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2921Y1 - 쑥찜기의 쑥증기 분무장치 - Google Patents

쑥찜기의 쑥증기 분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2921Y1
KR890002921Y1 KR2019870001561U KR870001561U KR890002921Y1 KR 890002921 Y1 KR890002921 Y1 KR 890002921Y1 KR 2019870001561 U KR2019870001561 U KR 2019870001561U KR 870001561 U KR870001561 U KR 870001561U KR 890002921 Y1 KR890002921 Y1 KR 8900029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steam
cylinder
handle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015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5893U (ko
Inventor
김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사
김충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사, 김충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to KR20198700015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2921Y1/ko
Publication of KR8800158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58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9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9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6Devices for heating or cooling such points within cell-life limi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98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ays of manufacturing heating or cooling devices for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07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he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쑥찜기의 쑥증기 분무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과 증기발생장치의 연결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통 2 : 손잡이
3 : 분무캡 4 : 쑥통
4a. 4b : 통체 5 : 칸막이벽
6. 6' : 유통관 7. 7' : 유통공
8 : 유통관 9 : 스프링
14 : 나선홈
본 고안은 쑥찜기에 있어서, 쑥증기를 얻기 위한 부분이 물을 가열하여 증기를 발행시키는 장치와는 별개로되게 한 쑥찜기의 쑥증기 분무장치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쑥찜기는 증기발생장치와 쑥증기를 얻기 위한 부분이 일체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사용시 쑥물이 가열실내로 흘러들어가게 되어 히이터가 쑥물에 의해 코팅되므로 발열량이 감소되고 수명이 단축됨은 물론 응축된 고온의 물이 쑥증기에 혼합되어 분무되므로 피부가 손상되거나 심한 경우 화상을 당하게 되는 등의 위험도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쑥증기 분무장치를 증기발생장치와 별개로 구성하고, 쑥을 담는 쑥통을 분무장치에 내장토록 하며, 또는 쑥물이 증기발생장치로 흘러들어가지 않게 함은 물론 응축된 고온의 물이 쑥증기에 혼합되어 분무되지 않도록 고안한 것으로 첨부 도면에 의거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손잡이(2)가 연결된 기통(1)의 전면에는 분무캡(3)을 나사식으로 결합토록 하고, 이들 사이에 쑥을 담는 쑥통(4)이 내장되게 하며, 기통(1)의 전면부는 칸막이 벽(5)으로 막히게 하여 내부가 밀폐되게 하고, 손잡이(2)가 부착되는 후측부와 칸막이벽(5)의 중앙부에 각기 유통관(6) (6')을 내부로 연결시켜 그 내부끝을 서로 격리되게 하고 저면에 유통공(7) (7')을 뚫어 기통(1)의 내부와 연통되게 하며, 유통관(6)의 하부에는 손잡이(2) 내로 끼워진 호오스(8)의 끝과 결합시키고, 고온의 증기에 의해 가열되는 호오스(8)가 피부에 직접 닿지 않게 외면이 스프링(9)으로 씌워진 이 호오스(8)의 타측끝은 증기발생기(10)의 상부캡(l1)에 연결하였다.
한편, 쑥통(4)은 통체(4a) (4b)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쑥을 담거나 쏟기가 편리하게 되도록 하고, 또 통체(4a) (4b)에는 다수의 관통공(12) (12')을 뚫어서 증기가 쑥통(4)을 통과하면서 이 쑥통(4)에 담긴 쑥에서 약성분을 추출할 수 있게 하였으며, 분무캡(3)의 전면에는 수개의 분무구(13)를 내측으로 적정길이로 만큼 길게 연결시켜 응축수가 분무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였고, 또 손잡이(2)의 저면에는나선홈(14)을 형성하여 기통(1)을 증기 발생기(10)의 일측에 착설된 각도와 방향조정이 임의로 되는 지지핀(15)에 착설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것이다.
미설명 부호 "16"은 배수공 마개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쑥찜을 할때에는 먼저 분무캡(3)을 열어서 쑥통(4)을 꺼내 통체(4a) (4b)를 분리하여 쑥을 담은 다음 다시결합시져 쑥통(4) 이 제2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기통(1)과 분무캡(3)사이에 내장되게 결착시킨 후 증기발생기(10)를 작동시키면 이 발생기(l0)의 작동에 따라 그 내부에 있는 가열실내의 물이 가열되어 증기가 발생되고, 이 증기는 상부캡(11)에 연결된 호오스(8)를 따라 손잡이(2)를 거쳐 유통관(6)과 유통공(7)을 통해 기통(1)내로 공급된다.
이렇게 되면 증기가 호오스(8)에 의해 기통(1)내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외부의 온도차이등에 의해 발생되는 응축수는 증기가 기통(1)내에 머무르게 될때 증기와 분리되어 기통(1)바닥에 고이게 되며, 응측수가 제거된 증기는 유통공(7) 을 통해 들어가 유통관(6') 을 따라 칸막이벽 (5) 전면부로 배출되며, 배출된 증기는 통체 (4a)에 뚫어진관통공(12)을 통해 쑥통(4)로 들어가 이 쑥통(4)에 담긴 쑥을 거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약성분이 추출된다.
따라서, 쑥을 거친 증기에는 약성분이 함유되어 약성분이 함유된 쑥증기는 통체(4b)에 뚫어진 관통공(12)을 통해 나가서 분무캡(3)의 전면부에 모이게 되며, 이때 쑥증기에 함유된 응축수 즉, 고온의 쑥물은 쑥증기와 분리되어 분무캡 (1)의 바닥에 고이게 되고 쑥물이 제거된 쑥증기의 각 분무구 (13) 를 통해 전면으로 분무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쑥증기가 분무되면 손잡이 (2)를 잡고, 분무캡(3)의 전면부를 환부 또는 쑥찜자리에 근접시켜 필요한 시간동안 찜질을 하면 되는 것으로 이때 기통(1)은 손으로 잡고 사용하기 간편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신체의 어느 부위나 용이하게 찜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또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제3도 기상선 (A)에서 보는 바와같이 손잡이 (2) 저면의 나선홈(14)에 증기발생기 (10)의 일측에 착설된 지지핀(15) 이 끼워지게 하여 기통(1) 을 증기발생기 (10)에 착설하면 되고, 이렇게 하면 각도나 방향을 임의로 조정할수 있게 되므로 혼자서도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것이다.
이와같이 사용하는 본 고안은 쑥을 담는쑥통(4) 이 기통(1)과 분무캡(3)사이에 내장되게 하고, 또 증기가 쑥통(4) 을 통과하여 발생되는 쑥물은 내측으로 길게 연결한 분무구(13)에 의해 차단되어 외부로 분무되지 않게됨은 물론 칸막이 벽 (5)에 의해 기통(1)내로 역류되는 것도 방지되며, 또 이에따라 증기발생기 (10)측으로 역류되지도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증기발생기 (10)에서 공급되는 증기중 일부가 주위와의 온도차에 의해 응축된 것은 기통(1)내에서 증기와 분리되며, 또 쑥증기에 함유된 쑥물은 분무캡(3) 내에서 분리되어 각각 기통(1)과 분무캡(3) 내에 고여있게 되므로 적정시간 사용한 후에는 기통(1) 내의 응축수는 마개(16) 를 열고 배수공을 통해 쏟으면 되고, 분무캡(3) 내의 응축된 쑥물을 분무캡(3)을 열어 쏟아내면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공기의 응측수 또는 쑥증기의 응축수인 쑥물이 각각 분리되어 외부로 배출되지 않게 됨은 물론 증기발생기내로도 역류되지 않게 되는 특징이 있으며, 또 이에 따라 쑥찜을 할때 피부가 손상되거나 화상을당할 염려가 없고, 증기를 기통으로 공급시켜주는 호오스의 외면은 스프링으로 씌워져 있어 고온의 증기에 의해 가열된 호오스가 피부에 작접 닿지 않게 되어 있으므로 사용중 부주위로 피부를 데게 되는 등의 폐단도 제거되며, 특히 혼자서도 간편용이하게 찜질을 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실용적이 고안이다.

Claims (1)

  1. 저면에 나선홈(14)이 형성된 손잡이(2)를 연결한 기통(1)의 전면에는 다수의 관통공이 뚫어진 통체 (4a) (4b)를 결합시켜서 되는 쑥통(4) 이 내장되게 수개의 분무구(13) 가 내측으로 연결된 분무캡 (3)을 나사식으로 결합하고, 기통(1) 의 전면은 칸막이 벽(5) 으로 막아 내부가 밀폐되게 하며, 손잡이 (2) 가 부착되는 후측부와 칸막이벽(5)의 중앙부에는 각각 유통공(7) (7')이 내측끝 저면에 뚫어진 유통관(6') (6')을 내부로 길게 돌출하고, 유통관(6)은 증기발생기에 타측끝을 연결시킨 스프링(9)으로 외면이 씌워지게한 호오스(8)의 일측끝과 결합시켜서된 쑥찜기의 쑥증기 분무장치.
KR2019870001561U 1987-02-13 1987-02-13 쑥찜기의 쑥증기 분무장치 KR8900029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1561U KR890002921Y1 (ko) 1987-02-13 1987-02-13 쑥찜기의 쑥증기 분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01561U KR890002921Y1 (ko) 1987-02-13 1987-02-13 쑥찜기의 쑥증기 분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5893U KR880015893U (ko) 1988-10-06
KR890002921Y1 true KR890002921Y1 (ko) 1989-05-10

Family

ID=19259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01561U KR890002921Y1 (ko) 1987-02-13 1987-02-13 쑥찜기의 쑥증기 분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292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759B1 (ko) * 2000-12-06 2004-07-27 주식회사 대진시스템 비전기식 유체펌프
KR100731838B1 (ko) * 2006-01-06 2007-06-22 이경호 펌프와 이를 이용한 취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5492B1 (ko) * 1998-12-22 2001-10-29 이청 증기찜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759B1 (ko) * 2000-12-06 2004-07-27 주식회사 대진시스템 비전기식 유체펌프
KR100731838B1 (ko) * 2006-01-06 2007-06-22 이경호 펌프와 이를 이용한 취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5893U (ko) 1988-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2921Y1 (ko) 쑥찜기의 쑥증기 분무장치
DE3365158D1 (en) Valve, especially a mixing valve
KR100550600B1 (ko) 훈증장치가 구비된 비데
KR970003438Y1 (ko) 쑥찜기의 응축수 환수장치
KR850003137Y1 (ko) 온수를 이용한 환부 찜질장치
KR200163223Y1 (ko) 쑥찜온열좌욕기의샤워관체와환수장치
KR100295492B1 (ko) 증기찜질장치
KR890002920Y1 (ko) 쑥찜기의 증기발생장치
US1832360A (en) Hair steamer
KR200197501Y1 (ko) 보습효과를 갖는 전기머리인두
US1285788A (en) Spraying device.
KR940008206Y1 (ko) 사우나용 증기 발생기
KR960003178Y1 (ko) 전기쑥찜온습기
KR800001270Y1 (ko) 항문용 온욕기
KR940000811Y1 (ko) 보일러 온수분배관의 개폐밸브
KR890003066Y1 (ko) 증기 발생기
JP4689080B2 (ja) 無極性浴槽用循環金具
KR820001713Y1 (ko) 뚜껑에 장치된 주방 겸용 난방보일러
KR940002737Y1 (ko) 밀폐형 쑥찜기
KR200373129Y1 (ko) 좌훈욕 겸용 스팀 마사지 장치
JPS607735Y2 (ja) スチ−マ
KR940003725Y1 (ko) 무압력 한약추출기의 약물 넘침 방지장치
SU159551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оведени полостных гр зевых процедур
KR100403391B1 (ko) 증기발생기
KR200221220Y1 (ko) 찜질용 건강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