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770Y1 - 귀걸이용 장신구 - Google Patents

귀걸이용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770Y1
KR890003770Y1 KR2019870012411U KR870012411U KR890003770Y1 KR 890003770 Y1 KR890003770 Y1 KR 890003770Y1 KR 2019870012411 U KR2019870012411 U KR 2019870012411U KR 870012411 U KR870012411 U KR 870012411U KR 890003770 Y1 KR890003770 Y1 KR 8900037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aqueous solution
jewelry
ornament body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24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2011U (ko
Inventor
배석만
Original Assignee
배석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석만 filed Critical 배석만
Priority to KR20198700124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3770Y1/ko
Publication of KR8900020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0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7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77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44C7/002Ear-rings with interchangeable ornamen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7/00Ear-rings; Devices for piercing the ear-lobes
    • A44C7/003Ear-studs or their catch device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귀걸이용 장신구
제1도는 본 고안의 일부를 절개한 한 실시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3(a)도 제3(b)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투명장신구본체 2 : 장식테
3 : 걸고리 4 : 투입공
5 : 공간부 9 : 연결구
10 : 투명내통 11 : 투명격판
13 : 수용액
본 고안은 귀걸이 본체의 하단고리에 끼워 귀의 장식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된 장신구에 있어서, 통상과 같이 상단에 걸고리가 장설된 장신구의 본체를 투명체(예컨데 합성초자제 또는 합성수지제등)로 하여 내부에 공간부를 구성시키로, 그 상단일측에는 수용액 투입공과 마개를 형성시켜서 된 것으로 투명 장신구본체 내에 착용자의 취향에 맞는 수용액(예컨대 다양한 색상의 액,수은, 색상을 부여한 기름 등)을 적당위치까지 투입하여 착용후 움직일때마다 장신구 및 그 수용액이 흔들려 장신구에 생동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착용자나 이를 보는 이로 하여금 새로운 흥미를 자아낼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 귀걸이용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귀걸이용 장신구를 살펴보면 이를 금속제 또는 합성수지제와 합성수지본체의 외주면에 동,금,은 도금을 입힌 여러형태를 단순히 귀걸이 본체의 걸고리에 걸어준 정도로서 처음 착용시에는 어느정도 신미감을 가지게 되나 오래 착용케되면 단조로워서 실증이 나게되는 결점이 있어 착용자 및 보는 이로 하여금 호기심을 자극할수 없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감안하여 항상 다양한 색상과 형태를 바꾸어 착용할 수 있도록 하여 항상 새로운 감각을 줄수 있으며 특히 장신구 본체내의 수용액이 유동됨에 따라 동적인 느낌도 줄수 있는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중 제1도에 있어서, 1은 외주면 일측에 장칙테(2)를 장설하고, 상방 일측에 걸고리(3)와 수용액(13)의 투입공(4)을 구비한 장신구 본체인데, 이 장신구본체(1)는 투명체로 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공간부(5)가 형성되어 있다.
6은 귀걸이본체이고, 7은 삽입핀이며, 8은 상기삽입핀 (7)에 끼워 고정시키는 삽착구이다.
12는 장신구본체(1)의 상방 투입공(4)을 막는 마개이다.
첨부도면중 제2도 내지 제3(a)도, 제3(b)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같은 구성은 같은 부호를 부여하였다.
제2도에서 9는 귀걸이본체(6)와 장신구본체(1)간에 연결시키는 연결구이고, 제3(a)도에서 10은 장신구 본체(1)의 내부에 별도의 형상을 가진 투명내통을 표시한 것이고, 제3(b)도에서 11은 장신구본체(1)의 내부를 격리한 투명격판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사용방법 및 그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장신구 본체(1)의 상방투입공(4)으로부터 마개(12)를 열고, 상기 투입공(4)에 주사기(도시치 않았음)등으로 요구하는 색상의 수용액(13)을 적당위치(예컨데 장신구 본체(1)의 공간부(5)중 1/2정도)까지 투입한 후 다시 마개(12)를 닫으면 되는데, 일단 수용액(13)이 투입된 장신구본체(1)는 그 상방의 걸고리(3)를 이용하여 귀걸이 본체(6)의 고리에 통상과 같이 걸어주거나 별도의 연결구(9)를 이용하여 걸어주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투명장신구본체(1)의 공간부(5)중 1/2정도 채워진 수용액(13)이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찰랑거려 보는 이로 하여금 신미감과 생동감을 부여받을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여러색상과 다양한 형태의 장신구본체(1)와 교체착용할 수 있어 장식효과도 배가할 수 있다.
또한 제2도와 같이 장신구본체(1)를 비교적 작게하고 여러개를 설치하되, 서로 색상을 다르게 또는 각데 하거나 수용액(5)의 투입량을 다르게 하면 더욱 현란하고 새로운 미감을 불러일으킬 수도 있으며 제3(a)도와 같이 장신구본체(1)의 공간부(5)내에 투명내통(10)을 설치하여 상기공간부(5)와 투명내통(10)내의 수용액(13)색상을 달리하므로서 더욱 신미감을 돋보일 수 있는 것으로 즉 장신구본체(1)의 공간부(5)내에는 푸른색의 수용액을, 투명내통(10)내에는 붉은색의 수용액(13)을 각각 1/2정도 높이로 투입시켜 주면 그 움직임에 따라 물속에서 마치 불꽃이 움직이는 것과 같은 환상적인 느낌을 주게되며 상기 투명내통(10)을 꽃모양, 별모양 등 여러형태의 변화를 주게되면 기타 여러가지의 새로운 느낌을 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3(b)도와 같이 장신구본체(1)의 공간부(5)의 중간부에 투명격판(11)을 두어 각 공간부(5)의 수용액(13)색상을 달리하던가 그 투입량에 차이를 주므로서 이 역시 새로운 미감을 자아낼수도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투명장신구 본체(1)의 내부 공간부(5)에 요구하는 색상의 수용액(13)을 상방투입공(4)으로 적당량 투입하고, 상기 장신구본체(1)의 외주면 일측에 장식테(2)를 장설하여서된 것으로 착용자의 취향에 따라 형태와 색상의 교채가 용이하여 장식효과를 최대한 살릴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한 생산가로 널리 공급할 수 있는 매우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4)

  1. 투명 장신구본체(1)내의 공간부(5)에 수용액(13)을 상방투입공(4)으로 적당량 투입하고, 상기 장신구본체(1)의 외주면 일측에 장식테(2)를 장설하여서된 귀걸이용 장신구.
  2. 제1항에 있어서, 수용액(13)이 투입되고 부피를 작게한 여러개의 투명장신구 본체(1)를 연결구(9)에 연결한 귀걸이용 장신구.
  3. 제1항에 있어서, 투명장신구 본체(1)내의 공간부(5)에 여러형태를 가진 투명내통(10)를 내장하여서된 귀걸이용 장신구.
  4. 제1항에 있어서, 투명장신구 본체(1)내의 공간부(5)중간부에 투명격판(11)을 설치하여서된 귀걸이용 장신구.
KR2019870012411U 1987-07-29 1987-07-29 귀걸이용 장신구 KR8900037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2411U KR890003770Y1 (ko) 1987-07-29 1987-07-29 귀걸이용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2411U KR890003770Y1 (ko) 1987-07-29 1987-07-29 귀걸이용 장신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011U KR890002011U (ko) 1989-03-25
KR890003770Y1 true KR890003770Y1 (ko) 1989-06-05

Family

ID=19265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2411U KR890003770Y1 (ko) 1987-07-29 1987-07-29 귀걸이용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377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2011U (ko) 1989-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33247A (en) Earring kit with plural changeable pendants
US8225625B2 (en) Charm for chain, chain and chain element provided with such a charm
US11969062B2 (en) Jewelry chain with movable alphanumeric character links
KR890003770Y1 (ko) 귀걸이용 장신구
KR20140110396A (ko) 프리저브드 플라워를 이용한 액세서리
US4489572A (en) Double post earring structure for pierced ears
KR20010058405A (ko) 스톤 인 스톤
US6415483B1 (en) Jewelry clasp
JP3124952U (ja) 装身具
KR200322652Y1 (ko) 디자인을 변경할 수 있는 장신구
KR830001790Y1 (ko) 목걸이
KR950006709Y1 (ko) 장신구의 보석 체결장치
CN217791760U (zh) 一种用于遮挡绳结的珠宝配件
KR200333804Y1 (ko) 다기능 목걸이
CN214317221U (zh) 一种动感吊坠结构
CN211021276U (zh) 一种配饰
KR880002823Y1 (ko) 장식용 철포
KR101219768B1 (ko) 공중부양 귀걸이
US4513035A (en) Ornament
KR870003602Y1 (ko) 귀걸이 착탈구
KR880002045Y1 (ko) 장신구용 장식구슬
RU11020U1 (ru) Декоративное изделие культового характера
KR200276911Y1 (ko) 장식용 반지
KR870004095Y1 (ko) 목 걸 이
KR200373527Y1 (ko) 장식용 메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11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