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189Y1 - 낚시용 어신경보기 - Google Patents

낚시용 어신경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189Y1
KR890003189Y1 KR2019860008430U KR860008430U KR890003189Y1 KR 890003189 Y1 KR890003189 Y1 KR 890003189Y1 KR 2019860008430 U KR2019860008430 U KR 2019860008430U KR 860008430 U KR860008430 U KR 860008430U KR 890003189 Y1 KR890003189 Y1 KR 8900031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hook
rod
alarm
fish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084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0068U (ko
Inventor
김명희
Original Assignee
김명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희 filed Critical 김명희
Priority to KR20198600084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3189Y1/ko
Publication of KR8800000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0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1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1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2Signalling devices, e.g. tip-up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낚시용 어신경보기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제1사용상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제2사용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제3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경보음발생기 2 : 경보램프
4 : 갑체 5 : 스위치작동봉
6 : 낚시줄걸이홈 7 : 탐지봉
8 : 어신경보기 9 : 사각헤드
10 : 사각공 11 : 결합공
12,12' : 연장측벽 13 : 후크
14 : 고무밴드 16,16' : 걸이편
17 : 꽂이대 19 : 측부걸이판
20 : 상단걸이판
본 고안은 낚시용 어신경보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어신을 알리거나 어신에 의한 낚시용구의 움직임에 대하여 이를 알릴수 있도록 각종 낚시용구, 예를들어 대낚시, 방울낚시, 릴낚시등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낚시용 어신경보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어신경보기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낚시줄에 결합되어 어신에 의한 낚시줄의 움직임을 탐지할 수 있는 탐지봉, 이 탐지봉에 결합된 스위치장치, 전자 또는 전기적인 경보회로와 전원으로 구성되고, 이러한 구성이 각 낚시용구에 결합사용할 수 있도록 외부적인 결합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각각의 낚시용구에만 사용하기 적합한 구조를 가지므로서 이러한 종래의 어신경보기는 여러 낚시용구에 공통으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없는 결점을 갖는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종래의 이와같은 어신경보기의 결점을 감안하여 각종 낚시용구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어신경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바, 이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경보음발생기(1)와 경보램프(2)를 가지며 건전지케이싱(3)이 단열갑체(4)로 구성되고 갑체(4)의 일측으도 스위치작동봉(5)이 돌출되어 선단에 낚시줄걸이홈(6)을 갖는 탐지봉(7)이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어신경보기(8)에 있어서, 스위치작동봉(5)에 사각헤드(9)를 형성하고 탐지봉(7)에는 이에 결합되는 사각공(10)을 형성하여 탐지봉(7) 이 사방으로 결합될수 있도록하고, 갑체(4)의 저면에는 양측에 한쌍의 결합공(l1)을 갖는 연장측벽(12)(12')을 형성하여 일측 연장측벽(12)의 결합공(11)에 후크(13)를 갖는 고무밴드(14)를 착설하여 후크(13)가 상대측 연장측벽(1)의 결합공(l1)에 결합될 수 있도록하며, 연장측벽(12)(12')의 내면과 갑체(4)의 저면사이에는 만곡저면을 형성하도록 탄성만곡부(15)(15')를 착설하고, 갑체(4)의 하단에는 대향된 "L"자형의 걸이편(16)(16')을 형성하며, 별도로 지면에 꽂게된 꽂이대(17)의 상측부에 갑체(4)의 걸이편(16)(16')으로 삽입되고 그 삽입정도가 제한될 수 있는 돌편(18)(18')을 갖는 측부걸이판(19)을 착설하고 상단부에는 역시 걸이편(16)(16')사이에 삽입되는 "T"형 상단걸이판(20)을 착설하여서된 구조인바, 미설명부호 21은 걸이줄, 22는 릴 낚시대, 23은 릴, 24는 낚시줄, 25는 방울낚시뭉치, 26은 대낚시를 나타낸다.
이와같온 봄 고안온 탐지봉(7)을 스위치작동봉(5)의 사각헤드(9)에 그 사각공(10)을 통하여 결합할 수 있어 사방으로 탐지봉(7)이 향할수 있고, 고무밴드(14)를 이용하여 어신경보기(8)자체만을 이용할 수 있으며 지면에 꽂이대(17)를 이용하여 어신경보기(8)를 수평, 수직으로 배치하여 사용할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제3도에서보인 바와같은 방울 낚시뭉치(25)에 사용하는 경우 이에 인접하여 꽂이대(17)를 지면에 꽂고 꽂이대(17)의 상단걸이판(20)을 걸이편(16)(16')사이에 삽입하여 어신경보기(8)를 수직으로 세우고 탐지봉(7) 사각헤드(9)에 수직방향으로 꽂아 사용하며 낚시줄(24)을 탐지봉(7)의 낚시줄걸이홈(6)에 결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만약 낚시줄(24)을 당기는 어신이 오면 탐지봉(7)이 낚시줄(24)이 당겨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스위치조작봉(5)을 회전시켜 경보가 울리게 될 것이다.
또한 제4도에서 보인 바와같이 대낚시(26)에 이용하는 경우에는 대형어에 의한 낚시대의 끌림을 탐지할 수 있다. 이와같은 경우 대낚시(26)의 손잡이부근의 단부에 걸이줄(21)을 연결하고 꽂이대(17)의 측부걸이판(19)에 걸이편(16)(16')을 삽입하여 어신경보기(8)를 수평으로 배치하고 탐지봉(7)은 사각헤드(9)에서 수직으로 세워 이에 걸이줄(21)을 연결하여 사용하면 대형어가 낚시대를 끌고들어가는 것이 탐지될 수 있다.
제5도는 릴낚시대(22)에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고무밴드(14)를 이용하여 어신경보기(8)를 릴 낚시때(22)에 묶어 사용하며 연장측벽(12)(12')과 저면의 탄성만곡부(15)(15')는 대체로 원형 단면인 릴낚시대(22)에 안정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탐지봉(7)음 릴(23)로부터 연장되어간 낚시줄(24)의 진로방향으로 향하도록 사각헤드(9)에 결합하고 낚시줄(24)의 일부를 탐지봉(7)의 낚시줄걸이홈(6)에 걸어 사용한다.
이와같이 된 본고안은 어신경보기를 여러 낚시용구에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어 종래 낚시용구별로 어신탐지를위한 여러가지 형태의 어신경보기를 사용하여야만 하는 불편한 점을 배제할 수 있다.

Claims (1)

  1. 경보음발생기(1)와 경보램프(2)를 갖는 갑체(4)의 일측으로 스위치작동봉(5)이 돌출되어 선단에 낚시줄걸이홈(6)을 갖는 탐지봉(7)이 결합될 수 있는 어신경보기(8)에 있어서, 스위치작동봉(5)에 사각헤드(9)를 형성하고 탐지봉(7)에는 사각공(10)을 형성하고, 갑체(4)의 저면에는 양측에 한쌍의 결합공(11)을 갖는 연장측벽(12)(12')을 형성하여 일측연장측벽(12)의 결합공(l1)에 후크(13)를 갖는 고무밴드(14)를 착설하고, 갑체(4)의 하단에는 대향된 "L"자형의 걸이편(16)(16')을 형성하며 별도 꽂이대(17)의 상측부와 상단부에는 걸이편(16)(16')사이에 삽입되는 축부걸이판(19)과 "T"형 상단걸이판(20)을 착설하여서된 낚시용 어신경보기.
KR2019860008430U 1986-06-16 1986-06-16 낚시용 어신경보기 KR8900031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8430U KR890003189Y1 (ko) 1986-06-16 1986-06-16 낚시용 어신경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60008430U KR890003189Y1 (ko) 1986-06-16 1986-06-16 낚시용 어신경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0068U KR880000068U (ko) 1988-02-17
KR890003189Y1 true KR890003189Y1 (ko) 1989-05-17

Family

ID=19252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08430U KR890003189Y1 (ko) 1986-06-16 1986-06-16 낚시용 어신경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318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0068U (ko) 1988-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7602B1 (en) Detachable power supply apparatus
US4376349A (en) Night time fishing aid
US4731718A (en) Christmas lamp
US4399630A (en) Fish detecting fishing rod and holder
US2574333A (en) Fish pole light attachment
KR890003189Y1 (ko) 낚시용 어신경보기
US4590701A (en) Fishing pole alarm system
USH2226H1 (en) Mouse cable management
US3473250A (en) Fish alarm
US3624849A (en) Device for locating a submerged item
KR910005455Y1 (ko) 밤낚시용 획어 감지장치
KR100691733B1 (ko) 스토퍼 기능을 갖는 낚싯대 및 이에 사용되는 낚싯대거치용 뒷받침대
KR910004864Y1 (ko) 릴 낚시용 경보기
CA2272760A1 (en) Socket for an ornamental light bulb
FR2593696B1 (fr) Appareil electromenager avec symboles indicateurs lumineux dont la lisibilite est amelioree
KR950002077Y1 (ko) 휴대용 컴퓨터의 밧데리 착탈장치
KR910008845Y1 (ko) 낚시대의 자동신호장치
KR890007906Y1 (ko) 자동 낚시줄 견인 장치
US20220346362A1 (en) Fishing alarm system
KR800000115Y1 (ko) 전화선 매입용 단자판
JPS5913830Y2 (ja) 釣り用浮子
KR870003666Y1 (ko) 줄 낚시대
KR900004884Y1 (ko) 낚시용 어신 감지장치
KR830002112Y1 (ko) 낚시 받침대
KR950006396Y1 (ko) 어신감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05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