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940Y1 - 내부분할형 잭 - Google Patents

내부분할형 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940Y1
KR890003940Y1 KR2019840001794U KR840001794U KR890003940Y1 KR 890003940 Y1 KR890003940 Y1 KR 890003940Y1 KR 2019840001794 U KR2019840001794 U KR 2019840001794U KR 840001794 U KR840001794 U KR 840001794U KR 890003940 Y1 KR890003940 Y1 KR 8900039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hole
jack
cas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400017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6440U (ko
Inventor
유끼오 다끼하라
Original Assignee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3035894U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41675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3035893U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41674U/ja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후루하시 사도루 filed Critical 호시덴기세이조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64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64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9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9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내부분할형 잭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종단면도.
제2도는 동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4도는 종래예의 단면도.
제5도 및 제6도는 다른 종래예의 단면도 및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싱 (2a∼2c) : 접편
(6a∼6c) : 스토퍼 (11) : 칸막이벽
(12a∼12c) : 수납공간 (15) : 플러그삽입구
(17) : 플러그통과구멍 (21a∼21c) : 접편본체부
(22a∼22c) : 플러그통과구멍 (23a∼23c) : 탄성접촉부
(30) : 플러그
본 고안은 음향기기, 텔레비젼 라디오 등에 갖추어져 있는 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그 케이싱 내부가 복수의 접편수납공간으로 분할된 콤팩트한 내부분할형 잭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일반적인 잭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플러그삽입구(101)를 앞면에 가진 상자형상의 케이싱(102)과, 이 케이싱(102)에 내장된 소요개수의 접편(103)(104)(105)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잭은 삽입된 플러그(106)가 주로 통형상의 플러그삽입구(101)부분에 의해서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플러그(106)가 덜그럭거림을 일으키거나, 접편이 뒤틀림에 의해 변형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잭이 제안되어 있다(일본국 실용신안공보 소48-23266호).
즉, 이 잭은 소요개수의 접편(107)(108)(109)을 내장한 케이싱(110)의 후벽(111)에 케이싱앞단의 플러그삽입구(112)로부터 삽입되는 플러그(113)의 선단부가 감합되는 구멍(114)을 형성한 것으로서, 플러그(113)의 선단부와 기단부를 플러그 삽입구(112)와 구멍(114)으로 각각 지지고정하므로서, 이 플러그(113)의 덜그럭거림방지를 도모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잭에 있어서는, 플러그(113)를 플러그삽입구(112)에서 삽입할때, 플러그(113)의 선단부가 구멍(114)에 감합할때까지는 플러그(113)의 선단부가 다소 상하좌우로 움직이기 때문에 접편(107)(108)(109)이 뒤틀릴 염려가 있고, 또 플러그 삽입구(112)와 구멍(114)과의 거리가 길기 때문에 플러그(113)의 선단부를 이 구멍(114)에 감합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결점도 있다.
또한, 상기 2종류의 종래 잭은 모두 제4도∼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반전스프링형 또는 접어올린 스프링형의 접편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와같은 접편을 소요개수 내장하려면 상당히 넓은 내부공간을 가진 케이싱이 필요하게 되므로, 잭이 대형화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는 현재와 같이 음향기기등이 소형화되는 경향에 있는 경우에는, 도저히 무시할 수 없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사정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주요한 목저근 접편이 뒤틀리지 않고 플러그를 원활하게 기단부까지 삽입할 수 있는 잭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삽입된 플러그의 지지고정성이 좋고, 덜그럭거림이 발생하지 않는 잭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대폭 소형화할 수 있는 잭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이들 및 기타 목적은 앞면에 플러그삽입구를 가지고, 또한 내부가 칸막이 벽에 의해서 복수의 수납공간으로 분할된 케이싱과, 이 플러그삽입구의 구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경을 가지고, 또한 이 플러그삽입구와 동축적으로 이 칸막이벽에 형성된 플러그 통과구멍과, 이 플러그삽입구로부터 이 플러그 통과구멍을 통해서 삽입되는 플러그에 탄접하도록 상기 수납공간의 각각에 내장된 접편으로 구성된 내부분할형 잭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1)은 케이싱(2a), (2b), (2c)는 각각 접지용, 링용, 칩용의 접편을 나타내고 있다.
이 케이싱(1)은 사각형프레임 레임 형상체의 내부를 도중에서 2개소의 칸막이벽(11)(11)으로 3분할하므로서, 각 접편(2a)(2b)(2c)을 각각 수납하는 수납공간(12a)(12b)(12c)을 형성한 것으로서, 이 프레임형상체의 길이방향 일단부쪽의 프레일변부(13)로부터 돌출하는 길이가 짧은 원통(14)의 내부에는 메탈슬리이브(3)를 감입해서 플러그삽입구(15)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반대쪽의 프레임변부(16)와 칸막이벽(11)(11)에는 프러그삽입구(15)의 구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경을 가진 프러그 통과구멍(17)이 동축적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이프레임형상체의 폭방향 양쪽의 프레임변부(18)(19)의 내면에는 각 접편(2a)(2b)(2c)을 각각의 수납공간(12a)(12b)(12c)에 수납해서 부착하기 위한 쐐기형상의 돌기(4a)(4b)(4c)및 감합홈(5a)(5b)(5c)이 각 수납공간(12a)(12b)(12c)에 한조씩 형성되어 있다. 또한, 뒤에 상술하는 바와같이, 접편부착의 균형을 이루게 하기 위하여 중앙의 수납공간(12b)의 쐐기형상돌기(4b)및 감합홈(5b)의 배치는 양쪽의 수납공간(12a)(12b)의 경우와 반대로 되어 있다.
접지용의 접편(2a)은 그 접편본체부(21a)의 대략 중앙에 플러그 통과구멍(22a)을 천설함과 동시에, 이 본체부(21a)의 상하 양단부에 혓바닥형상의 한쌍의 탄성접촉부(23a)(23a)가 연설되어 있다.
이들 탄성접촉부(23a)(23a)는 플러그 통과구멍(22a)을 통과한 플러그(30)(접지부분)를 상하에서 탄성적으로 협지하는 것으로서, 이 탄성접촉부(23a)(23a)의 선단부 근처의 플러그(30)와 접촉하는 개소가 탄접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접편본체부(21a)의 한쪽측단부에는 부착부(24a)가 절곡에 의해 연설되어 있고, 이 부착부(24a)에는 상기한 쐐기형상의 돌기(4a)가 감합하는 개구(25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부착부(24a)의 하부는 단자(26a)로 되어 있다.
또한, (27a)는 탄성접촉부(23a)(23a)의 절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홈이다.
칩용의 접편(2c)은 상기 접지용의 접편과 실질적으로 같은 구조이고, 또 링용의 접편(2b)의 부착부(24a)의 위치가 반대로 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같은 구조이므로, 대응하는 부호를 도면에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이들 접편(2a)(2b)(2c)은 케이싱(1)의 각 수납공간(12a)(12b)(12c)의 아래쪽으로부터 각각의 접편본체부(21a)(21b)(21c)의 한쪽 가장자리[부착부(24a)(24b)(24c)와 반대쪽의 가장자리]를 각 감합홈(5a)(5b)(5c)에 감합시키면서, 각각의 쐐기형상돌기(4a)(4b)(4c)가 각각의 개구(25a)(25b)(25c)에 감합할때까지 밀어넣으므로서, 각 수납공간(12a)(12b)(12c)에 탈락하지 않도록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 내장상태에서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 접편(2a)(2b)(2c)의 배면이 케이스(1)의 프레임변부(13)및 칸막이벽(11)(11)에 각각 당접하고, 각 접편(2a)(2b)(2c)의 플러그통과구멍(22a)(22b)(22c)은 플러그삽입구(15)및 칸막이벽(11)(11)의 플러그통과구멍(17)(17)과 겹쳐져서, 플러그삽입구(15)와 동축적인 위치관계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내부분할형 잭에서는 플러그(30)를 플러그삽입구(15)로부터 삽입하면, 칸막이벽(11)(11)및 각 접편(2a)(2b)(2c)의 각각의 플러그통과구멍(17)(17)(22a)(22b)(22c)을 지나서, 각 접편의 탄성접촉부(23a)(23a)(23b)(23b)(23c)(23c)를 상하로 약간 탄성적으로 벌리면서, 플러그(30)의 선단부가 반대쪽의 프레임변부(16)의 플러그통과구멍(17)까지 도달하나, 이 플러그 삽입시에는 칸막이벽(11)(11)이 접편(2b)(2c)의 보호벽역할을 하며, 또한 칸막이벽의 플러그통과구멍(17)(17)이 플러그삽입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구멍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각 접편(2a)(2b)(2c)을 뒤틀리게 하지 않고 플러그(30)를 플러그삽입구(15)으로부터 반대쪽 프레임변부(16)의 플러그삽입구멍(17)을 향해서 똑바로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30)의 삽입동작은 극히 원활하게 된다.
이와같이 플러그(30)가 기단부까지 삽입되면, 이 플러그(30)의 접지부, 링부, 칩부는 각각 접편(2a)의 탄성접촉부(23a)(23a), 접편(2b)의 탄성접촉부(23b)(23b), 접편(2c)의 탄성접촉부(23c)(23c)에 의해서 상하로부터 탄성적으로 협지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나, 이 상태에서는 플러그(30)가 플러그삽입구(15)와 각각의 플러그통과구멍(17)에 의해서 상하좌우의 이동이 규제되고, 또한 접편의 탄성접촉부(23a)(23b)(23c)에 의해서 상하로부터 균등하게 협지되기 때문에, 플러그(30)의 덜그럭거림은 유효하게 방지된다. 따라서, 플러그(30)를 삽입한 뒤에 각 접편(2a)(2b)(2c)이 뒤틀림 염려도 해소된다.
또, 각 접편 (2a)(2b)(2c)은 플러그 통과구멍(22a)(22b)(22c)이 형성된 접편본체부(21a)(21b)(21c)의 양단부에 한쌍의 탄성접촉부(23a)(23b)(23c)를 구비한 것이므로, 접편본체부의 치수는 플러그 통과구멍(22a)(22b)(22c)을 형성할 수 있는 정도의 세로치수 및 가로치수가 있으면 되므로,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반전스프링형 혹은 접어올린 스프링형상의 접편에 비해서 상당히 작아지므로, 케이싱(1)의 세로치수 및 가로치수를 대폭 축소할 수 있다.
또한 이 내부분할 잭에서는 케이싱 중앙의 수납공간(12b)의 쐐기형상돌기(46)및 감합홈(5b)의 위치관계를 다는 수납공간(12a)(12c)의 경우와 반대로 해서 접편(2b)을 부착하고 있으므로 소위 한쪽만이 지지상태인 접편부착의 결점이 없어지므로 균형이 이루어져서 플러그의 덜그럭거림방지에 크게 공헌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 잭에서는 칸막이벽(11)(11)및 후단부의 프레임변부(16)의 각 상단부에 각 접편(2a)(2b)(2c)의 상부 탄성접촉부(23a)(23b)(24b)가 일정한 한도이상 위쪽으로 벌려지지 않도록 멈추게 하는 스토퍼(6a)(6b)(6c)를 앞쪽으로 향해서 돌설하여, 각 접편의 뒤틀림방지에 단전을 기하고 있다.
기타구성은 제1도 및 제2도의 잭와 같다.

Claims (3)

  1. 앞면에 플러그삽입구(15)를 가지고, 또한 내부가 칸막이벽(11)(11)에 의해서 복수의 수납공간(12a)(12b)(12c)으로 분할된 케이싱(1)과, 상기 플러그 삽입구(15)의 구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경을 가지고, 또한 상기 플러그삽입구(15)와 동축적으로 상기 칸막이벽(11)(11)에 형성된 플러그통과구멍(17)과, 상기 플러그삽입구(15)로부터 상기 플러그통과구멍(17)을 통해서 삽입되는 플러그(30)에 단접하도록 상기 수납공간(12a)(12b)(12c)의 각각에 내장된 접편(2a)(2b)(2c)으로 이루어진 내부분할형 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편(2a)(2b)(2c)은 플러그통과구멍(22a)(22b)(22c)이 형성된 접편본체부(21a)(21b)(21c)의 양단부에, 상기 플러그(30)와 탄접해서 상기 플러그(30)를 양쪽으로부터 끼우는 한쌍의 탄성접촉부(23a)(23b)(23c)르 구비하고, 또한 상기 접편본체부(21a)(21b)(21c)의 상기 플러그통과구멍(22a)(22b)(22c)은 상기 플러그삽입구(15)와 동축적인 위치관계가 되도록 상기 케이싱(1)의 수납공간(12a)(12b)(12c)의 각각에 내장되어 있는 내부분할형 잭.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편(2a)(2b)(2c)의 한쪽 탄성접촉부(23a)(23b)(23c)가 일정한도 이상 벌려지지않도록 멈추게 하는 스토퍼(6a)(6b)(6c)를 상기 케이싱(1)에 형성한 내부분할형 잭.
KR2019840001794U 1983-03-10 1984-03-03 내부분할형 잭 KR89000394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35893 1983-03-10
JP58-35894 1983-03-10
JP1983035894U JPS59141675U (ja) 1983-03-10 1983-03-10 ジヤツク
JP1983035893U JPS59141674U (ja) 1983-03-10 1983-03-10 ジヤツ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6440U KR840006440U (ko) 1984-12-03
KR890003940Y1 true KR890003940Y1 (ko) 1989-06-10

Family

ID=26374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40001794U KR890003940Y1 (ko) 1983-03-10 1984-03-03 내부분할형 잭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4598970A (ko)
KR (1) KR89000394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1703A (en) * 1986-08-12 1988-05-03 Amp Incorporated PCB mounted triaxial connector assembly
GB2199452B (en) * 1986-12-27 1991-09-18 Iizuka Electric Ind Co Ltd Electric jack
JPH0616412Y2 (ja) * 1989-07-12 1994-04-27 ホシデン株式会社 ジャック
JPH0541514Y2 (ko) * 1989-10-17 1993-10-20
US5348481A (en) * 1993-09-29 1994-09-20 Cardiometrics, Inc. Rotary connector for use with small diameter flexible elongate member having electrical capabilities
US6478594B1 (en) * 2001-07-09 2002-11-12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receiving electrical plug
US7101230B2 (en) * 2003-03-21 2006-09-05 Molex Incorporated Combined connector
TWM285826U (en) * 2005-04-06 2006-01-11 Molex Taiwan Ltd Electrical connector socket
EP2341584A1 (en) * 2010-01-05 2011-07-06 Tyco Electronics Nederland B.V. Electrical connector with shell and status switch.
US7959472B1 (en) * 2010-01-15 2011-06-14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Audio jack connector
US10622742B2 (en) * 2017-11-09 2020-04-14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Earphone socket, mounting structure and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37258A (en) * 1934-09-05 1938-11-22 Morris W Berger Attachment plug
US3148010A (en) * 1962-04-20 1964-09-08 United Carr Inc Test jack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3246282A (en) * 1963-01-22 1966-04-12 Dynamic Instr Corp Plug receptacle and connector assembly
US3514737A (en) * 1968-02-21 1970-05-26 Amp Inc Printed circuit board socket connector
US3957331A (en) * 1974-06-03 1976-05-18 Component Manufacturing Service, Inc. Swivel connector for electrical appliances
US4002399A (en) * 1975-10-06 1977-01-11 Magnetic Controls Company Printed circuit jack
US4392708A (en) * 1980-08-04 1983-07-12 Switchcraft, Inc. Electrical jack
US4398784A (en) * 1981-06-23 1983-08-16 Hosiden Electronics Co., Ltd. Jack assembly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598970A (en) 1986-07-08
KR840006440U (ko) 1984-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4702Y1 (ko) 전화용 접속자
KR890003940Y1 (ko) 내부분할형 잭
EP1801936A1 (en) Electrical connector
US7247029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
CN210040800U (zh) 多工型可切换单一连接器的连接装置
KR100259892B1 (ko) 단자미부정렬장치를구비한직각전기커넥터
KR20100123594A (ko) 커넥터
JP2588329B2 (ja) 電気コネクタ
JP2008544462A (ja) ハウジング、端子並びに該ハウジングおよび端子を使用したコネクタ
JP3881969B2 (ja) シールド型コネクタ
US6402545B1 (en) Flat cable connector
JP2899585B1 (ja) コネクタの端子構造
KR930015189A (ko) 프로그래머블 입출력 전기 커넥터
US5989046A (en) Coaxial connector with switch
WO2007062866A1 (en) Intermediate plug
JP2001110527A (ja) シールド型コネクタ
US6520794B2 (en) Receptacle having structure conveniently in assembly
JPH09259965A (ja) 電気コネクタ
KR100322055B1 (ko) 정상폐로스위치를가진동축케이블용커넥터
KR970077839A (ko) 컨넥터
JP2002139658A (ja) 超小型光ジャック
KR950004646A (ko) 전선연결용 코넥터
JPS5851391B2 (ja) コネクタ
JP2005050791A (ja) 改良型スイッチ端子を備えたメモリカードコネクタ
JPH11111369A (ja) バッテリー用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PY Expiration of term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6071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