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559Y1 - 온수보일러의 관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온수보일러의 관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559Y1
KR890003559Y1 KR2019860021130U KR860021130U KR890003559Y1 KR 890003559 Y1 KR890003559 Y1 KR 890003559Y1 KR 2019860021130 U KR2019860021130 U KR 2019860021130U KR 860021130 U KR860021130 U KR 860021130U KR 890003559 Y1 KR890003559 Y1 KR 8900035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ot water
connector
exhaust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211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2669U (ko
Inventor
신현완
Original Assignee
신현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현완 filed Critical 신현완
Priority to KR20198600211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3559Y1/ko
Publication of KR8800126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26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5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55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24D3/1066Distributors for heating liq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8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 F24D19/082Arrangements for drainage, venting or aerating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083Ven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04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with the water under high pressure
    • F24D3/06Arrangements or devices for maintaining high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온수보일러의 관연결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한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다른 예시도.
제3도는 제7도는 본 고안의 각부품을 표현한 부분단면도로서, 제3도는 본 고안의 급수통내에 설치되는 급수장치와 공기배출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신축관 신축부위를 나타낸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은 온수배출구와 환수구에 연결하는 L형관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T형관 일측에 연결시켜 사용하는 밸브 단면도.
제7도의 (a)(b)는 본 고안의 온돌호스와 연결시키는 연결구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a : L형관 6 : 형관
8 : 급수관 9 : 신축관
10 : 접속관 12 : 밀폐팩킹
14 : 밸브 19,19a,29 : 연결관
22,22a : 연결구 23 배기관
24 : 급수공 25 : 커어버
26 : 배기변 27 : 배기공
27a : 고무막 28 : 외관
본 고안은 공지된 온수보일러의 규격과 온돌호스의 높이, 방향등에 구애됨없이 임의로 간편히 설치할수가 있고, 물공급과 공기의 방출이 원활함과 동시에 온수순환시 발생되는 부압을 이용하여 온수의 순환을 촉진시켜 줄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 온수보일러의 관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온수보일러의 관연결장치는 주로 사용코저하는 보일러의 규격에 맞추어 각부품(예컨대, 직선과, T형관, L형관, 중계관, 밸브, 연결구등)을 제작한후 시공지에서 보일러에 조립하였던것으로 이는 각 온수보일러다 그 크기나 규격(특히 온수 배출관과 환수관간격등)이 다르고, 보일러를 사용해야하는 시공지의 주위환경(예컨데 급수통의 설치위치, 퇴수밸브의 위치, 온돌호스의 높이 및 방향등)에 따라 각부품의 규격이 상이해지기 때문에 양산이 불가능하였으며, 특히 보일러의 배출관, 온돌호스가 통과 직접 연결되어있기 때문에 온수순환로에서 부압이 걸리면 급수통내의 물이 끓어 넘치게됨과 동시에 온수의 순환이 원활치 못하여 고른 난방효과를 기대키 어려웠던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결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1a은 공지 온수보일러(2)의 온수배출구(3)와 환수구(4)에 결합시키는 L형관인데, 이 L형관(1)은 제5도와 같이 상호 체결너트(5)에 의해 만곡면이 접촉된 상태로 결합된 것이므로 그 방향을 임의로 변환시킬수 있도록 되어 있다.
6은 상단은 급수통(7)과 연결시킨급수관(8)을, 하단은 온수배출구(3)와 연결시킨 신축관(9)을 설치한형관인데,형관(6)의 측방향에는 접속관(10)으로 T형관(11)을 나착시켰으며,형관(6)의 하방신축관(9)은 밀폐팩킹(12)과 체결너트(13)로서 밀폐고정토록 되어있다.
14는 상기 T형관(11)의 외측으로 나착된 2중밸브인데, 이 밸브(14) 제6도에 도시한바와같이 손잡이(15)와 연동된 나선축(16)의 회동에 따라 나선축(16)의 선단밀폐팩킹(17)이 급수부측의 접속관(10)선단을 차단하거나, 밸브(14)의 선단을 차단할수 있도록 되어있으며, 밸브(14)하단에는 퇴수구(18)가 장설되어있다.
19,19a는 상기 T형관(11)과 환수구(4)의 L형관(1a)하부에 나착된 연결관인데, 이 연결관(19) 하단나조가 2개의 온수공급관(20)과 환수관(21)을 각각 설치한 연결구(22)(22a)의 나합공(30)(30a)에 나합되어 있다.
23은 급수관(8) 상단에 나합된 배기관인데, 이 배기관(23)은 급수통(7)내에 설치되어있고, 그 하부에는 제3도와같이 급수다수의 급수공(24)이 천공되고 그 외주에 하단이 개방된 커어버(25)가 고착되어있다.
26은 배기관(23)의 단부에 나합한 배기변인데, 이 배기변(26)의 측방에는 수개의 배기공(27)이 천공되어있고 그 단부에는 비교적 얇은 고무막(27a)이 장설되어있고 상기 배기공(27)상측연부에는 하방이 개방된 외관(28)이 나착되어있다.
29는 환수구(4)에 결합되는 L형관(1a)과 연결구(22a)간에 설치된 연결관인데, 이 연결관(29)은 합성수지제의 비교적긴 호스로서 제2도와같이 온돌호스(도시치않았음)의 높이나 방향에 따라 연결구(22)(22a)의 위치를 조절할때 사용하는 것이다.
31,31a는 연결구(22)(22a)의 측방에 형성된 나합공인데, 이 나합공(31)(31a)은 임의로 연결관(19)(19a)(29)에 나합시킬수 있고, 이때 나합공(30)(30a)(31a)중 사용치않는 부분에는 체결마개(32)로서 막아줄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상태 및 그 작용효과를 제1도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온수보일러(2)를 설치함에 있어서, 보일러(2)의 온수 배출구(3)와 환수구(4)에 각각 L형관(1)(1a)을 나합시킨후 각각 L형관(1)(1a)의 체결너트(5)를 약간풀어 타단의 방향을 임의로 조절하여 상부 L형관(1)에는형관(6)의 신축관(9)을, 하부 L형관(1a)은 연결관(19a)를 체결하는데, 이때 일반적인 보일러(2)의 온수배출구(3)와 환수구(4)의 규격이 상이하므로 신축관(9)을형관(6)에 밀폐고정시키는 체결너트(13)을 풀어 알맞는 길이로 조절한 후 다시 체결너트(13)를 조여 그 내부의 밀폐팩킹(17)과 신축관(9)을 밀착 고정케한다.
또한형관(6)의 상부에는 급수관(8)을 나합하고, 그 상방에 급수통(7)과 배기관(23)을 설치하는데, 이때 배기관(23)의 하부에는 급수통(7)의 물과 연통되도록 다수의 급구공(24)이 천공되고 그 외주에는 하단이 개방된 커어버(25)를 고착하였으며, 배기관(23)의 단부에는 하단을 개방하고 수개의 배기공(27)을 천공한 배기변(26)을 나착시키되, 배기공(27)직하부에는 상기 배기변(26)의 개방된부분을 감싼 고무막(27a)을 장설하고, 배기공(27)직상부에는 하부가 개방된 외관(28)을 나합시켰다.
급수관(8) 하부의형관(6)의 측방향의 접속관(10)을 T형관(11)에, 이 T형관(11)의 측방향에는 밸브(14)를 각각 나합고정시켜 밸브(14)의 손잡이(15)에 의한 나선축(16)의 회동에 의해 나선축(16)의 선단 밀폐팩킹(17)이 접속관(10)의 선단을 막아 온수의 유입을 차단시킬수가 있고, 밸브(14)의 그 선단을 막아 퇴수구(18)를 차단시킬 수 있도록 되어있으며, T형관(11)의 하부 연결관(19) 또는 환수구(4)의 L형관(1a)하부의 연결관(19a)하단에는 온수공급관(20)과 환수관(21)을 각각 설치한 연결구(22)(22a)의 나합공(30)(30a)을 나합 밀폐시키는데, 이때 연결구(22)(22a)의 타나합공(31)(31a)은 별도의 체결마개(32)로서 막아주고 각 연결구(22)(22a)의 온수공급관(20)과 환수관(21)에는 통상과같이 온돌호스를 연결시키면 되는 것이다.
또한 제2도와 같이 T형관(11)과 하부 L형관(1a)의 방향을 틀어 연결구(22)(22a)의 위치를 조절할수가 있는데, 이때 하부 L형관(1a)과 연결구(22a)의 사이에는 별도의 프랙시블한 합성수지제 연결관(29)을 이용하면 극히 간편히 조립할수가 있으며 기타 T형관(11) 형관(6), L형관(1)(1a), 연결구(22)(22a)의 방향을 임의로 조절하여 자유자재로 연결구(22)(22a)의 온수공급관(20)과 환수관(21)의 높이, 방향등을 변환시킬수 있는 잇점이 있으며 특히형관(6)의 밀폐팩킹(12)과 체결너트(13)에 의하여 신축관(9)의 길이를 조절함수가 있으므로 온수보일러(2)의 온수밸출구(3)와 환수구(4)의 간격에 관계없이 모두 적용될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되어 조립된 본 고안을 사용하려면 멀저 밸브(14)의 손잡이(15)를 회동시켜 나선축(16)선단의 밀폐팩킹(17)으로형관(6)의 접속관(10) 선단을 제6도의 실선과같이 차단한후 급수를 시켜주는데, 이때 급수통(7)으로 투입된 물이 급수관(8)의 상방에 나합된 배기관(23) 하단의 급수공(24)을 통해 급수관(8)→신축관(9)→L형관(1)→온수배출구(3)→보일러(2)의 수조→환수구(4)→L형관(1a)→연결관(19a)또는 (29)→연결구(22a)→통상의 온돌호스→연결구(22)→연결관(19)→T형관(11)→밸브(14)→퇴수구(18)로 배출되도록 하면 일차 보일러(2) 및 각 연결관에 급수가 완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밸브(14)의 손잡이(15)를 회동시켜 나선축(16) 선단의 밀폐팩킹(17)을 제6도의 점선과같이 밸브(14)선단을 차단하여준후 보일러(2)를 가동시키면 되는데, 이때는 급수시와 반대로 일차보일러(2)에서 가열된 온수가 온수배출구(3)→L형관(1)→신축관(9)→급수관(8)→ 형관(6)→접속관(10)→T형관(11)→연결관(19)→연결구(22)→통상의 온돌호스→연결구(22a)→연결관(19a) 또는 (29)→L형관(1a)→환수구(4)→보일러(2)의 수조로 순환하게된다.
또한 이와같이 온수순환시 발생되는 기포(소위 가열시 발생되는 공기)는형관(6)의 상부급수관(8)을 통해 상승하는데 이때 급수관(8) 상부에 나합된 배기관(23) 하부의 급수공(24)을 그대로 통과하여 단부배기변(26)의 배기공(27)으로 배기되어 외관(28)과 고무막(27a)사이로 배기된다.
특히 기포는 상기 급수공(24)주위에 커어버(25)가 고착되어 있으며 어느정도의 수압을 받고있는 상태이므로 보일러(2)및 각 연결관에서 부족된 물만 보충되고 방출되지 못하도록 되어 있으며 온수순환시 순각적인 부조화(예컨대 온수통로에서의 기포발생, 순환속도와 각 온수통로의 직경등에 의한 부조화)에 의한 부압이 발생되어 평균치 이상의 압력이 급수관(8)을 통해 배기변(26)에 인입이되면, 상기 과부압의 일부는 배기공(27)을 통해 방출이되지만 그양이 미량이기때문에 배기변(26)하부의 개방구를 통해 고무막(27a)내로 유입되어 순간 팽창이 되게 된다.
따라서 팽창된 고무막(27a)의 외주면이 외관(28)내면이 밀착되게되므로 결국 배기공(27)으로 방출된 기포또는 물이 막히게되어 배기변(26)전체가 차단이되게 되므로 상기 과부압이 역으로 온수순환통로의 정방향으로 밀어주는 현상이 발생되게되어 온수의 순환을 촉진시켜주는 역활을 하며, 일단 과부압의 요건이 해소되면 배기변(260의 배기공(27)으로 기포만 방출되게되므로 종래와 같이 과부압에 의해 급수통(7)내의 보충수가 넘치거나 가열되는 폐단이 방지되고, 온수의 순환을 촉진시켜 주도록 된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온수보일러(2)의 간 연결부재를 조립식으로 규격화하여 임의로 2방향과 높이및 길이를 조절할수가 있어 시공이 극히 간편하고 각부재를 양산시켜 양지르이 제품의 저렴한 생산가로 공급할수 있음은 물론 온수의 순환을 촉진시켜 난방효율을 배가할수가 있으며 그 수명을 길게 연장할수있도록된 매우 유용하고 실용적인 고안이다.

Claims (5)

  1. 공지의 온수 보일러(2)의 온수배출구(3)및 환수구(4)와 온돌호스간에 각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조립식으로 시공되는 관연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온수배출구(3) 측에는 방향자재한 L형관(1), 하단에 신축자재한 신축관(9)과 상단에 급수관(8)을 장설한형관(6), 일측에 퇴수구(18)를 가진 2중밸브(14)를 나합하고 하부에 연결관(19)을 나합한 T형관(11), 방향자재토록 나합공(30)(31)을 가진 연결구(22)를 순차적으로 체결하고, 상기 환수구(3)측에는 방향자재한 L형관(1), 연결관(19a) 또는(29), 방향자재토록 나합공(30a)(31a)을 가진 연결구(22a)를 순차적으로 결합하여서 된 온수보일러의 관연결장치.
  2. 상기 제1항에 있어서, 상부에 급수관(8)을 나착한형관(6)하부에 길이를 조절할수 있는 신축관(9)을 삽설하되,형관(6)하부에 체결되는 체결너트(13)와 그 내부의 밀폐용팩킹(12)에 의하여 신축관(9)이 밀폐 고정토록된 온수보일러 관연결장치.
  3. 상기 제1항에 있어서,형관(6)과 접속관(10)에 의해 나착된 T형관(11)일측에 밸브(14)의 선단을 나합하여 나선축(16)의 선단 밀폐팩킹(17)이 접속관(10)의 선단과 밸브(14)의 선단을 차단할수 있도록된 온수보일러의 관연결장치.
  4. 상기 제1항에 있어서, 급수관(8) 상단에 나합한 배기관(23) 하부에 다수의 급수공(24)을 천공하고 그외주에 하단이 개방된 커어버(25)를 고착한 온수보일러의 관연결장치.
  5. 상기 제4항에 있어서, 배기관(23) 선단에 배기변(26)을 착설하되 그측방에 수개의 배기공(27)을 천공하고 상기 배기공(27)단부에 비교적 얇은 고무막(27a)을 장설하였으며, 그 외주연부에는 하방이 개방된 외관(28)을 나착하여서된 온수보일러의 관연결장치.
KR2019860021130U 1986-12-24 1986-12-24 온수보일러의 관연결장치 KR8900035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21130U KR890003559Y1 (ko) 1986-12-24 1986-12-24 온수보일러의 관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21130U KR890003559Y1 (ko) 1986-12-24 1986-12-24 온수보일러의 관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2669U KR880012669U (ko) 1988-08-27
KR890003559Y1 true KR890003559Y1 (ko) 1989-05-27

Family

ID=19258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21130U KR890003559Y1 (ko) 1986-12-24 1986-12-24 온수보일러의 관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355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2669U (ko) 198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6827B1 (en) Drainage overflow pipe structure for bathtub
US5142714A (en) Whirlpool nozzle
KR890003559Y1 (ko) 온수보일러의 관연결장치
CN109972704A (zh) 一种智能马桶用加热水箱
CN208606383U (zh) 一种储水式电热水器
KR20140005018U (ko) 동파방지용 수도밸브
KR100432396B1 (ko) 자동호스의 제작 방법
KR840002794Y1 (ko) 에어핀 겸용 온수 순환기
CN214665223U (zh) 一种水箱组件和热水器
US2109269A (en) Floodless radiator steam valve
CN217559250U (zh) 一种防爆编织软管
CN113136929B (zh) 一种固定在排水阀上的进水阀
KR200313310Y1 (ko) 피팅 일체형 볼탑
CN220645396U (zh) 一种用于充气水池的贯通连接装置
KR890006069Y1 (ko) 온수기용 물통
KR870001251Y1 (ko) 가습기의 정수 장치
KR950001631Y1 (ko) 보일러의 보충수탱크
KR950009540Y1 (ko) 보일러 온수분배기용 개폐밸브
KR100321674B1 (ko) 보일러용 보조탱크
KR820000405Y1 (ko) 볼 탭
US1498399A (en) Valve
CN207512845U (zh) 一种去水器
PT1157179E (pt) Painel submergível flexível para tanques constituído por elementos modulares ocos alongados agrupados entre eles
KR870002753Y1 (ko) 어항용 공기 공급 조절구
CN112923565A (zh) 一种水箱组件和热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305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