in the edge part of the receiving opening 11 corresponding to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provided in the cap body 20. The cutout portion 13 is formed, and the cutout portion 13 may be formed as a space in which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disposed at a position in sliding contact with the extension 12. As the form, it is not limited to the form cut | disconnected completely as shown in the figure, For example, it may be formed by the recessed thing which left the peripheral wall inside.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utout portion 13 having a shape that is completely cut out as in the embodiment, the protrusion amount other than the claw portion 22 for joining to the tube is larger than that of the cutout portion leaving the circumferential wall inside. It can be reduced by the thickness of the wall, so that the minimum protrusion amount can be reduced, and the cap body 20 and the connector main body 10 can be miniaturized, and at the same time, the materials required for manufacturing are reduced, so that the supply can be performed at a low price.

또한, 제15도~제25도에 나타낸 관 접속구의 꼿음부 및 지지부의 구성, 또는 제26도 및 제27도에 나타낸 관 접속구의 돌기와 구성은, 제28도~제34도에 나타낸 관 접속구 및 그 밖의 각 실시예의 관 집속구에 대해서도 같은 방식으로 적용시켜도 좋다.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recessed part and support part of the pipe connection port shown to FIG. 15-FIG. 25, or the projection and structure of the pipe port shown to FIG. 26 and FIG. 27 is the pipe port shown to FIG. 28 to FIG. The tube focusing ports of the other embodiments may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또한, 탄성 결합클로의 단부와 확개부의 미끄럼 접촉부분에 형성되는 경사면은, 경사각이 일정한 직선 형상의 것에 한하지 않고, 경사각을 단계적으로 달리한 다각 형상으로 형성한 것, 또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다양하게 조합하여 실시해도 좋다.Incidentally, the inclined surface formed at the end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and the sliding contact portion of the extension portion is not limited to a linear shape in which the inclination angle is constant, but is formed in a polygonal shape having different inclination angles stepwise or in an arc shape. You may implement in various combinations.

그리고, 탄성 결합클로의 단부를 확개시킨 위치로 회전한 캡체를 정지시키는 정지부는, 탄성 결합클로의 단부를 확개시킨 위치에 올려놓는 상태로 하는 올려놓음 면을 확개부에 형성한 구성의 것에 한하지 않고, 집속구 본체와 캡체와의 사이에서의 마찰면의 형성이나 눌러 접한 구조, 또는 요철에 의한 결합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And the stop part which stops the cap body which rotated to the position which extended the edge part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which formed the mounting surface in the state which raises the end part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in the position which expanded.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friction surface between the focusing body main body and the cap body, a structure in which the contact surface is pressed, or a coupling structure by irregularities.

또한, 캡체의 바깥둘레 면에는, 손에 의한 회전 조작을 쉽게 행하기 위해 요철의 그립(grip)을 설치하거나, 고무 등의 미끄럼 방지 부재를 부착하여 실시해도 좋다.In addition,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p body, in order to easily perform a rotational operation by hand, an uneven grip may be provided, or a non-slip member such as rubber may be attached.

제35도~ 제38도에는, 커넥터에 적용된 특허청구범위 제2항의 관 접속구의 일 실시예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실시예와 관 접속구는, 한쪽 끝에 관이 삽입되는 수용구(11)를 가지고 있고, 다른쪽 끝에 너트(40)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15)가 형성된 접속구 본체(10)와, 이 접속구 본체(10)의 수용구(11)에 장착되고, 수용구(11)에 대응한 관 삽입구(24)를 가지고 있는 캡체(20)로 구성되어 있다.35 to 38 show one embodiment of the pipe connector of claim 2 applied to a connector. This embodiment and the pipe connection port have a connector 11 having a receiving port 11 into which a tube is inserted at one end, and a male screw 15 having a nut 40 screwed at the other end thereof, and the connector main body. It is comprised by the cap body 20 which is attached to the receiving opening 11 of 10, and has the pipe insertion opening 24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opening 11. As shown in FIG.

제3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구 본체(10)의 외면에는, 수용구(11)의 단부로부터 홈(33)이 형성되는 동시에, 그 홈(33)에 연이어서 오목부(3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30)에는 캡체(20)의 내면에 형성된 돌출부(31)가 홈(33)을 통해 끼워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즉, 캡체(20)의 내면에 형성된 돌출부(31)를 홈(33)의 위치에 맞춰 그 홈(33)속까지 삽입한 후, 캡체(20)를 원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그 돌출부(31)가 홈(33)과 오목부(30)를 연통시키는 연결홈(33a)을 통해 오목부(30)내에 끼워넣도록 되어 있다. 또한, 연결홈(33a)의 깊이는 돌출부(31)의 돌출 길이보다 약간 얕게 형성되어, 돌출부(31)가 홈(33)으로부터 오목부(30)내로 강제적으로 끼워넣어짐으로써, 오목부(30)내로부터 홈(33)내로 돌출부(31)가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3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체(20)가 접속구 본체(10)에 조립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5, the groove 33 is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or main body 10 from the edge part of the receiving opening 11, and the recessed part 30 is formed in succession to the groove 33, have. In this recessed part 30, the protrusion part 31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cap body 20 is fitted through the groove 33. As shown in FIG. That is, after inserting the protrusion part 31 form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cap body 20 into the groove 33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groove 33, and rotating the cap body 2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protrusion ( 31 is fit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30 through the connecting groove 33a for communicating the groove 33 and the recessed portion 30. In addition, the depth of the connecting groove 33a is formed to be slightly shallower than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protruding portion 31, so that the protruding portion 31 is forcibly inserted into the concave portion 30 from the groove 33, so that the concave portion 30 is formed. The projection 31 is prevented from returning from the inside of the groove 33 into the groove 33. As a result, as shown in FIG. 36, the cap body 20 is assembled to the connector main body 10. As shown in FIG.

또한, 오목부(30)는 캡체(20)의 돌출부(31)의 크기에 비해 접속구 본체(10)의 수용구(11)의 축방향으로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접속구 본체(10)에 조립된 캡체(20)는 상기 오목부(30)가 크게 형성되어 있는 만큼만 집속구 본체(10)에 대해 수용구(11)의 축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끼워진다. 캡체(20)는 접속구 본체(10)의 수용구(11)에 삽입되는 관에 결합하기 위한 클로부(22)를 안쪽으로 돌출시킨 복수의 탄성 결합클로(21)를 내측에 가지고 있다. 이 탄성 결합클로(21)는 합성수지에 의해 캡체(20)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제3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체(20)의 내면과의 사이에 클로부(22)가 후퇴할 수 있는 공간이 되는 틈(S)을 두고 안쪽 방향으로 굽혀져 형성되고, 단부(23)가 확개된 상태(제37도)에서 본래의 상태(제38도)로 되돌아 오도록 탄성이 작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탄성 결합클로(21)는 금속으로 제작된 것이어도 좋고,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캡체(20)에 부착되는 것이어도 좋다. 제3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로부(22)는, 관 삽입측을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관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관의 빼냄에 대해서는 이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대략 수직의 벽을 가진 3각 형상의 단면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Moreover, the recessed part 30 is formed large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opening 11 of the connector main body 10 compared with the magnitude | size of the protrusion part 31 of the cap body 20. As shown in FIG. Accordingly, the cap body 20 assembled to the connector main body 10 is slidably fitte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port 11 with respect to the focusing port main body 10 only as long as the concave portion 30 is formed large. The cap body 20 has the inside of the some elastic coupling claw 21 which protruded inward the claw part 22 for engaging with the pipe | tube inserted in the receiving opening 11 of the connector main body 10 inside. This elastic coupling claw 21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p body 20 by synthetic resin, and as shown in FIG. 36, the claw portion 22 can be retract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ap body 20. It is formed to be bent inwardly with the gap S serving as a space, and elasticity can act so as to return to the original state (FIG. 38) from the state in which the end 23 is expanded (FIG. 37).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may be made of metal, or may be formed of a separate member and attached to the cap body 20. As shown in FIG. 36, the claw portion 22 has a triangular shape with a substantially vertical wall that forms the tube insertion side with an inclined surface to facilitate the insertion of the tube and to prevent this from being taken out of the tube. It is preferable to have a cross section.

접속구 본체(10)의 수용구(11)의 끝면에는, 캡체(20)를 수용구(11)의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킬 때 그 수용구(11)의 축방향으로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가 미끄럼 접촉하여 그 단부(23)를 넓히는 확개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확개부(12)에는 수용구(11)의 끝면에 바깥쪽으로 향한 경사면이 형성되고, 한편, 탄성결합클로(21)의 단부(23)에는 상기 경사면에 대향하는 안쪽으로 향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캡체(20)를 수용구(11)의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킬 때, 상기 경사면 끼리를 미끄럼 접촉시켜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가 확개부(12)상에 올려놓여지게 함으로써, 단부(23)를 확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확개부(12)와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에 형성되는 경사면은 어느 한쪽에 형성된 것이라도 캡체(20)를 미끄럼 이동시켜 단부(23)를 넓히는 것이 가능하지만, 확개부(12)와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 모두에 서로 대향하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미끄럼 접촉시킨 형태라면, 수용구(11)의 축방향으로의 캡체(20)의 미끄럼 이동에 의한 단부(23)의 확개가 원활해지고 또한 확실해진다.On the end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 11 of the connector main body 10, when the cap body 20 is sli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port 11, the elastic engagement claw 21 of the receiving port 11 An extension portion 12 is formed in which the end portion 23 is in sliding contact and the end portion 23 is widened. The inclined surface facing outward is formed in the extension part 12 of the receiving opening 11, and the inwardly inclined surface facing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in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As shown in FIG. . As a result, when the cap body 20 is sli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port 11, the inclined surfaces are slid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placed on the extension 12. The end 23 can be expanded by placing it. In addition, although the inclined surface formed in the extension part 12 and the edge part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formed in either one, it is possible to slide the cap body 20 to widen the end part 23, but the extension part If both the 12 and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are formed in the form of inclined surfaces facing each other and in sliding contact with each other, the end by sliding the cap 20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port 11 (23) can be expanded smoothly and surely.

그러나, 이 관 접속구에 있어서는, 관을 집속하는 경우, 제3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P)을 삽입할 때 누르는 힘으로 탄성 결합클로(21)가 밀어 올려져, 캡체(20)의 내면과의 사이에 형성된 몸(S)내로 클로부(22)가 이동하고, 삽입후에, 제3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 결합클로(21)가 제자리로 되돌아옴으로써 클로부(22)가 핀(P)의 오목부에 끼워져 자동적으로 관(P)이 빠진방지 상태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However, in this pipe connection port, when concentrating the pipe, as shown in FIG. 37,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pushed up by the pressing force when inserting the pipe P,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ap body 20 The claw portion 22 is moved into the body S formed between the claw portions 22, and after insertion, as shown in FIG. 38,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so that the claw portion 22 becomes the pin P. FIG. It is fitted in the concave portion of the) and is automatically coupled to prevent the tube (P) is missing.

그리고, 관(P)의 결합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제3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목부(30)와 그 오목부(30)내에서 수용구(11)의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는 돌출부(31)로 이루어지는 결합수단에 의해, 캡체(20)를 접속구 본체(10)에 대해 수용구(11)의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키면,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가 그 수용구(11)의 축방향으로 확개부(12)에 미끄럼 접촉하여 확개되어, 클로부(22)가 틈(S)내로 후퇴하여, 관(P)과의 결합이 해제되어 관(P)을 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And, when releasing the coupling of the pipe P, as shown in FIG. 39, the protrusion part which slide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opening 11 in the recessed part 30 and the recessed part 30 ( When the cap body 20 is sli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opening 11 with respect to the connector main body 10 by the coupling means composed of 31,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provided with the receiving opening ( The claw portion 22 is retracted into the gap S so that the claw portion 22 is retracted into the gap S in the axial direction of 11) so that the engagement with the pipe P is released so that the pipe P can be pulled out. It is.

또한, 특허청구범위 제2항의 관 접속구에서는, 상기 실시예에 기재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한 돌출부를 접속구 본체에 형성하고, 상기한 흠 및 오목부를 캡체에 형성하여, 캡체를 수용구의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접속구 본체에 끼워 부착시킨 것이어도 된다. 또한, 캡체의 바깥둘레 면에는 다수의 원주방향 홈을 형성함으로써, 캡체의 미끄럼 이동조작에 미끄럼 억제수단이 되는 구조를 마련하여도 좋다. 또한, 캡체를 접속구 본체에 대해 수용구의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킬 때, 캡체와 접속구 본체 사이에 요철에 의한 결합구조에 의해 캡체의 복귀가 방지되도록 형성하고, 캡체로부터 손을 떼어도 탄성 결합클로가 확개 상태에 유지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특허청구범위 제2항의 관 집속구는 제4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 끼리를 접속하는 커플링에도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ipe connection port of Claim 2, it is not limited to what was described in the said Example, The above-mentioned protrusion part is formed in a connection body, the said flaw and recess are formed in a cap body, and a cap body is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of a receiving port. It may be attached to the connector main body so as to be slidable. Further, by forming a plurality of circumferential grooves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p body, a structure may be provided that is a slip suppression means for the sliding movement operation of the cap body. Further, when the cap body is slid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port relative to the connector main body, the cap body is formed to prevent the return of the cap body by the coupling structure due to the unevenness between the cap body and the connector main body. The claw may be configured to be kept in the expanded state. In addition, the tube focusing device of claim 2 can be applied to a coupling for connecting tubes as shown in FIG.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잘못 접속된 관의 분리를 쉽게 행할 수 있는 관 접속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며, 캡체를 분해하지 않고 캡체를 회전시키거나 또는 수용구의 축방향으로 단지 미끄럼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관의 결합을 해제하여 관을 쉽게 분리할 수 있어, 분리작업이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ipe connecting port which can easily detach a wrongly connected pipe, and rotates the cap body without disassembling the cap body or merely slide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port. By releasing the coupling by simply moving the pipe can be easily separated, has the effect of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Claims (2)

관이 삽입되는 수용구(11)를 가진 접속구 본체(10)와, 그 접속구 본체(10)의 수용구(11)에 삽입되는 관에 결합하기 위한 클로부(22)를 안쪽으로 돌출시킨 탄성 결합클로(21)를 내측에 가지고 있고, 상기 접속구 본체(10)의 수용구(11)에 장착되는 캡체(20)로 이루어진 관 접속구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 본체(10)의 수용구(11)의 단부에는, 상기 캡체(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와 원주방향으로 미끄럼 접촉하여 그 단부(23)를 넓히는 다수의 확개부(12)가 전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고, 상기 캡체(20)가 상기 접속구 본체(10)에 장치된 때, 상기 캡체(20)가 상기 접속구 본체(10)로부터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해, 상기 캡체(20)의 내면과 상기 접속구 본체(10)의 외면중 어느 한쪽에 볼록부(25)가 형성되고, 상기 캡체(20)의 내면과 상기 접속구 본체(10)의 외면중 다른 한쪽에는 상기 볼록부(25)가 결합하는 오목부(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접속구.Elastic coupling that protrudes inward the connector body 10 having a receptacle 11 into which the tube is inserted, and the claw portion 22 for engaging the pipe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11 of the connector body 10. An end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 11 of the connector main body 10 having a claw 21 on the inner side and having a cap body 20 mounted on the receiving opening 11 of the connector main body 10.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end portion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is rot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by the rotation of the cap body 20, and a plurality of extension portions 12 extending the end 23 protrude forward. In order to prevent the cap 20 from coming off the connector main body 10 when the cap body 20 is installed in the connector main body 10, the inner surface of the cap body 20 and the connector main body ( The convex part 25 is formed in any one of the outer surfaces of 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ap body 20 and the connector main body 10 are formed. Myeonjung other on one side pipe connection ports, it characterized in that a recess (14) for coupling said projections (25) are formed. 관이 삽입되는 수용구(11)를 가진 접속구 본체(10)와, 그 접속구 본체(10)의 수용구(11)에 삽입되는 관에 결합하기 위한 클로부(22)를 안쪽으로 돌출시킨 탄성 결합클로(21)를 내측에 가지고 있고, 상기 접속구 본체(10)의 수용구(11)에 장착되는 캡체(20)로 이루어진 관 접속구에 있어서, 상기 접속구 본체(10)의 수용구(11)의 단부에는, 상기 수용구(11)의 축방향으로의 상기 캡체(20)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 상기 수용구(11)의 축방향으로 상기 탄성 결합클로(21)의 단부(23)와 미끄럼 접촉하여 그 단부(23)를 넓히는 확개부(12)가 외측으로 경사져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캡체(20)가 상기 접속구 본체(10)에 장착된 때 상기 캡체(20)가 상기 접속구 본체(10)로부터 빠지지 않게 하기 위해, 상기 캡체(20)의 내면과 상기 접속구 본체(10)의 외면중 어느 한쪽에 돌출부(31)가 형성되고 상기 캡체(20)의 내면과 상기 접속구 본체(10)의 외면중 다른 한쪽에는, 상기 돌출부(31)가 결합하기 위해, 단부로부터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홈(33)과 그 홈(33)과 연통하는 오목부(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 접속구.Elastic coupling that protrudes inward the connector body 10 having a receptacle 11 into which the tube is inserted, and the claw portion 22 for engaging the pipe inserted into the receptacle 11 of the connector body 10. An end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 11 of the connector main body 10 having a claw 21 on the inner side and having a cap body 20 mounted on the receiving opening 11 of the connector main body 10.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port 11 by sliding the cap body 20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receiving port 11 in sliding contact with the end 23 of the elastic coupling claw 21 When the extension part 12 which widens the end part 23 is inclined outward, it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when the said cap body 20 is attached to the said connector body 10, the said cap body 20 is the said connector body 10 In order to prevent it from coming out, the projection part 31 is formed on either the inner surface of the cap body 20 or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or main body 10. The groove 33 and the groove 33 which are formed and extend in the axial direction from the end part in order to couple the protrusion part 31 to the oth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ap body 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or main body 10. A conduit (30) is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pipe.
KR1019940010634A 1993-12-24 1994-05-16 Pipe connector KR10021478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705093 1993-12-24
JP93-327050 1993-12-24
JP6062549A JP2844046B2 (en) 1993-12-24 1994-03-31 Pipe fitting
JP94-62549 1994-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346A KR950019346A (en) 1995-07-22
KR100214781B1 true KR100214781B1 (en) 1999-08-02

Family

ID=26403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0634A KR100214781B1 (en) 1993-12-24 1994-05-16 Pipe connecto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844046B2 (en)
KR (1) KR10021478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923B1 (en) * 2012-10-24 2013-07-16 (주) 삼정디씨피 Collar pipe for separation type
KR102222709B1 (en) * 2020-01-09 2021-03-04 우성알앤디주식회사 Electronic water supply valve with accessory conne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413B1 (en) * 2001-05-24 2003-08-09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A fix device for standing pipe
JP5108395B2 (en) * 2007-06-19 2012-12-26 未来工業株式会社 Protection tube connector
KR200448022Y1 (en) * 2008-06-27 2010-03-10 송하프라스틱공업 (주) A Union Cap for Joining a Electric Wire Pipe
KR101371025B1 (en) * 2011-09-19 2014-03-10 염복자 a nut connection apparatus
JP6263921B2 (en) * 2013-09-24 2018-01-24 株式会社オンダ製作所 Pipe fitting
JP6365857B2 (en) * 2017-12-07 2018-08-01 株式会社オンダ製作所 Pipe fitting
KR102518261B1 (en) * 2021-08-24 2023-04-05 (주)통일화학 Drain trap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843B2 (en) * 1990-08-28 1994-05-02 松下電工株式会社 Corrugated pipe fitting
JPH0662720A (en) * 1992-08-19 1994-03-08 Kao Corp Premix for pancake
JP2892578B2 (en) * 1992-10-15 1999-05-17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Corrugated flexible tube fittings
JPH06197431A (en) * 1992-12-22 1994-07-15 Furukawa Electric Co Ltd:The Corrugated flexible conduit joi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923B1 (en) * 2012-10-24 2013-07-16 (주) 삼정디씨피 Collar pipe for separation type
KR102222709B1 (en) * 2020-01-09 2021-03-04 우성알앤디주식회사 Electronic water supply valve with accessory conn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346A (en) 1995-07-22
JP2844046B2 (en) 1999-01-06
JPH07231533A (en) 1995-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73510B2 (en) Connector assembly
EP1092905B1 (en) Improved fluid conduit coupling
US11529722B2 (en) Fluid connector with full insertion assurance cap disconnect tool
US6797877B1 (en) Electrical metallic tube, coupling, and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EP0317249B1 (en) Swivelable connector for tubular conduits
KR950007636B1 (en) Pipe joint and its pipe slipout preventive mechanism
US5511827A (en) Push-fit connector for joining two fluid lines
JP6016786B2 (en) Quick connector assembly
KR20050054866A (en) Pipe joint
CA2914943C (en) Coupling device
KR100214781B1 (en) Pipe connector
US4042262A (en) Swivel coupling means for electrical conduits and the like
US7001202B2 (en) Reusable power cord retaining device
CN209960045U (en) Connecting pipe fitting
JP2009297511A (en) Female connector for self-locking connector system
JP4659152B2 (en) Pipe fitting
US5028080A (en) Quick connect coupling
US10483735B1 (en) Ninety degree snap fit electrical fitting for connection of electrical cables to an electrical box
JP2003021287A (en) Spigot joint
US11359752B2 (en) Quick connector for removable joining of two pipes
US9845906B2 (en) Release clip
JPH05266947A (en) Connecting and disconnecting device for connector
JP2698297B2 (en) Separation prevention fitting
EP1724511B1 (en) Quick connector with a retainer
CA2574526C (en) Electrical metallic tube, coupling, and connector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