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690Y1 - 더블테크 카세트의 동기시작회로 - Google Patents

더블테크 카세트의 동기시작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690Y1
KR890003690Y1 KR2019850017503U KR850017503U KR890003690Y1 KR 890003690 Y1 KR890003690 Y1 KR 890003690Y1 KR 2019850017503 U KR2019850017503 U KR 2019850017503U KR 850017503 U KR850017503 U KR 850017503U KR 890003690 Y1 KR890003690 Y1 KR 8900036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transistor
playback
deck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500175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11202U (ko
Inventor
이석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금성사, 허신구 filed Critical 주식회사금성사
Priority to KR20198500175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3690Y1/ko
Publication of KR8700112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112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6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6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Landscapes

  • Motor And Converter Start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더블데크 카세트의 동기시작회로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동기시작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TR1-TR13 :트랜지스터 R1-R21: 저항
D1-D5: 다이오드 C1-C3: 콘덴서
LED1: 발광다이오드 M1, M2: 구동모우터
SW1, SW2: 구동스위치 SW3, SW6: 녹음/재생스위치
SW4: 재생스위치 SW5: 동기시작스위치
SW7, SW8: 일시정지 스위치
본 고안은 녹음/재생용 데크 및 재생용 데크가 내장된 더블데크 카세트에 있어서, 더빙(dubbing)즉, 재생용 데크에 내장된 카세트 테이프를 재생시켜 녹음/재생용 데크에 내장된 카세트 테이프에 녹음시킬 경우에 두 데크를 동시에 구동시키는 동기지삭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녹음/재생용 데크 및 재생용 데크 중에서 어느 한데크라도 일시정지(PAUSE)상태이면 두 데크의 동기시작이 정지되게 한 더블데크 카세트의 동기 시작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더블데크 카세트는 녹음/재생용 데크 및 재생용 데크의 일시정지 상태에 관계없이 동기시작회로가 구동되었으므로 일시정지 상태인 데크는 구동되지 않고, 일시정지 상태가 아닌 데크는 구동되어 사용자는 처음상태로 위치시킨후 다시 동시에 구동을 시작하게 해야하는 등 여러 가지의 결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결함을 감안하여, 두 데크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일시정지 상태이면, 두 데크의 구동을 모두 정지시킴과 아울러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게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동기시작 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동스위치(SW1) (SW2) 및 녹음/재생스위치(SW3) (SW6), 재생스위치(SW4), 동기시작스위치(SW5), 일시정지스위치(SW7) (SW8), 트랜지스터(TR1-TR6), 저항(R1-R9), 구동모우터(M1, M2), 다이오드(D1), 콘데서(C1)로 구성된 동기시작회로에 있어서, 재생스위치(SW4) 및 일시정지스위치(SW7)를 캐스캐이드 접속된 트랜지스터(TR7) (TR8)의 베이스에저항(R10) (R11)을 통해 접속하여 트랜지스터(TR7)의 콜렉터를 상기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 및 저항(R2)의 접속점에 접속하고, 일시정지스위치(SW8)을 콜렉터가 상기 트랜지스터(TR6)의 베이스 및 저항(R9)의 접속된 트랜지스터(TR9)의 베이스에 접속함과 아울러 그 일시정지스위치(SW7, SW8)를 다이오드(D2) (D3)를 통한 후 트랜지스터(TR10, TR11) 및 저항(R13-R18), 콘덴서(C4, C3), 다이오드(D4, D5)로 구성된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의 전원단자인 저항(R13, R14)에 접속하며,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의 출력단자인 트랜지스터(TR10)의 콜렉터 및 저항(R13), 콘덴서(C3)의 접속점은 저항 (R19)을 통해 트랜지스 터(TR12)의 베이스에 접속하여 그의 콜렉터를 트랜지스터 (TR13)의 베이스에 접속함과 아울러 그 접속점을 저항(R20)을 통해 상기 녹음/재생스위치(SW6)의 가동단자 및 다이오드(D1)의 캐소드의 접속점에 접속하며, 트랜지스터(TR13)의 콜렉터에는 상기 재생스위치(SW4)를 발광다이오드(LED1) 및 저항(R21)을 통해 접속하여 구성한 것으로, 상기에서 구동스위치(SW1), (SW2)는 녹음/재생용 데크 및 재생용 데크의 구동 즉, 녹음/재생용 데크의 녹음 및 재생, 빨리감기, 되감기 버튼과, 재생용 데크의 재생 및 빨리감기, 되감기 버튼을 눌렀을 때 각기 단락되게 하고, 녹음/재생 스위치(SW3)와 재생스위치(SW4)는 녹음/재생용 데크의 녹음 및 재생버튼과 재생버튼을 눌렀을 때 각기 단락되게 하며, 동기시작스위치(SW5)는 더빙동작을 할 겨우에 단락시킨다.
그리고, 녹음/재생 스위치(SW6)는 녹음/재생요 데크의 녹음상태에서 구동모우터(M1)가 구동되면 바로 가동단자가 일측 고정단자(a6)에 단락되게 하고, 일시정지스위치(SW7) (SW8)는 녹음/재생용 데크 및 재생용 데크의 일시정지 버튼을 눌렀을 때 단락되게 하며, 도면중 미설명 부호 Vcc는 전원단자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 동기시작회로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원단자(Vcc)에 전원이 인가되고, 더빙동작을 하지 않을 경우에 동기시작스위치(SW5)를 개방시킨 후 녹음/재생용 데크의 녹음 또는 재생, 빨리감기, 되감기 버튼을 눌러 구동스위치(SW1)를 단락시키면, 전원단자(Vcc)의 전원이 구동스위치(SW1) 및 저항(R1)을 통해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그를 온사기크로 트랜지스터(TR3)가 온되어 구동모우터(M1)가 구동되고, 이때, 녹음/재생 데크의 녹음상태에서는 녹음/재생 스위치(SW3)가 단락되고, 구동스위치(SW1)가 구동되면서 녹음재생 스위치(SW6)의 가동단자가 일측 고정단자(a1)에 단락되나, 동기시작스위치(SW5)가 개방되어 있어 트랜지스터(TR5)가 계속 오프상태를 유지하므로 녹음/재생용 데크는 그의 버튼을 누름에 따라 구동된다.
또한, 재생용 데크의 재생 또는 빨리감기, 되감기 버튼을 눌러 구동스위치(SW2)를 단락시키면, 트랜지스터(TR2)가 온되고, 트랜지스터(TR4)도 온되어 구동모우터(M)가 구동되므로 재생용 데크도 그의 버튼을 누름에 따라 구동된다.
그리고, 더빙을 하기 위하여 동기시작스위치(SW5)를 단락시키고, 녹음/재생용 데크의 녹음버튼을 눌러 구동스위치(SW1)와 녹음/재생 스위치(SW3)을 단락시키면, 상기와 같이 트랜지스터(TR1, TR3)가 온되어 구동모우터(M1)가 구동되고, 그 구동모우터(M1)의 구동에 따라 녹음/재생 스위치(SW6)가 단락되므로 전원단자(Vcc)의 전원이 녹음/재생 스위치(SW3) 및 동기시작스위치(SW5), 저항(R7), 녹음/재생 스위치(SW6), 다이오드(D1)를 통해 콘덴서(C1)에 충전되고, 이때 그 콘덴서(C1)에 충전된 전압은 저항(R5)을 통해 트랜지스터(TR5)의 베이스에 인가되나, 콘덴서(C1)의 충전초기시간에는 트랜지스터(TR5)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전압이 그의 드레시홀드 전압 이하이므로, 트랜지스터(TR5)가 오프되고, 이에따라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는 계속 고전위가 인가되어 온되고, 트랜지스터(TR3)도 온되어 구동모우터(M1)는 계속 구동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하여, 콘덴서(C1)에 충전되어 저항(R5)을 통해 트랜지스터(TR5)의 베이스에 인가되는 전압이 그의 드레시홀드 전압 이상이 되면, 트랜지스터(TR5)가 온되어 트랜지스터(TR1)가 오프되고, 트랜지스터(TR3)도 오프되어 구동모우터(M1)의 구동이 정지된다.
즉, 동기시작스위치(SW5)를 단락시키고, 녹음/재생용 데크의 녹음버튼을 누르면 초기시간에 구동모우터(M1)가 약간 구동되다가 그 구동이 정지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재새용 데크의 재생버튼을 눌러 구동스위치(SW2) 및 재생스위치(SW4)를 단락시키면, 전원단자(Vcc)의 전원이 구동스위치(SW2) 및 저항(R2)을 통해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그를 온시키므로 트랜지스터(TR4)가 온되고, 구동모우터(M2)가 구동을 시작하며, 또한 이와동시에 전원단자(Vcc)의 전원이 재생스위치(SW4) 및 저항(R9)을 통해 트랜지스터(TR6)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그를 온시키므로 트랜지스터(TR5)가 오프되고 이에따라 트랜지스터(TR1, TR3)가 온되어 구동모우터(M1)가 구동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녹음/재생용 데크 또는 재새용 데크의 일시정지 버튼을 눌러 일시정지상태로 만들면 상기의 동작에 관계없이 일시정지버튼을 누른 녹음/재생용 데크 또는 재생용 데크는 일시정지상태에서 구동모우터(M1) 또는 (M2)가 구동되지 않는다.
한편, 이와같이 동기시작됨에 있어서, 녹음/재생용 데크의 일시정지 버튼을 눌러져 구동모우터(M1)가 구동되지 않고 일시정지 스위치(SW7)가 단락되어 있으면, 전원단자(Vcc)의 전원이 일시정지 스위치(SW7) 및 저항(R11)을 통해 트랜지스터(TR8)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그를 온시키고, 또한 전원단자(Vcc)의 전원이 재생스위치(SW4) 및 저항(R10)을 통해 트랜지스터(TR7)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그를 온시키므로 트랜지스터(TR2)가 오프되고, 트랜지스터(TR2)가 오프되고, 트랜지스터(TR4)도 오프되어 구동모우터(M2)가 구동되지 않는다.
그리고, 일시정지 스위치(SW7)를 통한 전원단자(Vcc)의 전원이 다이오드(D2)를 통해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의 전원단자에 인가되어 그를 동작시키므로 트랜지스터(TR12)의 베이스에 고전위와 저전위가 반복 인가되어 그를 온, 오프시키므로 트랜지스터 (TR13)도 온, 오프를 반복하여 발광다이오드 (LED1)가 점멸을 반복하면서 두 데크중에서 어느 한 데크가 일시정지 상태임을 나타낸다.
즉 녹음/재생용 데크가 일시정지 상태여서 구동되지 않으면, 트랜지스터 (TR7, TR8)가 온되어 트랜지스터(TR2, TR4)가 온되고, 재생용 데크의 구동모우터(M2)의 구동이 정지되며,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1)가 동작되어 발광다이오드(LED1)가 점멸을 반복한다.
또한 재생용 데크가 일시정지 상태여서 구동모우터(M2)가 구동되지 않고, 일시정지스위치(W8)가 단락되어 있으면, 전원단자(Vcc)의 전원이 일시정지스위치(SW8) 및 저항(R12)의 베이스에 인가되어 그를 온시키므로, 트랜지스터(TR6)가 온되지 않고, 이에따라 콘덴서(C1)의 충전전압은 방전되어 트랜지스터(TR5)가 계속 온 상태를 유지하므로 트랜지스터(TR1,TR3)가 오프되어 구동모우터(M1)가 구동되지 않고, 또한 일시정지스위치(SW8)을 통한 전원단자의 전원이 다이오드(D3)를 통해 단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1)의 전원단자에 인가되어 그를 동작시키므로 상기와 같이 트랜지스터(TR12,TR13)가 온,오프를 반복하여 발광다이오드(LED1)가 점멸을 반복한다.
그리고 일시정지스위치(SW7,SW8)가 모두 단락되어 있지 않고, 구동모우터(M1,M2)가 모두 구동되면, 트랜지스터(TR13)가 계속 온 상태를 유지하여 발광다이오드(LED1)는 계속 점등상태를 유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두 데크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일시정지버튼이 눌러져 있으면, 두 데크의 구동을 모두 정지시킴과 아울러 발광다이오드(LED1)의 점멸을 반복시켜 표시하고, 두 데크가 모두 구동되어 더빙을 시작하면 발광다이오드(LED1)를 계속 점등시키므로 사용자는 더블데크 카세트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구동스위치(SW1) (SW2) 및 녹음/재생스위치(SW3) (SW6), 재생스위치(SW4), 동기시작스위치(SW5), 일시정지스위치(SW7, SW8), 트랜지스터(TR1-TR6), 구동모우터 (M1, M2), 저항(R1-R9), 다이오드(D1), 콘덴서(C1)로 구성된 동기시작회로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SW4) 및 (SW7)를 캐스케이드 접속된 트랜지스터(TR7) (TR8)의 베이스측에 접속하여 트랜지스터(TR7)의 콜렉터를 상기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에 접속하고, 상기 스위치(SW8)는 콜렉터가 상기 트랜지스터(TR6)의 베이스에 접속된 트랜지스터(TR9)의 베이스측에 접속함과 아울러 그 스위치 (SW7) (SW8)를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1)의 전원단자측에 접속하여 그의 출력단자를 트랜지스터 (TR12)의 베이스측에 접속하고, 그의 콜렉터는 상기 스위치(SW6)의 가동단자측 트랜지스터(TR13)의 베이스에 접속하여, 그의 콜렉터측에 상기 스위치(SW4)를 발광다이오드(LED1)를 통해 접속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데크 카세트의 동기시작회로.
KR2019850017503U 1985-12-24 1985-12-24 더블테크 카세트의 동기시작회로 KR8900036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7503U KR890003690Y1 (ko) 1985-12-24 1985-12-24 더블테크 카세트의 동기시작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50017503U KR890003690Y1 (ko) 1985-12-24 1985-12-24 더블테크 카세트의 동기시작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202U KR870011202U (ko) 1987-07-16
KR890003690Y1 true KR890003690Y1 (ko) 1989-05-31

Family

ID=19247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50017503U KR890003690Y1 (ko) 1985-12-24 1985-12-24 더블테크 카세트의 동기시작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369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11202U (ko) 1987-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3690Y1 (ko) 더블테크 카세트의 동기시작회로
KR870002914Y1 (ko) 더블 데크의 동기 스타트 회로
KR880004222Y1 (ko) 더블데크 카세트 레코오더에서의 연속재생 및 동기 스타트회로
KR890001029Y1 (ko) 테이프 레코오더의 연속 재생회로
JPH0325299Y2 (ko)
KR890001946B1 (ko) 테이프 레코오더의 동기 시작회로
KR900010749Y1 (ko) 더블 데크 카세트의 연속재생 및 싱크로 더빙제어회로
KR870004182Y1 (ko) 연속 재생 및 복사개시 장치
KR900001496Y1 (ko) 더블 데크 카세트의 더빙회로
KR900010887Y1 (ko) 카세트 데크의 자동되감기 회로
KR900008855Y1 (ko) 더블 데크 재생 제어 장치
KR890000511Y1 (ko) 더블덱크의 수면 학습회로
KR880001385Y1 (ko) 더블데크 카셋트 녹음기의 연속재생 및 더빙회로
KR870001159Y1 (ko) 전자식 구동더블 카세트 데크에서의 자동복사구동회로
KR900009028Y1 (ko) 더빙 동시 시작 장치
KR890000836B1 (ko) 테이프 레코오더의 연속 재생회로
KR890000773Y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오더의 자동제어회로
KR890003605Y1 (ko) 더블데크 카세트의 테이프 편집회로
KR900010886Y1 (ko) 카세트 데크의 자동되감기 및 재생회로
KR880000654Y1 (ko) 동기녹음 제어회로
KR910000535B1 (ko) 더블테크(Double Deck)의 모터제어시스템
KR900002440B1 (ko) 녹음기의 모타 구동 제어회로
KR900006590Y1 (ko) 더블 덱크의 구동 제어회로
KR880001384Y1 (ko) 더블 카셋트 택크의 절환회로
KR900010110Y1 (ko) Vtr의 테이프 이동후 자동 재생전환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1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