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3177B1 - 다중계 경보장치 - Google Patents

다중계 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3177B1
KR890003177B1 KR1019860001356A KR860001356A KR890003177B1 KR 890003177 B1 KR890003177 B1 KR 890003177B1 KR 1019860001356 A KR1019860001356 A KR 1019860001356A KR 860001356 A KR860001356 A KR 860001356A KR 890003177 B1 KR890003177 B1 KR 8900031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ransmitter
terminal
output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01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8271A (ko
Inventor
이인수
우광일
Original Assignee
이인수
우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인수, 우광일 filed Critical 이인수
Priority to KR1019860001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3177B1/ko
Publication of KR870008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8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3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1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다중계 경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계통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주제어반 100A : 전원공급부
100B : 경보 표시부 30 : 송신기 전원부
31 : 기준전류 경보부 40 : 개소 증폭부
50 : 개소 필터부 60 : 개소복조 및 정형부
70 : 개소 경보 표시부 90 : 단말 송신부
91 : 발진기 92 : 사인파 발생기
93 : 센서부 94 : 제어 출력부
95 : 신호 출력부 96 : 직교류 출력기
97 : 신호 트랜스 h : 단일 선로
T1-Tn: 단말 송신기
본 발명은 복수의 지역에 각기 감시망을 구비하여 해당 개소의 외부 침입상태를 전자적 수단으로 감시 경보하는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해당 지역에 외부 침입 상태가 난수적으로 동시 발생할때도 해당 개소의 감시 경보기능을 독집적으로 이룰 수 있고 감시망의 범위를 지역적으로 상당히 광범위한 범위까지 이용할 수 있으며, 특히 2선 1조의 단일 선로 만에 의해 주제어 기기와 단말 감지기까지의 전원 공급 및 신호 송신이 가능하여 감시망 다중 설계의 용이함과 아울러 이로 인한 경제적 여건을 상당히 양호히 개선시킨 다중계 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선행기술에 있어서는 단말 각개소 단말에 난수적으로 동시에 침입자가 생겼을때는 그 상태를 나타내 줄 수 없음에 의해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음과 동시에 전원이 2개씩 2조의 라인으로 멀리 떨어진 각 단말개소까지 이르도록 하는 수단을 일반적으로 취하고 있어서 그 선로의 길고 짧음에 따른 단말개소까지의 설계의 복잡함이 야기되며, 또 선 전력 손실이 복수로 작용하거나 부하 저항 등을 고려함에 의해 감지기의 설치 갯수와 거리 등에 상당한 제약을 받도록 된 것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감지기가 1종의 감지수단을 취하고 있음에 의해 당해 감지기의 적용에 불합리하게 작용하는 특정 개소에 있어서는 이러한 장치가 무용의 것이 되거나 오동작 확률이 많아 설치상 바람직하지 못한 경우도 있는 것이었다.
일예로, 감지기 자체가 광 감지소자이어서 이러한 소자등에 불리한 조건(일예로 먼지가 많이 끼는 장소 내지는 동물이 스치고 지나가는 등의)에서 오동작에 의해 오보될 확률이 많아지게되므로 그 편리성이나 물품이용상의 호환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종래의 이러한 기기는 그 구성적 여건상 광범위한 지역에 감시망을 구축하여야 하는 환경에 있어서는 활용되기가 어려운 등의 불합리한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는 동시에 그 신뢰성, 기능성, 경제성 등을 양호히 충족시키는 다중계 경보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으로 그 주된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본 발명은 2개 1조만의 단일 선로로 각 단말개소에 설치된 감지기의 전원 공급과 복수의 검출신호를 송수신하는 방식에 의해 광범위한 지역 범위까지 감시망체제를 용이 구축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구성적 여건의 단순화로 설치가 간단하고 이에 의한 장치 구성상의 경제적 이점이나 신뢰성을 양호히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이러한 감시망 체제에 있어서, 각 구역 및 개소에 설치되는 감지 장치가 광 또느 적외선, 초음파, 공간 감지기, 선로 단선 감지기 등의 선택적 활용이 가능하게 되어 일예로, 광 또는 적외선 감지기 등의 빛을 이용한 경우에 송신 또는 수신 소자에 먼지 등 이물질이 접촉되어 쌓임에 의해 그 기능이 마비되거나 오동작을 일으키기 쉬운 장소에서는 감지기를 초음파 또는 공간감지기등으로 선택적으로 대처 할 수 있도록 한 호환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이외에도 장치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제어반과 각 단말개소간에 선로가 단일 선로로 됨으로써 선로의 증가에 따른 전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어 이러한 장치의 성력화를 양호히 개선할 수 있도록 한 목적도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계통도로서 이는 선정된 해당 개소의 표시 및 경보동작을 주제어반(100)에서 진행시키는 경보표시부(100B)와 2개 1조의 단일 선로에 의해 각 단말부의 회로에 전원 공급 및 과전류 검출을 목적으로 하는 전원 공급부(100A)로 주제어반(100)이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전원공급부(100A)에서 단일선로(h)로 각 단말 전송기(T1-Tn)가 연결되며, 이 각 단말전송기(T1-Tn)는 감지기의 동작시 고유 주파수를 단일 선로(h)를 통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이들에 의해 단말송신부(90)가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주제어반(100)의 전압공급부(100A)는, 상용교류전원을 입력시켜 정류한 출력을 내보내는 교류전원입력부(10)와, 이 교류전원 입력부(10)에서의 직류출력을 안정화하여 경보표시부(100B)의 각 회로에 소정 직류전원을 제공하는 정전압부(20) 및, 각 단말송신부(90)의 단말송신기(T1-Tn)에서 필요로 하는 전압과 전류 상태를 고려하여 일정 전압을 제공하는 송신기 전원부(30)와, 단말 송신기(T1-Tn)의 감지기 동작시 전원 또는 전류 레벨의 이상을 검출함에 의하거나, 단말 송신부(90)의 감지기에서 선로 단락 또는 쇼트시에 경보동작을 행하는 과전류 경보부(31)로 구성되어 있다.
또, 주제어반(100)의 경보표시부(100B)는, 각 단말 송신기(T1-Tn)에서 침입상태가 1 또는 그 이상의 경우가 발생했을때 각 개소 고유주파수를 단일선로(h)를 통하여 제공할때 이를 신호 증폭하는 개소 증폭부(40)와, 소정주파수를 걸러 내는 개소 필터부(50), 걸러낸 신호를 복조하고 파형 정형하는 개소 복조 및 파형 정형부(60), 상기 검출된 신호 상태에 따라 경보하거나 주제어반(100)에서 표시동작을 진행하는 개소 경보표시부(70)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제1도의 본 발명의 계통은 제2도와 같은 일 실시예로서 구성되는 것이며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주제어반(100)의 전원공급부(100A)에서 교류전원입력부(10)는 상용교류 전압의 전압 변환용 전원 입력트랜스(Trs)와 정류기, 평활용 컨덴서의 통상의 구성이며, 이의 출력을 안정화전원으로 하는 정전압부(20) 또한 통상의 구성으로 이룰 수 있다.
상기 교류 전원 입력부(10)의 출력의 일단은 단말송신부(90)의 단말송신기(T1-Tn)에서 소정 전원을 제공하는 송신기 전원부(30)로 이어지며, 이 송신기 전원부(30)는 정전류회로(32)를 거쳐 비교증폭기(34)에 기준전압을 제공하는 기준전압부(33)와 비교증폭기(34)에 의해 입출력조건을 제어하는 제어회로(38)로 연결되며, 부하인 각 단말송신기 (T1-Tn)에 가해지는 출력상태를 검출하는 전압검출기(36), 이 전압검출기(36)에 의해 검출된 전압과 기준전압부(33)에 의해 설정된 기준전압을 비교하는 비교증폭기(34)가 연결되고, 상기 비교증폭기(34)엔 제어회로(38)의 출력단에서 연결한 보호회로(35)가 기준전류 경보부(31)와의 사이에 연결된다.
단일선로(h)와 이어지는 상기 송신기 전원부(30) 출력에는 정전시 회로 동작이 유지되도록 한 예비전원인 밧데리(37)가 다이오드(D0,D1)에 의해 접속되는 구성이다.
또, 주제어반(100)의 경보표시부(100B)는 통상의 신호 증폭기로 구성된 개소증폭부(40), 고유 주파수 검출 개소필터부(50), 개소복조 및 정형부(60) 및 이 개소 복조 및 정형부(60) 출력이 복수의 램프(L1-Ln)나 경보회로로 구성된 개소 경보표시부(70)로 연결되는 구성이다.
그리고, 단말 송신부(90)를 구성하는 각 단말송신기(T1-Tn)는 단일 선로(h)에 고유 주파수 신호를 송출하는 신호 틀랜스(97)의 일측을 통해 연결된 브리지 다이오드(D2-D5) 및 컨덴서(C1,C2)에 의한 직교류 출력기(96)와, 이의 출력단으로 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각종 감지장치(93) 및, 이의 감지 출력에 의해 고유주파수가 세팅되어 발진되는 발진기(91)출력을 사인파로 변환시키는 사인파 발생기(92)의 출력을 억제하도록 한 제어기(94)와, 상기 제어기(94)의 제어조건에 의해 신호트랜스(97)로 출력신호를 내보내는 신호출력부(95) 및, 신호트랜스(97)와 병렬로 연결되어 잡음 신호등을 제거하여 회로 안정화를 이루은 다이악(98)으로 구성된다.
미설명부호 Vc1,Vc2는 +전원, VG1, VG2는 접지,C1-Cn은 고유주파수를 개조필터부(50)로 송출하는 신로에 부여된 편의상의 부호이며, P1-Pn은 개소 복조 및 정형부(60)의 각개 출려신호에 부여된 편의상의 부호이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그 작용 빛 효과가 다음과 같이 이뤄진다.
즉, 주제어반(100)은 사용자가 요구되는 장소에 설치하여 이용되는데 여기서는 해당 단말개소의 표시기(L1-Ln)와 침입상태기 경보동작을 수행하는 벨 등의 경보회로(AK)가 장치되어 있다.
이들은 1개의 단일 제어반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각 개소의 침입발생 상황을 쉽게 알 수 있도록 설계한다. 단말 송신부(90)의 각 단말송신기(T1-Tn)는 각개소 해당하는 감시 지역에 위치하고, 각종 센서부(93)가 침입상예 경로에 장치되어 있게 된다.
이 단말송신기(T1-Tn)는 주제어반(100)의 전원공급부(100A)에서 송신기 전원부(30) 출력과 연결된 단일선로(h)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된다.
이때는 단일선로(h)를 통하여 제공되는 직류전원이 신호 트랜스(97)의 1차측 코일을 거쳐 직교류 출력기(96)의 브리지 다이오드(D2-D5)로 가해지고, 이 브리지 다이오드(D2-D5)를 통한 직류전원이 각 센서부(93)와 제어기(94), 신호출력부(95), 발진기(91), 산인파발생기(92)에 가해진다.
여기서 침입상태가 발생했을때는 센서부(93)에서 감지가 되어 제어기(94)에 출력을 내부내면 이 제어기(94)는 발진기(91)의 고유주파수를 사인파로 형성시킨 사인파발생기(92)의 출력을 억제하던 것을 해제시켜 신호출력부(95)고유주파수를 내보내게 된다.
상기 신호출력부(95)의 고유주파수 사인파는 신호트랜스(97)의 1차측 코일과 직교류출력기(96)의 컨덴서(C1)에 의해 단일선로(h)로 송출되는 것이다.
상기 고유주파수 사인파는 주제어반(100)의 경보표시부(100B)의 게소 증폭부(40)로 신호증폭되고, 이 고유주파수 사인파만 통과시키는 개소필터부(50)에서 검출되어 당해 가개 복조 및 정형부(60)에 가해진다.
해당 각개복조 및 정형부(60)는 상기 사인파를 복조 및 정형하여 개소 경보표시부(70)의 램프회로(L1-Ln)나 경보회로(AK)에 가해져서 주제어반(100)의 표시 및 경보동작을 발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침입상화이 각 단말송신기(T1-Tn)의 감지 센서부(93)에 의해 검출되는 상태는 단일 또는 복수의 동시 침입등에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작용하여 단일선로(h)에 거미출신호가 송출되어 걸러지므로 침입자가 각개소에 복수로 동시에 침입하더라도 그 위치를 복수로 정확히 판별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송신기전원부(30)는 각 단말송신기(T1-Tn)에 소망하는 전압 및 전류를 안정하게 유지하고, 과도전압 또는 돌입 전류등이 발생하였을때는 보호회로(35)를 거쳐 그 상태가 검출되거나, 단말송신부(90)의 각개 단말송신기(T1-Tn)에서 감지기인 센서의 쇼트 또는 단선시이 상태를 사용자에게 경보하기 위한 기준전류경보부(31)가 동작하므로 이에 따른 사전조치를 행할 수 있다.
상기 각 단말송신기(T1-Tn)는 단일선로(h)에 병렬로 이어져서 감시망체제의 거리의 증감에 따른 선전력손실을 최소로 하게 되고 사인파를 이용한 송신방식이므로 그 거리를 수 Km까지 확장시킬 수 있으며 이의 설치작업이 극히 용이해진다.
또, 감시망 체제를 광법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침입이 예상되는 지역범위를 널리 펼칠 수 있어 그 이용을 다양화 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센서부(93)에 있어서는 단말송신기(T1-Tn)의 설치장소가 먼지가 많이나거나 오염 등이 심한 장소에서는 광 또는 적외선 등의 감지 수단을 취하지 않고 극초단파 감지기등으로 선택할 수 있고, 해당 장소에 적합한 형태의 센서부(93)로 호환 적이게 대체할 수 있어서 그 이용이 편리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기기의 구성적 단순함이나 송신방식의 단순화로 인하여 기기에 대한 신뢰성을 양호히 개선함과 동시에 경제적 이점이 증대되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주제어반에서 각 단말까지 단일의 선로에의한 전원의 공급과 신호송출을 동시에 가능하게 함에 의해 감시망체제를 신뢰성있고 용이하게 설계할 수 있게 되고, 감시망체제의 지역범위를 가능한 넓은 지역까지 쉽게 확대할 수 있으며, 그 신호검출방식이 1 : 1대응된 검출형태를 간단한 형태로 이룰 수 있게 되어 단말송신기의 센서를 지역적 환경과 장소에 적합한 센서를 취할 수 있음에 의한 호환성이 부여되는 한편, 이러한 기기의 선로전력 손실을 최소로 함에 의해 에너지 절약을 유도할 수 있는 경제적 이점도 동시에 가지는 유익한 특징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각 감시지역에 설치된 감지기가 고유 주파수 발진기를 포함하여 단발송신기가 구성되고, 이 단발송신기로 부터 단일선로(h)를 거쳐 개별의 여파기, 복조기, 검파기 등을 포함하며, 경보 표시를 행하는 경보표시부가 연결된 경보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송신기는 단일선호(h)와 연결시킨 신호트랜스(97) 및 이와 직결시킨 직교류 출력기(96)와 이로부터 전원을 제공받는 센서부(93), 고유주파수 발진기(91), 이 고유 주파수발진기(91)로 부터의 발진출력을 사인파로 변환하는 사인파발생기(92), 상기 센서부(93)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사인파발생기(92)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출력부(94) 및, 신호트랜스(97)를 포함한 복수의 단말송신기(T1-Tn)로 되는 단말송신기(T1-Tn)측의 소정개소에 전원이상이 있을때에 이를 경보해주는 기준전류경보부(31)를 포함한 구성의 전원공급부(100A) 및, 상기 각 단말 송신기(T1-Tn)와 각기 1 : 1로 대응해 고유 주파수 검출 및 경보등을 각개 표시방식으로 부여되도록한 경보표시부(100B)로 주제어반(100)이 구성됨을 특징으로하는 다중계 경보장치.
KR1019860001356A 1986-02-26 1986-02-26 다중계 경보장치 KR890003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1356A KR890003177B1 (ko) 1986-02-26 1986-02-26 다중계 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60001356A KR890003177B1 (ko) 1986-02-26 1986-02-26 다중계 경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271A KR870008271A (ko) 1987-09-25
KR890003177B1 true KR890003177B1 (ko) 1989-08-25

Family

ID=19248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01356A KR890003177B1 (ko) 1986-02-26 1986-02-26 다중계 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317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8271A (ko) 1987-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65461A (en) Apparatus for monitoring the conductors or lines of fire alarm installations
JPH0327959B2 (ko)
US5089809A (en) Remote indication of appliance status
US4314306A (en) Signal-powered receiver
CN111404114A (zh) 一种漏电检测电路及方法、漏电保护电路及方法、空调器
US5631629A (en) Heartbeat communications
CA1053791A (en) Vital relay operating circuit
CA1116699A (en) Fail-safe alarm system utilizing frequency modulated signal detection
KR890003177B1 (ko) 다중계 경보장치
CN105118214A (zh) 一种电缆防盗系统及对应的电缆防盗方法
CN211826308U (zh) 一种电缆监测系统
CN104392576A (zh) 新型烟传感器
JPS6295485A (ja) 検出センサ装置
KR200224410Y1 (ko) 전력선을 이용한 조명등 회로 고장정보 검출장치
FI85632B (fi) Fjaerrstyrd underhaollningselektronikanordning.
CN219391975U (zh) 一种基于物联网技术的二氧化碳检测装置
EP0991042A2 (en) Signalling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GB2175722A (en) Security systems
CN209376444U (zh) 老鼠检测和监控系统
JP2854495B2 (ja) 防災監視装置の過電圧保護装置
JPH09205498A (ja) 電話回線監視装置
JPS6327276Y2 (ko)
JPH0341878B2 (ko)
CN215495386U (zh) 交流电源系统防反接指示告警电路
KR870000821Y1 (ko) 엘리베이터의 부하 검출신호 전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